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89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900> | }}} | |
{{{#!wiki style="color: #0089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신칸센 총괄본부 | ||
모리오카 지사 | |||
■ 도호쿠 본선 - ■ 오후나토선 - ■ 키타카미선 - ■ 카마이시선 -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 하나와선 - ■ 야마다선 - ■ 하치노헤선 - ■ 오미나토선 - ■ 오우 본선 - ■ 츠가루선 | |||
아키타 지사 | |||
■ 오우 본선 (■ 아키타 신칸센) - ■ 키타카미선 -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 우에츠 본선 - ■ 오가선 - ■ 고노선 | |||
센다이 지사 (센다이 대도시근교구간) | |||
■ 도호쿠 본선 (■ 센다이 공항 액세스선 - ■ 센세키토호쿠라인) - ■ 조반선 - ■ 센세키선 (■ 센세키토호쿠라인) - ■ 센잔선 - ■ 이시노마키선 - ■ 케센누마선 - ■ 반에츠토선 - ■ 반에츠사이선 - ■ 타다미선 - ■ 오우 본선 (■ 야마가타선 - ■ 야마가타 신칸센) - ■ 요네사카선 - ■ 아테라자와선 - ■ 리쿠우토선 - ■ 리쿠우사이선 | |||
타카사키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미토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조반선 - ■ 미토선 - ■ 스이군선 | |||
치바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소부 본선 ( | |||
오미야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도호쿠 본선 ( | |||
도쿄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도카이도 본선 ( | |||
요코하마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도카이도 본선 ( | |||
하치오지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니가타 지사 (니가타 대도시근교구간) | |||
■ 신에츠 본선 - ■ 우에츠 본선 - ■ 죠에츠선 - ■ 에치고선 - ■ 야히코선 - ■ 하쿠신선 - ■ 요네사카선 - ■ 반에츠사이선 - ■ 타다미선 - ■ 이야마선 | |||
나가노 지사 | |||
■ 츄오 본선 - ■ 코우미선 - ■ 시노노이선 - ■ 오이토선 - ■ 신에츠 본선 - ■ 이야마선 | |||
폐선 | |||
츠가루 해협선(2016) - 이와이즈미선(2014) - 신에츠 본선 요코카와~카루이자와 (우스이 급구배 구간)(1997) | }}}}}}}}} |
釜石線 / Kamaishi Line
[ruby(釜石線, ruby=かまいしせん)] Kamaishi Line | 카마이시선 | |
<nopad> 임시열차 'SL 은하' | |
노선 정보 | |
애칭 | 긴가 드림 라인 카마이시선 (銀河ドリームライン釜石線) |
분류 | 지방교통선 |
기점 | 하나마키역 |
종점 | 카마이시역 |
역 수 | 24 |
개업일 | 1913년 10월 25일 |
소유자 | JR 동일본 |
운영자 | |
사용차량 | 키하 100계 동차 HB-E220계 동차[예정] |
차량기지 | 모리오카 차량센터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90.2㎞ |
궤간 | 1067㎜ |
선로구성 | 단선 |
사용전류 | 비전화 |
폐색방식 | 특수자동폐색식 |
신호장비 | ATS-Ps |
최고속도 | 85㎞/h |
|
실측지도 상의 카마이시선 |
하행 전구간 주행영상 |
[clearfix]
1. 개요
JR 동일본의 노선 중 하나로(지방교통선), 이와테현 하나마키시의 하나마키역과 카마이시시의 카마이시역을 잇는다. 애칭은 '긴가(은하) 드림 라인 카마이시선(銀河ドリームライン釜石線)'이며, 미야자와 겐지의 '은하철도의 밤'에서 따왔다.미야자와 겐지는 그의 작품에 에스페란토를 종종 사용했는데 이런 연유로 카마이시선의 모든 역은 에스페란토로 된 별칭을 가지고 있다. 이와테현을 동서로 잇는 노선 중 하나이다. 실제로 '은하철도의 밤'에 나오는 각종 철도 관련 소재들은 카마이시선의 역과 시설들을 본떠서 만들어졌다. 츠치자와역은 은하철도의 밤의 시발역으로 알려져 있고, 미야모리역 근처의 철교 또한 '은하철도의 밤'에 등장하였으며, 종점인 하나마키역 앞 광장에는 겐지의 작품 '바람의 마타사부로'를 연상시키는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노선 전반에 걸쳐 그를 느낄 수 있는 셈. 또한 은하철도 분위기를 내기 위해서인지 증기 기관차가 자주 운행한다.[2] 당시 카마이시선은 762mm 협궤철도였고, 같은 하나마키역에서 출발하여 두 곳의 온천으로 가던 하나마키 전철(1972 폐선)도 모티브가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마이시선은 1890년 카마이시역에서 리쿠츄오하시역까지 개통한 광산 철도를 시작으로 1936년 하나마키역에서 센닌 고개까지 이와테 경편철도에 의해 동편,서편으로 나뉘어 건설되었다. 국유화 이후 1936년 '카마이시선'으로 개칭했으며 1944년 카마이시니시선으로 개칭하였다. 그 해에는 카마이시히가시선이 개업하였으며, 1950년 두 노선을 합쳐 '카마이시선'으로 개칭하였다. 1987년 국철분할민영화로 JR 히가시니혼에 승계되었다. 2011년에 도호쿠 대지진으로 인해 불통되기도 했으나, 4월 12일 전 구간이 복구되었다.
