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2:02:16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프랑스 테크 트리/경전차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프랑스 테크 트리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 bgcolor=white,#1f2023><table bordercolor=black><colbgcolor=black><colcolor=white><bgcolor=black> 파일:WotBlitzLogo.png ||
게임 플레이 시스템 | 게임 모드 | 이벤트 모드 | 승무원 | | 업적 | 장비 | 임무 | 클랜 | 상점 | 뽑기 | 용어 (PC월탱 용어) | 배틀 패스 | 시즌
테크트리 전차 (둘러보기 틀)
기타 문제점 | 사건 사고 | 버전 업데이트 (내역) | 이벤트 | 콜라보레이션 | 그래픽 및 사운드 | PC버전과의 차이점 | e스포츠 | 버그 | 모드 | Tanks Blitz
템플릿 템플릿: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

||<-5><#000000>
파일:WoTB_Logo.png파일:투명.png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차량|{{{#!wiki style="font-size:1.2em"]]'''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나치 독일 군기(1938–1945).svg 독일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유럽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WoTB_HN.svg 기타 국가 기타 전차 }}}
※ 신규 전차 추가 시 템플릿: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의 표 사용 바람


1. 개요2. 바티뇰 샤티옹 트리
2.1. AMX ELC bis - 5티어2.2. AMX 12 t - 6티어2.3. AMX 13 75 - 7티어2.4. AMX 13 90 - 8티어2.5. Bat.-Châtillon 25 t AP - 9티어2.6. Bat.-Châtillon 25 t - 10티어

1. 개요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의 프랑스 경전차 트리.

프랑스 중전차 트리의 시작점으로 3.6패치 때 추가 되었다.
초반 프랑스 전차의 특징은 매우 느린 속도, 낮은 관통력[1], 클립포[2] 괜찮은 장갑이다. 어째 대부분이 전후생산전차인건 안비밀

그후 4.2패치로 프랑스 경전루트가 새로 추가됐는데 5티어 이후부터의 특징으로는 전부다 가볍고 빠른대신 약한 장갑과 요동포탑으로 인한 낮은 부앙각을 갖고 있는 탱크들이다. 덕분에 트리의 난이도가 매우 높다. 참고로 8티어부터 10티어까지 프랑스 중전차루트의 50 100의 포를 쓰기 때문에 미리 연구해 두었다면 좀 더 편하게 탈 수 있다. 참고로 9티 10티 바샷은 기동중 위장 보너스가 없었다가 4,3 업데이트가 돼서 경전차 기동중 위장 보너스를 받았다.

프랑스 경전차의 특징은 1~4티어는 전면전에서 탱커로서 능히 활약할 수 있고, 5~10티어는 빠른 기동성을 바탕으로 한 치고 빠지기에 능하다는 점이다. 여기서 함정이 있는데, 5티어 AMX ELC Bis, 속칭 엘퀴는 90미리도 떼먹힌 채 내려와서는 PC에서 90미리 주포를 장착한 정확히 그 상태의 포탑을 지니고 있다. 쉽게 말해 좌우 포각 45도의 半 구축 경전차가 되어있다고 보면 된다. 줄 거면 제대로 주든가 6~8티어의 AMX 13 시리즈는 전체적으로 부각과 양각이 둘 다 고자다. 아무래도 요동 포탑이다 보니 이해해 줄 만 하지만, 주포 부각이 내려가지 않는 건 어찌저찌 적응했다 쳐도 양각이 올라가지 않는 걸 보면 욕이 저절로 튀어나올 수 있다. 예외적으로 차체 폭이 좁은 AMX 12t는 포탑을 측면으로 돌렸을 때 상대적으로 더 낮은 부각을 확보할 수 있다. ...만 그나마도 AMX 13 75와 AMX 13 90은 정확히 정면을 바라 볼 때의 양각이 다르다. 외형적으로 AMX 13의 차체 후방에 적재된 봇짐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인데, 13 75가 가진 봇짐은 양각을 극심히 제한한다. 언덕 위의 대상을 공격하려할 때 13 75는 측면에서 포를 올리든 정면에서 포를 올리든 그게 그거다. 13 90은 그 봇짐 하나가 없다는 것 만으로 13 75보다 양각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

여담이지만 AMX 13 90의 풀업 주포는 90mm F3인데, 이게 뭐냐면 ARL 44의 세미스톡, 즉 중간포인 90mm F3이라고 쓰여진 그 주포와 같은 주포다. 중전차 트리에서 90mm DCA 45 주포는 생략하더라도 90mm F3은 반드시 선행 연구과제로 되어있어 중전차를 8티어까지 타봤다 싶은 사람은 경전차 8티어의 최종포를 따로 올릴 필요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뭐병. 한 술 더 떠서 9티어 바샤티옹 25t AP의 최종 주포는 100mm SA47인데... 느낌이 오지 않는가? 그렇다. AMX 50 100의 최종포다. 경전차보다 먼저 나온 중전차 트리가 아이러니하게도 경전차 테크를 반 이상 책임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트리 호환성 덕분에 프랑스는 흔히 빵중률로 욕먹으면서도 아예 전술적인 병종 자체가 다른 트리끼리 주포가 맞는다는 것만으로 고객 증대의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2. 바티뇰 샤티옹 트리

AMX-ELC에서 AMX-13을 지나며 B-C 25 t까지 가는 프랑스의 고기동 경전차 테크트리.
엘크를 제외한 모든 전차가 클립포라 한방은 낮지만 모든 포탄이 다 적중하면 은근 괜찮은 대미지를 줄 수 있다. 그러나 모든 클립포가 그렇듯이 장전이 느려서 치고 빠지기에 능숙해져야 한다.

