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정동환(동명이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정동환(동명이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정동환(동명이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이인: }}}[[정동환(동명이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정동환(동명이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정동환(동명이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정동환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 |||||
연극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
제28회 (1992년) | → | 제29회 (1993년) | → | 제30회 (1994년) | |
김재건 (사로잡힌 영혼, 물거품) | → | 정동환 (오로라를 위하여) | → | 오영수 (피고지고 피고지고) | |
{{{#!wiki style="margin: -6px -10px"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2282b9> | KBS 성우극회 소속 성우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2282b9><colcolor=#fff><rowcolor=#fff> 기수 및 연도 | 성우 | ||||
특기 (1948) | 남 | |||||
여 | ||||||
제1기 (1954) | 남 | 김수일, | ||||
여 | 고은정, 김소원, | |||||
1955 | 남 | |||||
여 | ||||||
제2기 (1956) | 남 | |||||
여 | ||||||
1957 | 남 | |||||
여 | ||||||
제3기 (1958) | 남 | |||||
여 | ||||||
1960 | 남 | |||||
여 | ||||||
제4기 (1961) | 남 | |||||
여 | ||||||
제5기 (1961) | 남 | |||||
제6기 (1962) | 여 | |||||
1963 | 남 | |||||
여 | ||||||
제7기 (1964) | 남 | 김종성, | ||||
여 | ||||||
제8기 (1965) | 남 | |||||
여 | 정민희 | |||||
1966 | 남 | |||||
여 | 박영남, | |||||
제9기 (1967) | 남 | |||||
여 | 김순환, | |||||
제10기 (1968) | 남 | |||||
여 | ||||||
제11기 (1969) | 남 | |||||
여 | ||||||
제12기 (1970) | 남 | 김규식, 김세한, | ||||
여 | 김정미, 손정아 | |||||
제13기 (1971) | 남 | 김도현, | ||||
여 | 강연숙, | |||||
제14기 (1972) | 남 | |||||
여 | ||||||
1973 | 남 | |||||
여 | 김민, 박은숙, | |||||
1975 | 남 | |||||
여 | ||||||
1976 | 남 | 설영범, | ||||
여 | ||||||
제15기 (1977) | 남 | |||||
여 | 강미형, 고선형, | |||||
1978 | 남 | |||||
여 | ||||||
1979 | 남 | |||||
여 | 강희선, | |||||
제16기 (1980) | 남 | 김창주, 신흥철, 유제상, 이호인 | ||||
여 | 서미옥, 이연희, | |||||
제17기 (1982) | 남 | |||||
여 | ||||||
제18기 (1983) | 남 | 강구한, | ||||
여 | ||||||
제19기 (1984) | 남 | 김태웅, | ||||
여 | ||||||
제20기 (1986) | 남 | 박규웅, | ||||
여 | ||||||
제21기 (1988) | 남 | 강수진, | ||||
여 | 문일옥, 송덕희, | |||||
제22기 (1990) | 남 | |||||
여 | 김순영, | |||||
제23기 (1992) | 남 | 구자형, | ||||
여 | 권성은, 김지민, 김희선, | |||||
제24기 (1994) | 남 | 김영진, 박정민, 성수경, 이주원 | ||||
여 | 김수진, 김진주, | |||||
제25기 (1995) | 남 | |||||
여 | 구민선, 은영선, 임미진 | |||||
제26기 (1997) | 남 | 류다무현, 변영희, 원호섭, 유동균, 이장원, 임진응 | ||||
여 | 김상현, 오길경, 은미, 이명원, | |||||
제27기 (1999) | 남 | 사성웅, 안용욱, 양석정, 윤세웅, 이규석 | ||||
여 | 김지혜, 민지, 소연, 신소윤, 이현주 | |||||
제28기 (2000) | 남 | 고재균, 김래환, 변현우, 임채헌, 위훈, 최정호 | ||||
