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설명
기동전사 건담 00의 시즌1 최종 보스인 알레한드로 코너의 모빌슈트. 디자이너는 오오카와라 쿠니오.
모빌아머 알바토레의 코어 모빌슈트로, 알바토레의 상단 중앙부에서 포탑 형태로 숨어있다가 알바토레가 대파되자 모습을 드러낸다.
알바토레가 작살난 상태에서 등장했는데도 여유만만하다는 듯이 싸우기도 전에 들고 있던 2개의 빔 라이플중 하나를 버리고 빔 사벨 든 채로 싸우다가 트란잠을 켠 건담 엑시아에게 어이없이 썰려버린다(...). 격추 직후에 그라함 에이커의 GN 플래그가 등장했기 때문에 시청자들에게 이뭐병 취급을 당했지만, 당시 솔레스탈 비잉이 가진 모든 기술들의 장점들을 최적으로 종합한 기체인만큼 종합성능적인 면에서 보면 퍼스트 시즌에서 최강의 성능을 가진 모빌슈트이다.
알바토레와는 비교할 수 없는 기동력, 정밀하고 유연한 사격이 가능한 빔 라이플과 근접전에서의 빔 사벨과의 조합, 거기다 소형 모빌슈트 주제에 GN 필드까지 가지고 있고 양 날개를 전개해서 엄청난 화력의 장거리 빔포로 화력도 어느정도 보강되었다. 그야말로 전영역 대응 기체. 이론상 사각이 없다.
여기에 더해 장거리 사격, 1대1 전투 등 간단한 전투 활동을 처리하는 AI 지원 시스템이 탑재됐다. 압도적인 화력을 지닌 기체는 전투를 단순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솔레스탈 비잉과의 마지막 전투는 단순한 상황이 될 것이라는 가정을 바탕으로 설계되었다. 이 때문에 전투 지원 AI는 복잡한 상황의 일반적인 전투에서는 효과적이지 않아 이후 MS에는 채택되지 않았다.
게다가 베다와 리본즈 알마크가 조종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도 있어, 알레한드로가 안심하고 전투에 나설 수 있었다. 그러나 이 기능은 리본즈의 배신으로 인해 사용되지 않았다.
이런 기체가 패배한 이유는 어디까지나 엑시아가 대 GN 드라이브 모빌슈트 전투특화 기체[1]인 걸 모르고 방심했기 때문.[2] 트란잠 상태인 엑시아가 빠르게 움직였다고는 하나 GN 블레이드를 들고 당당히 정면돌격을 하는데 빔 사벨을 꺼내지 않고 필드를 전개한 채 라이플만 쏘고 있었던 행동이 증명한다.
극장판에서는 극중극 영화 솔레스탈 비잉에서 어로우즈의 소속으로 등장. 원본과는 달리 꼬리가 달려있다.
2. 무장
- GN 빔 라이플
손에 쥐고있는 두 정의 빔 라이플. 작중 알바아론이 기동되었을 때 한 자루가 버려진다.(...) 그 대신 한손에는 빔 사벨을 들지만, 오히려 거의 원거리 전투만 벌였기에 빔 사벨은 제대로 쓰이지도 않는다. 그럴거면 뭐하러 버린건지...
알바토레 형태에서 알바아론은 전신을 덮는 날개로 인해 숨겨져 있는 모습이지만 라이플은 날개의 틈 사이로 총신이 드러나기 때문에 고정 포대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그래서 작중 접근한 GN 암즈를 기습사격해서 타격을 주었다.
- GN 빔 사벨
오렌지색의 일반적인 빔 사벨. 2개를 연결하여 쌍날검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작중에서는 상술되었듯이 빔 라이플 한 자루를 버리고(...) 이걸 꺼내드는데, 이후 근접전을 거의 한 적이 없어서 제대로 쓰이지도 않는다. 마지막에 엑시아가 GN 블레이드로 GN 필드를 뚫고 들어와 공격하자 저항하기 위해 휘두르려 하지만 GN 블레이드를 한 자루 더 꺼낸 엑시아에 의해 저지된다.