운용법을 간략히 요약하자면, 맵리딩이 안되는 플레이어라면 절대로 타면 안될 트리이다. 같은 프랑스의 중전차처럼 순간 화력이 동티어 내 압도적 1위가 아니고, 클립을 다 관통시켜도 동티어중 가장 펀치력이 강한 주포 수준이기 때문에, 너 한방 나 세방 딜교를 하더라도 상대가 밀고들어와서 한대를 더 때려버린다면 별 이득을 보지 못한다.

하지만 맵리딩이 되는 플레이어라면 말이 바뀌는데, 현재 전장 중 어디로 가야 내가 클립을 최대로 이용해서 적을 압박할 수 있을지를 안다면 매우 위력적인 전차다. 관통력이 낮다 해도 동티어 내에 가장 장갑이 두꺼운 중전차의 측면은 충분히 뚫을 수 있고, 한 티어 위라도 골탄을 들면 충분히 관통할 수 있다.
경전차중 기동성이 느린 편이라 해도 여전히 중형보다 압도적으로 빠른 기동성이고, 그에 따라 탄창 재장전이 길다 해도 지형지물과 기동성을 이용해 충분히 버틸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다른 전차처럼 라인전에서 활약하기보다는, 라인전에서 한 발짝 빠진 다음에 현재 전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파악하고 자신이 가장 필요한 곳에서 화력지원을 해야 한다.

PC월탱에서는 바티뇰 샤티옹 25t과 그 전 단계 차량이 중형전차로 나왔지만 블리츠에는 경전차로 나왔다. 대신 PC월탱에서는 경전차 트리의 8티어에 바티뇰-샤티옹 12t라는 전차가 있고, 거기서 9티어와 10티어로 AMX-13-90과 AMX-13-105가 이어지는 구성이다. PC월탱의 프랑스 경전차 트리가 블리츠에도 추가될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나 언젠가는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 AMX-13-105까지 추가된 이후로 테크트리가 PC월탱처럼 개편된다고 할때 바티뇰 샤티옹 25t 9티어와 10티어가 PC월탱을 따라 중형전차로 바뀔지는 불명확하나, 이후 중형전차 트리로는 프로제 뮈라 트리가 별도로 추가되었기 때문에 바티뇰 샤티옹 전차들은 경전차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2.1. AMX ELC bis - 5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AMX ELC bis 20 / 15 / 10 ㎜ 240 m 44도/초 610 5단계 제한 회전 포탑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SOFAM de 150 cv 150 마력 20% 4단계 기본
SOFAM 8 Gxb 240 마력 20% 5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지형 돌파 능력 (도로/야지/물) 선회 속도 단계 비고
AMX ELC 106 / 88 / 76% 40.20도/초 4단계 기본
AMX ELC bis 116 / 104 / 80% 48.25도/초 5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 화력
75 ㎜ SA32 84 / 100 / 38 ㎜ 150 / 130 / 170 AP / HEAT / HE 4단계
60발 0.460 m 4.4초 8.7초 / 1 034 DPM
75 ㎜ SA44L 120 / 170 / 38 ㎜ 160 / 135 / 175 AP / APCR / HE 6단계
48발 0.380 m 4.3초 8.4초 / 1 143 DPM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출고 중량 포각 (좌우/내림/올림) 가격
(크레딧)
25 / 10 / 15 ㎜ +65 / -23 ㎞/h 8.00 톤 ±35 / -5 / +13도 400 000
파일:12-rench-lts-gallery.jpg
파일:11-rench-lts-gallery.jpg
처칠과 정면에서 딜교환하는 용감한 엘크
항공수송이 가능하고 중전차와 교전할 수 있는 프랑스 공수부대 지원용 전차로 1957년부터 1961년까지 개발이 진행되었다. 90mm 주포가 장착되었으며 매우 낮은 차체가 특징이다. 승무원 2명이 회전 포탑에 탑승하며 포탑 정지 시에만 360도로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주포를 장착한 개량형이 계획되었지만, 시제 전차 한 대만 제작되었으며 실제로 양산되지 않았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프랑스 공수부대에게 어느 정도 중전차와 교전 가능한 주포를 가진 공수전차를 붙여주기 위해 1957년에서 1961년 간 개발한 프랑스의 공수전차 AMX ELC의 개량형인 bis이다. bis는 두 번째라는 뜻. 설계도 상으로는 아주 낮은 차고와 중량 대비 강력한 90 ㎜ 주포를 장비할 예정이었다. 초기 설계안에서 포탑에만 2인이 탑승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으며 전차가 정지 중일때만 포탑의 360도 회전이 가능했다. 이외에도 다양한 구경과 승무원 배치 구조가 고안 되었다. 오직 한 대의 시제 차량만이 제작되었으며, 현역에 투입되지는 못했다.

