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주요 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종류 | 지난 선거 | 다음 선거 |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26회 2022년 7월 10일 | 27회 2025년 7월 28일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중의원 의원 총선거 | 50회 2024년 10월 27일 | 51회 2028년 이내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국회의원 보궐선거 | 2024년 하반기 2024년 10월 27일 | 2025년 상반기 2025년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통일지방선거 | 20회 2023년 4월 9일・23일 | 21회 2027년 4월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도쿄도지사 선거 | 2024년 2024년 7월 7일 | 2028년 2028년 7월 | |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 }}}}}}}}} |
제4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第44回衆議院議員総選挙 | ||||||||||
{{{#!wiki style="margin: -7px -12px" | 2003년 11월 9일 43회 중원선 (매니페스토 총선) | → | 2005년 9월 11일 44회 중원선 (우정 민영화 총선) | → | 2009년 8월 30일 45회 중원선 (정권 교대 총선) | }}} | ||||
투표율 | 67.51% | |||||||||
선거 결과 | ||||||||||
<rowcolor=#2D3865,#CFA547>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총합 | 비율 | ||||||
219석 | 77석 | 327석 | 68.1% | |||||||
8석 | 23석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da2128,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민주당)] | 52석 | 61석 | 113석 | 23.5%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61919,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일본 공산당)] | 0석 | 9석 | 9석 | 1.9%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a7db,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사회민주당)] | 1석 | 6석 | 7석 | 1.5%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cd800, 사이즈=.9em, 글자색=#000000, 내용=국민신당)] | 2석 | 2석 | 4석 | 0.8%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409f29,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신당대지)] | 0석 | 1석 | 1석 | 0.2%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bc002d,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신당일본)] | 0석 | 1석 | 1석 | 0.2%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0808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무소속)] | 18석 | - | 18석 | 3.7% |
[clearfix]
1. 개요
2005년 9월 11일에 실시된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이다.
2. 선거 이전
사실 2003년에 열렸던 43회 총선과 2004년 20회 참원선에서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장기집권에 대한 피로감으로 여당 자유민주당이 잇달아 부진한 성적을 거둔데다가 2005년에 치러진 도쿄도의회 선거마저 127석 중 48석 당선에 그치고 민주당이 약진하는 결과를 낳았다. 반대로 민주당이 두차례에 걸쳐 자민당을 비례대표 득표율에서 앞서고 의석수도 자민당에 맞먹거나 앞서는 의석을 확보하면서 차기 중의원 선거에서 정권획득을 노리고있었다. 과거에는 자민당이 패배해도 제1야당의 의석과 세가 타 정당으로의 득표분산 등으로 자민당에 월등히 밀렸기때문에 무소속 영입이나 타 소정당과의 연정으로 집권을 이어갈수있었고 당장은 공명당과의 연정으로 정권을 유지할수있었지만 자민당과 공명당의 득표율을 합쳐도 지역구 득표율에서 한자릿수로 차이가 크게 좁혀지니 정권을 상실할수있다는 점에서 차원이 달랐던 것이었다.2.1. 일본우정 민영화 문제와 고이즈미의 승부수
이렇게 정권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는 상황속에서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가 직접 야심차게 추진하던 우정민영화 법안이 참의원에서 여당의 반란표 속에 17표 차이로 부결되자, 내각 회의를 개최하여 중의원 총선거를 선언했고 이에 반대한 시마무라 요시노부 농림수산대신을 그 자리에서 바로 해임[1]시켜버리고 본인이 내각총리대신 겸 농림수산대신 자격으로 해산안에 서명하였다.[2] 결국 일본우정의 민영화 문제에 대한 찬반투표 성격으로 선거가 치러졌다.당시 자민당 내부에서는 연이은 선거 패배와 당 내 의견 분열로 인해 조기 총선을 열면 대패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고조되어 아소 다로 등 중의원 해산을 반대하는 의견이 적지 않았지만 고이즈미는 승리를 자신했고 실제로 해산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총선을 우정민영화 총선으로 정의하며[3] 연립여당인 자민당과 공명당이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할 경우 미련없이 사퇴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본격적인 총선 정국에 들어가자, 고이즈미는 자신에게 반대하는 중진 의원 40명을 공천 배제해버리며 당을 완전히 장악하기 위한 절차에 들어갔고 대신 젊은 이미지의 정치 신인들을 영입해 그 자리에 공천한다.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자객 공천으로도 유명한 도쿄도 제10구에 공천된 고이케 유리코. 거기에 경기 부양, 연금 개혁 등 다양한 현안들이 산재한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우정 민영화에 대한 찬반 여부로 선거의 정체성을 단순하게 정리하여 선거 이슈를 선점하기도 했다. 실제로 이때문에 제1야당인 민주당은 민영화 반대, 고이즈미 반대 외에 새로운 선거 프레임을 내놓지 못해 선거전 내내 자민당에 끌려다녔다.
