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1962년 도립 충남대학과 도립 충북대학이 통합하여 국립대학으로 출범했지만 1년 만인 1963년 다시 분리되어 사라진 국립 종합대학 "충청대학교":
충청대학교(국립) | ||||||||||||||||||||||||||||||||||||||||||||||||
|
충청대학교 忠淸大學校 Chungcheong University | |
| |
교훈 | 學行一致 (학행일치), 知德涵養 (지덕함양) |
마스코트 | 백곰 |
교목 | 주목 |
교화 | 물철쭉 |
국가 | |
분류 | 2/3/4년제 사립전문대학 |
개교일자 | 1983년 3월 16일 |
설립자 | 오범수 |
재단 이사장 | 제7대 오경나[1] |
총장 | 제11대 송승호[2] |
소재 |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월곡길 38 |
교육기구 | 학부(과) 36개 평생교육원 1개 |
재학생 수 | 3,010명 (2024년 기준) |
전임교원 수 | 103명 (2024년 기준) |
대학기본역량진단 |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 (2022년) |
웹 사이트 | 충청대학교 홈페이지 |
<nopad> |
충청대학교 홍보 영상 (2021년) |
|
캠퍼스 사진 |
[clearfix]
1. 개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에 있는 사립전문대학이다.2. 현황
부속기관으로는 도서관·학보사·박물관·전자계산소·교육방송국 등이 있으며, 부설연구소로는 학생생활연구소·산학협력연구센터·사회교육원·국가생활체육지도자연수원·충북도민체력관리센터 등이 있다.매사에 성실하고 주어진 일에 협동하며 창의성이 있는 인격형성을 위하여, ‘성실·협동·창의’를 건학이념으로 ‘학행일치·지덕함양·성근봉공(誠勤奉公)’의 학훈으로 설정하여 이것의 달성에 힘쓰고 있다.
특히, 각 학과의 특성을 살리고 학교교육과 현장교육의 연계를 통한 산지식을 습득하기 위하여 산학협동위원회가 구성되어 있다. 23개의 동아리를 중심으로 활발한 학생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9월에 ‘월강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이름은 팔도 중 하나인 충청도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3. 연혁
년도 | 내용 |
<colbgcolor=#098> 1981년 | 오범수(吳範秀)가 학교법인 충청학원의 설립인가를 받아 이듬해 12월에 설립하였다. |
1983년 | 경영과·행정과·지적과·세무회계과·유아교육과·의상과·식품영양과 등 7개 학과에 506명으로 "충청전문실업대학"이 개교하였다. |
1983년 | 관광과·상업디자인과·영어과를 증설하였다. |
1984년 | 건축설비과를 증설하였다. |
1985년 | 영어과를 관광영어통역과로 변경하였다. |
제1회 졸업생 400명을 배출하였고, 지속적으로 학과를 증설하였다. | |
1986년 | 상업디자인과를 산업디자인과로 개편하였다. |
1991년 | "충청전문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
1998년 | "충청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
2012년 | "충청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
4. 캠퍼스 시설
|
충청대 전경 |
|
충청대학교 야외음악당 |
|
충청대학교 도서관 |
5. 학부/전공
아래 내용은 2024학년도 입학전형계획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실제 수시/정시 모집에서는 달라질 가능성이 있으니 입학처 사이트를 반드시 참고할 것.5.1. 스마트엔지니어링
5.2. 스마트시티
5.3. 휴먼케어
5.4. 헬스케어
5.5. 바이오테크·뷰티
- 호텔조리파티쉐과
- 식의약품분석과
- 미용예술과
6. 교통
버스 접근성은 대체로 좋은 편이다.주요 노선으로 500번, 502번, 511번, 513번, 514번, 516번, 747번이 있다.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 |
충청대학교(정류장 번호 3380)[3] | 516 |
충청대학교(정류장 번호 2255)[4][5] | 516[상행] |
월곡리.충청대학교(정류장 번호 3303) | (청주시내, 터미널 방향) 충청대학교(정류장 번호 3305) | (오송, 미호(강내), 조치원 방향) | 500[상행], 502, 509, 511, 513, 514[상행], 516[하행], 747 |
충청대학교(정류장 번호 1893)[10] | 500[하행], 514[하행], 516[주의] |
516번이 학교 내부로 진입하여 운행하고 있으나 한때는 시내버스 개편으로 인근의 흥덕구청으로 종점이 바뀌어 이제는 학교 내부로 진입하지 않았던 적이 있었다.
정문 외에 C동 백련관 뒤에 쌍용예가아파트 옆 원룸단지로 나갈 수 있는 쪽문이 있다. 이쪽으로 나가면 인근에 버스정류장이 있는데 여기서 518번을 이용할 수 있다.
7. 기타
충청권 거점국립대학교인 충북대학교와 충남대학교가 국립 충청대학교라는 이름 아래 하나의 학교였던 적이 있었다. 5.16 군사정변 직후 양교가 통합되며 개칭되었던 것인데, 이내 다시 분리되며 국립 충청대학교는 사라졌고, 이 학교가 1998년 "충청대학", 2012년에 "충청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면서 충청대 타이틀을 가져가게 된다. 이는 옛날 군사정권 시절을 다뤘던 당시 대학생들을 소재로 한 드라마 카이스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8. 출신 인물
[1] 설립자 오범수 전 국회의원의 장녀[2]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총장 출신[3] 학교에서 가장 가까이에 있으며 정문 앞에 있는 정류장이다.[4] 큰길 진입 전 원룸촌 주변 정류장이며, 하차만 가능한 정류장이다.[5] 충청대학교 학생들 말고도 516번을 이용하는 인근 아파트단지에 사는 주민들이 내리기도 한다.[상행] 조치원, 오송, 강내 방향만 정차[상행] [상행] [하행] 청주시내 방향만 정차[10] 충청대학교 정류장 앞 사거리 지나면 있는 정류장이다.[하행] [하행] [주의] 충청대에서 나와 흥덕구청으로 가는 차량과 시내에서 나와서 흥덕구청으로 가는 차량이 동시에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기 때문에 행선지를 잘 봐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