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 bgcolor=white,#1f2023><table bordercolor=black><colbgcolor=black><colcolor=white><bgcolor=black>
||
게임 플레이 | 시스템 | 게임 모드 | 이벤트 모드 | 승무원 | 맵 | 업적 | 장비 | 임무 | 클랜 | 상점 | 뽑기 | 용어 (PC월탱 용어) | 배틀 패스 | 시즌 |
테크트리 | 전차 (둘러보기 틀) |
기타 | 문제점 | 사건 사고 | 버전 업데이트 (내역) | 이벤트 | 콜라보레이션 | 그래픽 및 사운드 | PC버전과의 차이점 | e스포츠 | 버그 | 모드 | Tanks Blitz |
템플릿 | 템플릿: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 |
||<-5><#000000>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차량|{{{#!wiki style="font-size:1.2em"]]'''
|| | | | | | |||
프리미엄 | 수집가전차 | ||||||
| | | | | |||
프리미엄 | 수집가전차 | ||||||
| | | | | |||
프리미엄 | 수집가전차 | ||||||
| | | | | |||
프리미엄 | 수집가전차 | ||||||
| | | | | |||
프리미엄 | 수집가전차 | ||||||
| | | | | |||
프리미엄 | 수집가전차 | ||||||
| | | | | |||
프리미엄 | 수집가전차 | ||||||
| | | | | |||
프리미엄 | 수집가전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기타 전차 | }}} | ||||
※ 신규 전차 추가 시 템플릿: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의 표 사용 바람 |
1. 개요2. 출시 예정 전차3. 삭제된 차량
3.1. 미국
3.1.1. T1 Cunningham - 1티어3.1.2. T49 ATM - 7티어
3.2. 독일3.2.1. Leichttraktor(경 트랙터) - 1티어
3.3. 소련3.3.1. MS-1 mod.1 - 1티어
3.4. 영국3.4.1. Vickers Medium Mk. I (빅커스 중형전차 Mk.I) - 1티어3.4.2. Mk1 Heavy Tank -1티어
3.5. 일본3.5.1. Renault Otsu(르노 을형) - 1티어
3.6. 중국3.7. 프랑스3.7.1. Renault FT - 1티어
3.8. 유럽3.9. 기타 국가3.9.1. WarDuck - 1티어
1. 개요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에 아직 정식 출시되지 않은 상태의 차량들. 테스트 목적으로 추가되어 게임 클라이언트 내에 존재는 하나 정식 출시 이전이라서 획득할 방법이 없거나, 공식 SNS나 공식 예고 영상 등으로 유출되거나 출시가 예고된 전차들이다. 정규 트리 전차가 아니면 추후 상점 판매/팝업 상품, 상자깡, 이벤트 및 배틀 패스 보상 등으로 획득하는 프리미엄이나 수집가 전차로 출시될 수 있다.2. 출시 예정 전차
2.1. 미국
2.2. 독일
Tiger-Maus2.3. 소련
9티어 중형전차 Object 28310티어 중전차 Special IS-7(가칭)[1]
2.4. 영국
2.5. 일본
8티어 중전차 Type 632.6. 중국
8티어 수집가 중형전차 type59 spc9티어 수집가 중전차 BZ-74-1
2.7. 프랑스
8티어 수집가 중전차 sentinello8티어 경전차 AMX ELC 901 Prototype
2.8. 유럽
스웨덴 구축전차 테크트리(Strv 103)[2]2.9. 기타 국가
8티어 수집가 중형전차 Toxique8티어 수집가 중전차 Prowler
기타국가 테크트리 (예정)
3. 삭제된 차량
5.5 업데이트로 삭제된 기존 1티어 전차같이 게임 클라이언트에서 기록을 빼면 완전히 삭제되어버린 차량들.3.1. 미국
- 舊 T1 Cunningham (舊 T1 커닝햄)
- 5.5 업데이트 이전의 미국 트리 1티어 전차.
- 舊 M2 Light
- 5.5 업데이트 이전의 M2 Light. 당시에는 2티어 전차였다.