최종 부품 기준으로 쓸만한 주포 성능과 매우 우수한 기동 및 위장률 덕분에 경구축전차처럼 우려먹을 수 있는 경전차. 포각과 선회 능력에 하자가 있어서 뺑뺑이를 잘 돌리지는 못하며, 맷집이 매우 약해서 중형전차 전선에 나서기 힘들다. 초기 상대 전차들이 어디로 몰려 가는지 관측한 뒤 2선에서 한 발씩 화력 지원을 해주는 게 좋은 전차.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빠르고 경쾌한 경전차임에도 포각, 내림각, 약간 미흡한 선회력 때문에 정석적인 경전차처럼 운용하기 힘들다. 당장 지형을 잘못 끼면 내밀었을 때 주포가 포탑에 걸려서 쏘지 못하는 수도 있다. 따라서 압도적인 위장률을 이용해 초반에 빠르게 정찰을 해주고 각종 무전 커맨드를 활용해서 아군을 모조리 상대 팀에게 붙여주자. 그다음 얼른 내빼고 2선 너머의 장거리 사격 지원을 하는 것이 낫다. 포탑 회전 제한 때문에 아군 뒤에서 와리가리 하면서 쏘고 빠지는 플레이가 힘들어서 전선이 형성될 쯤에는 더 후방으로 빠지는 것이 좋다. 쏘기 전까지는 잘 안들키지만, 쏜 다음에는 상당히 높은 확률로 들키니 사격 후에는 반사적으로 뒤로 빠지는 것이 좋다. 포각 좋은 경구축전차처럼 운용하라는 말이 괜히 있는 것이 아니다. 다만 분산도가 그리 좋은 편이 아니므로 정말 저격 구축처럼 시작 지점까지 내빼는 건 약간 무리이다.

전차가 상당히 납작해 측면을 붙이고 있을 경우 내림각이 안 나오거나 자기 차체에 AMX ELC bis가 가려져 때리지 못하는 전차들이 상당히 많다. 이를 이용하여 측면이 얇은 전차들은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상대가 가능하다. 하지만 포가 상대 전차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붙이지 않는 이상 포각 제한 덕분에 적 전차와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사이좋게 경치 감상 뭐 같은 상황이 일어날 수도 있다. 게다가 작은 전차를 상대하는 법을 아는 덩치 좀 되는 전차는 그냥 툭툭 선회해서 밀쳐버리거나 벽에 대고 눌러서 소시지처럼 삐져나온 ELC bis를 KABOOM 해버릴 수 있으니 주의.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크기가 워낙 작아서 좁은 틈 아래로 빠른 속도로 주행하여 낀 다음 갑자기 튕겨져 날아가는 글리치를 일으킬 수 있다. 의도하지 않아도 다른 전차가 뒤에서 세게 계속 밀면 실전에서 일어날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고증대로면 90mm 주포를 달아야 하나 밸런스 때문인지 블리츠에서는 75mm 주포를 쓰는 걸로 나왔다. 사실 과거 버전에서는 90mm 주포가 있었는데, 패치를 거치면서 90mm 주포가 없어진 것이다[3]. 다만 차고나 테크트리에서 보면 현재 부품 상태 불문하고 90 ㎜ 주포가 장비된 엘크 아이콘을 볼 수 있다.

2.2. AMX 12 t - 6티어

파일:FrenchT6AMX12t.png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AMX 12 t 40 / 20 / 20 ㎜ 250 m 45.89도/초 900 4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AMX B 270 225 마력 20% 3단계 기본
MATHIS 275 마력 20% 5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지형 돌파 능력 (도로/야지/물) 선회 속도 단계 비고
AMX 12t 1er prototype 116 / 95 / 80% 38.59도/초 5단계 기본
AMX 12 r 2e prototype 130 / 104 / 87% 43.81도/초 6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재장전 /
클립 재장전 시간/
클립당 탄수
75 ㎜ SA49 108 / 148 / 38 ㎜ 160 / 130 / 170 AP / APCR / HE 5단계
48발 0.384 m 4.4초 2초 / 17.62초 / 3발
75 ㎜ SA50 144 / 202 / 38 ㎜ 160 / 130 / 170 AP / APCR / HE 6단계
48발 0.364 m 4.4초 2초 / 16.64초 / 3발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출고 중량 포각 (좌우/내림/올림) 가격
(크레딧)
50 / 20 / 15 ㎜ +65 / -23 ㎞/h 11.89 톤 360 / -4 / +12도[4] 875 000
1946년에 설계된 고속 경전차로 AMX 13 개발의 밑거름이 되었다. 실제로 제작되지는 않았으며 설계 도면으로만 존재한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1946년에 개발된 경량 고속 전차 설계안이다. 전차 자체는 실제로 생산되지는 않았으나, AMX 13으로 알려진 전차의 기반이 되었다.

이 전차부터 10단계까지의 특징인 클립 주포와 요동 포탑을 가진다. AMX ELC는 희생 당한 것이다.

공격
기본 주포인 75 ㎜ SA49는 AMX ELC의 주포 관통력을 깎고(!) 대신 미세한 조준 시간과 분산도 버프를 준 후 3발 클립 주포화 한 것이다. 최종 주포 75 ㎜ SA50으로 업그레이드 하면 144 / 202 / 38 ㎜ 관통력을 가진 쓸만한 포가 된다. M41 불독 클립포의 관통력이 145 ㎜인 것을 고려했을 때 경전차 치고는 훌륭한 수치이다. 분산도도 다시 0,364 m로 향상 되는 것은 덤. 경전차로 5초만에 480 HP를 날리는 화력은 무시할 수 없다. 어지간한 동급 전차들의 내구도를 절반 정도 날려버리는 화력이다. 관통력도 비교적 좋아서 쑥쑥 잘 박힌다. 대신 6단계에서 이러한 주포를 가진 대가로 전체 재장전시간이 매우 길다. 절대로 혼자 놀지 말자.

