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몬스터 · 환경생물 · 등장인물 · 지형 · 무기 · 슬링어 특수 장비 · 스킬 · 퀘스트 · 조작 방법 · 평가 발매 전후 정보 |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무기 | |||||||||
{{{#!wiki style="margin:-0px -12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27px;margin-bottom:-12px" | | | | | | | | 원거리 (탄/화살) | |
| | | | | | | |||
공용 : 슬링어 & 훅 슬링어 | }}}}}}}}} |
조충곤 操虫棍 | Insect Glaive | |
| |
1. 개요
무기 소개 영상: 조충곤 |
사냥벌레라고 불리는 벌레를 조종해 싸우는 무기.
채취한 진액으로 자기 강화가 가능합니다.
도약해서 공중 공격도 할 수 있습니다.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조충곤에 대해 다루는 문서.채취한 진액으로 자기 강화가 가능합니다.
도약해서 공중 공격도 할 수 있습니다.
2. 무기 특성
- 사냥벌레
조충곤 지시에 따라 같이 싸워 주는 곤충. 몬스터에게서 각종 진액을 채취해 헌터를 강화할 수도 있다. 다양한 사냥벌레 중에서 선택하고 강화해서 장비할 수 있다. - 조충 연계
길게 누르기로 집중 모드 중에 공격하면 사냥벌레가 동시에 공격해 진액을 채취해 준다.
헌터의 공격에 따라 사냥벌레가 돌진하는 궤도도 변한다. - 사냥벌레 가루
헌터가 부여한 마크 부위에 사냥벌레가 사냥벌레 가루를 설치해 준다. 가루를 공격하면 폭발하며, 타입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다. - 폭파: 몬스터에게 폭파 축적
- 독: 몬스터에게 독 축적
- 마비: 몬스터에게 마비 축적
- 회복: 헌터의 체력을 약간 회복
- 강화 진액이란
몬스터에게서 채취할 수 있는 진액. 빨강, 하양, 주황, 초록 4종류로 각 몬스터의 부위에 따라 채취하는 색이 다르다.
채취한 강화 진액은 벌레 부르기로 회수하며 색에 따라 효과가 다르다. 여러 색을 조합하면 더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강화 상태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해제된다. - 강화 진액 효과
채취한 진액 색에 대응하는 효과를 얻는다. 여러 색을 조합하면 더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빨강:
모으기 가능
- 하양: 이동 속도, 도약 고도 상승
- 주황: 움찔 감소
- 빨강+하양: 공격력 UP
- 하양+주황: 방어력 UP
- 빨강+하양+주황: 일부 액션 변화, 공격력 UP
3. 조작 방법
버튼 역할 |
연속 베어올리기 |
기본적인 연속 공격. 연속 베어올리기 후 |
후려치기 |
넓은 범위를 후려치는 공격. 집중 모드 중에는 벌레 부르기 지시도 동시에 사용한다. |
조충 [진액 채취] |
사냥벌레에게 돌진 지시를 내려 몬스터의 부위에 명중하면 강화 진액을 채취한다. 사냥벌레는 |
모으기 |
(모으기 파생) 조충 강화 |
조충 [벌레 모으기] |
사냥벌레 비행 중 |
헌터에게서 멀어진 사냥벌레를 부르는 지시. 사냥벌레가 가져온 진액을 받으면 헌터는 강화 상태가 된다. |
조충 [마크 명중] |