여 | ||||||
제29기 (2002) | 남 | 박찬희, 신찬혁, | ||||
여 | 김희영, 나지형, 송정희, 이미향, 임주현, 전숙경 | |||||
제30기 (2003) | 남 | 곽윤상, 김대중, 손정성, 이광수, 진웅, 최창석 | ||||
여 | 권연희, 서지연, 안영아, 유지원, 은정, 최하나 | |||||
제31기 (2005) | 남 | 박영재, 방우호, 심승한, 이지환, 주재규, 차진욱 | ||||
여 | 박지윤, | |||||
제32기 (2006) | 남 | |||||
여 | 강유경, 김희진, 박희은, 안소이, 전지원, 전진아 | |||||
제33기 (2008) | 남 | 김목용, 김태영, 이문희, 전승화, 정성훈, 조규준 | ||||
여 | 강보라, 배진홍, 안찬이, 양유진, 조세령, 최정현 | |||||
제34기 (2009) | 남 | 김두용, 김상백, 배영규, 윤호, 이찬우, 임정길 | ||||
여 | 신송이, 우현주, 이미연, 이미형, 이제인, 홍수정 | |||||
제35기 (2010) | 남 | 백선우, 이희탁, 조연우, 최현철, 한복현 | ||||
여 | 권문정, 공경은, 김태리, 김소희, 지화정 | |||||
제36기 (2011) | 남 | 권도일, 권창욱, 김도담, 김동하, 박상훈, 탁원정 | ||||
여 | 강규리, 김민신, 박상경, 사문영, 선은혜, 이영미 | |||||
제37기 (2012) | 남 | 김인, 박노식, 백성식, 전상조, 조민수, 채안석 | ||||
여 | 금령, 김두리, 김자연, 윤정화, 조경아, 최윤정 | |||||
제38기 (2013) | 남 | 김현수, 박진우, 신범식, 심인종, 윤용식, 전종구 | ||||
여 | 길라영, 김사라, 우성은, 이아름, 전영수, 한혜정 | |||||
제39기 (2014) | 남 | 공준호, 서승휘, 송대선, 이상운, 임호기, 장병관 | ||||
여 | 김경진, 김한나, 문지영, 변혜숙, | |||||
제40기 (2015) | 남 | 김진수, 석승훈, 이규창, 이정민, 장희문, 허성재 | ||||
여 | 민아, 남유정, 서다혜, 오주희, 이명호, 이자영 | |||||
제41기 (2016) | 남 | 구지원, 선우현수, 이진무, 정의진, 최결, 홍후백 | ||||
여 | 김성화, 리우, 송하랑, 이다슬, 이현애, 채지희 | |||||
제42기 (2017) | 남 | 김용, 김인형, 박주광, 임주완, 하지형 | ||||
여 | 신온유, 이지선, 임희진, 최하리, 허예은 | |||||
제43기 (2018) | 남 | 김용석, 나은혁, 서정익, 오해성, 이명상 | ||||
여 | 김나혜, 나인애, 박하진, 방시우, 혜원 | |||||
제44기 (2019) | 남 | 김희승, 송백경, 장지민, 지병문, 황원종 | ||||
여 | 김다운, 김봄, 김이안, 김성희, 유인선 | |||||
제45기 (2020) | 남 | 송기원, 유선일, 이수안, 최현식 | ||||
여 | 박의주, 정해은, 천송이, 한이정 | |||||
제46기 (2021) | 남 | 박기욱, 박성광, 윤세하, 이창현 | ||||
여 | 김순미, 배하경, 수현, 이눈솔 | |||||
제47기 (2022) | 남 | 이주봉, 이현준, 임의주, 전병하 | ||||
여 | 강한별, 권선영, 오은수, 최현지 | |||||
제48기 (2023) | 남 | 박준모, 이도하, 전종건, 최우성 | ||||
여 | 박송, 엄지은, 임지현, 주예진 | |||||
제49기 (2024) | 남 | 김시우, 김용효, 정상일, 최인일 | ||||
여 | 김정운, 배주원, 유승희, 정수현 | |||||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대원방송 · MBC · PBC | ||||||
※ 송백경을 포함 회색은 문서가 없는 성우이고, 최연소 성우는 밑줄로, 최고령 성우는 볼드체로, 은퇴한 성우나 제명되거나 생몰 미상인 성우는 | }}}}}}}}} |
}}} ||
정동환 鄭東煥|Jung Dong-hwan | |
<nopad> | |
<colbgcolor=#d8e3ea><colcolor=#2b2b2b> 출생 | 1949년 8월 5일 ([age(1949-08-05)]세) |
전라북도 김제군[1] | |
국적 |
|
가족 | 배우자 정윤선(1958년생, 1986년 결혼) 장녀[A] 차녀 정하늬(1980년생)[A] 장남 정우철 |
데뷔 | 1965년 연극 <동이 틀 때> 1973년 DBS 성우극회 6기 |
학력 | 중동고등학교 (졸업) 서울연극학교 (연극과 / 졸업) |
종교 | 개신교 |
1. 개요
대한민국의 배우, 교수.2. 생애
중동고등학교 재학시절 연극반 활동을 하며 대한민국학생경연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았고, 서울예술대학교의 전신인 서울연극학교에 입학했다. 가정 형편상 연극만으론 학비와 생활비를 감당할 수 없어 자원입대하여 베트남전에 참전했다.1969년 연극 <낯선 사나이>로 정식 데뷔했다.
