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01:09:17

이치조 덴노

이치조 천황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일본 신화|
전승
]]
<rowcolor=#DCA6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진무 안네이 이토쿠 고쇼
<rowcolor=#DCA600>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고안 고레이 고겐 가이카 스진
<rowcolor=#DCA600>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스이닌 게이코 세이무 주아이
[[고훈 시대|
고훈 시대
]]
<rowcolor=#DCA600>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오진 닌토쿠 리추 한제이 인교
<rowcolor=#DCA600>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안코 유랴쿠 겐조 닌켄
<rowcolor=#DCA600>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부레쓰 안칸 센카 긴메이
<rowcolor=#DCA600> 제30대 제31대 제32대
비다쓰 요메이 스슌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
<rowcolor=#DCA600>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스슌 스이코 조메이 고교쿠
<rowcolor=#DCA600>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고토쿠 사이메이 덴지 고분
<rowcolor=#DCA600> 제40대 제41대 제42대 제43대
덴무 지토 몬무 겐메이
[[나라 시대|
나라 시대
]]
<rowcolor=#DCA600> 제43대 제44대 제45대 제46대
겐메이 겐쇼 쇼무 고켄
<rowcolor=#DCA600>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준닌 쇼토쿠 고닌 간무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
<rowcolor=#DCA600> 제50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간무 사가 준나 닌묘
<rowcolor=#DCA600> 제55대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몬토쿠 세이와 요제이 고코 우다
<rowcolor=#DCA600> 제60대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다이고 스자쿠 엔유
<rowcolor=#DCA600>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가잔 이치조 산조
<rowcolor=#DCA600> 제70대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고산조 도바
<rowcolor=#DCA600> 제75대 제76대 제77대 제78대 제79대
스토쿠 고노에 니조 로쿠조
<rowcolor=#DCA600> 제80대 제81대 제82대
안토쿠 고토바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
<rowcolor=#DCA600> 제82대 제83대 제84대 제85대 제86대
고토바 준토쿠 주쿄
<rowcolor=#DCA600> 제87대 제88대 제89대 제90대 제91대
고사가 고우다
<rowcolor=#DCA600> 제92대 제93대 제94대 제95대 제96대
후시미 고니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남북조시대(일본)|
남조
]]
<rowcolor=#DCA600> 제96대 제97대 제98대 제99대
조케이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
<rowcolor=#DCA600> 제100대 제101대 제102대 제103대
쇼코
<rowcolor=#DCA600> 제104대 제105대 제106대
고나라 오기마치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rowcolor=#DCA600> 제106대 제107대
오기마치 고요제이
[[에도 시대|
에도 시대
]]
<rowcolor=#DCA600> 제107대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메이쇼 고코묘
<rowcolor=#DCA600> 제111대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고사이 레이겐
<rowcolor=#DCA600> 제115대 제116대 제117대 제118대
모모조노
<rowcolor=#DCA600> 제119대 제120대 제121대 제122대
고카쿠 닌코 고메이 메이지
근현대
<rowcolor=#DCA600>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제125대
메이지 다이쇼 쇼와 아키히토
<rowcolor=#DCA600> 제126대
나루히토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
[[나라 시대|
나라 시대
]]
제35대
제41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지토 겐쇼 쇼무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
제46대
제49대
제51대
제52대
고켄 고닌 사가
제53대
제56대
제57대
제59대
준나 우다
제61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스자쿠 엔유 가잔
제66대
제67대
제69대
제71대
이치조 산조 고산조
제72대 [[인세이|
원정
]]
제74대 [[인세이|
원정
]]
제75대 [[인세이|
원정
]]
제77대 [[인세이|
원정
]]
도바 스토쿠
제78대
제79대
제80대 [[인세이|
원정
]]
니조 로쿠조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
제82대 [[인세이|
원정
]]
제83대
제84대
추존 [[인세이|
원정
]]
고토바 준토쿠
제86대 [[인세이|
원정
]]
제88대 [[인세이|
원정
]]
제89대 [[인세이|
원정
]]
제90대 [[인세이|
원정
]]
고사가
제91대 [[인세이|
원정
]]
제92대 [[인세이|
원정
]]
제93대 [[인세이|
원정
]]
제95대
고우다 후시미
[[남북조시대(일본)|
남조
]]
제95대
제96대
제98대 [[인세이|
원정
]]
조케이
[[남북조시대(일본)|
북조
]]
제95대
북조 초대 [[인세이|
원정
]]
북조 제2대
북조 제3대 [[인세이|
원정
]]
고곤 고묘 스코
북조 제4대
북조 제5대 [[인세이|
원정
]]
고코곤 고엔유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
북조 제3대 [[인세이|
원정
]]
북조 제5대 [[인세이|
원정
]]
제98대
제99대
제100대 [[인세이|
원정
]]
추존
제102대 [[인세이|
원정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제106대
추존
요코
[[에도 시대|
에도 시대
]]
제107대
제108대 [[인세이|
원정
]]
제109대
제111대
메이쇼 고사이
제112대 [[인세이|
원정
]]
제113대 [[인세이|
원정
]]
제114대
제115대 [[인세이|
원정
]]
제117대
제119대 [[인세이|
원정
]]
고카쿠
[[일본국|
현대
]]
제125대