사냥벌레가 노리는 마크를 부여하는 공격. 마크가 부여된 부위에 사냥벌레가 돌진해 사냥벌레 가루를 설치한다. |
조충 [마크탄] |
도약 |
사냥벌레가 노리는 마크를 발사하는 원거리 기술. 마크가 부여된 부위에 사냥벌레가 돌진해 사냥벌레 가루를 설치한다. |
(도약 파생) 점프돌진베기 |
점프 중 |
(도약 파생) 점프베기 |
점프 중 |
(도약 파생) 공중 회피 |
점프 중 |
점프해서 공중 행동으로 연계 가능. 뒤로 도약 시 무적 시간이 생긴다. 점프 중 |
집중 전상 찌르기 |
상처에 효과적인 찌르기 공격. 약점 공격에 성공하면 사냥벌레가 돌진해 빨강, 하양, 주황 진액을 동시에 채취해 준다. |
모으기 |
강화 진액 [빨강] 상태에서 |
(모으기 파생) 급습 베기 |
(급습 베기 파생) 비천나선참 |
세 진액 강화 상태에서 |
[빨강]을 흡수해 쓰는 모으기 상태. 일정 시간 모은 뒤 |
3.1. 추천 콤보
<colkeepall> 추천 콤보 |
기본적인 연계 |
모든 액션에서 조충 연계가 가능한 연계. 대각선베기까지는 이동 공격으로 변경할 수 있다. 내려치기는 회피 베기를 통해 뒤로 물러날 수도 있다. |
사냥벌레 가루를 이용한 연계 |
표식을 남겨서 가루로 공격을 명령한 다음, 빠르게 회피한 후 가루를 폭파하는 연계. 사용 후에도 원하는 대로 계속해서 추가 공격할 수 있다. |
공중에서의 연계 |
공중에서 장거리를 이동하는 연계. 빨강 진액 스톡 시 급습 찌르기로 파생시킬 수도 있다. |
세 진액 스톡 시의 강력한 연계 |
진액을 모두 소비하는 대신 강력한 연계를 사용할 수 있다. 비원베기까지는 조충 연계도 가능. |
4. 변경된 점
4.1. 몬스터 헌터 와일즈
- 집중약점공격
본작에서 새로 추가된 시스템으로 아이스본에 있었던 상처시스템을 보다 진화시킨 형태이다. 클러치 클로로 달라붙어서 굳이 상처를 내지 않아도 공격이 누적되면 약점이 부여되며 이렇게 부여된 약점에 집중약점공격을 할 수 있다. 집중약점공격이 명중 시 벌레가 3중 진액을 전부 물어온다. 조충곤의 경우 벌레를 날리면서 뒤로 크게 물러난다.
- 벌레 및 진액 시스템 개편
본작에서 시스템의 수혜를 잘 받는 케이스로 벌레 조종 모드에서 몬스터를 조준시 해당 부위에서 어떤 진액을 채취하는지 미리 알 수 있다. 전작에서 진액을 채취하기 위해 시행착오를 겪을 수밖에 없었던 것을 생각하면 상당히 편리해졌다. 또한 집중 모드 중 평타에 반응하여 벌레가 타격된 부위에서 진액을 채취해오기도 한다. 버프수급을 위하여 딜로스가 부득이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던 조충곤의 고질적인 문제점이 와일즈에서 상당부분 해소된 편이다.
- 급습베기
새로운 모션으로 지상에서 회전하면서 적을 여러번 베는 기술로, 기본상태가 아닌 진액버프가 있는 상태에서버튼 차지로 발동되는 기술이다. 차지 기술인 만큼 위력도 상당해서 조충곤의 새로운 지상 주력기 중 하나이다.
- 비천나선참
조충곤의 새로운 필살기격 모션으로 급습베기 이후 3중 진액을 전부 사용해서 발동하는 기술이다. 사용 시 회전 공격을 시전하면서 공중으로 날아오르며, 사냥 벌레도 같이 공격을 하기 때문에 벌레가 공격이 명중한 곳의 진액을 물어온다.
4.2. 조작
조충곤의 벌레와 진액에 따른 일반공격의 강화모션에 많은 부분이 변경되었다.
- 벌레
아이스본에 추가된 기/힘 벌레가 상시 적용으로 변경이 되었으며,+
를 길게 눌러 차지하면 벌레 공격명령이 관통형이 되어 타격된 부위마다 진액 3개를 획득한다. 반드시 다른 종류의 진액을 획득하는 것은 아니기에 벌레의 차지공격 역시 원하는 부위를 조준할 필요가 있다.
