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13:04:36

음식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00d45><colcolor=#F0AD73> 고사십이집 · 고종무진진찬의궤 · 고종정해진찬의궤 · 기해진연의궤 · 군학회등 · 규곤요람 · 규합총서
다신전 · 도문대작 · 동다기 · 동다송
사가집· 산가요록 · 산림경제 · 소문사설 · 수운잡방 · 순조기축진찬의궤 · 술빚는법 · 시의전서 · 식료찬요
양주방 · 역주방문 · 영접도감의궤 · 영조갑자진연의궤 · 온주법 · 요록 · 우음제방 · 원행을묘정리의궤 · 윤씨음식법 · 음식디미방 · 음식방문 · 음식방문니라 · 음식보 · 이씨음식법 · 임원경제지
정청일기 · 주방문 · 주식시의 · 주찬 · 주초침저방 · 증보산림경제
최씨음식법 · 치생요람
풍정도감의궤
혜경궁진찬소의궤 }}}}}}}}}



1. 개요2. 내용3. 구성

1. 개요

飮食譜. 조선 시대 1700년대 편찬된 것으로 여겨지는 한글 요리책.

2. 내용

1969년에 광주광역시에서 발견되었다. 저자는 알 수 없으며 책의 표지에 "음식보(飮食譜)·오복제(五服制) 합부(合部)", "석애선생부인(石崖先生夫人)·숙부인(淑夫人)·진주정씨(晉州鄭氏)"라 적혀있지만 학자들은 저자는 미상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하고 있다.

microfilm을 통한 책 용지의 상태, 조리 내용, 기술 용어 등을 확인해본 결과 주방문, 음식디미방과 비슷한 연대거나 조금 늦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1600년대 말엽에서 1700년대 쯤에 편찬된 것으로 보인다.

3. 구성

주류가 12종, 반찬류가 12종, 만두와 상화 3종, 병과류가 8종이고 해독이 전혀 불가능한 상태로 음식 명칭만 알 수 있는 것이 1종이 있어 총 36종의 음식 조리법이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