기본 주포가 상당한 목고자다. 내림각은 그럭저럭 쓸만한데 올림각이 매우 좋지 않다. 최종포를 올리면 반대로 내림각이 나뻐진다. 몰아치는 화력에 대한 대가라고 생각 하자. 기본포는 -7도 내림각을 가진 대신 +4도 올림각이고, 최종포는 -4도 내림각과 +12도 올림각을 가진다.

방어
전체적으로 정면도 40~50 ㎜이고 측후면은 아무 전차나 고폭탄을 누르게 만드는 수준이기 때문에 적정 거리 유지와 엄폐물 확보를 항상 염두에 둬야 한다. 몸집이 너무 작아 잘 와닿지 않지만 엄연히 후방 포탑 전차라 정면에서 두들겨 맞다 보면 엔진이 손상 되는 경우가 잦다.

12 톤이 채 안 되는 가볍고 작은 전차이기 때문에 충각 당하면 매우 아프다. 거리와 엄폐가 중요한 두 번째 이유. 직접 충각이 아니더라도 기동성이 묘하게 안 좋아서 선회 돌다가 적 전차에 본의 아니게 박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하자.

기동
기본 엔진이 고작 3단계 225 마력 출력이라 움직임이 답답하므로 최대한 빨리 넘어가도록 하자. 경전차 특성상 뺑뺑이를 돌아야 할 때가 많은데 뭐 하나만 잘못 밟아도 포각이 안 따라와 역관광당할 때가 종종 있다. 애당초 뺑뺑이를 돌려고 해도 전차 선회 속도 자체가 안 좋아 오히려 적 전차의 선회전에 당할 때가 많다. 후진이 23 ㎞/h나 나온다는 걸 이용해서 비교적 평탄한 지형에 있는 엄폐물, 작은 둔턱, 아군 전차나 잔해를 끼고 싸우는 것이 좋다.

게임플레이
타 경전차 처럼 과감하게 플레이를 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하고, 클립포의 순간 화력을 최대한 활용하며 플레이 해야한다. 상대방이 쉽게 들이댈 수 없을 정도로 적당히 안전한 거리에서 엄폐물을 끼고 3발 화력을 투사 후 기나긴 재장전 시간 동안 상대의 주의를 끌지 않으며 다음 기회를 기다리거나 전장을 이탈 하는 전법이 어울린다. 이 전차를 몰 때부터 어그로가 잘 끌리는 것이 확실하게 느껴진다. 미리 어그로가 쏠릴 때 자리를 피하는 습관을 AMX 12 t에서 충분히 연습해두자. 한쪽 공격로에 선봉으로[5] 수색 나갔는데 적 전차가 3대 이상 보이면 즉시 아군에게 알리고 완전 엄폐 후 교전을 유도하자. 10단계 까지 얇은 장갑, 순간 화력, 빠른 기동 컨셉을 그대로 가져가기 때문에 적의 포화로부터 빠르게 벗어나지 못하면 순식간에 차고로 가버린다. 특히 워낙 가벼운 편이라 어지간한 전차는 한 발 갈기면서 AMX 12 t에 냅다 박아버리는 일이 흔하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배틀 패스 보상 수집가 전차로 이 전차를 크리스마스 버전으로 만든 AMXmas가 있다. 성능은 비슷한데 최종포 SA50의 B버전을 쓰는데도 상하 포각이 -7~+11도로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그밖에 부품이 죄다 6단계라서 이곳저것에서 조금씩 상향된 부분이 있다. 대신 재장전 시간과 기동 간 분산도가 조금 나쁘다.

2.3. AMX 13 75 - 7티어

파일:FrenchT7LAMX1375.png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mm m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마력 % kg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재장전 /
클립 재장전 시간/
클립당 탄수
//mm // 단계
m //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출고 중량 좌우 포각 가격
(크레딧)
//mm km/h 360 /-6 / +6 도
기동성이 뛰어난 경전차로 요동 포탑에 분당 10발을 발사할 수 있는 75mm 자동장전장치 주포를 장착하였다. 이 전차의 주포는 당시 다른 중형전차의 주포보다 관통력이 뛰어났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3 클립 탄을 2초의 빠른 [6] 탄간 재장전 시간으로 발사하는 것이 특장점인 경전차. 탄창 재장전 시간도 이거저거 먹이면 13,75초 까지 가능한 매우 준수한 화력을 자랑 한다.이름이 13 75인 이유가 있었다. 전티어 12t의 최종포를 그대로 가져오기 때문에 은탄 144 ㎜로 불독이나 코멧과 비슷한 저관통 철갑탄이 다소 걸림돌이니 원한다면 보정 포탄으로 151 ㎜ 관통력을 확보 하거나 202 ㎜ 관통력을 내는 고속철갑탄을 예비로 들고 다니자.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분당 13발 남짓 소모 할 수 있는 데 비해 최대 적재탄수는 36발로 은근히 부족하므로[7] 탄배분에 신경을 쓰는 것이 좋다. 장갑이 거의 없다시피한 경전차[8] 상대를 위해 고폭탄을 3~6발 정도 탑재 하는 것이 좋다. 이 고폭탄은 트랙샷 에도 유용하게 쓰인다. 골탄의 경우 너무 적으면 8탑 방의 떡장들을 잡기 어려워지고 너무 많으면 7탑 방에서 공격력 저하가 일어나니 9~12발 정도 준비 하는 것을 권장 한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여담이지만 AMX 12t 스톡포 장착 기준을 빼면 고저각이 제일 좋지않은 전차이다. 스톡포는 12t와는 다르게 +6 ~ -8도로 조금 더 나은 고저각을 가지고 있지만 이놈은 최종포로 가면 올림각이 대폭 늘어나고 내림각이 약간 안좋아지는 12t와는 다르게 +6 ~ -6으로 상하로 12도밖에 움직이지 않는다. 그다음 순위로는 AT7로 +8 ~ -5도이다. 물론 합산기준이다. 근데 이게 차체 후방에 있는 봇짐때문에 일어난 일인데 영향을 받지않는 측면도 6도로 고정되면서 심각한 문제점이 되어버렸다. 창조 부각은 조금 이용해 봤지만 창조 앙각은 만드는 게 가능한 상황이 거의 없어 슬프다.