}}}}}}}}}}}}
파일:1280px-Emperor_Ichijō.jpg
시호 이치조 덴노(一条天皇, 일조 천황)
야스히토(懐仁)[1]
능호 노치노무라카미능(後村上陵)
생몰 980년 7월 15일 ~ 1011년 7월 25일
재위 986년 8월 1일 ~ 1011년 7월 16일
연호 에이엔(永延)[2]→에이소(永祚)→쇼랴쿠(正暦)→조토쿠(長徳)→조호(長保)→칸코(寛弘)
황거 헤이안쿄(平安京)
1. 개요2. 행적3. 가계4.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제66대 천황.

엔유 천황의 아들이었다.

2. 행적

황태자 시절의 이름은 야스히토 친왕이었다. 엔유 덴노와 후지와라노 아키코(혹은 센시)의 장남으로 태어났는데 어머니 아키코는 후지와라노 카네이에의 딸이었다.

984년 그는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그의 외조부였던 카네이에가 가잔 천황으로 하여금 퇴위하도록 각본을 짰다는 소문이 돌았다. 이치조는 7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했다.

이치조 천황의 나이가 어렸기에 외조부였던 후지와라노 카네이에가 섭정을 했고, 990년 1월 5일에 성인식을 치렀다. 이치죠 천황의 재위기간은 외척인 후지와라 가문에 의한 섭관정치의 전성기에 해당했으며, 문화적으로는 많은 작품들이 탄생한 국풍 문화의 전성기였다. 세이 쇼나곤, 무라사키 시키부, 이즈미 시키부, 이세노 다이후, 아카조메에몬 등의 여류 작가들은 이치조 천황의 후지와라노 테이시 중궁과 후지와라노 쇼시 중궁을 모시던 궁녀들로, 각자 모시던 황후들을 지원하기 위해 문화 예술의 재능을 발휘했으며[3] 아베노 세이메이아시야 도만이라는 음양사도 이치조 천황의 치세를 살았던 사람들이었다.

1011년 6월 13일 병으로 인하여 사촌형이었던 이야시다 친왕(산조 천황)에게 양위하고 6월 22일 32세의 나이로 붕어했다.

3. 가계


5명의 배우자와의 사이에서 5명의 자녀를 두었다.

4. 기타

첫 황후 후지와라노 테이시와 나눈 열렬한 사랑으로 유명하다. 이치조 덴노가 고작 11살 때 외삼촌 후지와라노 미치타카의 딸로 외사촌이었던 테이시가 여어로 입궁했는데 율령에 따르면 황후가 될 수 없었는데도 미치타카가 법령을 억지해석해서 황후로 책립되었다. 이런 과정과는 별개로 이치조 덴노보다 3살 연상의 아름답고 교양도 풍부했던 테이시는 이치조에게 첫사랑이나 다름없어서 부부간의 금슬은 정략결혼치곤 이례적으로 좋았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테이시의 무리한 황후 책봉부터 미치타카의 아들들인 코레치카와 타카이에도 칙서를 위조하려고 한다거나, 집안을 등에 업고 다른 귀족에게 갑질을 하는 등의 온갖 만행을 저질러서 미치타카 일족은 귀족들에게 많은 반감을 샀다.