2.2. 두번째로 벌어진 자민당 분당 사태
다만, 이 과정에서 고이즈미에게 공천 학살을 당한 당내 중진 의원들도 가만히 있지는 않았다. 전 중의원 의장인 와타누키 다미스케, 건설대신이었던 가메이 시즈카, 우정대신이었던 지미 쇼자부로 등 고이즈미 반대파 의원들이 탈당하여 국민신당, 홋카이도 지역 정당인 신당대지, 신당 일본 등을 새롭게 창당해 자민당이 분당되었다.이번 선거 이전 자민당의 분당 사태가 벌어졌던건 1993년이었는데 당시 연이은 자민당 정권의 부패와 비리에 실망한 당 내 리버럴 계파들이 각각 신당 사키가케, 신생당 등을 창당해 탈당해나갔고, 1993년 제40회 중원선에서 야당이 수적 우위를 점하면서 호소카와 모리히로를 중심으로 한 자민당과 일본공산당을 제외한 8개 정당이 연립내각을 구성하여 일본의 55년 체제를 붕괴시킨 바 있다.하지만 당내 부패와 정경유착을 비판하며 혁신파가 전격적으로 탈당했던 그때와는 달리 이번 분당 사태는 탈당파들이 오히려 당내 혁신에 반대하는 수구 세력이라는 이미지가 있었고, 일본 공직선거법상 정당 자격을 받기 위해 탈당파들이 창당한 정당끼리 '의원 꿔주기'를 벌이는 등 추태를 보이며 선거 기간 중 국민들의 신뢰를 전혀 받지 못했다.
3. 선거 결과
선거일 | 2005년 9월 11일 |
선거내용 | 지역구(소선거구제) 300명 + 권역별 비례대표 180명(석패율제 시행) |
선출인원 | 480명 |
투표율 | 67.51%(소선거구), 67.46%(비례대표) |
의석 구성 | |||||||||||||||||||||||||||||||||||||||||||||||||||||||||||||||||||||||||||||||||||||||||||||||||||||||||||||||||||||||||||||||||||||||||||||||||||||||||||||||||||||||||||||||||||||||||||||||||||||||||||||||||||||||||||||||||||||||||||||||||||||||||||||||||||||||||||||||||||||||||||||||||||||||||||||||||||||||||||||||||||||||||||||||||||||||||||||||||||||||||||||||||||||||||||||||||||||||||||||||||||||||||||||||||||||||||||||||||||||||||||||||||||||||||||||||||||||||||||||||
연립여당[4] - 327석 (68.1%) | 야당 - 135석 (28.1%) | ||||||||||||||||||||||||||||||||||||||||||||||||||||||||||||||||||||||||||||||||||||||||||||||||||||||||||||||||||||||||||||||||||||||||||||||||||||||||||||||||||||||||||||||||||||||||||||||||||||||||||||||||||||||||||||||||||||||||||||||||||||||||||||||||||||||||||||||||||||||||||||||||||||||||||||||||||||||||||||||||||||||||||||||||||||||||||||||||||||||||||||||||||||||||||||||||||||||||||||||||||||||||||||||||||||||||||||||||||||||||||||||||||||||||||||||||||||||||||||||
정수 : 480석 |
선거결과 | ||||||||||||||||
정당 | 지역구(소선거구제) | 비례대표 | 획득 의석 | 선거이전의석 | 증감 | |||||||||||
여당 | 자유민주당 | 32,518,389 | 47.77% | 219 | 25,887,798 | 38.18% | 77 | 296 | 212 | +84 | ||||||
공명당 | 981,105 | 1.44% | 8 | 8,987,620 | 13.25% | 23 | 31 | 34 | -3 | |||||||