- T49 ATM
3.1.1. T1 Cunningham - 1티어
| 장갑 수치 | 시야 범위 | 선회 속도 | HP | 단계 | 비고 |
Cunningham D1 | 10/10/10mm | 200m | 39도/초 | 220 | 1단계 | 기본 |
Cunningham D2 | 10/10/10mm | 200m | 35도/초 | 170 | 2단계 | 최종 |
| 마력 | 화재 확률 | 무게 | 단계 | 비고 |
Cunningham V8 | 132마력 | 20% | 300kg | 2단계 | 최종 |
| 한계 중량 | 선회 속도 | 단계 | 비고 |
Cunningham E2 | 8.30톤 | 38도/초 | 2단계 | 최종 |
관통력 | 공격력 | 탄종 구성 | 티어 | |
포탄 적재량 | 명중률 | 조준 시간 | 분당 발사 속도 | |
37mm Gun M1916 | 28/45/9mm | 40/40/50 | 철갑탄/고속철갑탄/고폭탄 | 1단계 |
104발 | 0.54m | 2.5초 | 11.50발/분 |
관통력 | 공격력 | 탄종 구성 | 티어 | |
포탄 적재량 | 명중률 | 조준 시간 | 재장전 / 클립 재장전 시간/ 클립당 탄수 | |
37mm Browning Semiautomatic Gun | 39/63/9mm | 40/40/50 | 철갑탄/고속철갑탄/고폭탄 | 2단계 |
99발 | 0.47m | 2.5초 | 0.50초/12초/3발 | |
20mm Hispano-Suiza Birkigt Gun | 30/41mm | 10/10 | 철갑탄/고속철갑탄 | 2단계 |
360발 | 0.50m | 1.9초 | 0.10초/10초/12발 |
차체 장갑 | 최고 속도 | 출고 중량 | 좌우 포각 | 가격 (크레딧) |
10/10/10mm | 41km/h | 7.52톤 | 360도 | 0 |
커닝햄사에서 설계한 T1E1 경전차는 T1 전차의 개량형이다. 1928년 4월에 전차 4대를 생산하였다. 1928년 시험 운행을 마친 후, 장갑을 강화하여 T1E2 개량형 전차를 설계하였다. |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
승무원 구성 :
개요
커닝햄
1탑방의 바샷티옹
미국의 스타트를 잡는 전차이다. 장갑이 전/측/후 모두 10mm이라서 물장갑이다. 때문에 정찰전차처럼 몰아도 되고 BT-2, BT-7같은 경돌격 전차(?)로도 활약 가능하다. 속도가 41km/h라는 1티어 최강의 속도를 가지고 있지만 험지주파력 문제로 인해 실용 속도는 30km/h밖에 안된다. 게다가 미국 경전차 트리의 특성인 나사빠진 선회가 벌써부터 드러난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 1티어 최고 기동력
- 후방포탑으로 역티가 수월하다
..다만 하도 장갑이 얇아 다 뚫린다. 궤도맞길 빌자
- 미친 37mm 클립포
한발당 40정도를 3발, 전부 명중시 120데미지를 준다. 예전에는 고폭탄을 전부 관통시키면 한클립에 1티어 전차를 지워버린다. 요새는 저티어 체력 버프로 한클립 삭제는 힘들어졌다. - 작은 차체
은엄폐가 수월하다
단점
- 종이장갑
일본을 제외한 1티어들은 모두 장갑이 얇아 딱히 심각한 단점은 아니다. - 나사빠진 선회
- 클립포의 명중률, 에임, 탄속
- 전방 엔진
재수없게 전면 맞으면 1티어때부터 불나는걸 볼 수 있다.
패치 사항
기타
3.1.2. T49 ATM - 7티어
| 장갑 수치 | 시야 범위 | 선회 속도 | HP | 단계 | 비고 |
//mm | m | 도/초 | 단계 |
| 마력 | 화재 확률 | 무게 | 단계 | 비고 |
마력 | % | kg | 단계 |
| 한계 중량 | 선회 속도 | 단계 | 비고 |
톤 | 도/초 | 단계 |
| 관통력 | 공격력 | 탄종 구성 | 티어 |
포탄 적재량 | 명중률 | 조준 시간 | 분당 발사 속도 | |
//mm | // | // | 단계 | |
발 | m | 초 | 발/분 |
차체 장갑 | 최고 속도 | 출고 중량 | 좌우 포각 | 가격 (크레딧) |
//mm | km/h | 톤 | 360도 |
M41 경전차의 개량형으로 더 큰 포탑과 90mm 주포를 탑재하였다. 1954년 5월 5일에 시작한 시험 운행은 성공적이었지만, 군 당국이 생산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아 양산되지는 않았다. |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
승무원 구성 :
개요
4.1 업데이트 이후 미사일 훈련 이벤트로 모습을 드러내게 된 전차. 미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인장을 16 200개 모아 해금할 수 있으며, 장비 슬롯 9개가 모두 열려있는 채로 주어진다. 처음엔 T49 ATGM이라고 이름이 알려져 있었으나 이후 T49 ATM으로 바뀌었다. 인게임 내에서는 T49 A로 나오게 된다. 이후 이벤트가 종료되자 전부 회수되었다.
공격
우선 포를 제외한 부분만 보면 그저 T49가 7티어에 맞게 너프된 성능이다. 체력 1 000[3], 얇은 장갑, 60km 대의 최고속력 등 여러모로 평범한 7티어급 경전차 성능.[4]
이 모든 평범함은 주포를 보면 모두 뒤집힌다. 우선 구경이 T49와 같은 152mm라는 것만 봐도 심상치 않다. 일반 로켓인 성형작약로켓 공격력이 560 HP이며, 프리미엄 로켓은 90mm 관통력에 760 HP에 달하는 고화력을 자랑한다. 거기다가 월탱 블리츠에는 물론 기존 월탱 PC 버전 에도 없던 새로운 메커니즘인 유도 로켓을 쏜다! 이 로켓은 발사한 후에 조준하는 방향으로 유도되며, 이를 통해 이리저리 도망가는 적을 분산도 걱정 없이 명중시키는 것은 물론, 익숙해지면 PC 자주포 마냥 로켓을 하늘로 쏘아올려서 적 전차의 상판에 내리 꽂는 탑 어택 마저 가능하다! 이 때문에 상당히 익숙해지면 기존 T49보다도 더 해괴하게 쓸 수 있다.