- GN 빔 캐논
날개를 기체의 동체와 수평으로 회전시킨 뒤 발사하는 빔 캐논. 알바토레의 빔 캐논보다는 위력이 낮지만 그래도 건담 버체의 빔 바주카 정도는 되는 듯 하다. 하지만 발사하는 순간 엑시아 가 트란잠을 켜고 피해버려서 위력에 비해 별 활약은 없었다.
따로 포구가 없고 날개를 돌린 후 GN 드라이브와 날개가 무언가 연동된 다음 기체의 앞에서 빔이 발사되는 것으로 보아 날개 자체가 포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1.5 건담의 알바아론 캐논이 명칭처럼 이 무장을 베이스로 제작된듯.
- GN 필드
알바토레와 마찬가지로 GN 필드가 탑재되어 있다. 하지만 엑시아의 GN 블레이드가 필드를 뚫을 수 있다는 사실을 간파당한 뒤 결국 돌진해오는 엑시아를 상대로 GN 필드를 펼치지만 블레이드에 관통당하고, 이후 엑시아의 공격으로 알바아론은 대파된다.
또한 엑시아가 GN 필드를 관통한 뒤 다른 블레이드를 뽑아 알바아론의 팔과 날개를 찔러 날개가 손상되자 즉시 필드가 해제된 것으로 보아 날개가 GN 필드 발생장치 역할도 겸하는 것 같다.
3. 이후의 설정상과 극장판에서
나중에 알레한드로 코너의 지시에 따라 1건담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는 설정이 공개되었다. 건담 쓰로네와 GN-X의 데이터도 피드백 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디자인을 보면 알다시피 실제로는 0 건담의 실루엣에 가깝다. 1건담과의 공통점은 가슴 장갑의 2중 구조 정도다.외전에서는 1.5건담의 무장으로 알바아론 캐논이 등장하지만, 알레한드로에 대한 조롱에 가깝다.
극장판에서는 극중극의 형식으로 재등장. 뜬금없이 꼬리가 생기고 여기저기 삐죽해졌으며 등에도 불꽃이 발산되는 게 거의 용기사처럼 생겼다. 알바토레도 나오는데, 원래처럼 알바토레에 격납되어있지 않고 위에 올라타서 폼을 잡는다. 거기서는 세라비 건담이 발산한 십자가 빔에 묶인 뒤 더블오라이저에게 대파당한다.
4. 기타
얼굴 생김새 때문에 국내나 일본이나 공히 금(박)짐이라고 부르고 있다.[3] 드라마 cd에서도 세츠나가 대놓고 금짐이라고 까는 걸 보면 제작진들도 인식하고 있는 듯 하다. 그래서인지 SD건담 제네레이션 시리즈에서 알바아론을 만들기 위한 조합에는 황금색 모빌슈트가 필요하다.[4] 반대로 알바아론을 이용해서 다른 황금색 모빌슈트들을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샤이닝 건담, 갓 건담, 마스터 건담은 조건부 황금색이라서 무효.건담 빌드 파이터즈 8화 후반 짤막하게 등장한다. 붉은 색으로 도장이 되어있었으며, 루완 다다라의 오리지널 건프라인 아비골바인에게 패배한다. 양 날개가 떨어져나가며 바닥에 눕혀진 뒤 폭발하는 모습을 보면...
건담 빌드 다이버즈 25화에서 레이드 보스로 일부가 나오는데 상반신은 그대로지만 하반신은 뱀형상을 띠는 등 충공깽스러운 혼종모습으로 등장한다.
기체 표면의 금색 도장은 안티 빔 코팅이지만, 다른 색의 안티 빔 코팅보다 특별히 더 뛰어난 방어효과가 있는 건 아니다. 그보다는 솔레스탈 비잉을 붕괴시킨 업적을 쌓은 후, 알레한드로 코너의 영웅적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한 정치적 이미지 전략 차원에서 금색으로 도색한 것이다.
알바아론의 조종석은 알바토레의 조종석 역할도 하며 각 기체마다 하나씩 두 세트의 컨트롤러가 있다. 알바토레의 컨트롤러는 조종석 전면에 위치한 중앙 독립 콘솔 측면에 있고 알바아론의 컨트롤러는 좌석 측면에 있다. 알바아론의 컨트롤러는 모빌슈트가 자체적으로 작동할 때만 노출되며, 이 경우 알바토레의 컨트롤러는 간섭을 피하기 위해 조종사로부터 앞으로 미끄러져 멀어진다.
