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5 19:02:34

아리스테리아


언라이트등장 캐릭터 일람
ID 1~100 에바리스트 · 아이자크 · 그룬왈드 · 아벨 · 레온
크레니히 · 제드 · 아치볼드 · 맥스 · 브레이즈
ID 101~200 쉐리 · 아인 · 베른하드 · 프리드리히 · 마르그리드
도니타 · 스프라우트 · 벨린다 · 로쏘 · 에이다
ID 201~300 메렌 · 살가드 · 레드그레이브 · 리즈 · 미리안
워켄 · 플로렌스 · 파르모 · 아수라 · 브라우닝
ID 301~400 마르세우스 · 루드 · 루카 · 스테이시아 · 볼랜드
C.C. · · 이블린 · 브라우 · 카렌베르크
ID 401~500 네넴 · 콘라드 · 비르기트 · · 샬롯
타이렐 · 루디아 · 빌헬름 · 메리 · 구스타브
ID 501~600 유레카 · 리니어스 · 나딘 · 디노 · 오우란(갈색)
오우란(흑백) · 노이크롬 · 이데리하 · 실러리 · 클로비스
ID 601~700 아리스테리아 · 휴고 · 아리안느 · 그레고르 · 레타
엡실론 · 폴레트 · 유하니 · 노엘라 · 라울
ID 701~800 제이미 · 세르바스 · 베로니카 · 리카르도 · 마리넬라
모건 · 주디스
부활
ID 2001~2100 에바리스트 · 아이자크 · 그룬왈드 · 아벨 · 레온
크레니히 · 제드 · 아치볼드 · 맥스 · 브레이즈
ID 2101~2200 쉐리 · 아인 · 베른하드 · 프리드리히 · 마르그리드
도니타 · 스프라우트 · 벨린다 · 로쏘 · 에이다
ID 2201~2300 메렌 · 살가드 · 레드그레이브 · 리즈 · 미리안
워켄 · 플로렌스 · 파르모 · 아수라 · 브라우닝

카르두우스
노이크롬
실러리 아리스테리아 아리안느 폴레트 베로니카


네이버 소셜 게임 TCG 언라이트캐릭터.

1. 개요2. 대사3. 소개4. 능력치 변화
4.1. 노멀
4.1.1. HP/ATK/DEF/스킬4.1.2. 코스트/이벤트 카드 슬롯
4.2. 레어
4.2.1. HP/ATK/DEF/스킬4.2.2. 코스트/이벤트 카드 슬롯
5. 스킬
5.1. 패시브 스킬
6. 전용무기7. 언라이트: 스키조크로니클에서
7.1. 대사7.2. 액션카드
8. 이야깃거리

1. 개요

파일:attachment/아리스테리아/AlicetariaP.jpg
파일:1dwHHFN.png파일:n9E64zx.png파일:MVIhSCh.png파일:2ME9YU1.png파일:hTZNPlX.png
파일:mDSxbJ4.png
이름 아리스테리아 능력치 HP 9
영문명 Alicetaria 공격력 7
일문명 アリステリア 방어력 4
중문명 艾莉絲泰莉雅 합계 20
별명 The Chain 코스트 9
생일 눈의 달 1일[1] 혈액형 AB형
출신지 그란데레니아 제국 취미 역사 연구
161cm 몸무게 47kg
페어 캐릭터 베로니카
프로필
세계를 뒤틀림을 바로잡는 집단 카르두우스의 일원. 인과가 비틀려져 버린 비극의 황비.

2. 대사

3. 소개

언라이트의 60번째 캐릭터이자 노이크롬, 실러리에 이은 세 번째 카르두우스의 일원. 언라이트의 스토리를 보다보면 알겠지만 이분은 마르세우스 R2의 풀일러에 나오는 그 여성이 맞다. 또한 일부 구 캐릭터들의 레어 스토리에서 화려하게 등장한 전적이 있기 때문에 에바리스트, 아이자크에게도 상호 대사를 건넨다.

스킬을 보면 알겠지만 1스킬을 통해 근, 원거리를 유지, 스킬을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중거리에서는 이동 페이즈 제외 어떠한 스킬도 쓸 수 없기 때문에 주의하자.

기본적은 운용법은 1스킬로 원거리로 간 다음, 4스킬을 이용해서 근거리로 갔다가 다시 원거리로 가고... 를 반복하기 좋은 구조다. 하지만 아리스테리아나 마르세우스나 생각보다 패 소모가 심하거니와 아리스테리아보다도 더 이동에 특화되어 있는 캐릭터들한테는 확정적인 이동플레이가 어려운 편. 이를 보완하기 위해 3스킬이 있는 것이겠지만... 어쨌든 운용요점은 중거리를 잡히지 않는 것.

