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9 10:12:17

육탄 10용사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405486,#000031>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포천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지리산 공비 토벌전
1951 ~ 195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남로당 깃발.png 조선인민유격대
일본 해상보안청의 평화선 침범 사건
1952 ~ 196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침범 및 점령시도 사건
1953 ~ 195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독도 대첩
1954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21 사태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베트남 전쟁
1965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3.7 완전작전
197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헤자즈 왕국 국기.svg 이라크
5.22 완전작전
199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07
파일:탈레반 기(1996~2021).svg 탈레반 정권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바트당 당기.svg 이라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및 저항 세력
항구적 자유 작전
2009 ~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아덴만 여명 작전
2011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 IS 군사 개입
2015 ~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파일:북한 국장.svg 북한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ed1c27>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포천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UN기.svg 유엔군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베트남 전쟁
1967 ~ 1969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남베트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21 사태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EC-121 격추 사건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제4차 중동전쟁
197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앙골라 내전
1975 ~ 1980년대
파일: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당기.svg 앙골라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파일:앙골라 민족해방전선 당기.svg FNLA 파일: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기.svg FLEC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우간다 내전
1980 ~ 1986
파일:우간다 국기.svg 민족저항군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일본 순시선 괴선박 격침 사건
200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홍단호 사건
2007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Edward_England.svg.pn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시리아 내전
2011 ~
파일:시리아 국기.svg 자유 시리아군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4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1. 개요
1.1. 명단
2. 상세
2.1. 이전 상황2.2. 전개2.3. 이후
3. 허위 전공 논란
3.1. 사건 개요3.2. 허위 조작 보고3.3. 대통령까지 보고된 성대한 장례식3.4. 평양에서의 진실3.5. 증언의 신빙성3.6. 기타, 반응 및 생존설
4. 기타5. 군가

1. 개요

1949년 5월 4일 개성 송악산에서 조선인민군 육군 토치카자폭 공격한 대한민국 육군 군인들. 그들의 명단은 이하와 같다.

1.1. 명단

성명 계급 및 군번 출신지 (출생 당시 기준) 비고
서부덕 (徐富德) 이등상사 (군번:5300845)[1] 전남 광산군 송정읍 서봉리[2] [3]
박창근 (朴昌根) 하사 (군번:5363327)[4] 전남 완도군 노화읍 동고리[5] [6]
박평서 (朴平緖) 일등병 (군번:1304570)[7] 전남 나주군 공산면 남창리[8]
황금재 (黃金載) 일등병 (군번:1304570) 전북 익산군 용안면 법성리[9]
오제룡 (吳濟龍) 일등병 (군번:1301256) 전북 임실군 삼계면 삼은리[10]
윤옥춘 (尹玉春) 일등병 (군번:1202119) 충청남도 대전시 덕진동 덕진리[11] [12]
양용순 (梁用順) 일등병 (군번:1109843) 함경북도 경원군 안농면 토성리[13] [14]
김종해 (金鍾海) 일등병 (군번:1202799) 경기도 수원군 동탄면 반송리[15] [16]
이희복 (李熙福) 일등병 (군번:5303294) 경기도 수원군 반월면 속달리[17] [18]
윤승원 (尹承遠) 일등병 (군번:1202458) 경기도 수원군 안룡면 안녕리[19]

2. 상세

2.1. 이전 상황

6.25 전쟁 발발 이전인 1948년부터 남북 간의 무력 충돌은 38선 전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무력 충돌은 남북이 정식으로 국가를 수립한 1948년 후반부터 보다 더 격화되었으며 개성도 이러한 충돌이 격화된 곳들 중 한 곳이었다.[20]

개성시에 위치한 송악산은 상당히 골 때리는 곳이었다. 개성 시내는 명백히 38선 이남에 위치해 있었지만 송악산은 38선 이북에 있었다. 즉, 북한군은 그냥 송악산 고지에 앉아서 개성 시내를 마음껏 감제할 수 있었고 한국군 입장에서 송악산은 눈엣가시였다. 때문에 1948년부터 한국은 대통령 이승만까지 나서서 송악산을 점령하라고 성화였고 대놓고 삼팔선을 무시할 수는 없었던 한국군이지만 송악산의 군사적 중요성 때문에 송악산으로 올라가는 길목마다 진지를 구축했다.