5. 모형화
프라모델 제품은 없고, 로봇혼과 모빌슈트 앙상블 등의 완성품 피규어로만 발매되었다.DX판에는 코어 부분이 재현되어 원작의 알바토레를 재현가능하게 한다는데, 이건 뭐 그냥 요람 속에 앉아서 날개를 이불삼아 덮고있는 모습이다. 일본 현지에서의 별칭은 "황금변기". 게다가 DX판은 맥기골드지만 일반판은 맥기도 없는 그냥 노란색이다.
로봇혼 출시 발표 당시 사람들의 반응은 이 놈을 사면 우선 라이플을 하나 버려야겠군이 지배적. 가동성과 프로포션은 발군의 품질이지만, 초기 로봇혼인 탓에 통상적인 1/144 스케일의 제품들보다 훨씬 작다는 게 문제.
건담 00 종영 이후 10년 이상이 지났지만, 프라모델로는 나오지 못했다. [6] 그래도 프리미엄 반다이로 라인업에 없었던 더블오 기체들과 심지어 어드밴스드 GN-X 건담 플루토네까지 내주기도 해서 희박하지만 모형화를
MG 건담 엑시아 트란잠 모드 Ver. 박스아트에 손만 등장했다.
6. 게임 매체에서
SD건담 G제네레이션 시리즈에서의 기체평가는 마이너 윙 건담 제로. 성능자체는 상당히 괜찮은 편이며 GN-X 개발로 초반에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는 고급기체이다. GM과 비슷한 외관 때문에 0083의 알비온 부대같이 GM을 주력기로 썼던 캐릭터들에게 이걸 찍어내서 지급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듯. 다만 빔 라이플을 하나 버리지 않는다라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한다. 월드에서는 작정하고 코너를 까려고 했는지 아예 2연사 무기로 나왔다...제2차 슈퍼로봇대전 Z 파계편에서 58화때 등장. 알바토레를 격파하면 튀어나오는데 HP가 19000때라 트란잠에 에이스 보너스를 얻은 세츠나에게 한 방에 쓸려나간다(...)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에서는 알바토레의 퍼지 상태로만 등장한다. 원작대로 한쪽 빔 라이플을 버렸다! 자세한 건 항목참조. 웃기게도 알바토레의 조합식에 짐을 재료로 요구한다. 위에 언급했듯 알바아론이 팬들 사이에서 황금색 짐으로 불리는 것에 착안한 것.
건담 브레이커 2에서 극중극에서 알바토레와 함께 2대가 등장한다. 제대로 성장했다면 그럭저럭 상대가능. 챌린지 미션에서는 미등장.
건담 브레이커 M에서 마침내 플레이어가 사용할수 있는 기체로 등장한다. 건브 시리즈에서 프라화 되지 않은 기체중 최초로 플레이어가 쓸수 있는 기체로 출시되었다.
6.1. 건담 버서스
보스 전용
플레이어블 전용
6.2. SD건담 G제네레이션 CROSS RAYS
사이즈 | HP | EN | 공격력 | 방어력 | 기동력 | 이동력 | 방어 |
M | 12300 | 170 | 220 | 190 | 235 | 7 | 〇 |
코스트 | EXP | 우주 | 공중 | 지상 | 수상 | 수중 | SFS |
35700 | 600 | B | B | B | C | 〇 |
어빌리티 | |
변형 기구 | 변형 커맨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GN 필드 | 모든 무장에 의한 대미지가 2500 이하일 때 무효화 #특수 속성, MAP 병기 제외 |
GN 드라이브[T] | 매 턴 EN 5% 회복. |
명칭 | 속성 | 사정 | POWER | EN | MP | 기본 명중률 | 크리티컬 확률 | 무장 효과 | 비고 |
GN 빔 사벨 | BEAM 격투 | 1 | 3500 | 15 | 0 | 85% | 5% | 수중 반감 | |
GN 빔 라이플 | BEAM 사격 | 2 ~ 4 | 3200 | 15 | 0 | 80% | 0% | 연속 공격 | 수중 반감 |
거대 빔 포 | BEAM 사격 | 3 ~ 7 | 4200 | 30 | 0 | 80% | 0% | 수중 반감 |
보통은 징크스에서 개발해서 넘어오며 어빌리티도 GN필드에 유사 태양로이긴 하지만 GN 드라이브(T)도 달려 있다.