- 강화모션
전작인 몬스터헌터 라이즈까지 유지되었던 진액에 따른 공격모션 강화기능이 변경되었다. 기존까지는 빨간진액을 획득하면 모든 기본공격이 강화된 공격모션으로 변경이 되었으나, 와일즈에서는 3진액 상태인 경우에 강화되도록 변경이 되었다.
- 스탠딩 차지
빨간진액만 보유시를 눌러 차치하는 급습베기공격이 추가 되었다.
이후 파생 공격으로는연속베어오르기,
에 신규 공격 모션이 추가가 되었다.
해당 공격 이후 비원베기가 파생 되는 것이 확인 가능.
- 점프파생
베타 테스트에서는 전작까지 점프후 공중돌진공격 타격후 발생한 무답도약이 사라졌었지만, 본편에서는 무답도약이 다시 돌아와 전작과 같은 운용이 가능해졌다.
전작까지 조충곤의 점프에서 파생가능한와
이외에 스탠딩상태에서만 가능한 마크공격, 마킹탄 발사가 각
/
+
에 할당되어 공중에서도 마크공격이 가능해졌다.
또한 아이스본의 급습찌르기가 와일즈의 스탠딩 차지와 동일하게를 차징시 급습찌르기 공격이 가능.
에 강화2단베기,
+
에 라이즈의 각충격과 비슷하게 3중진액을 소비하는 비천나선참,
에 비원베기,
+
에 후퇴베기가 파생되는 것이 확인 가능하다.
5. 운용
월드에서는 3진액을 모은 후 빨강 진액으로 해금이 가능한 비연베기를 반복하거나 공중에서 급습 찌르기를 사용하는 다소 단순한 운영이 기본이었고 여기에 조충을 활용하는 자율전투 내지는 원거리 공격을 활용하는 상태, 무기전투/조충전투 두가지 상태를 왔다갔다 하면서 관리하는 것이 주축이었다. 와일즈에서는 여기에 지상에서 사용가능한 급습 베기, 급습 공격 이후의 비천나선참이 추가된 형태를 갖추면서도 조충전투 상태를 집중 모드시의 공격으로 대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된 면모를 띈다. 급습 공격계열에 짧지만 상쇄 판정이 추가되고 비천나선참이 매우 높은 피해량을 보여 비천나선참을 최대한 많이 적중시키는 형태로 플레이가 자리잡혔다.- 이동 공격과 집중모드를 이용한 견제
각종 무기마다 이동하는 부류의 공격이 추가된 와일즈에서 조충곤은 이동공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좋은 무기다. 기본 연속베기 연계는 4방향 모두 보폭이 길어 조충곤의 긴 무기리치를 활용하면서도 몬스터의 반격에 대처하기 위한 좋은 포지셔닝을 찾아가는데 매우 유용한 기술. 여기에 집중모드를 발동한 상태에서 공격하면 조충이 자동으로 공격 모션의 궤적을 똑같이 따라가면서 공격하는데 진액까지 채취해 온다. 여러가지 상태와 기능을 오가면서 전투를 해야해서 복잡했던 전작들과 달리 와일즈에서는 기본적인 지상전투만으로도 전투 사이클이 돌아가도록 개편이 되었고, 긴 무기리치와 보폭을 활용한 포지셔닝 플레이가 전투의 기본이 되었다. 여기에 더해 진액을 채취하면 비연베기 연계로 후려치기 모션이 강화되어 후술할 급습-비천나선참 연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앞뒤좌우의 이동공격과 비연베기를 활용하면서 긴 사정거리의 공격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긴 동선을 활용하기 좋은 점이 조충곤의 큰 장점이다.
- 급습 공격과 비천나선참
기존의 급습 찌르기와 더불어 신규로 추가된 급습 베기는 차지형 공격으로 바뀌었다. 강력한 다수의 연타와 상쇄기능으로 조충곤의 주력기술이며 이후 가장 강력한 비천나선참으로 연계할 수 있다. 급습 차지 중간에도 공격버튼으로 연속베기를 발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전투 중간에 차지를 미리 걸어놓고 연속베기로 싸우다가 필요할 때 급습 공격을 발동하는 것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조작의 난해함이 있지만, 그만큼 주력 기술을 필요한 적재적소에 마음대로 꺼내 쓸 수 있다는 강력한 장점을 갖고 있다. 선행 공격을 하나 미리 깔아둔 후 차지를 시작하고, 연속베기, 회피, 도약을 활용하면서 기동력을 활용하다가 몬스터의 패턴에 맞춰서 급습-비천나선참을 발동하는 것이 조충곤의 주력기술 사이클.
