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금란고등학교 관련 틀 | |||||||||||||||||||||||||||||||||||||||||||||||||||||||||||||||||||||||||||||||||||||||||||||||||||||||||||||||||||||||||
|
학교 전경 |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금란고등학교[1] 梨花女子大學校師範大學附屬梨花金蘭高等學校 EWHA WOMANS UNIVERSITY HIGH SCHOOL[2] | |
교 훈 | 진 선 미 眞善美[3] |
개교 | <colbgcolor=white,#1c1d1f>1958년 4월 1일[4][5] |
유형 | 광역단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6] |
성별 | 남녀공학[7] |
교장 | 이윤규 |
교감 | 이은학 |
학교법인 | 학교법인 이화학당 |
학생 수 | 1,101명[성비][기준] |
교원 수 | 88명[성비2][기준] |
상징 | 배꽃 |
관할 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
홈페이지 | |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성산로에 위치한 자율형 사립고등학교.1958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의 부속 고등학교로 개교한 (구)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고등학교와 1960년 개교한 (구)이화여자대학교 병설 금란여자고등학교가 2001년 통합하였다.
2. 학교 연혁
교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구)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고등학교와 (구)이화여자대학교 병설 금란여자고등학교가 2001년 통합하여 탄생한 고등학교이다. 하지만 교표와 교훈 등 학교의 상징물은 (구)이대부속고등학교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학생들 대부분은 현재의 이대부고가 금란여고와의 통합을 통해 탄생한 학교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다.다만 학교의 건물은 (구)금란여자고등학교의 건물을 사용한다. 2001년 통합 이전까지 이대부고는 이대부중과 같은 건물을 사용하였다.[12]
2.1. 통합 전 (구)이대부속고등학교의 연혁
1958년 4월 1일 |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개교, 초대 차재순 교장[13] 취임 |
1961년 | 2월 14일 제 1회 졸업생 배출, 3월 1일 학급 증설 (각 학년 3학급, 총 9학급) |
1965년 | 제 2대 박정례 교장[14] 취임 |
1967년 | 체육관 및 특별교실 준공(물리, 화학, 생물, 조리, 미술, 유도, 무용, 음악실) |
1971년 | 4층 증축 공사 준공(도서실, 보통교실 5실, 특별교실 1실) |
1972년 | 학급 증설(각 학년 4학급, 전 12학급) |
1972년 | 운동장 확장공사 및 담장 공사 준공 |
1973년 | 제3대 김영숙 교장[15] 취임 |
1977년 | 제4대 김연옥 교장[16] 취임 |
1980년 | 제5대 정식영 교장[17] 취임 |
1982년 | 학급 증설(각 학년 6학급, 전 18학급) |
1988년 | 제6대 최윤애 교장[18] 취임 |
1989년 | 5층 증축공사 준공(도서실, 독서실, 시청각실, 컴퓨터실, 교실 3실) |
1993년 | 제7대 이종록 교장[19] 취임 |
1994년 | 제8대 정세화 교장[20] 취임 |
1995년 | 제9대 이정환 교장[21] 취임 |
1997년 | 제10대 김태련 교장[22] 취임 |
2.2. 통합 전 (구)금란여자고등학교의 연혁
1960년 | 개교 |
1968년 | 이화여자대학교 병설 금란여자고등학교 |
1999년 | 이화여자대학교 병설 금란고등학교 (통합을 위해 남녀공학으로 전환) |
2.3. 통합 후의 연혁