덕분에 같은방에 매칭이 되는 6~8티어를 타고 정말 잘하는 T49 A를 만나게 되면 전차무용론이 왜 나오게 됐는지 뼈저리게 느끼게 될 것이다. 평소 월탱의 직사 사격으로는 결코 맞지 않는 곳에서도 로켓에 신경을 써야 되고, 8티어 중전차 중 두껍기로 소문난 KV-4나 티거 2라도 상판에 맞으면 로켓 관통(고폭탄 관통)까지 노려질 수 있다 보니...
얻자 마자 당장 써볼만한 것 중 하나가 엄청난 내림각을 가진 주포처럼 활용 하는 것이다. 거기다가 여전히 유폭, 화재, 부품 및 승무원 피해도 잘 낸다. 로켓의 폭발 범위가 T49 다음으로 넓고 FV215b (183)과 같기 때문이다.[5] 로켓은 관통되지 않더라도 부품이 적어도 1~2개는 박살나고, 관통시키면 4개 이상도 나간다.
그래서 T49 A 끼리 만나면 눈에 불을 켜고 상대 차체나 포탑에 로켓을 날릴 궁리부터 한다. T49 A를 가장 잘 잡는 전차가 T49 A이기 때문이다. 7티어에 초강력 유도 로켓을 쏘는 대가로 탄약고가 정말 밥 먹듯이 잘 나가고 잘 터진다.
이 로켓의 덕을 톡톡히 보는 유저들은 바로 PC의 Win 10 혹은 스팀 버전으로 플레이하는 유저들. 한결 편한 컨트롤과 자동 조준의 효과로 인해 별별 컨트롤을 다하게 된다. 반면에 단점도 있는데, 그것이 바로 85 m/s에 불과한 로켓의 느린 탄속. 물론 로켓이니 그것에 대한 페널티이기도 하겠지만, 이 로켓의 속력은 몇몇 고기동 전차는 고각 낙하에 한정 하여 날아오는 걸 보고 피하거나 엄폐로 막아 낼 수 있을 정도로 느리다.
로켓 유도팁
- 무작정 자동 조준 후 발사 하면 땅에 꽂히거나 엄폐물에 박히는게 보통이니 안전한 거리에서 눈에 보이는 적[6]에 수동 조준을 먼저 연습하자.
- 잘 죽고 못 맞춘다면 탐지 거리, 최소 250 미터 이상, 밖에서 아군의 시야 공유를 이용해 지원 사격을 하자. 유도 로켓이기 때문에 장거리 명중률이 상당히 높다.
- 높은 언덕에서 아래를 보고 발사시 명중률이 좋다. 마치 내림각이 아주 좋은 주포처럼 사용 할 수도 있다.
- 발사 후 유도 시, 로켓 시점이 아니기 때문에 엄폐물 뒤의 적을 ㄱ자로 꺾어 공격 하는 전법은 실패하기 쉽다.
- 일단 하늘로 쏴서 고도를 확보한 후 자동 조준하거나 저격 모드로 조준하면 지형지물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 로켓의 최대 유도각은 무한대이고, 초당 편향각만이 존재하므로 엉뚱한 방향으로 발사하고 자동 조준을 걸어도 상당한 명중률이 나온다.
- 적이 12시 방향에 있다면, 10시나 2시 상방으로 발사 한 다음 조준 유도 하는 것도 방법
- 로켓의 초당 편향각에 익숙 해지면 아예 적 12시 기준 4~8시 방향으로 발사 후 유도하는 것도 방법. 이 경우, 발사 위치를 상대가 특정하기 힘들어지는 이점이 있다.
- 기동 사격시에는 진행 방향 12시 기준으로 적을 10시나 2시 방향에 놓고 발사 하는 것이 좋다. 초근접시에는 로켓에 자기도 피해를 받거나 편향각이 못 따라줘서 적을 놓치는 경우가 잦다.
- 이미 적을 지나치거나 너무 고도가 높은 경우 빗맞추기 쉬우니 조심하자.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전기, 부품 보호 장치, 과급 장치[7], 정밀 조립
장점
- 고속 주행
- 152mm 로켓에서 나오는 고화력
- 부담 없는 골탄 로켓 - 3골드(1200 크레딧)
- 전대미문의 정밀 로켓
단점
- 매우 빈약한 탄약고
- 선회
- 험지 주파성
- 느린 탄속
패치 사항
기타
이 전차가 풀렸을 당시 7탑방에서는 평소와 다르게 유폭나는 사건이 엄청나게 많았었다.