그러나 유닛 스펙은 퍼스트 시즌 기체들 중 소폭 올라간 스펙에 불과하고 무장도 최종보스급으로 좋은편은 아니다. 의미없는 맵병기 1개를 제외한 나머지 3개 무장이 모조리 빔속성이며 GN 빔 라이플의 연속 공격 외에 다른 무장에는 별 다른 특수 속성이 없다. 그 마저도 연속 공격이 달린 GN 빔 라이플조차 히트가 2히트 밖에 안되어서 10% 대미지 상승만 달린 상태이라 더 구리다.
결론은 알바아론만 단독으로 쓰기에는 큰 장점이 없어서 징크스 계열 루트를 타서 징크스IV 개발용으로 쓰는 것이 더 시간이 절약된다.
7. 둘러보기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 애니메이션 작품별 최종보스 (스포일러 주의)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우주세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기동전사 건담 (1979) | |||
샤아 아즈나블(지옹) | ||||
기동전사 Z 건담 (1985) | ||||
팝티머스 시로코(The O) | ||||
기동전사 건담 ZZ (1986) | ||||
하만 칸(큐베레이) | ||||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1988) | ||||
샤아 아즈나블(사자비) | ||||
기동전사 건담 0080: 주머니 속의 전쟁 (1989) | ||||
버나드 와이즈먼(자쿠 II 改)[1] 크리스티나 맥켄지(건담 NT-1)[2] | ||||
기동전사 건담 F91 (1991) | ||||
카롯조 로나(라플레시아) | ||||
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 (1991) | ||||
애너벨 가토(노이에 질) | ||||
기동전사 V건담 (1993) | ||||
카테지나 루스(고틀라탄) | ||||
기동전사 건담: 제08MS소대 (1996) | ||||
기니어스 사하린(아프사라스III) | ||||
기동전사 건담 UC (2010) | ||||
풀 프론탈(시난주 / 네오 지옹) | ||||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 (2016~2017) | ||||
이오 플레밍(아틀라스 건담) [3] 대릴 로렌츠(사이코 자쿠) [4] | ||||
기동전사 건담 Twilight AXIS (2017) | ||||
쿠엔틴 페르모(건담 트리스탄) & 발터 페르모(바이아란 이졸데) | ||||
기동전사 건담 NT (2018) | ||||
졸탄 앗카넨(시난주 스타인 2호기 / II 네오 지옹) | ||||
극장판 기동전사 건담: 섬광의 하사웨이 (2021) | ||||
레인 에임(페넬로페) | ||||
기동전사 건담: 복수의 레퀴엠 (2024) | ||||
건담 EX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비우주세기 헤이세이 3연작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기동무투전 G건담 (1994) | |||
데빌 건담 | ||||
신기동전기 건담 W (1995) | ||||
젝스 마키스(건담 에피온) | ||||
기동신세기 건담 X (1996) | ||||
샤기아 프로스트(건담 버사고 체스트 브레이크) & 올바 프로스트(건담 아슈타론 허밋 크랩) | ||||
신기동전기 건담 W Endless Waltz (1997) | ||||
데킴 바톤 & 서펜트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비우주세기 신건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기동전사 건담 SEED (2002) | |||
라우 르 크루제(프로비던스 건담) | ||||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2004) | ||||
길버트 듀랜달(메사이어) 신 아스카(데스티니 건담) & 레이 자 바렐(레전드 건담)[5] 라크스 클라인(이터널) 키라 야마토(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 & 아스란 자라(인피니트 저스티스 건담)[6] | ||||
기동전사 건담 SEED C.E.73 STARGAZER (2006) | ||||
스웬 칼 바얀(스트라이크 느와르 건담) | ||||
기동전사 건담 00 (2007) | ||||