2001년 | 3월 1일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고등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 병설 금란고등학교를 통합하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금란고등학교로 인가, 9월 1일 제11대 교장에 김규한 교수[23]가 취임 |
2005년 | 제12대 교장에 강순자 교수[24]가 취임 |
2008년 | 제13대 교장에 유정문 교수[25]가 취임 |
2009년 |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지정 |
2011년 | 제 51회 졸업 (총 졸업생 15,807명) |
2012년 | 제14대 교장에 이종경 교수[26]가 취임 |
2014년 | 제15대 교장에 이영하 교수[27]가 취임 |
2017년 | 제16대 교장에 심현섭 교수[28]가 취임 |
2021년 | 제17대 교장에 이윤규 교감[29]이 취임 |
3. 학교 상징
4. 학교 시설
교내에 엘리베이터는 설치 되어있지 않으나, 본관 지하 2층부터 지상 5층까지는 경사로로 이어져 있어 해당 부분에 한하여 휠체어 등의 이용이 가능하다. 단, 장애인 화장실이 없고, 점자가 설치 되어있지 않으며, 급식실 등 필수 시설이 경사로로 이어져있지 않는 등 학교 시설은 배리어프리로 설계된 것은 아니다.4.1. 본관
1970년 준공- 지하 2층 기사실, 창고, 풍물놀이실
- 지하 1층 기술∙가정실, 무용실, 체력단련실, 동아리연합회실, 멘토링실
- 1층 행정실, 교장실, 제2교무실[30], 평가관리실, 도서관, 보건실, 보건교육실, 체육실, 교무서고, 전산실, 진선미홀[31]
- 2층 1학년 교실(12학급), 1학년 교무실[32], 생활안전부실, 성적처리실, 지구과학실, 물리실
- 3층 2학년 교실(12학급), 2학년 교무실[33], 방송실, 생명과학실, 화학실, 과학준비실, 여교사휴게실
- 4층 3학년 교실(9학급), 3학년 교무실[34], 제1교무실[35], 자기주도학습실, 미술실
- 5층 3학년 교실(3학급), 교과교실, 진로진학부실, 입시전략실, 교목실
- 6층 제1음악실
- 7층 시청각실
- 8층 제2음악실
4.2. 신관
2003년 준공- 1층 급식실
- 2층 종교교양실, 수학실, 제2외국어실, 대회의실, 자기주도학습실, 학생회실, 자판기[위치]
- 3층 기도실, 자기주도학습실, 남교사휴게실
- 4층 체육관, 탈의실, 샤워실
- 5층 체육관 관람석
4.3. 매점
학교 건물과 독립된 가건물 형태로 존재한다. 본관 2-3층 사이 경사로와 신관 2층을 연결하는 야외 통로에 위치한다.2022년부터는 서점도 운영하고 있다.[37]
5. 학교 생활
5.1. 이화여자대학교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라는 특징 상 이화여대와 관련이 매우 깊다. 원래 학교장에는 이화여대 사범대 혹은 교육 관련 학과 소속 교수[38]가 임명되었다. 주로 정년이 얼마 남지 않은 교수들이 보직으로 맡는 편인듯 하며, 이로 인해 교사들이 가장 높이 승진할 수 있는 자리는 교감 딱 한자리이였다. 그러나 이화여대 사범대학 측에서 이제 부속학교장을 해당 학교의 교원 중에서 임명하기로 결정함[39]에 따라 2021학년도부터는 교수 대신 교사 출신이 교장을 맡게 되었다. 또 이화여대 소속 학교와 인사교류가 간간히 있는 편인데, 정년, 명예퇴직 등으로 공석이 발생하면 이대부중에서 교사를 데리고 온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간제 교사로 대체하는 경우도 많다.한편 거의 격주로 화요일 6교시에 치르는 교내 예배를 이대 대강당에서 한다[40]. 다만 대관료는 이대부속고등학교라고 해도 얄짤 없으며 대관료[41]를 꼬박꼬박 받는다. 또한 교생실습을 해마다 4월에 하게 되는데, 90% 이상이 이화여대 사범대의 여학생들이 교생으로 온다. 따라서 여자 교생이 대부분이다. 이 외에는 주로 졸업생들이 실습생으로 오는 편. 사범대학 부속학교인지라 실습학교를 개인적으로 섭외하지 못한 학생, 졸업생 등을 모두 수용하여 일반 학교에 비해 실습생들이 많이 오는 편이다. 1학년과 2학년 총 24학급에 일반적으로 한 학급에 2명 정도가 배치된다.
입학설명회, 입시설명회, 사생대회, 졸업앨범의 일부 사진 촬영[42] 등 교내 행사 중 일부를 이화여대 캠퍼스에서 하기도 한다.