2019년 트위스터 컵 종료 이후 새롭게 등장한 미국 경전차 트리의 전차들이 T49 A와 같은 로켓을 사용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렇게 로켓 미사이 메커니즘은 미국 경전차 트리로 계승되었으나, 밸런스 붕괴 논란이 터지자 추가된지 1년도 지나지 않아서 수집가 전차 Sheridan Missile을 제외하고는 미사일 탄을 전부 없앴다.
3.2. 독일
- 舊 Leichttraktor (舊 경 트랙터)
- 5.5 업데이트 이전의 독일 트리 1티어 전차.
- 舊 Pz.Kpfw.II (舊 2호 전차)
- 5.5 업데이트 이전의 2호 전차. 당시에는 2티어 전차였다.
3.2.1. Leichttraktor(경 트랙터) - 1티어
| 장갑 수치 | 시야 범위 | 선회 속도 | HP | 단계 | 비고 |
Leichttraktor | 14/12/12 mm | 214.5 m | 44 도/초 | 200 | 1 단계 | 기본 |
L.K.A. 2 | 14/14/14 mm | 224.7m | 49도/초 | 250 | 2 단계 | 최종 |
| 마력 | 화재 확률 | 무게 | 단계 | 비고 |
Maybach HL 38 TR | 100 마력 | 20 % | 500 kg | 2 단계 | 최종 |
| 한계 중량 | 선회 속도 | 단계 | 비고 |
Leichttraktor verstärkteketten | 9.5 톤 | 47.71 도/초 | 2 단계 | 최종 |
관통력 | 공격력 | 탄종 구성 | 티어 | |
포탄 적재량 | 명중률 | 조준 시간 | 분당 발사 속도 | |
3,7 cm Kw.K. 36 L/46.5 | 40/74/10 mm | 40/35/50 | AP/APCR/HE | 1 단계 |
발 | 0.530 m | 4.3 초 | 16.27 발/분 |
관통력 | 공격력 | 탄종 구성 | 티어 | |
포탄 적재량 | 명중률 | 조준 시간 | 포탄 재장전 시간 / 클립 재장전 시간/ 클립당 탄수 | |
2 cm Breda (i) | 30/47 mm | 12/10 | AP/APCR | 1 단계 |
420 발 | 0.530 m | 4.3 초 | 0.25초/6.84초/9발 |
차체 장갑 | 최고 속도 | 중량 | 좌우 포각/올림각/내림각 | 가격 (크레딧) |
14/12/12 mm | 36 km/h | 8.02 톤 | 360//도 | 0 |
1930년부터 1934년까지 서로 다른 무장, 승무원 숫자, 중량, 현가장치를 갖춘 시제 전차가 총 4대 생산되었다. |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
승무원 구성 :
개요
평범함 그 자체
준수한 성능의 3.7cm 주포와 쓸만한 기동성을 지녔다. 스톡포인 3.7cm나 브레다 기관포나 꽤나 쓸만해서 어떤 포를 장착하든 먹고 살 수 있다.
단, 1티어의 특징인 약한 장갑과 저지력 덕에 1대 1 인파이팅은 무리다. 아군과 붙어다녀 혼자 삭제되는 일이 없도록 하자.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 준수한 스톡포
관통력이나 DPM이나 꿇리는 부분이 없다. - 작은 차체
은엄폐가 수월하다.
단점
- 부족한 선회
1티어의 특징이다. 가급적이면 직진하자. - 약한 장갑
이 역시 1티어들의 특징이라 심각한 단점은 아니다.
패치 사항
기타
3.3. 소련
- 舊 MS-1
- 5.5 업데이트 이전의 소련 트리 1티어 전차.
- 2021년에는 이벤트성으로 MS-1을 재등장시켰는데, 티어도 2티어로 오르고 모델링도 완전히 신규 제작되는 등 이전에 있던 1티어 차량과는 아예 다른 차량이 나왔다. 2티어 MS-1이 추가된 이후 구버전 MS-1의 데이터상 이름은 MS-1 mod. 1으로 바뀌었다.
- 舊 T-26
- 5.5 업데이트 이전의 T-26. 당시에는 2티어 전차였다.