이름의 어원이 정확하진 않지만, 영어식으로 읽으면 앨리스테리어정도로 읽을 수 있는데 앞의 앨리스는 그 앨리스가 맞다. 태리아의 어원에서는 그리스 신화의 희극의 여신 Thalia 에서 비롯된 게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긴 하지만 일단 철자도 다르고 추측단계이며 Taria를 찾아보면 , 언덕, 등 서로 다른 의미를 지닌 어원들이 존재하는데 ‘Alice’가 ‘귀족의’ 또는 ‘고귀한’이라는 뜻을 지닌다는 점을 고려하면 고귀한 언덕, 고귀한 탑, 고귀한 숲 등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우연의 일치인지는 모르겠지만 이 캐릭터의 이름과 유사한 방식의 표기를 지역의 이름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호주 북부에 카펀테리아만이라는 명칭의 지역이 있으며 이 지역의 로마자 표기가 'carpentaria'로, "테리아"라 옮겨진 부분의 로마자가 이 캐릭터의 이름과 일치한다. Wikitonary에 따르면 발음은 IPA로 "tέəriə"라 표기되는데, 한글로는 '테어리어' 정도로 옮길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로 보아 어말의 ‘~taria’는 ‘~테리어’ 정로 읽힐 수도 있기에 테크웨이 측은 Alice + taria = Alicetaria를 앨리스테리어 → アリステリア(아리스테리아)로 표기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만약 이름을 라틴어 식으로 읽으면 알리체타리아 또는 알리케타리아가 되는데 구글 번역의 언어에서 한국어를 선택한 상태로 Alictaria를 입력 후 재생하면 "아리스테리아"와 유사한 "알리스태리아"와 비슷한 발음이 나온다.

4. 능력치 변화

4.1. 노멀

4.1.1. HP/ATK/DEF/스킬

레벨 HP ATK DEF 스킬
1레벨 9 7 4 바벳드 빅팀, 카르두우스
2레벨 9 8 4 바벳드 빅팀, 싱크 아이비, 카르두우스
3레벨 10 8 5 바벳드 빅팀, 싱크 아이비, 리퓨절 레이, 카르두우스
4레벨 10 9 5 바벳드 빅팀, 싱크 아이비, 리퓨절 레이, 카르두우스
5레벨 11 9 6 바벳드 빅팀, 싱크 아이비, 리퓨절 레이, 네거티브 기프트, 카르두우스

4.1.2. 코스트/이벤트 카드 슬롯

레벨 코스트 이벤트 카드 슬롯
1레벨 9 특수 무속성 무속성 무속성 무속성 무속성
2레벨 12 특수 파괴 무속성 무속성 무속성 무속성
3레벨 16 특수 파괴 무속성 무속성 무속성 무속성
4레벨 17 특수 파괴 드로우 무속성 무속성 무속성
5레벨 21 특수 파괴 드로우 무속성 무속성 무속성

4.2. 레어

4.2.1. HP/ATK/DEF/스킬

레벨 HP ATK DEF 소유 스킬
R1레벨 10 9 5 바벳드 빅팀, 싱크 아이비, 리퓨절 레이, 네거티브 기프트, 카르두우스
R2레벨 11 9 5 Ex바벳드 빅팀, 싱크 아이비, 리퓨절 레이, 네거티브 기프트, 카르두우스

4.2.2. 코스트/이벤트 카드 슬롯

레벨 코스트 이벤트 카드 슬롯
R1레벨 21 특수 파괴 드로우 드로우 무속성 무속성
R2레벨 21 특수 파괴 드로우 드로우 무속성 무속성

5. 스킬

파일:attachment/아리스테리아/Alice1skill.jpg
1레벨 스킬 바벳드 빅팀
발동 거리 근/중거리 발동 페이즈 이동 페이즈
필요 카드 (Lv1~2)검1↑, 특수3↑ → (Lv3~)검1↑, 특수2↑[2]
효과 후퇴를 선택한 경우 이동력+1. 현재 거리가 증가한 경우 거리 증가량+1[3]의 데미지를 준다.
설명 누구도 도망칠 수 없는 강력한 가시.
레어 2레벨 스킬 Ex바벳드 빅팀
발동 거리 근/중거리 발동 페이즈 이동 페이즈
필요 카드 검1↑, 특수1↑
효과 후퇴를 선택한 경우 이동력+1. 현재 거리가 증가한 경우 거리 증가량+1의 데미지를 준다.
설명 누구도 도망칠 수 없는 강력한 가시.