5.2. 학교 구조 관련
학교 건물이 산 중턱에 위치하여 교문 초입부터 급한 경사로가 있으며, 학교 건물 또한 지하 2층 - 지상 8층에 달하는 높이로 자칫하단 이동수업[43]때 늦는 경우가 부지기수 . 교실 천장이 높고 교실과 복도 과목별 교실 등 전반적인 학교 구조가 넓고 큰 편이다. 운동장에 우레탄 트랙과 인조잔디 구장, 농구 코트가 있다. 운동장 뒷편으로 관중석(스탠드)과 텃밭이 있다.5.3.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지정 이후
2011년 자사고 지정 이후로 학교 시설을 새로 만들거나 기존 시설을 리모델링하고 있다. 2012년에는 적벽돌과 콘크리트로 덮여 있던 외장에 화강암 타일과 베이지색 회칠을 하였으며, 교문 입구에 학교의 캐치프레이즈를 새긴2013년엔 노후화된 화장실을 수세식 변기가 갖춰진 현대식 화장실로 개수하였다. 2014년에는 학생회장 박 모군의 공약인 본관과 신관 사이의 빗물막이 공사를 진행하였다. 20년 가까이 묵은 방송 장비를 현대화하였지만 2학기 초반에 스피커들이 잇따라 터지는 참사가 발생했다. (CCTV 설치 포함 약 1억 원이 들었다.)
2015년 8월에 교내 박물관 공사가 진행되었지만 용도는 아무도 모른다. 알고보니 사진 상설동아리 프레임의 전시장이었다 카더라.
2015년 겨울방학 기간 동안 신관의 모든 화장실이 리모델링 되었다. 본관 3층 남자화장실의 소변기 뚜껑이 틈만 나면 깨진다. 이유는 불명. 2개가 깨진걸 고친 적 있는데 머잖아 하나가 다시 깨졌고 그 변기는 현재 사용금지다.
2012 ~ 2014년 교육부 지정 건강증진모델학교로 지정되었다.
2024년 5월, 서울특별시교육청에 일반고 전환 신청서를 제출하였다. 빠르면 2025학년도부터 일반고로 전환될 예정이다.[44]
5.4. 일과표
내용 | 시간 |
등교 | ~ 07:40 |
자율학습 1 및 학급 조회 | 07:40 ~ 08:00 |
1교시 | 08:10 ~ 09:00 |
2교시 | 09:10 ~ 10:00 |
3교시 | 10:10 ~ 11:00 |
4교시 | 11:10 ~ 12:00 |
점심시간 | 12:00 ~ 13:00 |
5교시 | 13:00 ~ 13:50 |
6교시 | 14:00 ~ 14:50 |
7교시 | 15:00 ~ 15:50 |
학급 종례 및 청소 | 15:50 ~ 16:20 |
자율학습 2 및 방과후학교[45] | 16:20 ~ 17:50 |
석식시간 | 17:50 ~ 19:00 |
자율학습 3 1교시 | 19:00 ~ 20:40[46] |
자율학습 3 2교시 | 20:50 ~ 22:30 |
단, 3학년은 6교시에 동아리 활동을 하지 않고 자습를 한다.
5.5. 교육과정
- 2019, 2020학년도 신입생 기준 교육과정(2020년 현재 1, 2학년)
- 2018학년도 신입생 기준 교육과정(2020년 현재 3학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로서 교육과정 운영의 특혜를 받아 예술, 생활교양 교과군의 필수 이수 단위가 적다. [48]
5.5.1. 교과서
- 1학년(2015 개정 교육과정)
구분 | 과정 | 교과 | 과목 | 출판사 | 저자 |
학교 지정 | 공통 | 국어 | 국어 | 좋은책신사고 | 민현식 외 |
수학 | 수학 | 지학사 | 홍성복 외 | ||
영어 | 영어 | 금성출판사 | 최인철 외 | ||
사회 | 통합사회 | 비상교육 | 박병기 외 | ||
과학 | 통합과학 | 미래엔 | 김성진 외 | ||
과학탐구실험 | 미래엔 | 김성진 외 | |||
체육 | 체육 | 씨마스 | 양재근 외 | ||
예술 | 음악 | YBM | 김민선 외 | ||
미술 | 천재교과서 | 장지성 외 | |||
생활·교양 | 기술·가정 | 비상교육 | 김기수 외 | ||
학생 선택 | 제2외국어 | 중국어Ⅰ | 능률교육 | 유성진 외 | |
일본어Ⅰ | 다락원 | 윤강구 외 |
- 2학년(2015 개정 교육과정)[49]
구분 | 과정 | 교과 | 과목 | 출판사 | 저자 |
학교 지정 | 공통 | 국어 | 문학 | 비상교육 | 한철우 외 |
독서 | 비상교육 | 한철우 외 | |||
학생 선택 | 인문 | 실용 국어 | 미래엔 | 민병곤 외 | |
학교 지정 | 공통 | 수학 | 수학Ⅰ | 지학사 | 홍성복 외 |
