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장유진(동명이인)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6px -10px"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2282b9> | KBS 성우극회 소속 성우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2282b9><colcolor=#fff><rowcolor=#fff> 기수 및 연도 | 성우 | ||||
특기 (1948) | 남 | |||||
여 | ||||||
제1기 (1954) | 남 | 김수일, | ||||
여 | 고은정, 김소원, | |||||
1955 | 남 | |||||
여 | ||||||
제2기 (1956) | 남 | |||||
여 | ||||||
1957 | 남 | |||||
여 | ||||||
제3기 (1958) | 남 | |||||
여 | ||||||
1960 | 남 | |||||
여 | ||||||
제4기 (1961) | 남 | |||||
여 | ||||||
제5기 (1961) | 남 | |||||
제6기 (1962) | 여 | |||||
1963 | 남 | |||||
여 | ||||||
제7기 (1964) | 남 | 김종성, | ||||
여 | ||||||
제8기 (1965) | 남 | |||||
여 | 정민희 | |||||
1966 | 남 | |||||
여 | 박영남, | |||||
제9기 (1967) | 남 | |||||
여 | 김순환, | |||||
제10기 (1968) | 남 | |||||
여 | ||||||
제11기 (1969) | 남 | |||||
여 | ||||||
제12기 (1970) | 남 | 김규식, 김세한, | ||||
여 | 김정미, 손정아 | |||||
제13기 (1971) | 남 | 김도현, | ||||
여 | 강연숙, | |||||
제14기 (1972) | 남 | |||||
여 | ||||||
1973 | 남 | |||||
여 | 김민, 박은숙, | |||||
1975 | 남 | |||||
여 | ||||||
1976 | 남 | 설영범, | ||||
여 | ||||||
제15기 (1977) | 남 | |||||
여 | 강미형, 고선형, | |||||
1978 | 남 | |||||
여 | ||||||
1979 | 남 | |||||
여 | 강희선, | |||||
제16기 (1980) | 남 | 김창주, 신흥철, 유제상, 이호인 | ||||
여 | 서미옥, 이연희, | |||||
제17기 (1982) | 남 | |||||
여 | ||||||
제18기 (1983) | 남 | 강구한, | ||||
여 | ||||||
제19기 (1984) | 남 | 김태웅, | ||||
여 | ||||||
제20기 (1986) | 남 | 박규웅, | ||||
여 | ||||||
제21기 (1988) | 남 | 강수진, | ||||
여 | 문일옥, 송덕희, | |||||
제22기 (1990) | 남 | |||||
여 | 김순영, | |||||
제23기 (1992) | 남 | 구자형, | ||||
여 | 권성은, 김지민, 김희선, | |||||
제24기 (1994) | 남 | 김영진, 박정민, 성수경, 이주원 | ||||
여 | 김수진, 김진주, | |||||
제25기 (1995) | 남 | |||||
여 | 구민선, 은영선, 임미진 | |||||
제26기 (1997) | 남 | 류다무현, 변영희, 원호섭, 유동균, 이장원, 임진응 | ||||
여 | 김상현, 오길경, 은미, 이명원, | |||||
제27기 (1999) | 남 | 사성웅, 안용욱, 양석정, 윤세웅, 이규석 | ||||
여 | 김지혜, 민지, 소연, 신소윤, 이현주 | |||||
제28기 (2000) | 남 | 고재균, 김래환, 변현우, 임채헌, 위훈, 최정호 | ||||
여 | ||||||
제29기 (2002) | 남 | 박찬희, 신찬혁, | ||||
여 | 김희영, 나지형, 송정희, 이미향, 임주현, 전숙경 | |||||
제30기 (2003) | 남 | 곽윤상, 김대중, 손정성, 이광수, 진웅, 최창석 | ||||
여 | 권연희, 서지연, 안영아, 유지원, 은정, 최하나 | |||||
제31기 (2005) | 남 | 박영재, 방우호, 심승한, 이지환, 주재규, 차진욱 | ||||