그리고 1949년 5월 3일 조선인민군 육군은 이러한 대한민국 육군의 여러 진지를 기습하여 함락했다. 기습당한 육군 제1사단 제11연대는 즉시 반격했으나 실패했다. 고지에 북한 육군이 방어 시설로 구축한 토치카를 제압하지 않고는 반격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2.2. 전개

5월 4일 낮 12시 박창근 보병하사가 먼저 수류탄을 들고 토치카에 접근하여 토치카 하나를 파괴했다.

이와는 별개는 한국 육군은 토치카를 파괴하려는 특공대를 조직했고 81mm 박격포 포탄과 수류탄을 연결하여 급조한 폭탄을 각자 들고 최대한 은밀하면서도 빠르게 접근하여 토치카를 파괴하기로 결의했다. 즉, 자폭이었다. 물론 처음부터 자폭을 명시하진 않았지만 화력 엄호 없이 보병들만 폭탄을 들고 돌진하여 토치카를 파괴하라는 건 사실상 자폭 명령이나 마찬가지였다.

제1사단 제11연대 하사관교육대 분대장 서부덕 이등상사[21]가 제일 먼저 자원했다. 뒤이어 자원한 특별공격대 8명까지 합해 총 9명은 이 날 오후 14시 토치카로 접근하여 북한 육군의 빗발치는 포화를 뚫고 토치카에 돌격하여 자폭했다. 당시 한국 육군의 관측 기록으로는 4개의 폭연만이 발생하였으므로 토치카 4개만 파괴됐으리라 추정되지만, 국가보훈처 등의 소개를 보면 토치카 10개 파괴에 4개의 고지탈환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어쨌든 그들의 자폭 공격으로 북한 육군 토치카 상당수가 무력화 됐기 때문에 한국 육군은 즉시 반격하여 송악산 고지를 탈환할 수 있었다.

2.3. 이후

군인정신의 표상으로서 추앙받은 이 군인들은 1950년 12월 30일에 을지무공훈장을 추서받았고 서부덕 이등상사는 중위로, 나머지 9명은 일등상사로 특진했다. 전후에도 국군에서 육공군 안 가리고 정훈·정신 교육에 빠지지 않고 나오는 존재가 되었다. 이 군인들이 소속된 제11연대의 부대명은 아예 '육탄부대'가 되었다.

이 군인들을 다루는 영화 낙동강은 흐르는가가 제작되기도 했다고 알려졌지만 낙동강은 흐르는가는 제목에서 보듯 1950년 낙동강전선이 배경이며 아무런 관련이 없는 영화이다. 육탄 10용사를 기리는 군가가 따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매년 이 군인들을 기리는 추모 행사도 열리며, 이 군인들의 출신지에는 충혼탑이 세워지기도 했다. 지금도 1사단 예하 부대 상당수는 부대 입구에 육탄 10용사 관련 문구를 써 넣는다. 병점역동탄신도시 일대를 잇는 도로 중 하나는 이름부터 '10용사로'다. 물론 이것은 도로가 지나가는 반송동에 있는 육탄 10용사기념공원에서 따온 것인데, 용사 중 한 명인 김종해가 동탄면 출신이기도 하다. 정작 이들이 자폭하며 공격한 송악산 일대는 휴전 후 북한령으로 넘어가면서 현재는 미수복 지역이다.

매년 5월 4일마다 파주 통일 공원에서 육탄 10용사 추도식이 열린다.