1973년 1,00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DBS 6기 성우에 합격했고, 거의 1년쯤 성우로 일하다 연극연기와 연극연출을 하기 위해 사직했다.
1974년 일본 오키나와에 있는 연극학교에 가기 위해, 일본으로 건너가 사탕수수 농장 노동자로 일하며 돈을 벌고 연극 무대에 섰다. #
1975년 한국으로 돌아와 <마의태자> 등의 연극에 출연하며 흥행에 성공했지만 여전히 생활고에 시달려 다시 일본 사탕수수 농장에서 노동자로 일했다.
1982년 후술할 스캔들로 인해 미국 뉴욕으로 건너가 낮에는 '리 스트라스버그 시어터 인스티튜트' 연기학교에서 공부하고, 밤에는 빌딩 청소 일을 했고, 1985년 출연정지가 풀린 후 귀국했다. #
3. 활동
또렷한 목소리와 중후한 외모를 강점으로 살려 높으신 분들 역할에 특화된 배우이다. 귀티나는 이미지의 소유자로 극중에서 주로 부유하거나 사회적 지위가 높은 역할을 맡는 경우가 많다. 캐릭터의 사회적 지위가 최소 중산층. 겉보기에는 상냥하고 교양있지만 알고보면 위선자, 하라구로 속성의 캐릭터를 연기하는 경우가 많다.물론 특유의 인자한 인상으로 선역, 소시민 역할도 많이 맡는다. 상대적으로 악역을 맡는 경우가 많을 뿐, 연기 스펙트럼이 매우 넓은 배우이다. 선역 악역 연기 모두 소화 가능한 몇 안되는 배우다.
공교롭게도 많은 작품에서 본의는 아니었어도 결과적으로는 가족들, 특히 딸들을 힘들게 하는 나쁜 아버지 역할을 연기했다. 딸에게 상처를 주는 나쁜 아빠 전문배우 정동환. 극 중 자식으로 나오는 배우들이 출생의 비밀이 있는 경우 또한 대다수라서 출생의 비밀 전문배우라고 칭하기도 한다. 또 사망전대의 일원이기도 하다.
연극배우로도 유명하다.[4] 2009년 명동예술극장 재개관식에도 연극 배우 자격으로 참석한 바 있으며, 레이디 맥베스, 고곤의 선물, 단테의 신곡, 오이디푸스 등 다양한 연극에도 출연하여 좋은 연기를 보여주었다. 기사 기사2 그것도 어쩌다 가끔 드라마 쉬면서 나오는 수준이 아니라, 아래에 나오는 수많은 드라마에 출연하면서도 매년 최소 1~2편의 굵직한 연극에 참여하는 다작 배우이기도 하다.[5]
2019년 KBS 연기대상에서 연작 단막극상을 수상했다. 수상 소감 때는 요즘 드라마계가 돈에 매몰된 경향을 안타까워 하면서 KBS의 드라마 정책을 칭찬하는 취지의 말을 남겼다. 영상
4. 출연 작품
4.1. 드라마
<rowcolor=#2b2b2b> 방영 연도 | 방송사 | 제목 | 배역 | 비고 |
1980년 | | 붉은 왕조 | 오상호 소좌[6] | |
1982년 | 약속의 땅 | |||
풍운 | 박영효[7] | |||
맥토 | ||||
| 세자매 | |||
1985년 | | TV 문학관 - 미명의 하늘 | ||
고향 | 동혁 | |||
| 초원에 뜨는 별 | |||
1986년 | | 여심 | 민영재 | |
TV 문학관 - 동행 | ||||
1987년 | 사랑 | |||
| 퇴역전선 | 백상우 | ||
1988년 | 그것은 우리도 모른다 | 이영세 | ||
베스트셀러극장 - 어머니의 깃발 | 개만 | |||
| 바라밀 | |||
1989년 | 두 석양 | |||
| 겨울 안개 | |||
| 천명 | |||
| 제2공화국 | 한동석 중령 | 19,20화 | |
천사의 선택 | 박용열 | |||
1990년 | | 빙점 | 김도엽 | |
| 왕조의 세월 | 순종 | ||
여명의 그날 | 김창만 | |||
봉숭아꽃물 | ||||
|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 | 김혁주 | ||
불의 나라 | ||||
1991년 | 가까운 골짜기 | 희조 | ||