- 상쇄
급습 베기와 급습 찌르기의 첫 타에 상쇄 기능이 있다. 조충곤의 상쇄 기술은 상쇄 지속 판정은 매우 짧지만 발동에 필요한 선행 연계가 없고 차지 도중에 사용할 수 있어 조작이 매우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급습찌르기로 공중에서 상쇄가 가능한 것이 다른 상쇄 가능 무기들과의 차별점. 다만, 상쇄 지속 판정 문제로 사실상 노리고 쓰기 힘들어 어쩌다 운에 맞춰야하는 수준인게 치명적인 문제다.
- 진액 모으기
예전에는 빨간진액만 있어도 모션이 강화되었지만 이번엔 3중 진액이 유지가 되야만 모션이 강화된다. 대신 여러 시스템적 수혜를 받아 진액 수급 난이도가 크게 낮아졌다. 또한 집중 모드에서 공격을 하면 사냥 벌레가 협동 공격을 하면서 진액을 바로 물어온다. 이 덕분에 벌레를 다룬다는 기이한 조작감에서 어느정도 탈피 할 수 있다. 상처에 공격을 하는 집중약점공격을 이용하면 3중 진액이 한 번에 바로 확보되므로 다른 무기보다 상처 관리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 도약을 통한 포지셔닝 플레이
조충곤만이 가능한 도약을 통해 공격을 우회하고 원하는 포지션으로 곧바로 도달할 수 있는 강력한 포지셔닝 능력을 활용할 수 있다. 도약에 따르는 공중공격으로 탑승공격을 이어가거나, 몬스터의 취약한 부위를 노리기, 위험한 구역에서 빠르게 벗어나기 등 폭넓은 활용도를 갖고 있으며 점프 공격이 가능한 다른 몇몇 무기들과는 다르게 급습 찌르기라는 강력한 주력기술도 사용 가능하기에 14개의 모든 무기 중 공간을 가장 폭넓게 사용 가능하다.
6. 내부 데이터
7. 총평
강력한 급습베기와 비천나선참의 초월적인 대미지,[1] 도약을 위시로 한 조충곤만의 뛰어난 기동능력은 고평가 받지만 매우 불편해진 운영과 조작감 때문에 호불호가 극심하게 갈린다. 특히 차지조작을 위시한 조충곤의 새로운 운영 때문에 "내가 쓰고 있는게 조충곤이 아니라 길쭉한 해머 같다"며 성능과는 별개로 와일즈 조충곤을 싫어하는 유저들도 다수 있다.7.1. 장점
- 빠른 주력기술 사이클
급습 공격-비천나선참으로 이어지는 와일즈 조충곤의 주력 공격은 발동이 빠르며 모션중의 안정성도 높다. 또한 제약이라고는 3진액 상태여야 한다는 조건만이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돌릴 수 있는 주력기의 사이클 주기가 매우 짧다. 최적의 조건에서는 비천나선참 직후 3진액이 바로 가능해 연속으로 2회 3회씩 사용하는 것도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 비천나선참의 공격력도 다른 무기들의 필살기급 기술들에 비해 부족하지 않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강력하게 몰아치는 것이 가능하다.
- 자체 점프와 공중전 능력
전통적으로 조충곤만이 가진 아이덴티티. 자체 도약 공격이 있어서 평지에서도 몬스터에게 안정적으로 탑승이 가능하며, 회피가 까다로운 낮은 타점의 공격을 공중으로 회피한 후 여유있게 역습을 전개할 수 있다. 공중에서도 회피, 낙하공격, 이동공격의 다양한 선택지가 있어서 지상에 비해 크게 안정성이 떨어지지 않는다. 특정한 부위를 노리거나 위치를 크게 바꾸고 싶을 때 조충곤은 자유자재로 옮겨다닐 수 있어서 포지셔닝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 벌레연계공격의 이점
본작의 조충곤은 집중모드를 사용해 벌레와 협공할 수 있다. 이때 벌레가 입히는 대미지 외에도 타입에 따라 다양한 이점들이 따라오는데, 절단 타입은 꼬리 짜르기, 타격 타입은 기절을 걸 수 있어서 유용하다.