2.4. AMX 13 90 - 8티어

파일:FrenchT8LAMX1390.png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mm m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마력 % kg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재장전 /
클립 재장전 시간/
클립당 탄수
//mm // 단계
m //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출고 중량 좌우 포각 가격
(크레딧)
//mm km/h
1960년대 초, 포탄 발사 속도가 1000 m/s인 75-mm 주포가 구식이 되자 HEAT 포탄을 사용할 수 있는 90-mm F3 주포로 대체하였다. 포탑이나 전차 설계 변경 없이 주포를 교체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전차가 1967년 2월에 생산되었으며 기존 전차의 개량 작업이 함께 진행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요약하면 그냥 클립이라는 것에 의의를 둬야하는 전차
클립도 없었으면 당장 블리츠 최강 똥탱에 링크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로 답이없는 성능이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최종 주포가 90 ㎜ F3가 된다. 역시 3발 탄창이다. AMX 50 100이 기본 장착한 그 주포 맞다. 탄간은 2초. 원래는 전티어보다 탄간이 느렸지만 4.4 업데이트로 동일해졌다. 심지어 원조 AMX 50 100보다 빠르다. (...) 재장전은 숙련도 113%[11] 기준 대략 16초 정도. 연사 면에서는 AMX 12 t과 비슷하다. 단점으로서는 부족하다고 느낄 수 있는 관통력이 있다. 170 ㎜로 소련의 사골포 관통력 보다 낮다. 가끔 9탑방에서 애를 먹을 때가 있다. 골탄으로는 관통력 250 ㎜대의 고속철갑탄을 쓸 수 있는데, 90 ㎜ 포탄인 주제에 무려 4 000크레딧의 거금으로 적자 잘 나기로 유명한 FV4202의 골탄과 가격이 같다. 골탄을 좀 썼다 싶으면 프리미엄 계정 상태에서도 적자가 꽤 나는 경우가 있으니 조심하자. 웬만하면 바로 골탄에 손대기 보다 약점 사격이나 우회 공격로를 택하자. 경전차가 정면에서 자신이 못 뚫는 전차와 치고 박는 게 문제이다. 중전차는 고사하고 중형전차장갑에도 튕겨져나오는 한심한 관통력 때문에 조금이라도 장갑 단단한 미듐이 올 경우 그냥 깔끔하게 골탄들자..... 탄 자체가 관통이 구린거여서 그런지 입사각 영향을 매우 많이 받는다. 관통 가능하다고 뜨는 중전차 측면도 적 중전차가 살짝이라도 더 틀면 순식간에 비관통으로 바뀌는 걸 보면.....
2024년 9월 배틀패스의 보상으로 전설 위장 Aerial이 추가되었다.

2.5. Bat.-Châtillon 25 t AP - 9티어

파일:FrenchT9LBatChat25tAP.png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mm m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마력 % kg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도/초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재장전 /
클립 재장전 시간/
클립당 탄수
//mm // 단계
m //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출고 중량 좌우 포각 가격
(크레딧)
//mm km/h
1950년부터 1951년까지 FAMH사(Compagnie des forges et aciéries de la marine et d'Homécourt)에서 회전식 포탑에 90mm 주포를 장착한 중형전차 개발을 진행하였지만, 설계 초기 단계에서 개발이 중단되었다. 당시 개발된 설계는 이후 Batignolles-Châtillon 25 t에 모두 적용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PC버전에서는 중형전차지만 블리츠에서는 경전차로 나왔다. 때문에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에서 드문 9티어 경전차이다. 스톡 주포가 전용인 Canon de 90 ㎜ Vo 930 m/s인데 4발 탄창이다.[12]마치 AMX 50 100 너프한 탄을 여기에 붙인 느낌이다. 업 주포는 또(...) AMX 50 100의 최종 주포인 100 ㎜ SA47이다. 3발 탄창, 탄간 재장전 3초에 탄창 재장전 17,62초로 이쪽 탄창 재장전이 살짝 더 빠르다. 7.7패치로 탄간 재장전이 2.8초로 버프됐다.

