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강서 | 금정 | 남 | 동 | |
김형찬 | 윤일현 | 오은택 | 김진홍 | ||
동래 | 부산진 | 북 | 사상 | ||
장준용 | 김영욱 | 오태원 | 조병길 | ||
사하 | 서 | 수영 | 연제 | ||
이갑준 | 공한수 | 강성태 | 주석수 | ||
영도 | 중 | 해운대 | 기장 | ||
김기재 | 최진봉 | 김성수 | 정종복 | ||
* 금정구청장 김재윤 사망 (2024.6.25.) | |||||
◀ 민선 7기 민선 9기 ▶ |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 |
부산광역시 연제구청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주동관 | 제2-4대 박대해 | 제5-7대 이위준 | 제8대 이성문 | 제9대 주석수 |
| }}}}}}}}} |
<colcolor=#fff> '''부산광역시 연제구청장 釜山廣域市 蓮堤區廳長 Mayor of Yeonje-gu ''' | |
현직 | <colbgcolor=#fff,#1f2023>주석수 / 제9대 (민선 8기) |
취임일 | 2022년 7월 1일 |
정당 | |
홈페이지 | 연제구 열린구청장실 |
1. 개요2. 상세3. 명단
3.1. 연제구청장
4. 역대 선거 결과4.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4.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4.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4.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4.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4.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4.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4.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4.9.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5. 구정 구호6. 관련 문서1. 개요
부산광역시 연제구청장은 부산광역시 연제구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장이다. 근무지는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제로 2 (연산동)에 있는 연제구청이다. 2급 공무원 상당의 대우를 받고, 4년에 1회마다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3회까지 연임할 수 있다.2. 상세
3. 명단
===# 과거 연제구가 속했던 지역의 장 #===3.1. 연제구청장
- 국회의원, 시·도지사, 차관급 이상의 직을 역임한 구청장에게는 볼드체 표시함.
<rowcolor=#fff> 대수 | 성명 | 재임 기간 | 정부 및 당적 | 기타 |
관선 부산광역시 연제구청장 | ||||
초대 | 주동관 | 1995년 3월 1일 ~ 1995년 6월 30일 | 문민정부 | |
민선 부산광역시 연제구청장 | ||||
2대 | 박대해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민주자유당| | 제18대 국회의원 역임 |
3대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 ||
4대 | 2002년 7월 1일 ~ 2006년 4월 1일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권한대행| 권한대행 ]] | 장영훈 | 2006년 4월 2일 ~ 2006년 6월 30일 | ||
5대 | 이위준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
6대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7대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새누리당| | ||
8대 | 이성문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
9대 | 주석수 | 2022년 7월 1일 ~ 현재 | |
4. 역대 선거 결과
| ||||||
1995 | 1998 | 2002 | 2006 | 2010 | ||
민주자유당 | 한나라당 | 무소속 | 한나라당 | 무소속 | ||
박대해 | 이위준 | |||||
2014 | 2018 | 2022 | ||||
새누리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
이위준 | 이성문 | 주석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분 | 주요 후보 득표율 | ||||
1995년 | 1위: [[민주자유당|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헌근 27.26% | |||||
1998년 | 1위: 박대해 80.26% 2위: [[자유민주연합| | |||||
2002년 |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박대해 53.50%2위: 임주섭 46.49% | |||||
2006년 | 1위: 이위준 72.68% 2위: [[열린우리당| | |||||
2010년 |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위준 55.14%2위: 임주섭 44.85% | |||||
2014년 | 1위: [[새누리당|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홍재 35.63% | |||||
2018년 | 1위: 이성문 51.63% 2위: [[자유한국당|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주석수 12.54% | |||||
2022년 | 1위: 주석수 60.51% 2위: 이성문 39.48% | }}}}}}}}} |
4.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다혜(朴大海) | 78,988 | 1위 |
[[민주자유당| | 72.73% | 당선 | |
2 | 김헌근(金憲根) | 29,610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7.2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70,586 | 투표율 66.14% |
투표 수 | 112,818 | ||
무효표 수 | 4,220 |
4.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대해(朴大海) | 61,056 | 1위 |
| 80.26% | 당선 | |
3 | 김헌근(金憲根) | 15,009 | 2위 |
[[자유민주연합| | 19.7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4,502 | 투표율 47.76% |
투표 수 | 78,566 | ||
무효표 수 | 2,501 |
4.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임주섭(林周燮) | 34,469 | 2위 |
| 46.49% | 낙선 | |
3 | 박대해(朴大海) | 39,668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3.50%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69,846 | 투표율 44.60% |
투표 수 | 75,749 | ||
무효표 수 | 1,612 |
4.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창용(李昌龍) | 22,747 | 2위 |
[[열린우리당| | 27.31% | 낙선 | |
2 | 이위준(李渭俊) | 60,523 | 1위 |
| 72.68%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209,276 | 투표율 49.21% |
투표 수 | 103,966 | ||
무효표 수 | 1,621 |
4.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임주섭(林周燮) | 38,106 | 2위 |
| 44.85% | 낙선 | |
7 | 이위준(李渭俊) | 46,856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5.14%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69,354 | 투표율 51.99% |
투표 수 | 88,044 | ||
무효표 수 | 3,082 |
4.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위준(李渭俊) | 57,203 | 1위 |
[[새누리당| | 64.36% | 당선 | |
4 | 김홍재(金弘載) | 31,668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5.63% | 낙선 | |
| | 사퇴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 | 사퇴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계 | 선거인 수 | 174,407 | 투표율 57.25% |
투표 수 | 99,841 | ||
무효표 수 | 10,970 |
4.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성문(李星門) | 53,716 | 1위 |
| 51.63% | 당선 | |
2 | 이해동(李海東) | 37,267 | 2위 |
[[자유한국당| | 35.82% | 낙선 | |
6 | 주석수(朱錫修) | 13,053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2.5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74,673 | 투표율 60.63% |
투표 수 | 105,911 | ||
무효표 수 | 1,875 |
이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해 낙선한 주석수 후보는 차기 지선에서 국민의힘 후보로 공천받아 당선되었다.
4.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성문(李星門) | 35,803 | 2위 |
| 39.48% | 낙선 | |
2 | 주석수(朱錫修) | 54,881 | 1위 |
| 60.51%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80,173 | 투표율 51.09% |
투표 수 | 92,059 | ||
무효표 수 | 1,375 |
주석수 후보가 20%p 격차로 이성문 후보를 꺾음으로써 설욕에 성공했다.
4.9.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0 | ||
| 00.00% | ||
2 | 0 | ||
| 00.00% | ||
계 | 선거인 수 | 투표율 00.00% | |
투표 수 | |||
무효표 수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5. 구정 구호
<rowcolor=#fff> 구청장 | 구정 목표 |
이위준 (민선 6기) | 살고 싶은 도시 살맛 나는 연제 |
이성문 (민선 7기) | 품격 있는 도시 상생하는 연제 |
주석수 (민선 8기) | 새로운 변화 꿈을 여는 연제 |
6. 관련 문서
[1] 이성문 후보가 나름 연제구 토박이기는 했으나 나이도 어린 편인데다가 인지도가 약했던 탓이었다.[2] 무소속으로 출마한 주석수 후보가 새누리당에서 재선 구의원을 지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보수 분열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3] 그러나 이후 김해영은 2년 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주환에 밀려 낙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