7.2. 단점
- 불편해진 운용법 때문에 낮아진 저점
이론상 조충곤은 우수한 기동력에 힘입어 매우 높은 화력을 계속해서 몰아칠 수 있으나 그건 몬스터의 패턴 이해도와 빌드가 완벽에 가까울 때나 얘기지, 실제로는 짧은 선후딜을 가졌던 전진 약공의 강화찌르기라는 고성능 모션 삭제[2] + 빨간 진액만 있어도 공격 모션이 강화되던 진액 옵션이 3진액 강제로 변경까지 겹쳐져 운용법이 한없이 불편해졌고, 숙련 유저와 비숙련 유저와의 격차가 크게 벌어져버린 무기가 되어버려 기존 조충곤 유저들에게 큰 비판을 듣고 있다.
- 끔찍한 게임 패드 조작감
키보드 마우스 유저라면 다소 낫지만 패드 유저는 백버튼이나 자이로를 사용하지 않는 유저라면 무기의 제대로된 사용 자체가 힘들어졌다. 타 무기들은 집중 모드만 켜고 꺼주면 간단히 신규 기능에 적응하는 반면, 조충곤은 벌레까지 조종해야 하는데 여기서 집중 모드와 벌레 모드를 둘 다 On/Off로 조작하는데다 무기도 차징하느라 계속 눌러줘야 하기 때문에 버튼을 잡을 손가락이 남아나질 않는다. 여기에 몬스터의 공격까지 들어와 피하기 위한 조작을 더하면 답이 없는 수준. 때문에 백버튼이나 자이로 등의 도움 없이 조충곤을 운용하려면 트리거 버튼을 누르면서버튼을 홀드한 상태로
버튼과
버튼을 같이 눌러야하고 여기에 R스틱으로 시점 조작까지 해야하는 괴악한 조작법이 반강제된다. 이 때문에 커뮤니티에선 개발자를 향해 한 손에 손가락이 6개냐는 빈축을 사고 있다. 애초에 손이 꼬이기 전에 뇌부터 꼬이는 경우가 빈번한 것도 영향이 있다.
- 몬스터들의 진액 위치 이슈
몬스터의 진액 위치에 일관성이 크게 떨어져 비판받고 있다. 시리즈 공통으로 머리가 빨강, 몸통이 하양, 다리나 꼬리 같은 가동부위가 주황으로 어느 정도 통일성을 보였는데, 본작은 당장 가장 많이 잡게 되는 알슈베르도의 진액 위치부터 머리가 빨강, 날개와 몸통이 주황, 꼬리가 하양이라는 괴상한 배치다. 즉 몬스터마다 진액 위치를 따로 외워야 하므로 상기한 조작 이슈에 진액 위치 암기 이슈까지 겹쳐 사냥에 나설 때마다 머릿속이 엉망진창이 되어 버린다.
- 반강제되는 넓은 포지셔닝 플레이
가장 뛰어난 포지셔닝 능력을 지닌 무기이지만 그만큼 다양한 포지션을 오가는 플레이가 강제된다. 가장 큰 이유는 진액 채취 때문인데, 가령 솔로 플레이 시에 계속 몬스터와 정면을 마주보면서 싸우는 지상 플레이만을 지속하면 3진액을 완성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기 쉽다. 대체로 흰 진액이 몬스터의 뒤쪽에 배분되는 일이 많기 때문에 도약으로 뒤를 돌아가거나 조충공격으로 원거리에서 채취를 하는 등의 플레이가 필요하다. 물론 몬스터는 계속 움직이기 때문에 아무리 정교하게 플레이 한다고 해도 채취가 쉬운 것은 아니기에 전투 내내 큰 보폭으로 여기저기 옮겨다니는 플레이가 반강제된다. 이는 급습 공격이나 비천나선참을 쓸 때도 비슷하다. 즉, 조충곤이 지닌 큰 장점이 그 자체로 일종의 족쇄 역할을 한다.