공격
두 포의 차이점:
부앙각은 전티어와 동일한 +13 ~ -6도이다.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2.6. Bat.-Châtillon 25 t - 10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Batignolles-Châtillon 25 t 70 / 50 / 50 mm 285.0 m 37.55 도/초 1 800 10 단계 최종, 요동포탑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Hispano-Suiza HS 110 745.0 마력 10 % 10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선회 속도 지형 돌파 성능 단계 비고
Batignolles-Châtillon 25 t 58.41 도/초 116 / 104 / 95 % 10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단계
포탄 적재량 100 m 분산도 조준 시간 재장전 /
클립 재장전 시간 / 화력 /
클립당 탄수
100 mm SA 47 BT 238 / 295 / 55 ㎜ 270 / 240 / 350 AP / APCR / HE 9 단계
48 발 0.345 m 4.3 초 14.68 초 / 2.5 초 / 2 921 DPM / 4 발
105 mm mle. 57 (D. 1504) 235 / 292 / 53 ㎜ 350 / 300 / 400 AP / HEAT / HE 10 단계
48 발 0.345 m 3.3 초 17.13 초 / 2.8 초 / 2 771 DPM / 3 발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출고 중량 포각 (좌우/내림/올림) 가격
(골드)
60 / 40 / 30 ㎜ +65 / -23 ㎞/h 25.20 톤 360 / -6 / +11도 6 100 000

파일:02-french-lts-gallery.jpg파일:01-french-lts-gallery.jpg
요동 포탑에 90mm 주포를 장착한 중형전차로 Batignolles-Châtillon이 1950년 중반에 개발하였다. 시제 전차 2대가 생산되었지만, 양산되지는 않았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경전차라는 한계를 지닌 AMX-13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25톤급 경/중형전차. 현실에서는 90mm 장포신 주포에 500 마력 엔진을 사용했으며, 가장 장갑이 두꺼운 부위도 60mm대였지만, 블리츠에선 10티어라는 티어를 감안해 100/105mm 자동장전 주포와 AMX-30에 탑재된 이스파노-수이자 HS-110 엔진을 사용하며, 포탑 한정 경전차치고 두꺼운 70mm 경사장갑을 갖췄다. 현실보다 장갑이 두껍고 화력도 상승했으며, 기동성도 개선된 셈.

경장갑 중형전차와 거의 동급으로 어렵다고 평가받는 경전차 병종인 데다가, 통상적으로 단발 전차보다 플레이 난이도가 있는 클립 전차다 보니, 10티어 기준 대표적인 고난도 전차로 꼽힌다. 클립 중전차처럼 화력 교환을 맘대로 할 수 없는 체력에 경전차다운 물장갑 때문에 시야/위장율 및 기동성을 이용해 최대한 안전한 사격각을 만들어야 하는데, 부양각이 좋지 못해 이런 안전한 사격각 만들기가 워낙에 어렵기 때문. 물론 이는 전 티어 전차들도 마찬가지이므로 본인이 본 테크트리 전차들을 수월하게 탈 정도의 실력이 있다면 악명만큼 어려운 전차는 아닐 것이다.

이름이 약간 길다 보니 보통 줄여서 바샤티옹 또는 바샷 정도로 통칭된다.

공격
방어
애초에 경전차다 보니 태생적으로 방호력이 낮긴 하지만, 철갑탄 계열은 뜬금 도탄이 날 수 있는 구조다.

일단 전면 장갑은 차체 하단과 주포 바로 옆 작은 30mm 장갑부나 요동포탑의 목 부위 일부를 제외하면 대구경 고폭탄까지도 비관통/방사뎀이 뜨는 수준이다. 물론 Vickers Light마냥 전면 전체가 대구경 고폭탄까지 방사 피해로 막아내지도, 셰리든이나 WZ-132-1마냥 공간장갑으로 측후면에 날아오는 고폭탄을 방사 피해 정도로 막아내지도 못하긴 하지만, 적어도 전면은 하단만 가려져 있어도 대구경 고폭탄은 비관통으로 끝날 수 있다는 데 의의를 둬야 한다.

바샤티옹이 방호력 면에서 타국 경전차보다 우위인 부분은 차체 상단 장갑. T-100 LT와 비슷하게 경사각이 가파르고, 두께도 60mm로 경전차치곤 두꺼운 관계로, 어느 정도 각을 둔 상태라면 180mm 이하의 철갑탄이 절대도탄된다.[17] 차체 하단과 상부 장갑이 50mm로 T-100 LT보다 두꺼워 150mm 이하의 철갑탄 상대로는 급경사각을 둔 차체 하단이나 노출된 차체 상부가 절대도탄을 보는 것도 가능한 건 덤. 다만 경전차는 장갑을 활용하는 병종이 아니기도 하고, 실전에서 이러한 도탄을 대놓고 노리기는 힘든 만큼 그저 운이 좋다면 뜬금 도탄이 뜨기도 한다 정도로 알아두는 게 좋다.

그릴레나 FV4005 같은 경장갑 구축전차와 비슷하게 파편 방지대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바샤티옹은 상술했다시피 전면 장갑은 차체 하단이 대놓고 노출된 게 아닌 이상 대구경 고폭탄까진 비관통이 뜨는 정도 방호력은 갖춘 만큼, 전면이 통상적인 고폭탄에도 프리패스인 그릴레나 FV4005와 달리 파편 방지대가 필수는 아니다.

체력은 경전차의 표준급인 1 700/1 802. 차체 상단이 60mm에 차체 상부는 50mm라 개량 장갑을 고르면 이론상 차체 상단으로 183의 철갑탄을, 차체 상부로는 152mm대 철갑탄도 절대도탄낼 수 있지만, 경전차는 적 탄을 도탄내기보단 기동성을 활용해 아예 안 맞게 회피하는 병종인 만큼 그 작은 장점을 위해 체력을 102나 희생하기보단 정밀 조립을 고르는 게 좋다.

