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color:#FFFF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D1D1D,#E2E2E2 | 1996~2000 | |||
(1996) | (1996) | 슈팅 (1996) | 엄마는 출장중 (1996) | |
아내가 있는 풍경 (1996) | (1997) | (1997) | 봄날은 간다 (1997) | |
(1997) | (1997) | (1997) | (1997) | |
(1997) | 완벽한 남자를 만나는 방법 (1997) | (1998) | (1998) | |
(1998) | 킬리만자로의 표범 (1998) | (1998) | (1998) | |
(1998) | (1998~1999) | (1999) | (1999) | |
(1999) | 속 가시나무새 (1999) | 영원한 것은 없다 (1999) | (1999) | |
환상여행 (1999) | (1999) | (1999) | (2000) | |
(2000) | (2000) | (2000) | (2000) | |
(2000) | ||||
KBS 2TV 특집 미니시리즈 진달래꽃 필때까지 (1998) Until the Azalea Blooms | ||
<colbgcolor=#2449a4,#3267eb><colcolor=white,#ddd> 방송 시간 | 월 · 화 / 오후 9:50 | |
방송 기간 | 1998년 1월 5일 ~ 1998년 1월 26일 | |
방송 횟수 | 8부작 | |
채널 | KBS 2TV | |
제 작 진 | <colbgcolor=#2449a4,#3267eb><colcolor=white,#ddd> CP | 염현섭 |
연출 | 홍성덕 | |
극본 | 윤혁민, 박영숙, 정성산 | |
출연 | 염정아, 유태웅, 윤동환, 박근형 外 |
[clearfix]
1. 개요
북한 사회의 예술가들을 중심으로 북한 사회의 권력층의 실상과 일반 서민들의 생활상을 적나라하게 묘사한다. |
이 작품의 시놉시스 |
진달래꽃 필때까지는 1998년 1월 5일부터 동월 26일[1]까지 방영되었던 KBS 2TV 월화 드라마이며, 총 8부작이다. 극본은 윤혁민 외 2명, 연출은 홍성덕 PD, 무술감독은 김백수, 무용총괄은 김향금[2], 음악은 구훈과 이임우, 편곡은 박찬혁 등이 맡았다.
기획 당시의 제목은 《두 개의 조국》이기도 했다.(조선일보 기사)
2. 특징
1회 영상 |
만수대 무용단원 출신 탈북자 신영희가 1996년에 쓴 동명의 수필을 원작으로 했다. 이 작품은 실제 북한 기쁨조의 일상과 같은 북한 사회 내부를 최대한 사실적으로 그린 드라마이나, 원작자 신영희가 북한에 남겨진 가족들이 위험해질 수 있다 하여 드라마 제작 동의를 번복하고 KBS를 상대로 방영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가 기각됐고, 북한 측으로부터는 폭파 협박을 받는 등 우여곡절이 있었다.(중앙일보 기사도 참고)
메인 타이틀은 Stamatis Spanoudakis의 ALEXANDROS.
MBC에서 같은 시간대에 방영한 드라마 복수혈전에는 밀렸으나 시청률은 준수한 편이었다. 2021년 5월 18일부터 5월 25일까지 KBS 유튜브 채널 '같이삽시다'에 매일 저녁마다 업로드되었다.
현대 한국어 맞춤법에 의하면 "진달래꽃 필 때까지"로 표기해야 하나, 당시 타이틀에는 "진달래꽃 필때까지"로 표기되었다.
3. 등장인물
3.1. 주요 인물
- 유태웅: 강룡남 역
원작자 신영희의 남편인 최세웅을 모티브로 한 인물.
주명희의 남편. 김일성종합대학 출신의 엘리트로, "붉은 자본가" 칭호를 얻고 영국으로 파견되어 외화벌이에 종사하다 리철규의 음모로 강제송환되어 고문당한 것을 계기로 탈북을 결심, 일가를 이끌고 대한민국으로 망명한다.
- 윤동환: 한지욱 역
인민군 출신의 대남공작부 공작원으로 리철규의 직속 부하. 평생 주명희를 연모하면서 강룡남을 견제하나, 리철규가 강룡남을 제거하는 즉시 자신을 토사구팽하려는 사실을 알게된 뒤 주명희 일가의 탈북을 돕고 본인은 다른 공작원들과 자폭한다.
- 박근형: 리철규 역
인민무력부 부부장. 김경희와 껄끄러운 관계를 형성하며, 김경희의 강력한 신임을 받는 강룡남을 견제하기 위해 한지욱을 통해 갖은 수단을 동원하나 실패한다.