수학Ⅱ | 지학사 | 홍성복 외 | |||
확률과 통계 | 지학사 | 홍성복 외 | |||
학생 선택 | 이공 | 기하 | 지학사 | 홍성복 외 | |
학교 지정 | 공통 | 영어 | 영어Ⅰ | NE능률 | 김성곤 외 |
영어Ⅱ | YBM | 한상호 외 | |||
학생 선택[50] | 인문 | 사회 | 사회·문화 | 미래엔 | 손영찬 외 |
세계사 | 미래엔 | 최준채 외 | |||
한국지리 | 천재교육 | 신정엽 외 | |||
생활과 윤리 | 미래엔 | 정창우 외 | |||
이공 | 과학 | 물리학Ⅰ | 동아출판 | 송진웅 외 | |
화학Ⅰ | 천재교육 | 노태희 외 | |||
생명과학Ⅰ | 미래엔 | 오현선 외 | |||
지구과학Ⅰ | 천재교육 | 오필석 외 | |||
학교 지정 | 공통 | 체육 | 운동과 건강 | 씨마스 | 장덕조 외 |
- 3학년(2015 개정 교육과정)[51]
구분 | 과정 | 교과 | 과목 | 출판사 | 저자 |
학교 지정 | 공통 | 국어 | 화법과 작문 | 미래엔 | 민병곤 외 |
언어와 매체 | 천재교육 | 민현식 외 | |||
학생 선택 | 심화 국어 | 상문연구사 | 석은동 외 | ||
학생 선택 | 인문 | 수학 | 심화수학Ⅰ | 전라북도교육청 | 김완일 외 |
이공 | 미적분 | 지학사 | 홍성복 외 | ||
학교 지정 | 공통 | 영어 | 영어독해와 작문 | 비상교육 | 김진완 외 |
진로영어 | NE능률 | 김정렬 외 | |||
학생 선택 | 인문·예체능 | 사회 | 정치와 법 | 미래엔 | 이경호 외 |
경제 | 미래엔 | 김진영 외 | |||
동아시아사 | 비상교육 | 이병인 외 | |||
세계지리 | 천재교과서 | 신정엽 외 | |||
윤리와 사상 | 천재교과서 | 변순용 외 | |||
학교 지정 | 공통 | 사회문제탐구 | 전라북도교육청 | 모경환 외 | |
학생 선택 | 이공 | 과학 | 물리학Ⅱ | 천재교육 | 강남화 외 |
화학Ⅱ | 천재교육 | 노태희 외 | |||
생명과학Ⅱ | 미래엔 | 오현선 외 | |||
지구과학Ⅱ | 천재교육 | 오필석 외 | |||
학교 지정 | 공통 | 융합과학 | 대구광역시교육청 | 조현수 외 | |
학생 선택 | 예체능 | 체육 | 체육탐구 | 체육과 건강 | 김대진 외 |
예술 | 음악 연주 | 음악과 생활 | 양종모 외 | ||
미술 창작 | 씨마스 | 조익환 외 | |||
학교 지정 | 공통 | 교양 | 진로와 직업 | 천재교과서 | 김재호 외 |
6. 교통
6.1. 철도
이대부고에서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지하철, 광역전철 노선은 없다. 이화여자대학교 정문 방면으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신촌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도시철도), 이대역이 인근에 위치하며, 독립문, 사직단 방면으로 서울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 경복궁역이 있다.6.2. 버스
이대부고 (13-120) - 독립문, 사직단 방면, 당 정류소 종착 | |
간선 | 서울 버스 272, 서울 버스 606, 서울 버스 672, 서울 버스 673, 서울 버스 742 |
지선 | 서울 버스 6714, 서울 버스 7017, 서울 버스 7024, 서울 버스 7737 서울 버스 서대문11 |
이대부고 (13-121) - 이대후문, 연대앞 방면 | |
간선 | 서울 버스 272, 서울 버스 606 |
지선 | 서울 버스 7737 |
이대후문 (13-016) - 독립문, 사직단 방면, 당 정류소 종착 | |
간선 | 서울 버스 272, 서울 버스 470, 서울 버스 601, 서울 버스 700, 서울 버스 710, 서울 버스 750 |
직행 | 파주 버스 G7111 |
광역급행버스 | 광역급행버스 M7111, 광역급행버스 M7119 |
이대후문 (13-016) - 연대앞 방면 | |
간선 | 서울 버스 470, 서울 버스 601, 서울 버스 710, 서울 버스 750 |
직행 | 파주 버스 G7111 |
광역급행버스 | 광역급행버스 M7111, 광역급행버스 M7119 |
7. 출신 인물
- 김성령 : 배우. (구)이대부고 졸업.
