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8 20:28:59

치과위생사

국가전문자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법률 / 경제 법무부 (변호사) | 법원행정처 (법무사) | 특허청(변리사) | 고용노동부 (공인노무사) | 행정안전부(행정사)
관세청(관세사 · 보세사) | 기획재정부 (세무사) | 금융위원회 (공인회계사) | 금융감독원 (보험계리사 · 보험중개사 · 손해사정사)
공정거래위원회 (가맹거래사) | 산업통상자원부 (유통관리사) | 중소벤처기업부 (경영지도사) | 국토교통부 (감정평가사 · 공인중개사 · 물류관리사 · 주택관리사)
의료 / 복지 보건복지부 (장애인재활상담사 · 간호사 · 간호조무사 · 물리치료사 · 방사선사 · 보건교육사 · 보건의료정보관리사 · 보조공학사 · 사회복지사 · 안경사 · 안마사 · 약사 · 언어재활사 · 영양사 · 요양보호사 · 위생사 · 응급구조사 · 의사 · 의지보조기기사 · 임상병리사 · 작업치료사 · 장례지도사 · 정신건강간호사 · 정신건강사회복지사 · 정신건강임상심리사 · 조산사 · 치과기공사 · 치과위생사 · 치과의사 · 한약사 · 한약조제사 · 한의사)
교육 교육부 (보건교사 · 사서교사 · 실기교사 · 영양교사 · 전문상담교사 · 정교사 · 준교사 · 평생교육사)
보건복지부 (보육교사) | 여성가족부 (청소년상담사 · 청소년지도사) | 고용노동부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지도사 · 건강운동관리사 · 문화예술교육사 · 한국어교원) | 환경부 (환경교육사)
문화 문화체육관광부 (관광통역안내사 · 국내여행안내사 · 준학예사 · 호텔경영사 · 호텔관리사 · 호텔서비스사 · 경주심판 · 사서 · 무대예술전문인)
행정안전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수리기술자)
운전 경찰청 (자동차운전기능검정원 · 자동차운전면허 · 자동차운전전문강사) | 해양경찰청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
국토교통부 (버스운전자 · 조종사(사업용/운송용/자가용) · 경량항공기 조종사 · 철도차량 운전면허 · 철도교통 관제자격증명 · 초경량비행장치조종자 · 택시운전자격 · 항공교통관제사 · 항공기관사 · 항공사 · 항공운전관리사 · 항공정비사 · 화물운송종사자)
해양수산부 (고속구조정조종사 · 구명정조종사 · 기관사 · 도선사 · 소형선박조종사 · 수면비행선박조종사 · 운항사 · 통신사 · 항해사)
안전 / 환경 국방부 (국방무인기조작사 · 국방보안관리사 · 국방사업관리사 · 낙하산전문포장사 · 수중무인기조종사 · 수중발파사 · 심해잠수사 · 영상판독사 · 폭발물처리사 · 함정손상통제사 · 항공장구관리사 · 헬기정비사)
경찰청 ((일반/기계/특수)경비지도사) | 국토교통부 (교통안전관리자) | 소방청 (소방안전관리자 · 소방시설관리사 · 소방안전교육사) | 해양경찰청 (수상구조사)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취급면허(감독자/취급자) · 원자로조종면허(감독자/취급자) · 핵연료물질취급면허(감독자/취급자) | 중소벤처기업부(기술지도사)
고용노동부 (산업보건지도사 · 산업안전지도사 · 기업재난관리사) | 환경부 (환경영향평가사 · 환경측정분석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무선통신사 · 아마추어무선기사) | 국토교통부 (건축물에너지평가사 · 건축사)
농업 / 식품 농림축산식품부 (경매사 · 농산물품질관리사 · 손해평가사 · 가축인공수정사 · 농산물검사원 · 말조련사 · 수의사 · 장제사 · 재활승마지도사)
산림청 (산림치유지도사 · 나무의사 · 목구조관리기술자 · 목구조시공관리자 · 목재교육전문가 · 산림교육전문가 · 수목치료기술자)
해양수산부 (수산질병관리사 · 감정사 · 검량사 · 검수사 · 수산물품질관리사) | 환경부 (정수시설운영관리사)
}}}}}}}}} ||

파일:의학 아이콘A.png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상 의료기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


파일:external/www.dtnews24.com/347653_2013052910340223_0.png

1. 개요2. 간호사와의 차이3. 역사4. 되는 법5. 치위생(학)과 설치 현황6. 기타7. 나무위키에 등재한 치과위생사8. 관련 문서

1. 개요

의료기사 직종의 하나로 치과 진료 협조, 구강보건교육, 치과 예방처치, 치아 홈메우기, 건강보험 청구, 병원 경영 관리, 치석 등 침착물(沈着物) 제거(스케일링)[1], 불소 도포, 임시 충전, 임시 부착물 장착/제거, 치아 본뜨기, 교정용 호선의 장착/제거 치과방사선 사진 촬영 등의 업무를 한다. 줄여서 '치위생사'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정식 명칭은 '치과위생사'다.

이름에 나와 있듯 당연히 주로 치과에서 근무하게 되는데, 치과병원이 전국적으로 많은 편은 아니기 때문에[2] 대부분 치과의원으로의 취업이 많다.

치과에 가서 치료를 받으면 술자인 치과의사의 지시 및 지도에 따라 진료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조해주는 분들이 치과위생사라고 보면 된다.

2. 간호사와의 차이

간혹 병원 관련 종사자를 제외한 일반인 중에는 치과위생사가 치과에서 일하는 간호사[3]인 줄로 아는 사람들이 있는데, 엄연히 다른 분야의 직종으로 치위생(학)과(3년제 or 4년제)를 나와서 ‘치과위생사 면허증’을 취득하며, 당연히 치과위생사 국가고시도 따로 존재한다.