3.3.1. MS-1 mod.1 - 1티어
| 장갑 수치 | 시야 범위 | 선회 속도 | HP | 단계 | 비고 |
MS-1 mod. 1927 | 18/16/16 mm | 200 m | 39 도/초 | 200 | 1 단계 | 기본 밀폐형 |
MS-1 mod. 1930 | 18/16/16 mm | 210 m | 35 도/초 | 160 | 2 단계 | 최종 밀폐형 |
| 마력 | 화재 확률 | 무게 | 단계 | 비고 |
AMO-3 | 70 마력 | 20 % | 920 kg | 1 단계 | 최종 |
| 한계 중량 | 선회 속도 | 단계 | 비고 |
T-18 | 6.5 톤 | 50 도/초 | 1 단계 | 최종 |
관통력 | 공격력 | 탄종 구성 | 티어 | |
포탄 적재량 | 명중률 | 조준 시간 | 분당 발사 속도 | |
37 mm Hotchkiss | 34/44/9 mm | 40/40/50 | 철갑탄/성형작약탄/고폭탄 | 1 단계 |
96/104 발 | 0.54 m | 2.5 초 | 11.5 발/분 | |
45 mm mod. 1932 | 51/88/12 mm | 55/55/75 | 철갑탄/고속철갑탄/고폭탄 | 2 단계 |
54 발 | 0.46 m | 2.5 초 | 11.36 발/분 |
관통력 | 공격력 | 탄종 구성 | 티어 | |
포탄 적재량 | 명중률 | 조준 시간 | 포탄 재장전 시간 / 클립 재장전 시간/ 클립당 탄수 | |
23mm VJa | 30/42 mm | 12/12 | 철갑탄/고속철갑탄 | 2 단계 |
270 발 | 0.54 m | 1.9 초 | 0.2 초/6 초/9 발 |
차체 장갑 | 최고 속도 | 출고 중량 | 좌우 포각 | 가격 (크레딧) |
18/16/16 mm | 32 km/h | 5 톤 | 360도 | 0 |
소련이 양산한 최초의 전차로 1928년부터 1931년까지 총 959대가 만들어졌다. |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
승무원 구성 :
개요
소련의 모빌슈트[8]
1탑방 제초전차 No.2[9]
화력 기동 장갑이 밸런스된 전차
은신에 적합한 위장력, 어느 정도의 탄을 씹는 각진 장갑. 동티어 중 가장 훌륭한 관통력을 보유한 주포.
1탑방의 구축전차
여담으로 최종 주포인 45mm의 골탄은 1티어 주제에 무려 100mm대 초반의 관통력을 찍는 정신나간 기행을 보여준다.
오랜 시간이 지나 2021년 9월 이벤트에서 2티어 경전차로 새롭게 MS-1이 추가된 이후에는 데이터만 남은 기존 1티어 전차의 이름은 MS-1 mod.1으로 변경되었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3.4. 영국
- 舊 Vickers Medium Mk.I (舊 빅커스 중형전차 Mk.1)
- 5.5 업데이트 이전의 영국 트리 1티어 전차.
- 舊 Cruiser II
- 5.5 업데이트 이전의 Cruiser II. 당시에는 2티어 전차였다.
3.4.1. Vickers Medium Mk. I (빅커스 중형전차 Mk.I) - 1티어
| 장갑 수치 | 시야 범위 | 선회 속도 | HP | 단계 | 비고 |
// ㎜ | m | 도/초 | 단계 |
| 마력 | 화재 확률 | 단계 | 비고 |
마력 | % | 단계 |
| 선회 속도 | 지형 돌파 성능 | 단계 | 비고 |
도/초 | / / % | 단계 |
| 관통력 | 공격력 | 탄종 구성 | 단계 |
포탄 적재량 | 100 m 분산도 | 조준 시간 | 재장전 시간 / 화력 | |
// ㎜ | // | // | 단계 | |
발 | m | 초 | 초 |
차체 장갑 | 최고 속도 | 중량 |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 가격 (크레딧) |
// ㎜ | ㎞/h | 톤 | 360//도 |
(전차백과 설명) |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
승무원 구성 :
개요
1티어 구축전차
1티어 유일 중형전차
1티어에 걸맞지 않은 강력한 한방을 가진 대신 모든 것을 잃은 전차라고 할 수 있다. 장갑이 차체 6mm 포탑 8mm (2티어 포탑 Vickers Medium MK. IA*기준)로 "조준하고 쏘면 뚫린다" 라는 말에 가장 부합하는 전차이며 덩치도 커서 어그로 마저 매우 잘 끌린다. 따라서 절대 전열에 나서는 일은 없도록. 속력도 동티어 최하 수준인 데다가, 내림각이 정말 좋지 않아 언덕 싸움에서 많이 불리하다.
상기한 단점들을 다 무시할 장점이 하나 있는데, 바로 6파운더 주포이다. 한번 맞추면 90대 전후의 대미지가 들어가는데, 1티어로서는 맞으면 매우 아프다. 게다가 같은 빅커스 전차거나 T1 커닝헴 같은 경우는 고폭탄으로 뚫을 수 있어 한번에 약 140이라는 대미지를 입힐 수 있고, 심지어 관통력도 출중해 프리미엄
포탄으로 2티어 최강 장갑, T18의 정면을 뚫을 수 있다. 다만 탄속이 느리고 명중률이 매우 낮으므로 초보자들에겐 오히려 바늘포를 추천한다.