여 | 박지윤, | |||||
제32기 (2006) | 남 | |||||
여 | 강유경, 김희진, 박희은, 안소이, 전지원, 전진아 | |||||
제33기 (2008) | 남 | 김목용, 김태영, 이문희, 전승화, 정성훈, 조규준 | ||||
여 | 강보라, 배진홍, 안찬이, 양유진, 조세령, 최정현 | |||||
제34기 (2009) | 남 | 김두용, 김상백, 배영규, 윤호, 이찬우, 임정길 | ||||
여 | 신송이, 우현주, 이미연, 이미형, 이제인, 홍수정 | |||||
제35기 (2010) | 남 | 백선우, 이희탁, 조연우, 최현철, 한복현 | ||||
여 | 권문정, 공경은, 김태리, 김소희, 지화정 | |||||
제36기 (2011) | 남 | 권도일, 권창욱, 김도담, 김동하, 박상훈, 탁원정 | ||||
여 | 강규리, 김민신, 박상경, 사문영, 선은혜, 이영미 | |||||
제37기 (2012) | 남 | 김인, 박노식, 백성식, 전상조, 조민수, 채안석 | ||||
여 | 금령, 김두리, 김자연, 윤정화, 조경아, 최윤정 | |||||
제38기 (2013) | 남 | 김현수, 박진우, 신범식, 심인종, 윤용식, 전종구 | ||||
여 | 길라영, 김사라, 우성은, 이아름, 전영수, 한혜정 | |||||
제39기 (2014) | 남 | 공준호, 서승휘, 송대선, 이상운, 임호기, 장병관 | ||||
여 | 김경진, 김한나, 문지영, 변혜숙, | |||||
제40기 (2015) | 남 | 김진수, 석승훈, 이규창, 이정민, 장희문, 허성재 | ||||
여 | 민아, 남유정, 서다혜, 오주희, 이명호, 이자영 | |||||
제41기 (2016) | 남 | 구지원, 선우현수, 이진무, 정의진, 최결, 홍후백 | ||||
여 | 김성화, 리우, 송하랑, 이다슬, 이현애, 채지희 | |||||
제42기 (2017) | 남 | 김용, 김인형, 박주광, 임주완, 하지형 | ||||
여 | 신온유, 이지선, 임희진, 최하리, 허예은 | |||||
제43기 (2018) | 남 | 김용석, 나은혁, 서정익, 오해성, 이명상 | ||||
여 | 김나혜, 나인애, 박하진, 방시우, 혜원 | |||||
제44기 (2019) | 남 | 김희승, 송백경, 장지민, 지병문, 황원종 | ||||
여 | 김다운, 김봄, 김이안, 김성희, 유인선 | |||||
제45기 (2020) | 남 | 송기원, 유선일, 이수안, 최현식 | ||||
여 | 박의주, 정해은, 천송이, 한이정 | |||||
제46기 (2021) | 남 | 박기욱, 박성광, 윤세하, 이창현 | ||||
여 | 김순미, 배하경, 수현, 이눈솔 | |||||
제47기 (2022) | 남 | 이주봉, 이현준, 임의주, 전병하 | ||||
여 | 강한별, 권선영, 오은수, 최현지 | |||||
제48기 (2023) | 남 | 박준모, 이도하, 전종건, 최우성 | ||||
여 | 박송, 엄지은, 임지현, 주예진 | |||||
제49기 (2024) | 남 | 김시우, 김용효, 정상일, 최인일 | ||||
여 | 김정운, 배주원, 유승희, 정수현 | |||||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대원방송 · MBC · PBC | ||||||
※ 송백경 성우를 포함 회색은 문서가 없는 성우이고, 최연소 성우는 밑줄로, 최고령 성우는 볼드체로, 은퇴한 성우나 제명되거나 사망한 성우는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KBS 성우극회 7기 성우 | |
장유진 Jang Yu-jin | |
출생 | 1945년 1월 1일 ([age(1945-01-01)]세) |
경기도 경성부 (現 서울특별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신체 | 160㎝, 46㎏ |
가족 | 배우자 김동훈[1], 딸, 아들 김도현 |
학력 | 중앙여자고등학교 (졸업) 국민대학교 (경제학과) |
소속 | 前 TBC 성우극회 1기 KBS 성우극회 7기 (프리랜서) |
활동 시기 | 1964년 ~ 현재([age(1964-01-01)]년 차) |
[clearfix]
1. 개요
젊은 시절 |
대한민국의 여성 성우. 1964년 TBC 1기로 입사했으나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KBS 7기로 분류되었다.