근/원거리를 잡기 위한 이동력 증가 스킬. 하지만 후퇴 시에만 이동력 증가이기 때문에 웬만하면 원거리를 잡는게 편하다. 아니면 스킬을 쓰는 척하면서 휴식을 취해 근거리로 유도하는 것도 방법. 고정 대미지의 양이 최소 2턴 주기로 2~3씩 들어가기 때문에 상당히 아프며 만약 상대에게 속박이 걸려 있다면 금상첨화다.

다만 스킬조건이 특2로 까다로운게 흠이었으나 2017년 4월 20일 한국 언라이트 밸런스 패치로 스킬조건이 쉬워졌다. 그 때문인지 한언라는 3레벨 이상과 Ex스킬의 효과가 같은 유일한 캐릭터였다.

파일:attachment/아리스테리아/Alice2skill.jpg
2레벨 스킬 싱크 아이비
발동 거리 근/원거리 발동 페이즈 공격 페이즈
필요 카드 검3↑, 총3↑
효과 (Lv2~3)ATK+6 → (Lv4~)ATK+7.
공격 성공 시 다음 턴 상대의 최대 손패를 1장 줄인다.「조상」[4] 상태인 경우, 다음 턴 상대의 최대 손패를 2분의 1로 만든다. (올림)
설명 힘을 감소시키는 마의 덩굴.

언라이트에서 직접적으로 상대의 손패를 줄여버리는 스킬로는 두 번째. 하지만 비르기트와는 달리 효과는 다음 1턴에만 적용되며, 그 턴에 다시 이 스킬의 효과를 발동하지 못하면 손패수는 정상으로 돌아온다. 하지만 계속해서 공격에 성공하면 거의 영구 감소의 효과를 볼 수 있고, 조상 상태이면 상대는 막캐 기준이어도 4장의 손패를 가지고 플레이를 해야하므로 상당히 유리해진다. 다만 공증치가 높은 편은 아니라 원거리에서 4스킬과 조합해서 쓰는게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공격에 성공하더라도 그 턴에 캐릭터가 사망하면 효과는 발동되지 않는다.

2016년 9월 21일 패치로 공증치가 1 증가했으며 여기에 언라이트 리바이브에서는 추가로 공증치가 2 증가했다.

파일:attachment/아리스테리아/Alice3skill.jpg
3레벨 스킬 리퓨절 레이
발동 거리 근/원거리 발동 페이즈 방어 페이즈
필요 카드 방어2↑, 특수2↑
효과 (Lv3~4)DEF+6 → (Lv5)DEF+7.
방어 성공 시 다음 턴 이동 페이즈에서 대전 상대의 행동을 랜덤하게 (Lv3~4)1개 → (Lv5)2개 금지한다.
설명 사실과 현상을 거부하는 빛.

파일:attachment/아리스테리아/Effect.jpg
방어에 성공할 경우 상대는 위 사진과 같이 아예 버튼을 누를 수 없게 제한이 걸린다. 이 스킬도 다음 1턴의 이동 페이즈에만 적용. 그 턴에 상대 캐릭터가 죽으면 무효. 근거리인데 전진이 무효되면... 다음턴 바벳드 빅팀으로 3뎀맞을 준비를 하자. 5레벨이 되면 2개를 금지 시키는데 하나 더 늘어나는 게 생각보다 성능이 흉악하다. 만약 전진 무효&대기 무효인데 체력이 3 이하고, 해당 턴에 근거리면 아리스테리아가 1스킬을 발동시켜서 원거리로 날려버리는 순간 확정적으로 사망.

파일:attachment/아리스테리아/Alice4skill.jpg
5레벨 스킬 네거티브 기프트
발동 거리 원거리 발동 페이즈 공격 페이즈
필요 카드 검4↑, 이동1↑
효과 ATK+3.
근거리로 이동. 파티 내 가볍고 나쁜 상태이상 1개를 상대에게 옮긴다.「조상」상태인 경우 상태이상 전부를 상대에게 옮긴다.
설명 악의로 얼룩진 선물.

언라이트에서는 처음으로 버프/디버프를 구분한 최초의 스킬. 여기서 옮길 수 있는 상태이상은 독, 마비, 봉인, 공포, 광분, 속박, 공/방/이 저하의 9가지이며, 우선도에 따라 옮겨지는 상태이상이 결정된다.