3. 허위 전공 논란

1949년 5월 4일 1사단 13연대는 사단의 예비연대로 교전 중이던 11연대의 상황에 따라 투입하도록 대기 상태에 있었다. 당시 13연대장은 김익렬 대령이었고 1964년 5월 4일 전 국방부장관인 박병권 장군의 자택에서 증언하여 2003년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에서 발간된 '6.25 전쟁 참전자 증언록'에 실렸다.
{{{#!folding [ 송악산지구 육탄 10용사의 진상 ]
파일:육탄10용사진상.jpg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 전쟁 참전자 증언록 1권》 (2003년) 69쪽 원문
}}}

3.1. 사건 개요

육탄 10용사 사건이 펼쳐진 송악산 5.4 전투 작전을 수행한 11연대장인 최경록 중령은 격전 중이던 일선부대로 박격포탄을 보급하기 위해 공병소대장 박 소위에게 하여금 10명을 공동 지휘하여 박격포탄을 짊어지고 송악산으로 출발시켰다. 그러나 박 소위는 지형을 숙지하지 못하여 이동 도중 적과 불의에 조우하여 부하들을 수습지휘하지 못하고 혼자 탈출하였고 대원 10명은 박격포탄을 짊어진채 모조리 적의 포로가 되었다. 정보주임 장교는 계통을 따라 사단 G-2에 보고하였고 사단장 김석원 장군은 대노하여 당장 박 소위를 총살하라고 명령하였다.

3.2. 허위 조작 보고

정식보고에서 11연대장 최경록은 사단장에게 '사실은 참모보고는 사실이 아니고 대원 10명이 모조리 포탄을 안고 적진에서 자폭한 것'이라고 정정보고 하게 되었다. 당시 연대장이었던 최경록 중령과 공병소대장인 박 소위는 사실상 친구지간으로서 일본 학병의 동기인가 하여 막역한 사이였고 따라서 박 소위를 총살에서 구출하기 위해서는 사단장에게 거짓말을 하는 수밖에 없었다.

3.3. 대통령까지 보고된 성대한 장례식

사단장 김석원 장군은 11연대장의 정식보고 자리에서 뜨거운 눈물을 흘리면서 '일본군에는 육탄삼용사가 있었지만 우리에겐 육탄 10용사가 나왔다'고 이 사실을 이승만 대통령에게까지 보고하였다. 사단장은 상부에 건의하여 대대적인 장례식 행사 준비를 하였고 당시 사단장 김석원과 감정 대립이 악화되었던 채병덕 참모총장은 하루 전 불승인하였으나 이종찬, 이용문 대령 등이 '육탄 10용사는 국군의 전통과 사기진작에도 좋으니 행사를 하자'고 권고하여 서울운동장에서 성대히 거행되었다.

3.4. 평양에서의 진실

북한군의 포로가 된 육탄 10용사는 평양에서 대대적인 환영을 받았고 살아 있다는 방송을 하고 가족들에게 편지도 보냈다고 한다. 그리고 13연대장이었던 김익렬 본인이 6.25 전쟁에서 평양에 입성했을 때 육탄 10용사가 꽃다발을 받고 있는 사진을 보고 놀랐다면서 이는 순전히 11연대장 최경록 중령의 조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였고 '사단장이었던 김석원 장군은 이러한 사실을 모르고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3.5. 증언의 신빙성

증언자인 김익렬 장군은 제주 4.3 사건에서 진상에 접근할 수 있는 핵심에 있었던 인물로 '4.3의 진실'이라는 회고록을 집필하고 사후 공개하라는 부탁을 남겼으며(회고록) 말미에 '개인적으로는 고인의 죄상을 덮어두는 것이 인간적 예의라고 생각하나 침묵을 지키기에는 역사의 증인으로서 나의 양심의 가책이 너무 컸다.'는 내용을 남기기도 했다.

이 사건에 비해 '육탄 10용사'는 가벼워 보일 수 있지만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쟁 영웅으로 추앙받는 또 다른 무거운 주제이기도 하다. 김익렬 장군은 자신이 경험한 제주 4.3 사건처럼 송악산 전투를 지근거리에서 상황을 주시하고 있었고 내부 사정과 배경에 대해서 소상히 알 수 있는 객관적 위치에 있었다. 그런 그가 15년이 지난 동월 동일인 1964년 5월 4일 전 국방부장관인 박병권 장군의 자택에서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의 전신인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와 대담했다면 그 자체만으로 진실을 밝히기 위한 김익렬 장군의 숨겨진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증언록이 국방부 민원으로 2011년에 삭제되었다는 주장을 담은 글이 지만원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게시되었는데 이 내용은 지만원이 연재한 뉴스타운 기사에 '1964년 김익렬이 육탄 10용사에 대해 거짓말을 하여 2011년에야 뻥이었음이 들통났다'고 작성되었다. 그는 장군의 제주 4.3 사건 회고록 역시 필체를 빌려 창작한 것은 아닌지 의심했다.