기동
경전차답게 당연히 빠른 걸 넘어, 10티어 경전차 중 가속력/선회력 1위의 타이틀을 지키고 있다. 25.2톤 전차에 세팅 시 850마력을 넘어가는 엔진을 달았다 보니, 표기상 추중비부터 34.0을 찍고, 실 추중비는 도로 기준 38.02, 험지에서도 34.0을 찍는다. 가속력 자체는 몇몇 중형전차보다 낮긴 하지만, 일단 경전차 중에선 가속력이 가장 좋고, 그 어느 중형전차보다 최고 속력과 선회력은 더 높은 만큼 전반적인 기동성은 10티어 최정상급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굳이 아쉬운 걸 하나 찾자면 전진 최고 속력이 65km/h로 67km/h를 찍는 WZ-132-1이나 68km/h를 찍는 T-100 LT보단 낮다는 것. 물론 둘과의 차이는 끽해봐야 2~3km 정도로 적어 큰 의미가 없는 수준이고, 바샤티옹이 두 경전보다 가속력 및 선회력이 확연히 좋다 보니 실전에서의 기동성은 바샤티옹 쪽이 우위를 점한다. 이처럼 훌륭한 기동성 덕에 경전차의 본래 역할인 정찰도 잘 하고, 저격 위치에 빠르게 자리잡거나 전선을 옮기는 등의 전술 기동도 다른 경전차 이상으로 빠르게 할 수 있다.

게임플레이
10.3 업데이트 이전까진 난이도에 비해 2% 아쉬운 성능으로 인해 성능이 약하진 않아도, 다른 경전차를 누르고 굳이 채용할 이유는 없는 경전차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10.3 업데이트로 대폭 버프된 후에는 경전차로 재림한 너프 전 TVP[18]라는 말도 나올 정도로 평가가 상승했으며, 그에 따라 숙련의 증표컷도 상승하는 등의 변화가 발생했다.

10.3 업데이트로 시야 버프를 받은 후 기준, 인게임 전차들 중 시야 범위가 가장 넓다. 위장률 자체도 위장 스킬 7렙+승무원 113% 기준 정지/기동 시 40.51%, 위장까지 다 적용되면 게임 내 표기 기준 55%로 10티어 경전 중 2위인데, 여기에 시야가 최대 세팅 시 무려 331.0m까지 늘어난다. 정찰 특화 경전차인 T-100 LT보다 위장률 자체는 딸려도 시야가 29.0m나 긴 관계로 T-100 LT를 시야 싸움에서 이긴다. 이처럼 우월한 시야와 상술한 주포 및 기동 성능을 활용하면 절대다수의 전차를 시야 싸움에서 압도하면서 일방적으로 딜을 넣는 것도 가능하며, 게임 초반에도 적 경전차를 선 탐지 후 제거해 게임 초반부터 상대 팀과의 시야 싸움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전차 다운 기동성과 시야 싸움에서의 우위에 어지간한 클립 중형전차 이상의 화력까지 갖췄다 보니, 맵 전체를 꿰뚫어 보고 상황에 맞게 행동할 수 있는 유저의 손에서는 10티어에서도 손꼽히는 수준의 게임 장악력 및 후반 캐리력을 지닌 전차다. 2% 아쉬운 관통력은 압도적인 기동성을 이용한 우회 공격과 정밀 주포 사용 시 얻는 샤프슈팅 능력으로, 물몸인 점은 사실상 모든 전차를 시야 싸움에서 이길 수 있는 넓은 시야와 회피 기동 등으로 커버할 수 있다 보니, 이러한 장점들을 모두 활용 가능한 유저의 손에선 그야말로 적 팀을 갖고 노는 게 가능한 전차다.

다만 동시에 물몸 클립 전차, 그것도 경전차라는 점이 발목을 잡는 전차다. 부각이 안 좋은 물몸 클립 전차라 지형 활용 및 딜각 찾기가 까다로운 편이고, 클립 전차 특유의 현자타임은 여전한데 장갑도 없는 경전차다 보니 전탄 재장전 동안 적의 화력에 노출되면 순식간에 녹아내린다. 여기에 경전차답게 장갑 및 체력을 이용한 일방적/1대1 딜교환이 어려워 아군에 탱킹 및 엄호 등의 면에서 어느 정도 의존할 필요가 있는데, 이 때문에 아군이 죽어나갈수록, 또는 상대해야 하는 적 전차가 많아질수록 타 병종보다 활약하기도 어려워진다. 시야 싸움에서의 우위나 높은 기동성 등의 장점은 평범한 유저들이 활용하기 힘든 장점인 반면, 부각이 나쁜 물몸 클립 경전차라는 단점은 상대하는 입장에서 쉽게 역이용할 수 있다 보니, 운용 난이도가 낮을 수가 없는 것.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이전 티어와 마찬가지로 월탱 본가에서는 중형전차, 블리츠에서는 경전차로 나왔으며,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 최초의 10티어 경전차라, 미국의 셰리든과 영국의 Vickers Light 105가 나오기 전까지 유일한 10단계 경전차였다.