같은 순위의 상태이상 중에서는 랜덤으로 선택하고 주사위를 굴린뒤에 상태이상이 옮겨지며 아리스테리아의 상태이상이 우선적으로 옮겨지게 된다. 또한 근거리로 이동하기 때문에 다음턴에 다시 바벳드 빅팀으로 고정 대미지의 가능성이 주어지는건 덤. 이동력 관련 상태이상이 우선도가 높기 때문에 거리 조절을 좀 더 쉽게 만들수도 있다. 2스킬과의 조합도 가능하기 때문에, 조건만 되면 검4, 이동1, 총3으로 +10의 공격력을 추가로 얻지만 이쯤되면 패 소모가 좀 센 편이라 카드 수치가 낮은 맵에선 곤란해질 수도 있다.

언라이트 리바이브에서 공증치가 2 감소했지만 네거티브 기프트의 감소한 공증치를 싱크 아이비로 옮겼기 때문에 싱크 아이비와 같이 사용한다면 현상유지다. 아리스테리아의 주력기가 싱크 아이비인 것과 5레벨 이상의 코스트가 감소한 걸 감안한다면 결국엔 버프인 셈.

5.1. 패시브 스킬

카르두우스[5]
효과 「조상」 상태일 때, 「봉인」에 걸리지 않고 「조상」 상태가 진행되지 않는다.
설명 세계를 바로 잡는 자들의 증거

황비도 카르두우스에 소속된 덕분에 이 패시브 스킬을 갖게 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실러리 참조.

6. 전용무기

파일:attachment/알리체타리아(언라이트)나를잊지말아요.jpg
이름 포겟 미 낫[6]
코스트 1
효과 Def+2, 원거리 Atk+1
설명 유리같은 특수한 재질로 만들어진 구두. 신은 자에게 신기한 힘을 준다.

기간한정 레코드인 '아리스테리아 획득하기'로 얻을 수 있었다. 아리스테리아의 낮은 방어를 커버해주는 장비이다. 있으면 사용하자.

파일:HRR3TBT.png
이름 엑살타툼
코스트 1
효과 수치 임의 조절 가능, 싱크 아이비 조건 완화
설명 신은 자의 신체 능력을 올려주는 이상한 구두.
합성 무기 시스템 추가 이후, 피에리스나 하우메아 크레스트를 5레벨 이상의 합성무기에 합성해 얻을 수 있는 전용장비. 싱크 아이비의 요구수치를 1씩 완화해주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검3↑총3↑ → 검2↑총2↑).

7. 언라이트: 스키조크로니클에서

언라이트: 스키조크로니클등장 캐릭터 일람
<colbgcolor=#f1cd7e> 서광의 시대 그룬왈드 · 아벨 · 쉐리 · 로쏘 · 맥스
디노 · 마르그리드 · 네넴 · 마르세우스 · 브라우
벨린다 · #s-7 · 엡실론 · 유레카 · 제이미
크림슨 디자이어 리즈 · 도니타 · 브라우닝 · 유하니 · 메렌
비르기트 · 루카 · 아인 · 마리넬라 · 빌헬름
블리츠크리크 에바리스트 · 아이자크 · 에이다 · 레타 · 제드
이블린 · 이데리하 · 실러리 · · 살가드

파일:card_61.png
세계의 뒤틀림을 바로잡으려 하는 「카르두우스」의 일원.
올바른 역사를 추구하며 싸운다. 고귀한 출신의 여성으로 기품 있는 분위기를 띄고 있다.
그녀가 말하는 올바른 역사란 어떤 것인가? 그것이 밝혀지는 것은 카르두우스가 임무를 마쳤을 때일 것이다
카드 속성은 지배(백색). 서광의 시대 팩에 포함되어있다.

7.1. 대사

전투시작因果の歪みを裁くこと、それが私の目的です。
인과의 비틀림을 바르게 하는 것, 그것이 제 목적입니다.
적퇴치また一つ、歪みは正されました。
또 하나, 비틀림은 바로잡아졌습니다.
HP10이하倒れたりなどしません。まだやれますから。
쓰러지거나 하지 않습니다. 아직 더 할 수 있어요.
사망そんな……。因果を正すまで、私は死ねない……。
이럴 리가…… 인과를 바로잡을 때까지, 나는 죽을 수 없어…….
흡혈귀등장吸血鬼……。正しい因果の為にそこを退いてください。
흡혈귀…… 올바른 인과를 위해 그곳에서 비켜주세요.
독습득この程度の毒で因果が乱れることはありません。
이 정도의 독으로 인과가 흐트러지는 일은 없습니다.