국방부에서 발간한 증언록이기 때문에 녹음이나 수기 원고와 같은 기본 자료 없이 증언록에 포함될 가능성은 없다. 예나 지금이나 큰 논란이 되기 때문에 제주 4.3 사건의 회고록처럼 김익렬 장군이 차후 공개해 달라는 당부를 남겼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3.6. 기타, 반응 및 생존설

4. 기타

육탄10용사의 활약을 사실이라고 가정하더라도, 이들의 자폭 공격을 찬양해야 할지 논란이 있다. 잘못하면 목숨을 내다버리는 카미카제 같은 전체주의적 미화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군인들의 '희생 정신'만을 기려야 하지 이 군인들의 자폭 자체는 극한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사용한 수단이라는 게 중론이다.

당시 한국군 상층부는 육탄 10용사의 활약을 치하하면서 이들을 구 일본 육군폭탄삼용사(육탄 3용사)에 빗대었는데, 폭탄삼용사는 이후 조작임이 밝혀졌다. #

6.25 전쟁 당시 이러한 자폭 돌격과 대전차총검술을 행한 일은 육탄 10용사들 외에도 꽤 많이 전해진다. 이렇게 분전했는데도 초기 한국 육군의 오래되어 바로잡기 어려운 문제점인 열악한 장비와 북한의 기습 침공의 충격 탓에 몇몇 예외를 제외하면 전방에 배치된 여러 사단은 대부분 참패하여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육탄 10용사와 비슷한 예로 춘천-홍천 전투의 육탄 11용사가 있다. 이들은 선두 전차가 피격당해 멈춘 틈을 타 해치 안으로 수류탄과 박격포탄을 넣거나 승무원을 사살해 자주포전차 10대를 파괴하거나 노획했다. 그리고 이들은 전원 생존하였다.

이러한 자폭 돌격이 6.25 전쟁 당시 성행한 이유는 대한민국 육군의 초창기에 미군이 제공해서 개전 전에 보유하던 바주카와 중화기로는 밀려오는 북한 육군의 전차부대를 도저히 방어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22][23] M3 105mm 견인곡사포가 그나마 조금 유효하긴 했지만 물량이 부족하여 무작정 쏠 수 없었다. 결국 어쩔 수 없이 대전차 지뢰를 직접 가지고 돌격하여 터뜨리는 전술을 최후의 수단으로 쓸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 당시 북한 측 지휘관인 최현은 이후 진천 전투에서 수도사단장으로 부임한 김석원과 재격돌했고 그의 사단에 일주일 가량 발목이 묶이자 "또 그 놈과 만나 이 꼴이 됐군. 그 놈은 교묘히 병사들을 휘어잡는단 말이야."라며 불평하였다고 한다.

이 명칭이 붙은 도로명이 경기도 화성시에 존재한다. 동탄1신도시 남단에서 서동탄역 방면으로 향하는 도로의 명칭이 10용사로다.

5. 군가

육탄 10용사를 기리는 군가인 '육탄 10용사'가 있다.