구축전차처럼 운영하는 것이 가장 좋다. 한방이 강력한 주포로 아군이 공격하고자 하는 대상의 내구도를 대폭 줄여 우위를 점하게 하는 것이다. 좋은 주포를 킬딸할때 쓰지 말고 화력지원이나 하란 말이다.
수익률이 1티어중에 가장높은 156.4%이며 이는 3티어 골탱 대부분 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 훌륭한 주포[10]
• 1티어에서 가장 많은 체력
단점
• 매우 관대한 장갑[11]
• 1티어 최하 기동력
• 1티어에서 가장 큰 차체
패치 사항
기타
3.4.2. Mk1 Heavy Tank -1티어
| 장갑 수치 | 시야 범위 | 선회 속도 | HP | 단계 | 비고 |
// ㎜ | m | 도/초 | 단계 |
| 마력 | 화재 확률 | 단계 | 비고 |
마력 | % | 단계 |
| 선회 속도 | 지형 돌파 성능 | 단계 | 비고 |
도/초 | / / % | 단계 |
| 관통력 | 공격력 | 탄종 구성 | 단계 |
포탄 적재량 | 100 m 분산도 | 조준 시간 | 재장전 시간 / 화력 | |
// ㎜ | // | // | 단계 | |
발 | m | 초 | 초 |
차체 장갑 | 최고 속도 | 중량 |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 가격 (골드) |
// ㎜ | ㎞/h | 톤 | 360//도 |
(전차백과 설명) |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
승무원 구성 :
개요
영국에서 개발한 세계 최초의 전차다.
2016년9월 20일부터 전투가능이된 1티어 프리미엄 중전차 이다. 마크1은 마크1끼리만 전투가 가능하며 맵도 절망의 요새만 잡힌다.
체력은 550으로 1티어 치고 정신나간 수치를 보여준다
평관 57에 평뎀 90인 영국 사골포인 6파운더 포를 사용한다.[12] 장갑은 기대하지 말도록 하자. 기동성은 뛰어난 편이다. 뒤에 달려있는 참호 돌파용 장치가 귀엽게 보인다며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다[13]. 풀이퀍 풀군용을 해도 한판당 6천은 벌어오며 앵벌력이 1티어중 제일높다. 포탑은 장식인 사실상 구축전차와 같고, 그나마 양각이 나쁘지 않으며 적으로 만나는 같은 마크 1들이 굉장히 크기 때문에 잘만 숨는다면 때리는 것도 가능하다.고폭탄 평관이 7인 관계로 쓰지 말 것을 권장한다. 또한 장갑은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고폭탄만 간신히 막는 정도라 최대한 맞지 않고 플레이하는 게 필요하다.
2016년 9월 27일 이벤트 종료후 마크원이 수거될 예정이었으나, 일부 계정에는 아직 남아 있는 상태로 보여진다. 다만 이 경우 무작위 전투 등의 공식전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연습방에서의 사용만 가능한 상태이다. 현재는 전적 기록을 제외하면 차량이 아예 제거된 상태라 다시 추가되지 않는 한 사용할 수 없는 상태다.
10판 이상 타면 "전차 100주년" 이라는 특별한 훈장을 줬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3.5. 일본
- 舊 Renault Otsu (舊 르노 을(乙)형)
- 5.5 업데이트 이전의 일본 트리 1티어 전차.
- 舊 Type 95 Ha-Go (舊 95식 경전차 하고)
- 5.5 업데이트 이전의 95식 경전차 하고. 당시에는 2티어 전차였다.
3.5.1. Renault Otsu(르노 을형) - 1티어
| 장갑 수치 | 시야 범위 | 선회 속도 | HP | 단계 | 비고 |
Renault Kou | 18/18/16mm | 200m | 24도/초 | 200 | 1단계 | 스톡 |
Renault Otsu | 20/20/20mm | 210m | 24도/초 | 165 | 2단계 | 풀업 |
| 마력 | 화재 확률 | 무게 | 단계 | 비고 |
Mitsubishi A475VD | 75마력 | 15% | 650kg | 2단계 | 풀업 |
| 한계 중량 | 선회 속도 | 단계 | 비고 |
Renault NC-27 | 10.5 톤 | 37.55도/초 | 1단계 | 풀업 |
| 관통력 | 공격력 | 탄종 구성 | 티어 |
포탄 적재량 | 명중률 | 조준 시간 | 분당 발사 속도 | |
37mm APX SA18 | 29/46/18mm | 40/40/50 | 철갑탄/고속철갑탄/고폭탄 | 1단계 |
240발 | 0.54m | 5.2초 | 15발/분 | |
37mm Sogekihou | 33/49/18mm | 40/40/50 | 철갑탄/철갑탄/고폭탄 | 1단계 |
120발 | 0.46m | 2.3초 | 15.79발/분 |
| 관통력 | 공격력 | 탄종 구성 | 티어 |
포탄 적재량 | 명중률 | 조준 시간 | 포탄 재장전 시간 / 클립 재장전 시간/ 클립당 탄수 | |
13mm 자동포 Type Ho | 23/36mm | 8/8 | 철갑탄/고속철갑탄 | 1단계 |
720발 | 0.52m | 2초 | 0.13초/11초/5발 |
차체 장갑 | 최고 속도 | 중량 | 좌우 포각/올림각/내림각 | 가격 (크레딧) |
30/30/22mm | 23 km/h | 8.4톤 | 360/20/22도 | 0 |
1925년부터 1928년까지 프랑스에서 Renault FT의 개량형으로 개발되었으며 현대화 작업이 끝난 후 대량 생산에 돌입하였다. 1929년에 전차 10대를 일본에서 구매했으며 Otsu-Gata Sensha (Tank B 모델)에 지정되었다. 일본 전차는 일부 현대화되었으며 전시 및 훈련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
승무원 구성 :
개요
르노 을형.