7.2. 액션카드

파일:card61_ (1).png
바벳드 빅팀
레어도 5 코스트 3 덱 상한 매수 3
효과 공격력:백주사위x1, 구매력:2, 이 카드를 파기했을시 SP:8
대사 因果の歪みは正たなければなりません。
인과의 뒤틀림은 바로잡지 않으면 안됩니다.

파일:card61_ (2).png
싱크 아이비
레어도 6 코스트 4 덱 상한 매수 2
효과 구매력:2, [구매성공시] 구매한 카드의 코스트만큼의 수치의 일시공격카드(최대10)을 얻는다
대사 私は、この力で事象を違える者たちを裁きます。
저는, 이 힘으로 현실을 다르게 하는 자들을 심판하겠습니다.

파일:card61_ (3).png
리퓨절 레이
레어도 7 코스트 4 덱 상한 매수 2
효과 구매력:백주사위x3, SP:2
대사 この力があれば、因果を正しい方向へと導ける筈……。
이 힘이 있으면, 인과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 수 있을 터……

파일:card61_ (4).png
네거티브 기프트
레어도 8 코스트 10 덱 상한 매수 2
효과 손패파기:2, 다른 플레이어는 파기한 카드와 같은 카드를 얻는다
대사 そうです、皆様に贈り物があるのでした。
맞다, 여러분께 선물이 있었어요.
다른 플레이어의 덱의 카드 장 수가 25장 이상일 경우는 효과를 받지 않는다.

8. 이야깃거리

소개에 서술된 것과 일본 공식 홈페이지의 캐릭터 소개에 나와있는 바와 같이, 이 여성은 초기 제국 쪽 캐릭터들의 레어 스토리에서 화려하게 등장한 전적이 있기에 일부 구 캐릭터들의 레어 스토리에서부터 그 이름이 나온다.

본사인 테크웨이가 직접 운영한 영문판에서는 'Alicetaria'라는 명칭이 사용되고 있는데도 번역을 하는 것에 있어서 영문판은 참고를 할 수 없었던 것인지 엔코와 몹코 시절 이 캐릭터의 이름은 ‘아리스테리아’와 ‘아리스텔리아’가 혼용되었고, 인도자들은 그 중 ‘아리스텔리아’라는 표기를 보다 선호했으며 그에 맞춰 로마자 표기도 Aristellia라 쓰곤 하였는데 을 뜻하는 라틴어 중 하나인 'Stella'에 I 하나만 끼워 넣으면 'Stellia'라는 명칭이 나오기 때문에 '이름에 별이 들어가다니 예쁜 이름이다.' 하는 인식이었는지 이 캐릭터의 제대로 된 영어 철자나 마찬가지인 대우를 해주었다. 게다가 실제 점성술에서 사용하는 단어인 Stellium(스텔리움)의 복수형 중 Stellia라는 단어가 있기도 하다.

하지만 만우절에 캐릭터 추가 계획이 공지되고 실제로 본섭에 업데이트되자 영문명이 Alicetaria라는 것을 한국판 이용자들도 깨닫게 되었고, (주)글리터도 영문 표기를 보고 '캐릭터 이름을 어떻게 해야 되는가'라는 고민이 생겼는지 내부적인 토의를 거쳐 일본식 표기를 그대로 한글로 옮긴 ‘아리스테리아’로 이름을 확정하였다.# 그에 맞춰 혼용되고 있던 ‘아리스텔리아’ 표기도 모두 교체하였는데 결과적으로 완전히 동떨어진 로마자 표기와 한글 표기가 되어버린 덕에 인도자들이 이 캐릭터 이름의 영문 표기를 헷갈리는 경우가 가끔 있다. 또한 정식 명칭은 '아리스테리아'가 되었지만 '아리스텔리아'에 익숙한 지시자들은 이후로도 '아리스텔리아'라 부르며 [별]과 관련 지은 2차 창작을 하기도 하였다.


[1] 약 12월 21일. 토탄(Peat, 土炭)의 날[2] 한언라는 (Lv1~2)검1↑, 특수2↑ → (Lv3~)검1↑, 특수1↑[3] 근거리 1, 중거리 2, 원거리 3[4] 일정 턴 경과시 사망하며, 대기 중에도 턴이 진행되는 상태이상[5] 해석하면 엉겅퀴.[6] Forget me not. 물망초의 꽃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