2. 특징
외화 더빙에서는 그레이스 켈리, 엘리자베스 테일러, 오드리 헵번, 비비안 리, 메릴 스트립 등의 공주 목소리 연기를 주로 맡았다. 엘리자베스 테일러는 아예 전담 성우로 불렸을 정도.본인의 평가에 따르면 오드리 헵번의 목소리는 상큼하고 청초한 느낌, 엘리자베스 테일러는 카랑카랑하고 화려했다고 한다. 미모에 걸맞은 예쁜 목소리여서 그 목소리를 내려고 일부러 밥을 안 먹고 공복 상태에서 녹음할 정도였다고. 스스로의 평가에 의하면 20대부터 테일러의 목소리를 녹음했지만 3, 40대가 되어서야 테일러의 연기에 걸맞은 목소리를 낼 수 있었다고 한다.
만화 중에는 개구장이 스머프의 똘똘이 스머프 역할이 유명. 명대사는 감기약인 판피린의 CF에서 나온 「'"감기 조심하세요~~~~"'」 이 CF는 최근 아이유가 패러디하기도 했다. 이제는 박보영이 2018년부터 판피린 광고 때 이 멘트를 쓴다.
또한 도날드 덕을 전담하기도 했는데 신동식 피디가 이글루스에서 썰을 풀기론 장유진 성우하면 엘리자베스 테일러같은 공주 목소리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어린 시절 성우인 어머니와 함께 장유진 성우의 집에 갔는데 거기 모여있던 다른 아이들이 장유진 성우한테 재밌는 목소리를 내달라고 졸랐다고 한다. 그리고 그때 목소리를 갈아서 도날드 덕 목소리를 냈는데 어린 시절의 무디는 이걸 보고 엄청 충격을 받아 「아! 성우는 정말 천의 목소리를 가졌구나!」 하고 느꼈다고 한다.
라디오 진행자로도 인기를 끌었는데, 대부분의 DJ들이 핸드폰 문자메시지로 사연을 받는 요즘에도 우편엽서로 사연을 받아 방송하는 아날로그 스타일을 고수한 점이 특징이다. 진행도 꼼꼼해서 1996년에 연극배우 겸 연출가인 남편 김동훈이 사망했을 때 일주일 쉰 것 말고는 28년간 단 한 번도 쉰 적이 없다고 한다.
한국에서 공연하는 일본 연극의 동시통역을 자주 맡는다. 일본어 능력이 우수한 듯.
3. 근황
2012년 8월에는 일본의 리얼리즘 연극, 오타루의 여인들 내한공연에서 현장 동시통역을 맡았다.2012년 9월 17일, 교통방송에서 진행하던 <장유진의 음악편지>를 하차하면서 KBS, 극동방송 등을 거친 28년간의 라디오 진행(교통방송에서 한 것만 22년)을 모두 끝냈다. 앞으로는 재능기부를 통해 청각장애인을 위한 드라마 내레이션 등의 활동을 할 예정이라고 한다.
2014년에는 투니버스판 매일엄마에 캐스팅 됐다고 한다. 성우 본인도 애니메이션 더빙이 몇십년 만인지라 엄청 긴장했다고.
2017 대한민국 대중문화 예술상 시상식에서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
2017년 12월에 한국에 개봉한 메리와 마녀의 꽃에서 조연인 샬롯을 연기했다.