3.2. 주변 인물
- 박웅: 강보현 역
강룡남의 아버지. 재정경리부 부장. 정년퇴직 후 손녀 은별을 키우면서 룡남의 귀국을 기다리다가 리철규의 음모로 은별과 함께 갑산 광산으로 유배되었고, 김경희의 배려로 석방된 뒤 갑산에 온 아들 룡남에게 "나 때문에 쉽게 결정하기 힘든 건 알지만, 나는 살만큼 살았으니 룡남이 너는 애비의 입장으로 자식들의 장래를 위해 현명한 선택을 하길 바란다."는 내용의 편지를 전달하며 룡남이 탈북을 결심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 박원숙: 백연순 역
오기탁의 처.
- 전무송: 박현택 역
만수대예술단 단장.
- 백윤식: 백운수 역
피바다가극단 연출가.
- 김진태: 오기탁 역
런던 주재 북한 대표부 부대표.
- 신귀식: 런던 주재 북한 대표부 대표 역.
- 금보라: 수경 역
남포시당 세포지도원.
- 김일우: 경남 역
강룡남의 친구. 명희와 룡남을 이어준다.
- 김봉근: 주명희의 아버지 역
- 박건식: 런던 주재 북한 공작원 역
리철규의 직속 부하. 리철규로부터 한지욱을 죽이라는 지령을 받으나, 이를 간파한 한지욱과 함께 폭사한다.
- 최여름: 최희숙 역
자강도 출신의 피바다가극단원. 건실에 앞서 잠시동안 김영일의 애첩이 되었다가 버림받고, 훗날 중앙당 사진사가 된다.
- 홍승희: 성애순 역
피바다가극단 및 만수대예술단, 기쁨조원. 기쁨조 공연 후 "전투적 명령"이라며 조선로동당 자금을 지원할 흑인에게 선물로 제공되어 겁탈당한 후 자살한다.
- 조승희[10]: 림숙희 역
피바다가극단 및 만수대예술단, 기쁨조원.
- 이승혁: 강국철 역
룡남과 명희의 아들. 룡남의 영국 파견 때 어머니 명희와 함께 동행하는 행운을 누린다.
- 김지원: 강은별 역
룡남과 명희의 딸. 룡남의 영국 파견이 정해지자 '외화벌이 일꾼은 반드시 한 명의 자녀를 북한에 남겨둬야 한다'는 룰 때문에 부모님과 떨어져 북한에 인질로 남아있다가 리철규의 음모로 할아버지 강보현과 함께 갑산 광산에 끌려갔으나, 김경희의 도움으로 석방된 뒤 영국행을 허락받으면서 부모와 재회하고, 탈북까지 한다.태어난지 10년도 안 되어 이산가족, 혁명화 교육, 탈북을 모두 겪은 생존여왕
- 이원희: 김영일 역
김정일의 이복동생. 아버지, 이복형 못지 않은 호색한.
- 김기현: 런던 주재 대한민국 영사 역
3.3. 기타
4. 여담
- 1회 오프닝 영상을 보면 이미 최종회까지 사전에 촬영이 완료된 것으로 보인다.[12]
- 1978년부터 1996년까지 19년간의 일들을 8회분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극의 흐름이 매우 빠른 편이다.
- 주인공 염정아와 유태웅을 비롯하여 허진, 박근형, 정욱, 백윤식, 허윤정, 박원숙, 김진태, 김일우, 박정철, 이치우 등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 출신[13] 배우들이 상당수 출연한다.
- 김경희 역을 맡은 허진과 오진우 역을 맡은 이치우는 1982년에 방영된 지금 평양에선에서도 같은 배역으로 출연한 적이 있다.
[1] 7회와 8회(마지막회)는 연속 방영되었다.[2] 당시 창원대학교 무용학과 교수[3] 암호명 목란꽃[4] 김청은 실제로 무용과(경희대학교) 출신이다.[5] 실제로 무용과(한성대학교) 출신이다.[6] 그룹 IDOL 리더 최혁준의 어머니.[7] 이 기사에 의하면, 김정일이 다른 애첩들에 대한 본보기 및 자신의 후계자 승계 작업에 대한 걸림돌 제거 목적으로 고작 바람난 것 하나로 우인희를 처형했다고 한다.[8] 다만 나이 많은 탈북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주정기는 조총련 핵심 간부 아버지의 후광으로 방탕하게 산 바람둥이였다 하고, 사인도 한겨울 중에 자신의 자가용 안에서 우인희와 카섹스를 하다 히터 고장으로 복상사(!)한 것이라 한다. 반공물 보정을 톡톡히 받은 케이스.[9] 김정일이 관람하는 공연. 김일성이 관람하는 행사는 '1호 행사'로 지칭한다.[10] KBS 슈퍼탤런트 출신으로, 이 쪽도 실제로 무용과(이화여자대학교) 출신이다.[11] 당시에는 본명 박철로 출연했다.[12] 일종의 옥의 티로, 7회에 등장하는 런던 히스로 공항의 시계에 1997년 10월 6일이라는 날짜가 나온다. 이 또한 이미 방영 전에 촬영이 완료된 것을 알 수 있는 부분.[13] 서라벌예술대학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