|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 |||
1992년 | | 수요일은 모짜르트를 듣는다 | 인학 | |
숲속의 바람 | 박경호 | |||
추리 3부작 - 황금분할 | ||||
1993년 | | 위스키와 돼지갈비 | ||
| 머나먼 쏭바강 | 김광호 중사 | ||
| 신화 | 조민재 | ||
| 마천마을 사람들 | |||
| 청춘극장 | |||
| 자매들 | 석현 | ||
1994년 | | 사랑의 향기 | ||
| 도전 | 민동준 | ||
큰 언니 | 서강욱 | |||
| 인간의 땅 | 다나카 준위[8] | ||
1995년 | | 사춘기 | 나영 부 | |
| 찬란한 여명 | 오경석 | ||
1996년 | | 컬러 | 강서훈 | |
| 8월의 신부 | 문도일 | ||
| 사랑할 때까지 | |||
1997년 | | 여자는 어디에 머무는가 | ||
| 모델 | 나 사장 | ||
| 3일간의 전쟁 | |||
| 프로포즈 | 김유라의 아버지 | ||
1998년 | | 삼김시대 | 김종필[9] | |
승부사 | 박찬무 | |||
| 진달래꽃 필 때까지 | 김정일 | ||
순수 | 하진우의 아버지[10] | |||
1999년 | 학교 1 | 백두원의 아버지 | ||
| 국희 | 민영재 | ||
| TV 문학관 - 새 | 아빠 | ||
| 만남 | 장문수 | ||
초대 | ||||
2000년 | | TV 영화 러브스토리 | ||
| 민들레 | 송주천 | ||
| 성난 얼굴로 돌아보라 | |||
가을동화 | 윤 교수 | |||
천둥소리 | 이달 | |||
2001년 | | 신화 | 서연 부 | |
2002년 | | 겨울연가 | 김진우[11] | |
| 제국의 아침 | 최지몽[12] | ||
2002년~2003년 | | 야인시대 | 최동열[13] | |
2003년 | | 드라마시티 - 윌리엄을 위하여 | 용주 | |
저 푸른 초원위에 | 신 회장 | |||
| 스크린 | 박진섭 | ||
| 진주 목걸이 | 김재만 | ||
| 왕의 여자 | 류영경 | ||
2004년 | | 귀여운 여인 | 방재하 | |
| 불멸의 이순신 | 윤두수[14] | ||
| 매직 | 오정만 | ||
남자가 사랑할 때 | 강 회장 | |||
| 드라마시티 - 바람난 아빠 | 강지만 | ||
2005년 | 러브홀릭 | 김수봉 | ||
| 프라하의 연인 | 지경환 | ||
2006년 | 천국의 나무 | 윤수하 | ||
| 봄의 왈츠 | 윤명훈 | ||
그 여자의 선택 | 김창안 | |||
| 어느 멋진 날 | 박진권 | ||
| 연개소문 | 연태수 | ||
| 인어이야기 | 남수인 부 | ||
2007년 | | 하늘만큼 땅만큼 | 윤재두 | |
| 마왕 | 강동현 | ||
2007년~2008년 | | 뉴하트 | 박재현 | |
2008년 | | 대왕 세종 | 조말생 | |
2009년 | | 돌아온 일지매 | 최명길 | |
| 사랑은 아무나 하나 | 홍민규 | ||
| 그저 바라보다가 | 김정욱 | ||
다 줄 거야 | 차순철 | |||
2010년 | | 파스타 | 최현욱과 오세영의 스승 | |
| 명가 | 장길택 | ||
|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 | 이형섭 | ||
동이 | 오태석 | |||
| 자유인 이회영 | 이회영 | ||
| 프레지던트 | 한대운 | ||
2011년 | | 당신이 잠든 사이 | 채대필 | |
| 공주의 남자 | 문종 | ||
| 여인의 향기 | 김동명 | ||
2012년 | | 한반도 | 오창일 | |
| 신들의 만찬 | 하영범 | ||
| 유령 | 김석준 | ||
| 대왕의 꿈 | 김용수 | ||
| 무자식 상팔자 | 하인철의 장인 | 특별출연 | |