4. 주요 출연작
4.1. 애니메이션
- 개구쟁이 스머프(KBS) - 똘똘이 스머프[2]
- 귀여운 펑키(KBS) - 펑키[3]
- 2020 우주의 원더키디(KBS) - 예나
- 더그의 일기(투니버스) - 더그 퍼니
- 도날드 덕
- 마법의 마코 쨩(인어공주 나나)(TBC) - 나나
- 매일엄마 3기(투니버스) - 내레이션[4]
- 메리와 마녀의 꽃 - 샬롯
- 무지개 요정 통통(KBS) - 보보
- 바다의 소년 트리톤(TBC) - 트리톤
- 뽀빠이(KBS) - 올리브 오일
- 셰익스피어 명작만화: 말괄량이 길들이기(SBS) - 케이트(캐서린)
- 요술천사 꽃분이(MBC)
- 호호 아줌마(KBS) - 루리
4.2. 외화
- 메릴 스트립 전담
- 엘리자베스 테일러 전담
- 오드리 헵번 전담
- 녹색의 장원[10](KBS) - 리마[11]
- 로마의 휴일(KBS, 1974년) - 앤 공주[97년]
- 마이 페어 레이디(KBS) - 일라이자 둘리틀
- 백만달러의 사랑(TBC) - 니콜 보넷[13]
- 사랑의 미로[14](TBC) - 조안나 월리스
- 사브리나(TBC, KBS) - 사브리나 페어차일드
- 어두워질 때까지(KBS) - 수지 헨드릭스
- 용서받지 못할 자(KBS) - 레이첼 재커리[15]
- 전쟁과 평화(KBS, 1983년) - 나타샤 로스토바[97년]
- 티파니에서 아침을(KBS, 1981년) - 홀리 골라이틀리[97년]
- 파리의 연인(KBS) - 조 스톡튼[18]
- 잉그리드 버그만 전담
4.2.1. TV 시리즈
- 가시나무 새(KBS) - 매기 클리어리(레이첼 워드)
- 개구쟁이 천재들(KBS) - 깜찍이
- 귀여운 펑키(KBS) - 펑키 브루스터(레이유 문 프라이)
- 남과 북(KBS) - 매들린(레슬리 앤 다운)
- 늑대미녀(SBS) - 랜디 월리스(케이트 호지)
- 닥터 퀸(KBS) - 닥터 퀸(제인 시모어)
- 닥터후(후 박사의 모험)(KBS) - 사라 제인 스미스(엘리자베스 슬레이든)
- 마법소녀 사브리나(KBS) - 젤다 스펠먼(베스 브로더릭)
- 슈퍼소녀 비키(KBS) - 제이미의 어머니
- 신나는 개구쟁이(KBS) - 아놀드(개리 콜먼)
- 아빠 뭐 하세요(KBS) - 어린 마크 타일러(타란 노아 스미스)
- 애증의 세월 신즈(MBC) - 헬레네(조앤 콜린스)
- 영웅 이아손과 아르고호의 모험(KBS) - 폴리멜레(다이아나 켄트)
- 전쟁과 추억(KBS)
- 천사들의 합창(KBS) - 호르케
4.2.2. 영화
- 12 몽키즈(SBS) - 캐서린 레일리(매들린 스토)
- 80일간의 세계일주(TBC, KBS) - 아우다 공주(셜리 맥클레인)[22]
- 나일 살인사건(KBS) - 바워즈 부인(매기 스미스)
- 남과 여(KBS) - 앤 고티에(아누크 에메)
- 라붐(KBS) - 빅의 엄마(브리지트 포시)
- 로미오와 줄리엣 1968년작(MBC) - 줄리엣(올리비아 핫세)
- 록키(KBS) - 에이드리언 페니노(탈리아 샤이어)
- 마틴을 위한 노래(KBS) - 바바라(비베카 세달)
- 무기여 잘 있거라(KBS) - 캐서린(제니퍼 존스)
- 미션(SBS) - 카를로타(셰리 룽기)
- 밍크코트 대소동(TBC) - 캐시 팀버레이크(도리스 데이)
- 버려진 본능(TBC) - 앤지 로시니(나탈리 우드)[23]
- 세계를 그대 품 안에(TBC, KBS) - 마리나 셀라노바(앤 블라이스)
- 셰인(KBS) - 마리안 스타렛(진 아서)[24]
- 소공녀(KBS) - 세라 크루(셜리 템플)
- 수녀원의 사형수(TBC) - 발레리 칸스(앤 블라이스)
- 십계(KBS) - 네페르타리(앤 백스터)
- 십이야(KBS)
- 아들은 해결사(SBS) - 오드리(웬디 크로슨)
- 아이 엠 러브(채널A) - 로리(마리사 베렌슨)
- 안네의 일기(TBC) - 안네 프랑크(밀리 퍼킨스)[25]