야당 | 민주당 | 24,804,786 | 36.64% | 52 | 21,036,425 | 31.02% | 61 | 113 | 177 | -64 | ||||||
일본공산당 | 4,937,375 | 7.25% | 0 | 4,919,187 | 7.25% | 9 | 9 | 9 | 0 | |||||||
사회민주당 | 996,007 | 1.46% | 1 | 3,719,522 | 5.49% | 6 | 7 | 5 | +2 | |||||||
국민신당 | 432,679 | 0.64% | 2 | 1,183,073 | 1.74% | 2 | 4 | 4 | 0 | |||||||
신당 일본 | 137,172 | 0.20% | 0 | 1,643,506 | 2.42% | 1 | 1 | 3 | -2 | |||||||
신당대지 | 16,698 | 0.02% | 0 | 433,938 | 0.64% | 1 | 1 | 0 | +1 | |||||||
제파 | 1,557 | 0.00% | 0 | 불출마 | 불출마 | 0 | 0 | 1 | -1 | |||||||
무소속 | 3,240,521 | 4.76% | 18 | 불출마 | 불출마 | 0 | 18 | 32 | -14 |
개표 결과 자민당이 296석, 공명당이 31석으로 여당이 327석을 획득하는 압승을 거두었고 자민당 자체 의석으로는 1986년 중참의원 동시선거 이후로 최다 의석을 획득했다. 야당은 민주당이 113석으로, 선거전의 177석에서 무려 64석이나 감소해 오카다 가쓰야 대표가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원래 야당으로 나름의 입지를 구축하고 있던 일본공산당과 사회민주당은 같은 의석을 유지했지만, 자유민주당 분당 사태의 중심에 있었던 국민신당과 신당일본은 참패했다. 우정 민영화로 인해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한 경우를 제외하면, 순수 무소속 의원은 단 2명이었다.
3.1. 소선거구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지역 | 자유민주당 | 민주당 | 공명당 | 일본 공산당 | 사회민주당 | 국민신당 | 신당대지 | 신당일본 | 무소속 | 합계 |
홋카이도 | 4 | 8 | 0 | 0 | 0 | 0 | 0 | 0 | 0 | 12 |
아오모리 | 4 | 0 | 0 | 0 | 0 | 0 | 0 | 0 | 0 | 4 |
이와테 | 1 | 3 | 0 | 0 | 0 | 0 | 0 | 0 | 0 | 4 |
미야기 | 5 | 1 | 0 | 0 | 0 | 0 | 0 | 0 | 0 | 6 |
아키타 | 1 | 1 | 0 | 0 | 0 | 0 | 0 | 0 | 1 | 3 |
야마가타 | 3 | 0 | 0 | 0 | 0 | 0 | 0 | 0 | 0 | 3 |
후쿠시마 | 3 | 2 | 0 | 0 | 0 | 0 | 0 | 0 | 0 | 5 |
이바라키 | 5 | 1 | 0 | 0 | 0 | 0 | 0 | 0 | 1 | 7 |
도치기 | 5 | 0 | 0 | 0 | 0 | 0 | 0 | 0 | 0 | 5 |
군마 | 5 | 0 | 0 | 0 | 0 | 0 | 0 | 0 | 0 | 5 |
사이타마 | 12 | 3 | 0 | 0 | 0 | 0 | 0 | 0 | 0 | 15 |
치바 | 12 | 1 | 0 | 0 | 0 | 0 | 0 | 0 | 0 | 13 |
가나가와 | 16 | 0 | 1 | 0 | 0 | 0 | 0 | 0 | 1 | 18 |
야마나시 | 0 | 1 | 0 | 0 | 0 | 0 | 0 | 0 | 2 | 3 |
도쿄 | 23 | 1 | 1 | 0 | 0 | 0 | 0 | 0 | 0 | 25 |
니가타 | 2 | 3 | 0 | 0 | 0 | 0 | 0 | 0 | 1 | 6 |
도야마 | 2 | 0 | 0 | 0 | 0 | 1 | 0 | 0 | 0 | 3 |
이시카와 | 3 | 0 | 0 | 0 | 0 | 0 | 0 | 0 | 0 | 3 |
