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120deg, #fff 5%, #000 5%, #000 9%, #fff 9%, #fff 10%, #000 10%, #000 14%, #fff 14%, #fff 15%, #000 15%, #000 19%, #fff 19%, #fff 81%, #cd313a 81%, #cd313a 90%, #0047a0 90%)"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훈민정음(해례본)』 |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 『불조직지심체요절』 하권- 佛祖直指心體要節 (下卷)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高麗大藏經板-諸經板) | 조선왕조 『의궤(儀軌)』 | |
『동의보감(東醫寶鑑)』 | 1980년 인권기록유산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록물 | 『일성록(日省錄)』 | |
『난중일기(亂中日記)』: 이순신 장군의 진중일기(陣中日記) | 새마을운동 기록물 |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 | |
한국의 유교책판 |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 – 17세기~19세기 한일 간 평화구축과 문화교류의 역사 |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 |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 4.19혁명 기록물 | 동학농민혁명기록물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
이름 | 한국어 | 조선통신사 기록물 |
영어 | [1] | |
프랑스어 | [2] | |
국가·위치 | 대한민국 및 일본 | |
소장·관리 | ||
등재유형 | 기록유산 | |
등재연도 | 2017년 | |
제작시기 | 1643년-1811년 |
[clearfix]
1. 개요
2017년 한국의 부산문화재단과 일본의 시민단체인 조선통신사연지연락협의회(朝鮮通信使縁地連絡協議会)가 주도하여 양국이 공동으로 등재한 조선 통신사와 관련된 기록 및 회화 등이다. 양국이 합하여 총 111건 333점이 등재되어 있다.2. 의의
조선통신사 기록물은 17세기부터 19세기동안 이루어진 한·일간 평화구축과 문화교류의 역사로서 단순히 전쟁의 재발방지를 넘어 신뢰를 기반으로 한 조선과 일본의 평화와 우호를 상징하는 기록물이다. 조선통신사 기록물은 오늘날 한국과 일본에 소재하고 있는 외교 기록, 여정의 기록, 문화교류의 기록으로 구성된 종합자산이다. 여기에는 일본의 침략전쟁인 임진왜란으로 인한 원한과 불신을 문화교류를 통해 평화로운 시대를 구축하고 유지해 가는 방법 및 지혜가 담겨있다. 조선통신사는 전쟁과 폭력이 횡행하던 시대에 이웃한 나라끼리 진솔한 마음의 교류를 통해 선린우호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양국의 분쟁이나 전쟁을 성공적으로 예방한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이 조선통신사 기록물은 양국의 역사적 경험으로 만들어진 평화적이고 지적인 유산으로, 앞으로 인류가 공통으로 추구해야 할 과제인 지속적인 평화와 공존의 관계를 유지하고 다른 문화를 존중하는 것에 있어서 모범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평화를 구축하고 유지하기 위한 지혜가 담겨있는 조선통신사 기록물은 오늘날의 국가,민족,인종,종교 간 갈등의 해법을 찾는 데 지혜를 제공할 수 있다.3. 목록
3.1. 한국측
동문휘고, 36책, 서울대학교 규장각동명해사록, 김세렴, 2책, 국립중앙도서관
동사록, 강홍중, 1책, 국립중앙도서관
동사록, 황호, 1책, 국립중앙도서관
동사록·해사록, 조경·신유, 1책, 국립중앙도서관
동사록, 홍우재, 1책, 국립중앙도서관
동사록, 유상필, 1책, 고려대학교 도서관
동사일기, 임수간, 2책, 국립중앙도서관
동사일록, 김지남, 1책, 국립중앙도서관
변례집요, 19책, 국립중앙도서관
일동장유가, 김인겸, 4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병자일본일기, 임광, 1책, 국립중앙도서관
통신사등록, 14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해행총재, 홍재희, 28책, 국립중앙도서관
동사상일기, 오윤겸, 1책, 국립중앙도서관
부상록, 이경직, 1책, 국립중앙도서관
동사일기, 박재,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사상록, 김세렴, 1책, 국립중앙도서관
해사록, 경섬, 1책, 국립중앙도서관
부상록, 남용익, 2책, 국립중앙도서관
견문별록, 남용익, 1책, 국립중앙도서관
해유록, 신유한, 1책, 국립중앙도서관
부상록, 김흡, 2책, 국립중앙도서관
수사일록, 홍경해, 2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일본시문견록, 조명채, 2책, 국립중앙도서관
해사일기, 조엄, 5책, 국사편찬위원회
일관기, 남옥, 4책, 국사편찬위원회
일관창수, 남옥, 2책, 국립중앙도서관
일관시초, 남옥, 2책, 국립중앙도서관
일본록, 성대중, 2책, 고려대학교 도서관
승사록, 원중거, 5책, 고려대학교 도서관
사록, 민혜수, 1책, 고려대학교 도서관
명사록, 오대령, 1책, 국립중앙도서관
수사록, 변탁, 1책, 국립중앙도서관
신미통신일록, 김이교, 3책,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청산도유록, 김선신, 1책, 국립중앙도서관
인조 2년 통신사행렬도, 1점, 국립중앙도서관
인조 14년 통신사입강호성도, 1점, 국립중앙박물관
숙종 37년 통신사행렬도, 타와라 기자에몬, 4점, 국사편찬위원회
사로승구도, 이성린, 1점, 국립중앙박물관
왜관도, 변박, 1점, 국립중앙박물관
국서누선도, 작자미상, 1점, 국립중앙박물관
김세렴 등 필적(시), 1점, 국사편찬위원회
유창 필적(시), 1점, 국사편찬위원회
이명언 필적(시), 1점, 국사편찬위원회
조선통신사시고, 1점, 국립해양박물관
김의신 서첩, 1첩, 부산박물관
태동익 필 행서, 1점, 부산박물관
달마절노도강도, 김명국, 1점, 국립중앙박물관
흑매도, 변박, 1점, 부산박물관
석란도, 김유성 1점, 부산박물관
응도, 이의양, 1점, 부산박물관
산수도, 이의양, 1점, 부산박물관
산수도, 이의양, 1점, 부산박물관
산수도, 송암, 1점, 부산박물관
화조도, 이의양, 1점, 국립해양박물관
화조도, 괴원, 1점, 부산박물관
조선통신사봉별시고, 1점, 국립해양박물관
조태억상, 가노 츠네노부, 1점, 국립중앙박물관
부용안도 병풍, 가노 야스노부, 1쌍, 국립고궁박물관
겐지모노가타리 단선도 병풍, 하세가와 미츠노부, 1점, 국립고궁박물관
모란도 병풍, 가노 모로노부, 1점, 국립고궁박물관
의헌·성몽양 필 행서, 1점, 부산박물관
조선통신사 수창시, 1점, 국립해양박물관
동사창수집, 2점, 국립중앙박물관
3.2. 일본측
조선국서, 3통, 도쿄대학종합박물관조선국서, 15통, 도쿄국립박물관
정덕 원년 조선통신사 진물목록(모리 요시모토 앞), 1통, 야마구치현립야마구치박물관
조선통신사어기록(야마구치현청 전래 구 조슈번 기록), 13책, 야마구치문서관
후쿠오카번 조선통신사 기록(쿠로다가 문서), 15책, 후쿠오카현립도서관
[1] Documents on Joseon Tongsinsa/Chosen Tsushinshi: The History of Peace Building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the 17th to 19th Century[2] Documents sur Joseon Tongsinsa / Chosen Tsushinshi: l'histoire du maintien de la paix et des échanges culturels entre la Corée et le Japon du XVIIe au XIXe siè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