5.5 대규모 업데이트 전 일본 정규트리 1티어였다.
일단 느리다. 경전차 답지 않은 속도를 가지고 있어 중형전차가 1티어인 영국을 제외한 5 국가 중 가장 느리다. 대신 장갑은 동티어 내에서는 전면 30mm로 가장 단단하다.[14]포탑이 잘 뚫리는 편이지만 최종포탑 전면 기준으로 입사각이 수직인 부분이 작은 편이라서 차체를 앞뒤로 움직여주면 상대방 입장에서는 맞추기가 많이 난감할 것이다.
그리고 부각도 월탱 블리츠 내에서 가장 높은 -22도 이다! 튼튼한 장갑과 높은 부각과 DPM이 높은 주포로 경험 많은 플레이어들이 잡으면 기본으로 2대 이상은 격파한다.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 뛰어난 방호력
1티어 수준에서는 엄청난 두께인 전면 30mm 장갑을 자랑한다. 타 국가의 동 티어 전차들의 두께는 평균 10mm 중반이며, 영국은 전후좌우 6mm인 것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1티어 중전차다. - 준수한 성능의 주포
명중률, 한 방, 재장전 등 모든 면에서 부족함 없는 성능을 자랑한다. - 엄청난 부각
-22도로, 블리츠 최고의 부각이다. 영미권에선 코끼리라 부를 정도다. 헐다운만 잘해도 이긴다.
단점
- 바닥을 기는 기동성
경전차의 탈을 쓴 중전차다. - 꽤 긴 차체
피격면적이 넓다. 허나 측면의 궤도덮개가 꽤나 튼튼한 편이라서 기관포의 경우에는 측면보다 후면을 공략하는게 더 이롭다.
패치 사항
기타
3.6. 중국
- 舊 Renault NC-31 (舊 르노 NC-31)
- 5.5 업데이트 이전의 중국 트리 1티어 전차.
- 舊 VAE type B
- 5.5 업데이트 이전의 VAE type B. 당시에는 2티어 전차였다.
3.6.1. 르노 NC-31 - 1티어
| 장갑 수치 | 시야 범위 | 선회 속도 | HP | 단계 | 비고 |
// ㎜ | m | 도/초 | 단계 |
| 마력 | 화재 확률 | 단계 | 비고 |
마력 | % | 단계 |
| 선회 속도 | 지형 돌파 성능 | 단계 | 비고 |
도/초 | / / % | 단계 |
| 관통력 | 공격력 | 탄종 구성 | 단계 |
포탄 적재량 | 100 m 분산도 | 조준 시간 | 재장전 시간 / 화력 | |
// ㎜ | // | // | 단계 | |
발 | m | 초 | 초 |
차체 장갑 | 최고 속도 | 중량 |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 가격 (크레딧) |
// ㎜ | ㎞/h | 톤 | 360//도 |
롱 스트로크 현가장치 요소와 케그레세-힌스틴 톱니 고무 궤도를 장착한 Renault FT 개량형이다. 여기에 성능이 향상된 45마력 엔진을 장착하여 최고 속력을 16km/h까지 끌어올릴 수 있었으며 총 15대가 중국으로 수출되었다. |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
승무원 구성 :
개요
중국맛 바게트
중국은 전차 개발을 시작할 때, 프랑스제 르노 FT-17을 연구했다. 그래서 만든 구식 덩어리.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원래 소련에서 르노 FT를 개량한 전차지만 중국에 수출되었다는 이유로 중국 트리로 나왔다.
3.7. 프랑스
- 舊 Renault FT (舊 르노 FT)
- 5.5 업데이트 이전의 프랑스 트리 1티어 전차.
- 舊 Renault R35 (舊 르노 R35)
- 5.5 업데이트 이전의 Renault R35. 당시에는 2티어 전차였다.