- 김수영 : 정치인. (구)금란여고 졸업.
- 김한길 : 정치인. (구)이대부고 졸업.
- 김해준 : 개그맨, 이대부고 졸업.
- 김홍걸 : 정치인. (구)이대부고 졸업.
- 남궁연 : 드러머 겸 방송인. (구)이대부고 졸업.
- 류청희 : 자동차 칼럼니스트. (구)이대부고 졸업.
- 위지웅 : 모델 겸 배우. (구)이대부고 졸업.
- 양대혁 : 배우 겸 연극배우. (구)이대부고 졸업.
- 윤석화 : 연극배우. (구)금란여고 졸업.
- 이미례 : 영화감독. (구)금란여고 졸업.
- 이시은 : 탤런트. (구)금란여고 졸업.
- 임지은 : 탤런트. (구)금란여고 졸업.
- 정애리 : 배우. (구)금란여고 졸업.
- 정춘숙 : 정치인. (구)금란여고 졸업.
- 최원석 : 기업인. (구)이대부고 졸업.
- 최영아 : 서울역 노숙인 다시서기 진료소 원장. (구)금란여고 졸업.
- ODEE : VMC소속 래퍼. 이대부고 졸업.
- 임정현 : 기타리스트. 이대부고 졸업.
8. 기타
- 대한민국 고등학교 중 최초의 남녀합반 고등학교이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52]가 전국 최초의 남녀공학(분반) 고등학교이고, 이대부고가 전국최초의 남녀합반 고등학교이다.
- 한 학급은 평균적으로 30명의 학생으로 구성되며 아직도 남학생 대비 여학생 비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 학급에 남학생이 많아야 10명, 선택과목에 따라 3명인 반도 있으며 심지어는 여자반도 존재한다.
- 대한민국 고등학교 중 교명이 가장 긴(21자) 학교이다. 그래서 학교 이름을 써야할 때 선생님께 학교 이름을 뭐라고 써야하는지 묻는 학생들 반에서 5명 정도씩은 꼭 있다.
그리곤 꼭 한 두 명 정도씩은 잘못 쓴다이화금란, 이대부속, 등 다양한 종류로 이름이 분류되어 있고 가끔 풀네임으로 21자 적어야 할 때도 있다만 시험 때는 거의 이대부속고등학교로 통일시킨다.
- 상설 동아리 32개를 비롯해 자율동아리 70여개가 있다. 동아리 축제 때 좋은 교실을 차지하려고 상설 동아리끼리 때아닌 쟁탈전이 벌어진다.
- 산자락에 위치한 학교라 각종 동물의 서식지가 되는데, 특히 모기와 비둘기가 무지하게 많다. 모기는 특히 흰줄숲모기라서 물리면 무지하게 간지러우며, 붓는 정도도 일반 모기와는 차원이 다르다. 특히 더 산하고 가까운 신관 야자실에서 자습을 하면 어느 새 모기의 훌륭한
단백질 공급원먹이가 되어 있는 자신의 팔다리를 볼 수 있게 된다. 비둘기 또한 미친 존재감을 뽐내며 교내를 활보하는데, 구내식당 가는 길목에 거처를 잡았는지 언제나 목격되어 점심시간마다 학생들의 머리 위를 지켜보며 학생들에게짜릿한 스릴공포감을 선사한다.비둘기 덩치가 다들 장난이 아니다.그래서 그런지 수업 때 수위 아저씨들이 새총 들고 우리 비둘기닭둘기 아님한테 저격한다. 물론 맞추지는 않는다. 시청각실에 둥지를 튼 적도 있다고 한다.이대부고는 수능 무렵에는 비둘기 쫓기에 정말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만 귀소본능 때문에.. - 2016년 5월 중순에 비둘기가 학생식당 뒷문 옆쪽 식수대와 창문 사이에 끼이는 일이 발생했다...