2013년 | | 구암 허준 | 이정찬 | |
| 최고다 이순신 | 이창훈 | 특별출연 | |
| 나인: 아홉 번의 시간여행 | 최진철 | ||
| 너의 목소리가 들려 | 서대석 | ||
상속자들 | 김남윤 | |||
| 루비반지 | 배창근 | ||
2014년 | | 너희들은 포위됐다 | 유문배 | |
끝없는 사랑 | 김건표 | |||
| 달콤한 비밀 | 한판석 | ||
| 펀치 | 김상민 | ||
2015년 | | 사랑하는 은동아 | 현수 父 | |
| 가면 | 변대성 | ||
2016년 | | 굿바이 미스터 블랙 | 차재완[15] | |
| 함부로 애틋하게 | 윤성호 | ||
| 불야성 | 장태준 | ||
2017년 | | 하백의 신부 2017 | 신동만 | |
| 병원선 | 장태준 | 특별출연 | |
2018년 | | 멈추고 싶은 순간: 어바웃타임 | 이선문 | |
2019년 | | 열혈사제 | 이영준 | |
| 호텔 델루나 | 노준석[16] | ||
| 그렇게 살다 | 최성억 | ||
2020년 | | 머니게임 | 채병학[17] | |
| 더 게임: 0시를 향하여 | 백 선생 | ||
2021년 | | 마인 | 한석철 | |
| 무브 투 헤븐: 나는 유품정리사입니다 | 김인수 | ||
2022년~2023년 | | 사장님을 잠금해제 | 오영근 | |
2023년 | | 두뇌공조 | 황동우 | |
2023년~2024년 | | 마에스트라 | 차기백 | |
2024년 | 감사합니다 | 방기호 | ||
| 열혈사제2 | 이영준 | ||
2024년~2025년 | | 지금 거신 전화는 | 백장호 |
4.2. 영화
<rowcolor=#2b2b2b>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1982년 | 만추 | 민기 | |
1986년 | 엘리베이터 올라타기 | 택구 | |
중광의 허튼소리 | 중광 | ||
1987년 | 블루하트 | ||
몽마르트 언덕의 상투 | 진호 | ||
거리의 악사 | 윤수 | ||
1990년 | 새벽외출 | 정용 | |
1992년 | 세상끝의 향기 | 기석 | |
1993년 | 에미의 들 | 민용철 | |
1994년 | 두 여자 이야기 | ||
2001년 | 광시곡 | 오탄 | |
2005년 | 몽정기 2 | 성은 부 | |
박수칠 때 떠나라 | 남 부장 | ||
2007년 | 세븐 데이즈 | 강상만 | |
2008년 | 너를 잊지 않을 거야 | 이수현의 아버지[18] | |
2014년 | 메피스토 | ||
2019년 | 사바하 | 김제석 | |
2022년 | 아줌마[19] | 정수 | |
2023년 | 서울의 봄 | 최한규 | 첫 천만영화 |
4.3. 연극
<rowcolor=#2b2b2b>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1965년 | 동이 틀 때 | 고교 데뷔작 | |
1969년 | 낯선 사나이 | 정식 데뷔작 | |
1974년 | 출세기 | ||
1975년 | 마의태자 | 태자 | |
1976년 | 하멸태자 | 미휼왕 | |
1977년 | 햄릿 | 햄릿 | |
1978년 | 나비처럼 자유롭게 | 돈 베이커 | |
로물루스 대제 | 필락스 | ||
1982년 | 보이체크 | ||
1986년 | 밤으로의 긴 여로 | 에드먼드 | |
1987년 | 사람의 아들 | 민요섭 | |
1992년 | 오로라를 위하여 | 오유석 | |
1997년 | 에쿠우스 | 다이사트 | |
남에서 오신 손님 | 김성구 | ||
1999년 | 레이디 맥베스 | 궁중의사, 맥베스 | 1인 2역 |
2000년 | 레이디 맥베스 | 궁중의사, 맥베스 | 1인 2역 |
2001년 | 영광의 탈출 | 박일국 | |
2002년 | 레이디 맥베스 | 궁중의사, 맥베스 | 1인 2역 |