<1절>
비둘기 고지에는 초목도 운다
적탄이 비 오던 날 아군의 용전
들었나 포연 속에 적군의 얼굴
서상사[24]는 원합니다 특별공격
부대장을 울려주던 애원의 소리
장하다 우리용사 아~ 십용사

<2절>
유엔 고지에는 적구도 운다
토치카 파괴하던 십삼시 이십분
붉고 검은 얼굴위에 방긋 웃었소
내 한 젊은 장한다짐 최후의 부탁
지축을 흔드는 폭발의 소리
장하다 우리용사 아~ 십용사


[1] 현재의 중사. 이후 중위로 추서.[2] 現 광주광역시 광산구 서봉동.[3] 1931년 4월 25일생으로, 16살이던 1947년 11월 국방경비대에 입대하여 복무했다. 이듬해인 1948년에 1사단으로 전입해 왔으며 이 전투에서 지휘 분대장을 맡았다. 그리고 전사했을 당시 서부덕 이등상사는 겨우 18살이었다.[4] 당시 이등중사로써 현재의 상, 병장에 해당한다. 이후 박창근 하사를 포함한 아래 아홉 명은 전원 상사로 추서되었다.[5] 現 완도군 노화면 동천리.[6] 1927년 4월 8일생으로 전사 당시 중화기 소대 분대장이었으며 향년 21세. 또한 유일하게 특공대 조직 전에 산화한 1명이기도 하며 10용사 중에서 유일하게 시신이 수습되었다. 시신 수습시 밝혀진 바에 의하면 토치카로 돌진하던 도중에 북한군 단도화기 저격수에게 사살된 것으로 확인되었다.[7] 당시 분대원들은 모두 일등병이었으며 이는 현재의 일, 이병에 해당한다. 이후 박창근 하사와 함께 상사로 추서되고 을지무공훈장이 추서됨.[8] 現 나주시 공산면 남창리.[9] 現 익산시 용안면 법성리.[10] 現 임실군 삼계면 삼계리.[11] 덕진동의 경우 전쟁 이후로 충남 대전시 법진동으로 바뀌었다가 현재는 대전광역시 문화동 으로 변경되었다.[12] 1929년 4월 14일생. 1971년 5월 10일에 고향인 대전광역시 문화동에 위치한 대전 문화공원에 전공비가 세워졌다. 전공비는 현재 중구 대사동 보문산 초입에 위치하고 있다.[13] 現 이북 5도 기준으로는 함북 경원군 안농면 류다섬리.[14] 10용사 중 유일한 이북 출신이다.[15] 現 경기도 화성시 반송동.[16] 1933년 5월 6일생으로 전사 당시 16세. 반송 중학교 1학년 재학중에 입대했으며 1969년에 전사한지 20주기를 맞이하여 그가 실제로 다녔던 반송 중학교에서 명예졸업장이 주어졌다.[17] 現 경기도 군포시 속달동. 해방 이전에는 송달리로 불리웠으며 1971년에 군포시로 편입되었다.[18] 1928년 3월 28일생. 2009년 6월 19일에 군포시에 위치한 금정동 한얼공원에 그의 동상이 건립되었다.[19] 전쟁 이후에는 태안면 안녕리가 되었다가 1966년에 경기도 화성시로 편입되어 화성시 안녕동이 되었다.[20] 특히 개성에는 정몽주의 상징인 선죽교까지 있어서 전투 시에 선죽교가 파괴될 것은 명약관화였다.[21] 당시 대한민국 국군 사병의 계급은 다음과 같았다.
특무상사=원사
일등상사=상사
이등상사=중사
일등중사 및 이등중사=하사
하사=상, 병장
일등병=일, 이등병
이등병=훈련병(무등병)
[22] 이 바주카가 SU-76M 자주포는 잡을 수 있었지만 T-34에는 거의 소용이 없었다. 미군조차도 스미스 대대가 탈탈 털리고 전쟁 초반 골치를 썩다 부랴부랴 시제품까지만 나왔던 M20 슈퍼 바주카를 가져오고 나서야 비로소 T-34를 잡을 수 있었다.[23] 조금 더 정확히는 6파운더 대전차포의 경우 어느 정도 유효타를 줄 수 있었다. 실제로도 낙동간, 청주, 수원 일대에서 T-34를 몇 대 씩 잡은 사례들이 존재하지만 철갑탄 부족과 숙련도 문제 그리고 보병의 화력지원에 치중된 대전차포 운용방식 때문에 전과가 신통치 않았다.[24] 서부덕 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