웰컴 투 비둘기 월드그 진귀한 광경을 보기 위하여, 창문 쪽에는 학생들이 바글바글 몰려들었다. - 2017년 제3회 라온제가 포항 지진에 따른 수능 연기의 여파로 날짜가 변경되고 신입생 면접날과 불가피하게 겹치게 됨으로써 원래 2일 분량의 축제가 하루로 압축됨에 따라 축제에 다소 차질이 있었다.
심포지엄을 오전에 하고 부스 운영을 오후에 하고 도중에 대강당에서 공연보러 가고. 난리도 아니었다그래도 축제 취소 안 된 게 어디야 - 스탠드 위쪽으로 등나무가 지붕을 이루고 있는데, 5월에 피는 꽃이 햇살과 자아내는 분위기가 너무 예쁘기 때문에 점심시간에 사진을 찍는 학생들이 많다. 그러나 등나무 향이 워낙 호불호가 갈리고, 소독을 하긴 하지만 꽃이 피면 진드기가 같이 떨어져 곳곳에서 비명소리를 들을 수 있다.
꽃과 잎이 지면 약간은 음산한 분위기를 자아내기도 한다. - 영어 시험범위가 어마어마하게 많은 걸로 유명하다[53]. 소문으로는 대성고 2학년보다 이대부고 1학년 시험범위가 많다고(실제로 영어시험은 공부하는게 아니고 모고 형식으로 보는 애들이 많다. 시험범위가 너무 많아 못 끝내는 게 대부분)카더라 [54]
- 제주도에 수련회 갔는데 비오는 거 무시하고 한라산 정상에서 인증샷 찍고 왔다는 전설이 있다.
- 도서관에 룬의 아이들이나 드래곤 라자 등의 판타지 소설이 배치되어 있으며 모 졸업생의 영향으로 빙과 코믹스판 등이 들어와 있다. 그 외에 미생 등 일부 웹툰 단행본도 있다. [55]
- 2020년 코로나 19 사태로 인하여 이전까지의 졸업생들과 다르게 이대 대강당이 아닌 이대부고에서 졸업식을 진행하였다. 이대 교정에서 찍던 학사모+가운 인증샷도 이대부고 운동장
그 조그만 운동장에서...에서 찍었다. - 학교 주위에 이화여자대학교, 연세대학교, 홍익대학교[56]와 신촌이 위치한다.
- 학교가 정남향에 가까워 해가 정말 잘 든다. 그러나 학교 구조 자체가 교실-복도-교실-신관 으로 되어있는지라, 1-6반 교실은 정말 하이틴의 정석 같은 해드는 운동장뷰를 자랑하지만, 7-12반 교실은 햇살은 커녕 창문 밖으로 신관 벽만 보인다. 정확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11·12반은 정말 습하다.
심지어 가끔은 봄에도 - 2·3학년은 보통 1반부터 5반이 문과반이고, 6반부터 12반이 이과반이다.
이과반은 한 반 빼면 해조차도 못본다 - 전교생이 1000명이 넘고 이 학생들이 동시에 하교하기 때문에 하교길이 굉장히 혼잡하다. 연세대 방향, 독립문 방향 버스 정류장 모두 정류장이 의미가 없을 정도이며, 3-4명의 승객뿐이던 버스가 꽉차는건 기본, 심지어는 타고자 하는 학생들이 다 못타는 경우도 정말 많다. [57]
- 2020년에는 도서관을 거의 운영하지 않았다. 2021년에는 12시부터 14시까지 제한 운영 중.
- 2024년 2월 29일 [58] 일과시간 학생들의 전자기기(태블릿, 노트북 포함) 사용이 전면 금지된다는 공지
통보가 올라왔다. 앞서 학생들의 의견을 묻는 설문조사가 올라왔었지만 이는 무시된 것으로 보인다. 리로스쿨 등에 여러 반대하는 게시글이 올라오며 수백 개의 댓글이 달렸으나 이 또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 24학년도부터 모든 3학년은 강제로 야간자율학습에 참여해야 한다. 이 또한 일방적으로 통보되었다.