치과의사의 진료 보조 또한 의료법에서 지정한 간호사의 업무 중 하나이기 때문에 실제 치과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도 있으나 외래만 하는 의원급에서 보기는 어렵고 대학병원이나 입원실이 있는 병원 정도 되면 볼 수 있다. 구강악안면외과처럼 응급 관련 분과에서 주로 일하며 수술 전, 중, 후 간호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3. 역사

한국 최초의 치위생학 교육기관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 세워진 의학기술과 치과위생사 과정으로 세브란스병원의 7대 치과과장이었던 지헌택 교수 주도로 1965년 개설되었다.

이후 1967년 한국 최초 치위생학 졸업생 4인을 배출했고 한국 최초의 치과위생사가 1971년 탄생했다.[4] 이후 1973년 의료기사법이 제정되었다.

전문대학[5]에 2년제 치위생과가 최초로 개설된건 1977년으로 당시 광주서원전문학교(현 광주보건대학교), 대구보건전문학교(현 대구보건대학교), 신구전문학교(현 신구대학교), 원광보건전문학교(현 원광보건대학교) 전국 4곳에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동해에 대한치과위생사협회가 창립되었고 현재 서울시 동대문구 제기동에 치과위생사 회관이 있다.

1994년에 전문대학의 치위생과 수업연한이 3년으로 연장되었고 1997년부터 졸업생에게 보건전문학사 학위를 수여하게 되었다. 현재는 대학마다 다르겠지만 대부분 치위생전문학사를 수여한다. 2002년에는 전국 최초로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에 4년제 치위생학과가 신설되었고 2006년 전국 최초로 치위생학사(BSDH, Bachelor of Science in Dental Hygiene)가 배출되었다. 이후 2009년 최초의 치위생학 석사가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배출되었다.
2013년 세계 최초로 치위생학 박사 학위과정이 남서울대학교 대학원에 개설되었다.[6]

2016년 세계 최초의 치위생학 박사가 동의대학교 대학원에서 배출되었다.[7]

2017년도 제58기 학생군사교육단 ROTC 선발에 치과위생사 출신 첫 ROTC 장교가 선발되었다.[8]

4. 되는 법

치과위생사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의 치위생과(3년제) 혹은 대학의 치위생학과(4년제)를 졸업하고 치과위생사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으면 된다.

국가고시 합격점

5. 치위생(학)과 설치 현황

4년제 대학의 경우 볼드.
소재지 학교명
서울 삼육보건대학교, 한양여자대학교
인천 가천대학교메디컬캠퍼스
경기 신한대학교, 을지대학교, ,경복대학교[W], 동남보건대학교, 서영대학교파주캠퍼스, 수원과학대학교[W], 수원여자대학교, 신구대학교, 안산대학교, 용인예술과학대, 여주대학교, 연성대학교
강원 가톨릭관동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강릉캠퍼스, 강원대학교도계캠퍼스, 경동대학교,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강릉영동대학교, 송호대학교, 한림성심대학교
충북 유원대학교, 청주대학교, 강동대학교, 대원대학교,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충청대학교
대전 건양대학교, 대전과학기술대학교, 대전보건대학교
충남 남서울대학교,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백석대학교, 선문대학교, 한서대학교, 백석문화대학교, 신성대학교, 혜전대학교
전북 호원대학교, 원광보건대학교, 전북과학대학교, 전주기전대학, 전주비전대학교
광주 광주여자대학교, 송원대학교, 호남대학교, 광주보건대학교, 서영대학교
전남 초당대학교, 광양보건대학교, 나주대학교, 동아보건대학교, 목포과학대학교, 전남과학대학교, 청암대학교, 한영대학교
대구 계명문화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수성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
경북 경북대학교상주캠퍼스, 경운대학교, 김천대학교, 가톨릭상지대학교, 경북전문대학교, 구미대학교, 서라벌대학교, 안동과학대학교, 영남외국어대학, 포항대학교
부산 동서대학교, 동의대학교, 신라대학교, 경남정보대학교, 대동대학교, 부산보건대학교,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부산여자대학교
울산 울산과학대학교, 춘해보건대학교
경남 영산대학교, 마산대학교, 진주보건대학교
제주 제주관광대학교

6. 기타

7. 나무위키에 등재한 치과위생사

8. 관련 문서



[1] 단, 흔히 잇몸치료라고 불리는 치은 연하 스케일링은 치과의사가 직접 한다.[2] 법적으로의 치과병원은 주로 치과대학병원에 있다.[3] 때문에 인터넷에서도 '치과 간호사'로 많이 칭해지지만, 정정해 주는 사람이 있어 혼동은 점점 줄어드는 추세.[4] 의학기술과 치과위생사 과정을 졸업한 17명 중 11명 합격[5] 당시는 전문학교. 1979년 이후 전문대학으로 개칭.[6] 세계 첫 ‘임상 치위생학’ 박사과정 개설[7] 세계 최초 치위생학 박사 탄생 ‘화제’[8] 치위생과 출신 첫 ROTC 합격자 탄생[W] 여학생만 지원 가능.[W] [11] 현행법에서는 임시치아제작은 치과기공사, 치과의사만 제작이 가능한데 의사는 진료하느라 바쁘고, 그러면 치기공사가 제작해야하는데, 의원급 치과엔 자체 기공실이 없는 경우도 간혹 있어 그래서 걍 치과위생사가 어쩔수 없이 제작하는 것이다.[12] 그러나, 정작 러끼 본인은 치위생과가 뭔지도 몰랐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