- 인풋렉 문제
태도랑 공유하고 있는 문제인데, 타 무기보다 0.1초정도 늦게 반응해서 조작감이 좋지 않다. 버그인지 의도된 사양인지는 불명.
8. 추천 스킬 목록
8.1. 무기 스킬
- 강화지속
조충에 의한 진액강화의 지속시간을 늘려주는 스킬로 전작에서부터 채용해왔던 스킬로 이번작에서도 어느정도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와일즈에서는 비천나선참으로 빠르게 3진액을 소모하고 재충전하는 사이클이 권장되기 때문에 전투난이도가 크게 올라가지 않는 상황들에서는 전작들과 달리 필수적이진 않다.
- 비연
조금만 발이 떨어져 있다면 효과가 발동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조충곤 동작에 적용되는 스킬. 사실상 아무 조건 없이 대미지만 올려주는 필수 스킬이다.
8.2. 방어구 스킬
- 회피 성능/회피 거리 up
조충곤의 방어기술은 도약과 이동 공격을 통한 포지셔닝, 즉 간접적인 능력에 치중해있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회피 능력을 갖추는 것은 필요하다. 향상된 회피 능력은 도약 후의 공중 회피에도 적용된다.
- 귀마개
진액채취를 통해서 방음, 내진, 방풍, 내충 효과를 각각 1레벨씩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공중전의 비중이 높아 공중전투를 방해받지 않기 위한 면모가 있다. 지진, 풍압의 경우 당할 사례가 많지 않고 2레벨 이상을 도달할 필요성이 크지 않지만 방음은 2레벨 이상확보가 이득을 꽤 가져올 수 있다. 와일즈에서는 월드와 달리 상당수의 몬스터가 포효(소)를 갖고오게 되었는데, 방음 2레벨로 포효(소)를 무력화 할 수 있어 귀마개를 1레벨 가져가서 강화 후 포효(소)를 무효화 하거나 2레벨을 들고가서 총 3레벨을 달성해 유사시 포효(대)까지 막는 세팅을 하는게 가능하다.
- 혼신 - 뇌악룡의 투지
주요 방어기술인 회피와 도약이 스태미나를 소모하지만 이동공격 기술을 활용해서 소모를 어느정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주력기술인 급습 공격과 비천나선참을 사용하게되는 타이밍까지 스태미나 회복을 어느정도 기다릴 여지가 있어서 혼신을 활용하기 적합하다.
- 교격
포지셔닝과 회피만이 주요 방어기재이며 회피성능에 투자할 필요성도 있어서 교격과의 연계도 적절하다. 단, 다른 무기들과 달리 회피 성능에 보너스를 받는 요인은 없어서 효과를 온전히 활용하기는 애매하다고 할 수 있다.
8.3. 조충 스킬
9. 추천 무기 목록
- 자화곤 스트로펠마
자화지주 소재 마비속성 조충곤. 깡공은 좀 낮지만 기본 회심 15%에 흰예리가 매우 넓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무기 자체 스킬에 회심격[특수] 1레벨과 발도술[기]가 2레벨이 붙어있는데, 발도술[기]가 조충곤에게는 별로 메리트 없는 스킬이라는 부분이 사소한 단점. 점프 시 손잡이 끝에 달린 꽃봉오리가 개화하는 기믹이 있다.
- 디플리엘리카
아티어 조충곤. 무기 스킬이 없는 대신 3 3 3 슬롯의 넓은 장식주 슬롯이 특징이다. 다만 상태이상치가 매우 낮고, 벌레 레벨이 8레벨 밖에 안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예리도가 다른 무기보다 낮아 복원 옵션은 기초 공격력 4개 + 예리도 강화 1개 정도가 추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