[1]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고등학교 이름이다.[2] 2009년 이전까지 ‘Demonstration Ewha-Keum-Ran High School, College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란 영문명을 사용하였다.[3] 이화학당 산하 학교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교훈이다.[4] (구)이화여자대학교 병설 금란고등학교는 1960년 개교[5] 2001년 (구)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고등학교와 (구)이화여자대학교 병설 금란여자고등학교 통합[6] 2024년 5월 서울특별시교육청에 일반고 전환 신청서를 제출해 일반고로 전환될 예정이다.[7] 대한민국 최초의 남녀합반 고등학교이다.[성비] 남 301명, 여 800명[기준] 2023년 5월[성비2] 남 39명, 여 49명[기준] [12] 정확히는 이화여대 북문 부근에 금란여중고, 이화여대 후문 부근에 이대부중고가 있다가, 고등학교 뿐만 아니라 중학교까지 통합되며 이대부고는 올라가고 금란중은 내려오며 서로 자리를 맞바꾼 것이다.[13]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외국어교육과 설립 이후 영어교육전공(현 영어교육과) 교수[14]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15]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과 영어교육전공(현 영어교육과) 교수[16]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생활학과 지리교육전공(현 사회과교육과) 교수[17]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18]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생활학과(현 사회과교육과) 교수[19]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20]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21]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22]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현 심리학과) 교수[23]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지구과학교육전공 교수, 현재 명예교수[24]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생물교육전공 교수, 현재 명예교수[25]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지구과학교육전공 교수[26]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교육과 역사교육전공 교수[27]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 현재 명예교수[28]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언어병리학과 교수[29] 본교 최초의 교사 출신 교장[30] 시간강사 선생님들이 주로 계신다.[31] 구 박물관. 교내 공모전을 통해 이름이 붙여졌다.[32] 1학년부, 창의적체험활동부가 위치해 있다.[33] 2학년부가 위치해 있다.[34] 3학년부가 위치해 있다.[35] 교감, 교무부, 연구부, 교육정보부, 입학홍보부가 위치해있다.[위치] 학생회실 앞 휴게공간에 1대, 매점 앞에 1대가 있다.[37] 부교재 중 일부 품목[38] 전임 교장은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교수님이었다.[39] 2019년에는 이대부중에 처음으로 교사 출신 교장이 임명되었다.[40] 코로나 19 발생 이후로는 7층 시청각실에서 진행하는 예배를 각 교실 TV로 송출시키고, 1·2학년 중 4반만 현장예배에 참여한다. 그런데 송출이 제대로 안될때도 많고 그냥 자습시간으로 통한다 카더라[41] 돈 천만원이라 생각하면 편하다.[42] 2020년 2월 졸업생의 경우 단체사진, 학급별 그룹사진, 개인별 야외 사진 등을 이대 캠퍼스 구내에서 촬영하였다.[43] 종교, 선택과목 등 일부 과목[44] 2025학년도 고1부터 시행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맞출 것으로 보인다.[45] 구 8, 9교시. 2017학년도까지는 원칙적으로 필수였던 8, 9교시였으나 2018학년도부터 명칭이 변경되면서 완전 자율로 변경되었다.[46] 2018년부터 바뀌었다.[47] 가끔 7교시를 하기도 한다. 그런 날은 학생들의 욕을 무진장 들을 수 있다[48] 음악은 1·2학년, 미술은 1·3학년 일주일에 한시간, 체육은 전학년 일주일 두시간씩 이수한다[49] 1학년 때 교과서를 지급받는 체육, 음악, 미술은 목록에서 제외함.[50] 단, 인문 계열(1~6반) 학생은 사회·문화, 이공 계열(7~12반) 학생은 화학Ⅰ을 필수 이수함[51] 2학년 때 교과서를 지급받는 한국사, 운동과 건강은 목록에서 제외함.[52] 1946년 서로 다른 2개의 부설 학교가 합쳐져 공학이 되면서, 남녀가 유별하다며 자퇴하는 여학생도 있었다고 1회 졸업생이 전했다.[53] 코로나 이후에는 그 명성이 조금은 줄어들었다[54] 영어 시험 점수대가 4등급 초반, 3등급 후반부터 쭉쭉 떨어진다. 3컷, 5컷은 30점 차이날 때도 있다[55] 적지 않은 만화책이 있으나, 현재는 대부분 코로나 격리실 쪽에 놓여 있다. 그냥 들어가서 읽으면 되긴 한다. 안에 관리자 분이 계실 때도 있지만 별 말 안 한다. 왜 왔는지 가끔 물어보실 때도 있지만 쥐, 나빌레라, 먹는 존재 등.[56] 앞서 말한 두 대학보단 멀리있다.[57] 여기에 이대부중 하교시간이 겹치면.. (이하생략)[58] 개학 4일 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