후쿠이 | 3 | 0 | 0 | 0 | 0 | 0 | 0 | 0 | 0 | 3 |
나가노 | 3 | 2 | 0 | 0 | 0 | 0 | 0 | 0 | 0 | 5 |
기후 | 3 | 0 | 0 | 0 | 0 | 0 | 0 | 0 | 2 | 5 |
시즈오카 | 6 | 2 | 0 | 0 | 0 | 0 | 0 | 0 | 0 | 8 |
아이치 | 9 | 6 | 0 | 0 | 0 | 0 | 0 | 0 | 0 | 15 |
미에 | 3 | 2 | 0 | 0 | 0 | 0 | 0 | 0 | 0 | 5 |
시가 | 2 | 2 | 0 | 0 | 0 | 0 | 0 | 0 | 0 | 4 |
교토 | 3 | 3 | 0 | 0 | 0 | 0 | 0 | 0 | 0 | 6 |
오사카 | 13 | 2 | 4 | 0 | 0 | 0 | 0 | 0 | 0 | 19 |
효고 | 10 | 0 | 2 | 0 | 0 | 0 | 0 | 0 | 0 | 12 |
나라 | 3 | 1 | 0 | 0 | 0 | 0 | 0 | 0 | 0 | 4 |
와카야마 | 3 | 0 | 0 | 0 | 0 | 0 | 0 | 0 | 0 | 3 |
돗토리 | 2 | 0 | 0 | 0 | 0 | 0 | 0 | 0 | 0 | 2 |
시마네 | 2 | 0 | 0 | 0 | 0 | 0 | 0 | 0 | 0 | 2 |
오카야마 | 2 | 2 | 0 | 0 | 0 | 0 | 0 | 0 | 1 | 5 |
히로시마 | 6 | 0 | 0 | 0 | 0 | 1 | 0 | 0 | 0 | 7 |
야마구치 | 4 | 0 | 0 | 0 | 0 | 0 | 0 | 0 | 0 | 4 |
도쿠시마 | 1 | 1 | 0 | 0 | 0 | 0 | 0 | 0 | 1 | 3 |
카가와 | 3 | 0 | 0 | 0 | 0 | 0 | 0 | 0 | 0 | 3 |
에히메 | 4 | 0 | 0 | 0 | 0 | 0 | 0 | 0 | 0 | 4 |
고치 | 3 | 0 | 0 | 0 | 0 | 0 | 0 | 0 | 0 | 3 |
후쿠오카 | 9 | 1 | 0 | 0 | 0 | 0 | 0 | 0 | 1 | 11 |
사가 | 1 | 0 | 0 | 0 | 0 | 0 | 0 | 0 | 2 | 3 |
나가사키 | 3 | 1 | 0 | 0 | 0 | 0 | 0 | 0 | 0 | 4 |
구마모토 | 4 | 1 | 0 | 0 | 0 | 0 | 0 | 0 | 0 | 5 |
오이타 | 2 | 1 | 0 | 0 | 0 | 0 | 0 | 0 | 0 | 3 |
미야자키 | 1 | 0 | 0 | 0 | 0 | 0 | 0 | 0 | 2 | 3 |
가고시마 | 3 | 0 | 0 | 0 | 0 | 0 | 0 | 0 | 2 | 5 |
오키나와 | 2 | 0 | 0 | 0 | 1 | 0 | 0 | 0 | 1 | 4 |
소선거구 | 219 | 52 | 8 | 0 | 1 | 2 | 0 | 0 | 18 | 300 |
3.2. 비례대표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지역 | 자유민주당 | 민주당 | 공명당 | 일본 공산당 | 사회민주당 | 국민신당 | 신당대지 | 신당일본 | 합계 |
홋카이도 | 3 | 3 | 1 | 0 | 0 | 0 | 1 | 0 | 8 |
도호쿠 | 6 | 5 | 1 | 1 | 1 | 0 | 0 | 0 | 14 |
기타칸토 | 9 | 7 | 2 | 1 | 1 | 0 | 0 | 0 | 20 |
미나미칸토 | 10 | 7 | 3 | 1 | 1 | 0 | 0 | 0 | 22 |
도쿄 | 7 | 6 | 2 | 1 | 1 | 0 | 0 | 0 | 17 |
호쿠리쿠신에쓰 | 5 | 4 | 1 | 0 | 0 | 1 | 0 | 0 | 11 |
도카이 | 9 | 8 | 3 | 1 | 0 | 0 | 0 | 0 | 21 |
긴키 | 11 | 9 | 4 | 3 | 1 | 0 | 0 | 1 | 29 |
주고쿠 | 5 | 3 | 2 | 0 | 0 | 1 | 0 | 0 | 11 |
시코쿠 | 3 | 2 | 1 | 0 | 0 | 0 | 0 | 0 | 6 |
규슈-오키나와 | 9 | 7 | 3 | 1 | 1 | 0 | 0 | 0 | 21 |