- 야성의 엘자(TBC, KBS) - 조이 애덤슨(버지니아 멕케나)
- 애수(TBC, KBS)[26] - 마이라 레스터(비비안 리)
- 에어포트(TBC)
-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TBC) - 블랑쉬(비비안 리)[27]
- 우정(KBS) - 엘리자베스(매들린 캐롤)
- 원탁의 기사(TBC, KBS) - 기네비어(에바 가드너)
- 웨딩 크래셔(KBS) - 캐슬린 클리어리(제인 시모어)
- 이별의 여섯단계(KBS) - 위자(스토커드 채닝)
- 존 포드의 서부 개척사[28](KBS)
- 징기스칸(KBS)
- 천일의 앤(TBC) - 앤 불린(준비에브 뷔조)
- 초원의 빛(KBS) - 디니(나탈리 우드)
- 침묵의 소리(KBS) - 루시 브래디(진 시먼스)
- 쿼바디스(TBC, KBS) - 리지아(데보라 카)[29]
- 킹콩(TBC) - 앤(페이 레이)
- 토파즈(KBS) - 니콜(다니 로뱅)[30]
- 파우더(KBS) - 제시(메리 스틴버겐)
- JFK(KBS) - 수지(로리 멧카프)
4.3. 오디오 드라마
- 황제궁 옆 마로니에 농장 - 황태후
4.4. 오디오북
- 드라마 세계명작동화[31]
- 드라마 한국전래동화[32]
- 음악 오디오북 우리나라 삼국지[33]
-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 박옥희
4.5. 라디오
- 드라마
- 가을이 없었다면(TBC) - 남지숙
- 눈이 나리는데(TBC)[34]
- 라디오 극장 - 별 밝은 언덕(KBS)
- 라디오 극장 - 위풍당당(KBS) - 정소희
- 라디오 독서실 - 그리움을 위하여(KBS)
- 라디오 독서실 - 나는 너무 멀리 왔을까(KBS)
- 라디오 독서실 - 달콤한 인생(KBS)
- 라디오 독서실 - 탱고(KBS) - 엄마
- 사랑으로 크는 나무(KBS)[35] - 엄마
- 아차부인 재치부인(TBC/KBS) - 아차부인
- KBS 무대 - 가족(KBS)
- KBS 무대 - 가족이란 이름으로(KBS) - 수진의 엄마
- KBS 무대 - 그남자 그리고 그여자(KBS)
- KBS 무대 - 그 여자가 사는 법(KBS)
- KBS 무대 - 내 친구, 이병수(KBS)
- KBS 무대 - 노스텔지어(KBS)
- KBS 무대 - 누가 나를 그 늪에서 건져주었을까(KBS)
- KBS 무대 - 달의 바다(KBS) - 오여사
- KBS 무대 - 사돈열전(KBS)
- KBS 무대 - 섹스블루(KBS)
- KBS 무대 - 얼굴(KBS) - 영원엄마
- KBS 무대 - 외딴방(KBS)
- KBS 무대 - 유츠프라카치아를 위하여(KBS)
- KBS 무대 - 축! 이혼기념일(KBS)
- KBS 무대 - 캥거루 가족의 독립운동(KBS)
- KBS 무대 - 한 여름밤의 꿈(KBS)
- KBS 무대 - 할단새 이야기(KBS) - 혜경
- TBS 입체낭독 라디오 문학관 - 꽃 피는 봄이 오면(TBS)
- TBS 입체낭독 라디오 문학관 - 빨간머리 연맹(TBS)
- TBS 입체낭독 라디오 문학관 - 시나몬 스틱(TBS)
- TBS 입체낭독 라디오 문학관 - 얼룩띠의 비밀(TBS)
- TBS 입체낭독 라디오 문학관 - 엄바의 말뚝(TBS)
- TBS 입체낭독 라디오 문학관 - 두 번째 얼룩(TBS)
- TBS 입체낭독 라디오 문학관 - 착한 가족(TBS)
4.6. 게임
5. 여담
- 연극 뮤지컬 TV드라마 배우 김도현이 아들이다. 중학교 2학년 때부터 연극 배우를 꿈꾸다가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입학하면서 연기자의 길을 가게 되었다. 배우 출신인 남편은 죽을 때까지 찬성하지 않았는데 김동훈 역시 집안의 반대를 무릅쓰고 연극계에 입문했기 때문이다.