1st 알레한드로 코너(알바토레 → 알바아론) | 2nd 리본즈 알마크(리본즈 건담 → 0 건담) | |||
극장판 기동전사 건담 00 A wakening of the Trailblazer (2010) | ||||
ELS | ||||
기동전사 건담 AGE (2011) | ||||
1부 기라 조이(데퍼스) | 2부 메델 잔트(제이달스) | 3부 페자르 이젤칸트(건담 레길레스) | 4부 제라 긴스(베이건 기어 시드) | |
기동전사 건담 철혈의 오펀스 (2015) | ||||
1기 아인 달튼(그레이즈 아인) | 2기 맥길리스 파리드(건담 바알) & 미카즈키 오거스(건담 발바토스 루프스 렉스)[7] 가엘리오 보드윈(건담 키마리스 비다르) & 줄리에타 쥬리스(레긴레이즈 줄리아)[8] | |||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2022) | ||||
1기 소피 플로네(건담 르브리스 울) & 노레아 듀노크(건담 르브리스 손) | 2기 프로스페라 머큐리 & 에리크트 사마야(건담 에어리얼 개수형) & 우주 의회 연합 의장(ILTS) | |||
기동전사 건담 SEED FREEDOM (2024) | ||||
오르페 람 타오 & 잉그리트 트라돌(블랙 나이트 스쿼드 카룰라)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토미노 오리지널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건담 (1999) | |||
김 깅가남(턴 엑스) | ||||
건담 G의 레콘기스타 (2014) | ||||
마스크(카바칼리)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건프라 배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모형전사 건프라 빌더즈 비기닝 G (2009) | |||
보리스 샤우어(포에버 건담) | ||||
건담 빌드 파이터즈 (2013) | ||||
3대 메이징 카와구치(건담 엑시아 다크매터) & 플라프스키 입자 결정체 | ||||
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 (2014) | ||||
키지마 윌프리드(트랜지언트 건담) | ||||
건담 빌드 다이버즈 (2018) | ||||
거대 레이드 보스 기체 | ||||
건담 빌드 다이버즈 리라이즈 (2019) | ||||
아루스(엘도라 시리즈) | ||||
건담 브레이커 배틀로그 (2021) | ||||
마하라 켄타로(건담 발바타우로스) | ||||
건담 빌드 메타버스 (2023) | ||||
우르츠키 마리아(티포에우스 건담, 티포에우스 건담 키메라) |
|
[1] 엑시아에 탑재된 GN 소드와 GN 블레이드는 GN필드를 관통할 수 있다. 작중에서는 정확한 원리가 묘사되지 않으나, 묘사상으로는 실체검의 표면에 고밀도의 GN입자를 둘러 상대의 GN필드에 간섭하며 실체검을 밀어넣는 형태로 추정된다.[2] 코너 본인의 야심때문에 GN-X, 쓰로네 시리즈등 GN 드라이브를 탑제한 상대가 투입되었고 자신마저도 알바아론으로 솔레스탈 비잉을 막아서게 된 상황에서 이오리아가 남긴 순정 GN 드라이브를 탑제한 건담이 코너가 아니었다면 영원히 확인할 수 없었던 특성을 유감없이 발휘해서 코너를 제압한 것이다. 돌고 돌아서 이오리아에게 코너가 결국 패배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3] 짐이라는 점 때문인지 헤이세이에선 레어한 건담 타입이 아닌 최종보스임에도 불구하고 갑자기 튀어나온 GN 플래그의 난입도 있어서 평가는 바닥을 긴다.[4] 예시로는 백식이 있다.[5] 알바아론이 엑시아에계 탈탈 털리고 리본즈가 코너에계 통신을 걸어서 너는 좋은 광대였다고 조롱하며 진실을 말하자 코너가 리↘️본↗️즈으!!!!라고 외치며통신 화면을 주먹으로 치자마자 알바아론이 터져서 생긴 농담이다.[6] 더블오 TV판의 HG는 더 이상 라인업 예정이 없다는 사업부의 발언이 나온 덕에 HG 프라모델로는 끝내 나오지 못했다. 이에 더해 백금기사는 알바아론을 더블오 사상 유례없는 희대의 잉여기체라는 비아냥섞인 평가를 내렸으며 그 기준은 프라모델화되지 않은 것이 기준이라고 한다. 마침 건담 특유의 선작품 후설정의 폐해로 알바아론의 입지가 위태해진 것과 조화되어 결과적으로는 알바아론의 끝나지 않는 평가절하에 한몫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