2003년 | 고곤의 선물 | 에드워드 담슨 | |
장보고 | 김양 | ||
2004년 | 갈매기 | 쏘린 | |
로물루스 대제 | 로물루스 | ||
2005년 | 세상을 편력하는 두 기사 이야기 | 의사 | |
흔적 | 인조 | ||
2007년 | 시련 | 패리스 목사 | |
2008년 | 레이디 맥베스 | 궁중의사, 맥베스 | 1인 2역 |
고곤의 선물 | 에드워드 담슨 | ||
침향 | 택성 | ||
2009년 | 고곤의 선물 | 에드워드 담슨 | |
뱃사람 | 록하르트 | ||
2010년 | 레이디 맥베스 | 궁중의사, 맥베스 | 1인 2역 |
2011년 | 오이디푸스 | 크레온 | |
2012년 | 벚꽃동산 | 피르스 | |
2013년 | 레이디 맥베스 | 궁중의사, 맥베스 | 1인 2역 |
단테의 신곡 | 베르길리우스 | ||
2014년 | 단테의 신곡 | 베르길리우스 | |
2015년 | 고도를 기다리며 | 블라디미르 | |
태풍기담 | 이태황 | ||
2019년 | 우리가 서로 알 수 없었던 시간 | 침묵극 | |
고도를 기다리며 | 블라디미르 | ||
2020년 | 대심문관과 파우스트 | 이반, 알료샤, 파우스트, 메피스토펠레스 | 1인극 |
2021년 | 단테 신곡 - 지옥편 | 베르길리우스 | |
우리가 사랑했던 정원에서 | 시미언 | ||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 도스토옙스키, 조시마 장로, 대심문관, 식객, 변호사 | 1인 5역 | |
2022년 | 햄릿 | 폴로니어스 | |
두 교황 | 교황 프란치스코 | ||
2023년 | 톨스토이 참회록 안나 카레니나와의 대화 | 레프 톨스토이 | |
2024년 |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이반과 스메르자코프 | 도스토옙스키, 표도르, 대심문관, 식객 | 1인 4역 |
햄릿 | 클로디어스 |
5. 수상 경력
<rowcolor=#2b2b2b> 연도 | 시상식명 | 수상 부문 | 작품 |
1965년 | 전국고교 연극경연대회 | 남자 최우수연기상 | 동이 틀 때 |
1979년 | 제15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 기러기 |
1993년 | 제29회 백상예술대상 | 연극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오로라를 위하여 |
1997년 | 제21회 서울연극제 | 연기상 | 남에서 온 손님 |
1999년 | 제25회 영희연극상 | 연극상 | |
2001년 | 제2회 김동훈 연극상 | ||
2008년 | 제1회 대한민국 연극대상 | 남자연기상 | 고곤의 선물 |
2009년 | 제19회 이해랑 연극상 | 연극상 | |
2010년 |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남자 조연상 | 동이 |
2019년 | 공로상 | 호텔 델루나 | |
KBS 연기대상 | 연작·단막극상 | 그렇게 살다 | |
제9회 아름다운예술인상 | 연극예술인상 | 우리가 서로 알 수 없었던 시간, 고도를 기다리며 |
6. 사건사고
1982년 동료 연예인이었던 김윤미와의 스캔들이 일어나서 아내에게 고소를 당하고 이혼당했다. 또한 '사회통념에 어긋난다'라는 이유로 무기한 출장정지를 당하고, 미국 뉴욕으로 건너가서 연기수업을 하던 흑역사도 있다. 이건 1985년 3월에야 해금된다.7. 여담
- 1986년 귀국해 가수 정윤선과 재혼하여 늦둥이 아들 하나를 두었다. 전처 소생의 두 딸과도 아직 연락 중이며, 결혼식을 축하하거나 재혼한 아내와 3남매와 함께 가족 사진을 찍는 등의 모습을 보였다.