몇몇 10단계 전차와 마찬가지로 바샤티옹은 처음 연구시 정예 상태가 아니다. 45 000 XP를 들여 105 ㎜ mle. 57 ( D. 1504 ) 주포를 개발해야 정예가 되는데, 기존에는 100mm SA47 쪽 성능이 너무나도 좋지 못해[19] 자유 경험치로 패스하는 것이 정석이었다. 10.3 업데이트로 100mm SA47이 대폭 버프된 후에는 그래도 예전보단 견딜 만한 수준.

4.2 업데이트 출시와 함께 전설 위장 Musketeer 가 공개되었으며, 2 550 골드에 판매한다. 상단 두 번째 이미지 참조. 장착 시 게임 내 자신의 전차 이름 뒤에 Musketeer가 붙게 된다.
9.8 업데이트에서 신규 전설위장 Runner가 추가되었다. 적용시 포신 서멀슬리브와 사이드 스커트, 증가장갑 등의 장식이 추가되며 포탑 후방에는 전차의 현재 상태를 표시해주는 화려한 계기판형 전광판이 추가된다. 전투 시작시에는 전차를 둘러싸는 홀로그램 이펙트도 나온다. 이와 유사한 전광판 이펙트는 이후 Progetto 46의 Seeker 전설위장에도 적용되었다.


[1] 튜토리얼에서는 높은 관통력을 가지고 있는 전차라고 소개되며, 실질적으로 1티어만 봐도 떡장으로 유명한 일본의 르노 오츠의 차체를 그냥 뚫어버리고, 2~3티어도 40미리를 넘기는 관통력을 지녀 그 떡장이라던 독호치를 공략할 수 있다. 물론 6티어 이상부터의 관통력은..[2] 25미리짜리 클립포가 있는데 한 클립에 6발이라서 웬만한 76미리포의 데미지를 뽑아낸다.[3] PC월탱에는 아직도 존재한다.[4] 기본 주포는 -7/+4도[5] 전진 최고 속력이 63 ㎞/h나 되므로 시작하자마자 다 같이 전진하면 당연히 선두에 설 수 밖에 없다.[6] 4.4 업데이트 전에는 1.33초 였다[7] 몇번째 업데이트인지는 모르나 48발로 증가했다.[8] 7~8티어 환경에서는 슈투러 에밀, 라인메탈-보르지히 바펜트레거 뿐만 아니라 버프 이후 늘어난 불독과 그 상위 버전인 T49, 같은 프랑스 경전차 등은 생각 보다 38 ㎜ 관통 고폭탄이 관통 되는 부위가 많다.[9] 승무원 113% + 장전기 혹은 환풍기 기준.[10] 장전기는 -7% 장전시간 보너스가 있는데 환풍기는 그냥 모든 능력치 5%보너스라 장전시간 보너스가 장전기에 비해 많이 적기 때문이다.[11] 100% 기본 숙련 + 환풍기 + 파테 통조림 + 진한 커피[12] 스톡포지만, 100mm주포와는 또다른 장점을 가지고 있다. 탄간 재장전 2초는 13 90에서와 마찬가지여서 적응하기 수월하고, 무엇보다 철갑탄이 13 90의 것과 같은 모델이여서 가격이 100mm철갑탄보다 매우 저렴하다. 골탄도 13 90과는 다르게 성형작약탄이고, 가격은 3200크레딧.[13] Damage Per Shell[14] 대략 조준 성능 나쁜 중형전차/조준 성능 좋은 중전차 정도인데, 경전차는 딜링을 해야 할 시 허약한 장갑 때문에 최대한 빠르게 적에게 딜을 넣고 빠져야 하는 병과임을 감안하면 느린 조준 속도는 꽤나 발목을 잡는 요소다.[15] 물론 경전차에 달린, 그리고 후술하듯이 강력한 폭딜 능력까지 갖춘 주포치고는 그리 낮은 DPM이 아니다.[16] 너프 전 기준 4.5+@초 동안 1 240 대미지를 투사해 악명이 매우 높았다. 초당 약 276 대미지를 넣는 셈인데, 바샤티옹은 포탄 재장전 부스트 사용 시 초당 약 268 대미지로 너프 전 TVP T 50/51에 근접하는 폭딜을 보여준다. 순수 폭딜만 따지면 T57 Heavy의 3.5+@초 동안 1 200 대미지/M-VI-Yoh의 1.71초 동안 900 대미지/FV4005의 5.25초 동안 1 640 대미지 등 더 높은 전차들이 많긴 하지만, 바샤티옹은 이들보다 시야/위장률/기동성 모두 한참 우위인 경전차라는 점으로 차별화 가능하다.[17] 참고로 차체 상단 실 방호력은 몰라도 경사각 자체는 바샤티옹이 Vickers Light보다 우위인 관계로 Vickers Light 차체 상단이 철갑탄에 관통되는 각도에서도 바샤티옹의 차체 상단은 절대도탄이 뜬다.[18] 물론 바샷 쪽이 운용 난이도는 소대를 짜고 클립 전탄이 찰 때마다 4발 난사하기만 해도 게임을 이기는 수준이던 너프 전 TVP보다 한참 높다.[19] 애초에 8단계 주포였기에 관통력도 8티어 중전차급이었다. 골탄이 10티어 중형전차 은탄 정도 수준 관통력을 지녔으니 말 다한 셈. 당연하지만 이딴 관통력으로는 어지간한 10티어 장갑형 중전차에겐 이빨이 아예 안 박히고, 중형전차들 상대로도 이빨이 잘 안 박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