3.7.1. Renault FT - 1티어
| 장갑 수치 | 시야 범위 | 선회 속도 | HP | 단계 | 비고 |
Renault FT Omnibus | 16/16/14mm | 200m | 38도/초 | 200 | 1단계 | 기본 |
Renault FT Berliet | 22/22/16mm | 210m | 34도/초 | 160 | 2단계 | 최종 |
| 마력 | 화재 확률 | 무게 | 단계 | 비고 |
Franklin | 100마력 | 20% | 266kg | 1단계 | 최종 |
| 한계 중량 | 선회 속도 | 단계 | 비고 |
M26/27 | 6.8톤 | 39.38도/초 | 2단계 | 최종 |
관통력 | 공격력 | 탄종 구성 | 티어 | |
포탄 적재량 | 명중률 | 조준 시간 | 분당 발사 속도 | |
37mm APX SA108 | 29/46/18mm | 40/40/50 | 철갑탄/고속철갑탄/고폭탄 | 1단계 |
237발 | 0.54m | 5.3초 | 15.38발/분 |
관통력 | 공격력 | 탄종 구성 | 티어 | |
포탄 적재량 | 명중률 | 조준 시간 | 재장전 / 클립 재장전 시간/ 클립당 탄수 | |
25mm Canon Raccourci mle. 1934 | 46/68mm | 25/25 | 철갑탄/고속철갑탄 | 2단계 |
360발 | 0.52m | 4.3초 | 1초/8초/6발 | |
13.2mm Hotchkiss mle.1930 | 23/36mm | 8/8 | 철갑탄/고속철갑탄 | 1단계 |
720발 | 0.52m | 4.5초 | 0.13초/11초/15발 |
차체 장갑 | 최고 속도 | 출고 중량 | 좌우 포각 | 가격 (크레딧) |
16/16/16mm | 21km/h | 4.69톤 | 360도 | 0 |
1917년 배치가 시작되었으며 1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3,177대, 총계 3,800여 대가 생산되었다. 2차 대전 개전 당시 총 1,560대가 배치되어 있었다. |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
승무원 구성 :
개요
프랑스에서 개발된 제1차 세계 대전기의 전차. 세계 최초로 회전 포탑을 얹은 전차로 유명하다.
정말 느리지만 선회력은 끝내주게 좋다. 25mm 기관포가 1티어 기관포중 가장 높은 관통력을 지니고 있으니 꼭 25mm를 장착하자. 2티어포를 달면 속도도 느려진다. 단점을 꼽자면 부각...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3.8. 유럽
3.9. 기타 국가
3.9.1. WarDuck - 1티어
| 장갑 수치 | 시야 범위 | 선회 속도 | HP | 단계 | 비고 |
// ㎜ | m | 도/초 | 단계 |
| 마력 | 화재 확률 | 단계 | 비고 |
마력 | % | 단계 |
| 선회 속도 | 지형 돌파 성능 | 단계 | 비고 |
도/초 | / / % | 단계 |
| 관통력 | 공격력 | 탄종 구성 | 단계 |
포탄 적재량 | 100 m 분산도 | 조준 시간 | 재장전 시간 / 화력 | |
// ㎜ | // | // | 단계 | |
발 | m | 초 | 초 |
차체 장갑 | 최고 속도 | 중량 | 포각(좌우/내림각/올림각) | 가격 (골드) |
// ㎜ | ㎞/h | 톤 | 360//도 |
승무원 구성 :
개요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먼저 기관포를 난사하는 오리
다음엔 묵직하고 평범한 일반 고폭탄을 쏘는 오리
마지막은 상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1] 2021년에 발표된 클랜 이벤트 보상 전차였으나 계획이 엎어진건지 어느순간부터 소식이 없어졌다.[2] 엔진 업데이트 이후 추가될 예정이라고 한다.[3] 기본적으로 장비 슬롯이 해금된 상태이므로 대부분은 1 060일 것이다.[4] 다만 원래 T49처럼 다른 경전차에 비해 선회는 나쁜 편이다. 장비와 보급을 최대로 줘야 50도를 겨우 넘는 정도.[5] T49 5,36m, T49 ATM 5,11m, 183 5,11m[6] 조준선 정렬시 붉은 외곽선이 보이는 전차[7] 개량형 주포 조준 장치는 아무 쓸모 없다.[8] Mobile Suit 1[9] 1위는 T1 컨닝햄[10] 다들 느리고 장갑이 약해 지뢰라고 생각하지만, 주포하나는 동티어 최상급이다. 특히, 6파운더 포는 철갑탄과 고폭탄을 혼용하면서 장전이 될 때마다 쏘아주면 탑건이고 마스터고 모두 쉽게 딸 수 있다[11] 전측후 모두 한자릿대다. 전면에 경사가 좀 있어 보여도 물장이라 쓸모가 없다.[12] 처칠, 크롬웰 등이 쓰는 것과는 구경만 같고 다른 포다.[13] 여담으로 연습방에서 야이백이 골탄을 참호돌파용 장치에게 한방 날렸는데 도탄되었다! 미친.[14] 이정도 수치면 저티어에서 자주 보이는 기관포는 우습게 도탄시킬 수 있다! (mk 103은 3티어 이상에서 출현하니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