- 가천대학교 연기예술학과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 근현대를 다룬 사극물에서는 김종필 전 총리로 나온 적이 있지만, 실제 싱크로율은 장면 전 총리와 매우 높다. 이외에도 서울의 봄에서 최규하 전 대통령 역할이었으나 거구에 장신이였던 최규하와는 달리 정동환은 호리호리한 체형이라서 싱크로율은 다소 떨어진다.
[1] 現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A] 전처 소생[A] 전처 소생[4] 사실 웬만한 중견배우들은 거의 연극으로 데뷔한 경우가 많다.[5] 이게 대단한게 연극이란 장르는 공연 전에 단체로 모여서 연습하고 실제 공연하는 기간까지 따지고 보면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 특히나 대부분 연극은 주역급에 원캐스팅이다. 그나마 드라마는 출연 분량이 적으면 병행이 가능하다고는 하지만, 그 빡빡하기로 소문난 드라마 제작 환경에서 원로 배우가 연극 일정을 일일이 맞춰가며 드라마를 병행하려면 본인과 드라마 제작사 양 측의 입장에서 결코 보통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연극이나 드라마 출연을 꾸준히 병행단다는 것은 실로 대단한 일이다.[6] '이용무 상장의 직일군관'이다.[7] 단, 후술될 스캔들로 인해 배역 하차 후 배우 변경.[8] 해방후에도 일본으로 돌아가지 않고 한국에 귀화하여 다나카(田中)의 한국 발음인 전중호(田中呼) 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악역을 이어간다.[9] 김대중, 김영삼, 김종필이 주인공인 드라마이므로 약간 비중이 적은 주연이었다. 1화에서 학창 시절을 묘사할 때도 아역을 기용하지 않아 50이 넘은 나이로 고딩 연기를 펼쳤다.[10] 사실은 진우가 좋아하는 드라마작가 윤해진(명세빈)의 아버지이다. 20여년 전 불륜으로 낳은 아이를 집에 데리고 오면서 집에 파란을 일으킨 아버지로 나온다. 부인(김해숙)이 마음고생을 심하게 하지만, 드라마 마지막에는 결국 둘을 인정하면서 끝난다. "출생의 비밀" 전문 캐릭터는 이 드라마에서부터 시작되었다.[11] 전작 가을동화와 마찬가지로 교수 역할을 맡았다.[12] 조정의 거두로 나오며, 황권을 강화하기에 여념이 없는 광종을 돕기도 하지만, 자신의 목숨과 자신이 수장으로 있는 세력(신라계 신료집단)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는 인물로 나온다.[13] 김두한의 일생을 옆에서 지켜보는 내레이터형 인물로, 김두한이 의지하는 스승과도 같은 인물이다. 그리고 집이 습격당해 부친이 김좌진에게 당하는 장면도 나오는데, 당시 50이 넘은 나이였음에도 교복을 입은 대학생 역할을 소화했다. 해방 이후 극우 백색테러를 일삼는 김두한을 꾸짖고, 6.25 전쟁 때는 신성모 국방장관에게 호통을 치는 등 상당히 개념있는 캐릭터다.[14] 나라가 엉망진창인데도 불구, 당파싸움에나 여념이 없는 교활한 정치가로 나온다.[15] 웬일로 위선자가 아니라 겉과 속이 정말로 다르지 않고 정직한 기업 CEO 역을 맡았다. 하지만 사망전대.[16] 주인공의 든든한 스승 같은 역할을 하지만, 결국 사망전대. 애당초 아이유와의 친분으로 특별출연한 것이니 조기퇴장은 예약되어 있었다.[17] 1회에서 살해당하면서 2020년 연초부터 사망전대의 이름값을 톡톡히 했다.[18] 2001년 일본 도쿄에서 취객을 구하기 위해 몸을 던진 의인 이수현을 다룬 영화로, 이수현 씨의 아버지 역할로 등장한다. 영화의 배경 대부분이 일본이기 때문에 대한민국에서 촬영한 초반부에만 등장해서 비중은 적은 편이다. 그동안 맡았던 대부분의 역할들이 악역 혹은 가족을 힘들게 만든 아버지였던 것에 반해, 여기서는 이수현 씨를 훌륭하게 키워낸 모범적인 가장의 역할을 맡았다.[19] 한국에서는 2023년 11월에 개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