비례대표 | 77 | 61 | 23 | 9 | 6 | 2 | 1 | 1 | 180 |
3.3. 주요 정치인 당락
- 고이즈미 준이치로(내각총리대신 겸 농림수산대신): 당선 (가나가와 11구)
- 아소 다로(총무대신): 당선 (후쿠오카 8구)
- 마치무라 노부타카(외무대신): 당선 (홋카이도 5구)
- 다니가키 사다카즈(재무대신): 당선 (교토 5구)
- 나카야마 나리아키(문부과학대신): 당선 (미야자키 1구)
- 모리 요시로(전 내각총리대신): 당선 (이시카와 2구)
- 가이후 도시키(전 내각총리대신): 당선 (아이치 9구)
- 요사노 가오루(전 문부대신): 당선 (도쿄 1구)
- 노다 다케시(전 자치대신): 당선 (구마모토 2구)
- 가와무라 다케오(전 문부과학대신): 당선 (야마구치 3구)
- 히라누마 다케오(전 경제산업대신): 당선 (오카야마 3구)
- 스즈키 슌이치(전 환경대신): 당선 (이와테 2구)
- 누카가 후쿠시로(전 방위청 장관): 당선 (이바라키 2구)
- 에토 세이시로(전 방위청 장관): 당선(오이타 2구)
- 고무라 마사히코(전 외무대신): 당선 (야마구치 1구)
- 다나카 마키코(전 외무대신): 당선 (니가타 5구)
- 고노 요헤이(전 자민당 총재): 당선 (가나가와 17구)
- 이와나가 미네이치(농림수산대신): 당선 (시가 4구)
- 시마무라 요시노부(전 농림수산대신)[5]: 당선 (도쿄 16구)
- 나카가와 쇼이치(경제산업대신): 당선 (홋카이도 11구)
- 기타가와 가즈오(국토교통대신): 당선 (오사카 16구)
- 고이케 유리코(환경대신): 당선 (도쿄 10구)
- 호소다 히로유키(내각관방장관): 당선 (시마네 1구)
- 규마 후미오(전 방위대신): 당선 (나가사키 2구)
- 아마리 아키라(전 노동대신): 당선(가나가와 13구)
- 이시하라 노부테루(전 국토교통대신): 당선(도쿄 8구)
- 오노 요시노리(내각부 특명담당대신): 당선 (카가와 3구)
- 무라카미 세이이치로(내각부 특명담당대신): 당선 (에히메 2구)
- 다나하시 야스후미(내각부 특명담당대신): 당선 (기후 2구)
- 오카다 가쓰야(민주당 당수): 당선 (미에 3구)
- 하타 쓰토무(전 내각총리대신): 당선 (나가노 3구)
- 오자와 이치로(전 자치대신): 당선 (이와테 4구)
- 간 나오토: 당선 (도쿄 18구)
- 마에하라 세이지: 당선 (교토 2구)
- 노다 요시히코: 당선 (치바 4구)
- 요코미치 다카히로(전 홋카이도지사): 당선 (홋카이도 1구)
- 다카키 요시아키: 당선 (나가사키 1구)
- 히라오카 히데오: 당선 (야마구치 2구)
- 나가하마 히로유키: 당선 (비례 미나미칸토 블록)
- 닷소 다쿠야: 당선 (이와테 1구)
- 카노 미치히코(전 농림수산대신): 낙선 (야마가타 1구)
- 와타누키 다미스케(국민신당 당수): 당선 (도야마 3구)
- 가메이 시즈카: 당선 (히로시마 6구)
- 도이 다카코(전 사민당 당수): 낙선 (효고 7구)
- 데루야 간토쿠: 당선 (오키나와 2구)
- 나카무라 기시로(전 건설대신): 당선(이바라키 7구)
[1] 사실 내각책임제가 으레 그렇듯 일본에서 장관(국무대신)의 인사권은 전적으로 총리에게 있다. 국무대신 임명장 또한 기본적으로 총리의 명의로 나가며, 천황은 신규로 입각하는 국무대신의 임명장에 인증도장을 찍어줄 뿐이다. 기존 국무대신이 타 부서로 전보(ex. 외무대신에서 방위대신으로)될 경우에는 천황의 인증 도장이 필요없다.[2] 이 해산에는 나카가와 쇼이치 경산대신, 아소 다로 총무대신, 무라카미 세이이치로 특명담당대신도 반대했지만, 나카가와는 찬성으로 선회했고 아소와 무라카미는 각의 개회 후 고이즈미 총리가 따로 불러 설득한 끝에 마지못해 찬성했다.[3] 그래도 지구는 돈다라는 말까지 인용해가며 우정민영화에 대한 본인의 소신을 매우 강하게 피력했다.[4] 자유민주당, 공명당[5] 고이즈미의 우정 해산에 반대했다가 대신직에서 해임되었다. 하지만 자민당을 탈당하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