결국 이로 인해 미치타카의 때이른 죽음 이후 테이시의 숙부이자, 이치조 덴노의 또 다른 외삼촌인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에게 권력이 넘어가버린다.[5] 급기야 테이시의 형제들인 코레치카와 타카이에가 여자 문제로 가잔 상황에게 화살을 쏘고 그의 시동까지 살해하여, 현 후쿠오카 일대인 다자이후(大宰府)로 유배를 가는 쵸토쿠의 변이 일어나면서 테이시의 친정은 완전히 몰락한다. 테이시 본인도 어지간히 상황파악을 못했는지[6] 대형사고를 저지른 형제들을 이치조 덴노의 명마저 거역하고, 처소에 몰래 숨겨주다가 집안을 때려부수며 대대적인 수색을 당한 충격에 덴노의 아이를 임신한 몸으로 출가하고 말았다. 그럼에도 테이시를 사랑했던 이치조 덴노는 테이시가 장녀인 유시 내친왕을 낳자 어떻게든 환궁시키려고 했고, 귀족들이 거세게 반대하자 궁 옆 외진 곳에 위치한 관청에 머물게 하고 주변 눈치를 보며 몰래 만나기까지 했다. 이로 인해 테이시의 평판과 입지가 바닥으로 떨어진 건 물론 그녀를 무리하게 불러들인 이치조 덴노의 평판까지 나빠졌다.[7] 이치조 덴노는 지고지순하게 테이시를 사랑했다고 하나 결국 현 권력자인 미치나가의 딸 후지와라노 쇼시를 황후로 맞을 수밖에 없었고 일종의 타협책으로 쇼시는 중궁이 되고 테이시는 황후로 남았다.[8] 하지만 친정이 몰락하고 후견인도 없는 테이시는 미치나가의 압박을 받으며 눈치를 봐야했고[9] 결국 셋째인 비시 내친왕을 낳고 산후열로 먼저 세상을 떠났다.

테이시의 사후 그녀의 친여동생이자 궁정시녀로 같은 외사촌이었던 미쿠시게도노를 후궁으로 삼아 총애했고, 미쿠시게도노도 언니의 대리인으로서 테이시의 자녀들을 대신 양육하고 회임도 했지만 임신 상태로 1002년에 요절해버렸다.
==# 천황 계보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4대
제23대
제22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3대
제32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41대
제40대
제39대
제43대
제49대
제44대
제42대
제47대
제50대
제45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46대
제48대
제54대
제55대
제58대
제56대
제59대
제57대
제60대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제67대
제66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제77대
제76대
제78대
제80대
제79대
제81대
제82대
제86대
제83대
제84대
제87대
제88대
제85대
제89대
제90대
제92대
제91대
제93대
제95대
제94대
제96대
북조 초대
북조 제2대
제97대
북조 제3대
북조 제4대
제98대
제99대
북조 제5대
북조 제6대
제100대
제102대
제101대
제103대
제104대
제105대
제106대
제107대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제111대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제115대
제117대
제116대
제119대
제118대
제120대
제121대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제125대
제126대




[1] '카네히토'라는 독음도 존재했다고 한다.[2] 본 연호를 따서 에이엔노미카도(永延帝)라고도 한다.[3] 테이시 중궁 소속이 세이 쇼나곤이었고 쇼시 중궁 소속이 무라사키 시키부, 이즈미 시키부, 이세노 다이후, 아카조메에몬이었다.[4] 테이시의 동복여동생으로 원래 언니 테이시를 모시던 궁정시녀였다. 언니 테이시가 산욕열로 죽자 사실상 언니의 대리인을 자처하면서 이치조 천황의 총애를 받기 시작했고 회임까지도 하지만 임신상태로 1002년에 요절해버렸고, 또다른 동복언니이자 산조 천황의 동궁비였던 겐시(源子) 역시 같은 해 요절함으로서 미치타카의 적녀들은 죄다 죽어버리는 사태가 발생했다.[5] 이치조의 모후이자 미치타카와 미치나가의 누이인 후지와라노 센시마저 미치타카 일가가 자신을 무시하는 것에 분노하여 아들 이치조 덴노에게 다음 실권자의 자리는 미치타카의 자식이 아닌 형제순으로 돌아가야한다고 매우 강하게 밀어붙이며 미차나가가 차기 권력자가 되는데 큰 도움을 줬다.[6] 실제 역사에서도 교양이 풍부했던 것과 별개로 상당히 생각없고 경솔한 면이 많아 문제를 일으킨 적이 꽤 있어서 황후로서의 자격은 후임자이자 친사촌인 후지와라노 쇼시에게 밀린다고 평가받는다.[7]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정적들조차 테이시에 대해 비구니를 궁에 불러들이는 전대미문의 사태라며 비난할 정도였다. 이후 이 미치나가의 정적들은 전대미문인 미치나가의 딸 쇼시의 황후 책봉도 지지할만큼 테이시를 공공의 적으로 여겼다.[8] 원래 중궁은 황후를 가르키는 또 다른 표현인데 살아있는 테이시를 폐할 수 없어 중궁과 황후를 별개의 지위로 분리해서 쇼시를 책립하여 테이시와 동등한 지위로 만들었다. 말도 안되는 꼼수였지만 미치타카가 먼저 이 방법으로 테이시를 황후로 만들었기 때문에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9] 장녀 유시 내친왕의 탄생 50일 기념연회에 대신과 대납언들이 테이시에 대한 반감과 미치나가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죄다 불참석했고 사후 둘째이자 외아들인 아츠야스 친왕도 쇼시 소생의 아츠히라 친왕에게 밀려 동궁이 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