- 남편 김동훈(1939~1996)이 1987년 2월, 자동차생활과의 인터뷰에서 밝힌 바로는 당시 김동훈의 차는 현대 스텔라였다.[36] 기사를 두고 운행했던 이 스텔라는 원래 장유진이 타던 차였는데, 장유진이 대우 르망을 구입하면서 남편에게 넘겨준 차라고 한다.
- 취미가 독서다.
6. 수상 경력
장유진의 기타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한국방송대상 | ||||
성우/내레이션상 | |||||
이강식 (1986년) | → | 장유진 (1987년) | → | 남성우 송도영 (1988년) |
}}} ||
- 1980 TBC 최우수 여자연기상
- 2014 KBS 공로상
- 2017 대중문화예술상 국무총리 표창
7. 관련 문서
[1] 1996년 별세.[2] 장유진의 연기가 스머프를 대표한다고 할 정도로 당시 명성이 높았다. 정말이지 재수없게 패주고픈 목소리로 오만하게 "주책아 주책아~ 내 이론으로 절대 그럴리가 없어"라는 목소리 연기가 워낙 유명하여, 영화지에서 한국 성우들 소개를 하면서 장유진은 똘똘이 스머프의 그 재수없는 목소리라면 알 성우이다라고 소개된 적도 있다. 때문에 닉툰 및 디즈니 네트워크에서 방영한 재더빙판에서 똘똘이를 맡은 김서영 목소리는 올드팬들에게는 평이 좋지 않다.[3] 미드 귀여운 펑키에서도 펑키를 연기했지만 애니메이션에서도 펑키를 연기했다.[4] 일판 성우: 시마모토 스미.[5] 1971년 MBC 방영판에서는 정소희.[6] 1974년 더빙판에서는 이광자.[7] TBC에서는 1978년 신정특선으로 방영, KBS에서는 1981년 명화극장에서 재더빙 방영.[8] 1997년 KBS 재더빙판에서는 차명화.[9] MBC 방영판에서는 정희선.[10] 원제는 Green Mansions.[11] 1973년 더빙판에서는 이광자.[97년] 재더빙판에서는 정미숙.[13] 1974년 MBC 방영판에서는 정소희.[14] 원제는 언제나 둘이서.[15] 1975년 MBC 방영판에서는 정소희.[97년] 재더빙판에서는 정미숙.[97년] 재더빙판에서는 정미숙.[18] 1976년 MBC 방영판에서는 정소희.[19] 1986년 MBC 방영판에서는 정희선.[20] 1991년 MBC 방영판에서는 송도영.[21] 1977년 MBC 방영판에서는 정희선.[22] 1988년 MBC 방영판에서는 송도영.[23] 1971년 MBC 방영판에서는 정소희.[24] 1984년 MBC 방영판에서는 송도영.[25] 1988년 MBC 방영판에서는 송도영.[26] TBC에서는 1979년 주말극장에서 방영, KBS에서는 1985년 명화극장에서 재더빙 방영.[27] 1982년 MBC 방영판에서는 김은영, 1999년 KBS 방영판에서는 송도영.[28] 원제는 How The West Was Won.[29] 1996년 SBS 방영판에서는 송도영.[30] MBC 방영판에서는 정희선.[31] 배한성, 송도영, 양지운, 김정희, 김도현과 함께 낭독.[32] 배한성, 송도영, 양지운, 김정희, 김도현과 함께 낭독.[33] 출처[34] 내리는데가 아니고 나리는데이다.[35] 출처[36] 차량 번호는 서울 3 마 6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