보통열차가 운행하며, 하나마키-카마이시 전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는 적은 편이고, 일부 열차는 도호쿠 본선에도 직통운행한다. 쾌속 하마유리가 모리오카-카마이시 구간에 운행중이다. 하마유리의 전신인 급행 '리쿠츄'는 JR 히가시니혼 최후의 주간급행열차였다.
임시열차로 증기 기관차인 'SL 긴가'가 운행하였다. 정차역은 하나마키-신하나마키-츠치자와-미야모리-토노[3]-카미아리스-리쿠츄오하시-카마이시. 기관차는 C58 259호, 객차는 키하 141계 동차(4량)로 운행되었으나, 아쉽게도 2023년 6월부로 운행을 종료하였다.
모리오카 권역의 Suica 도입에 따라, 하나마키-신하나마키 구간에서는 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1.1. 노선 데이터
- 관할: 동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구간: 하나마키~카마이시 90.2km
- 궤간: 1067mm
- 역수: 24
- 전구간 단선
- 전구간 비전화
- 폐색방식: 특수자동폐색식 (궤도회로 검지식)
- 보안장치: ATS-Sn
- 운전지령소: 모리오카 종합지령소 (CTC)
- 최고속도: 85km/h
- 교통카드 호환지역: 하나마키~신하나마키
- 영업본부: 모리오카 지사
1.2. 오메가 루프선(오하시 루프선)
オメガループ線(大橋ループ線)카미아리스역부터 도센역 사이 Ω(오메가)모양의 선형을 띄는 구간을 이르는 명칭이다. 두 역간 직선 거리는 약 6.8km지만 운행 거리는 약 14.2km로 2배 이상 차이가 난다. 얼핏 보면 비효율적으로 지어졌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는 두 역 사이의 고저차를 극복하기 위한 설계이다. 카미아리스역은 405m, 도센역은 125m로 무려 280m나 차이난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은 35‰의 구배가 안정적으로 다닐 수 있는 한계인데, 만약 두 역을 직선으로 잇는다면 41‰이라는 엄청난 경사가 생긴다. 하지만 리쿠츄오하시역을 경유해 위로 돌아감으로써 19‰의 구배로 고저차를 극복했다.
2. 노선
- 전역 이와테현내 소재.
표기 | 이름 |
快 | 쾌속 '하마유리' |
통과하는 열차는 연회색으로 표기되어 있다. |
JR 카마이시선 | |||||
역명 | km | 우등 | 환승노선 | 위치 | 에스페란토 애칭&의미 |
↑ 직통운행 | 쾌속 하마유리: ■도호쿠 본선 모리오카까지 직통운행 | ||||
하나마키 (花巻) | 0.0 | 快 | ¶JR 동일본 ■도호쿠 본선 (쾌속 직통운행) | 하나마키시 | Ĉielarko(무지개) |
니타나이 (似内) | 3.5 | 快 | La Marbordo(해안) | ||
신하나마키 (新花巻) | 6.4 | 快 | ¶JR 히가시니혼 | Stelaro(별자리) | |
오야마다 (小山田) | 8.3 | 快 | Luna Nokto(달빛) | ||
츠치자와 (土沢) | 12.7 | 快 | Brila Rivero(빛나는 강) | ||
하루야마 (晴山) | 15.9 | 快 | Ĉeriz-arboj(벚나무 가로수길) | ||
이와네바시 (岩根橋) | 21.7 | 快 | 토노시 | Fervojponto(철도교) | |
미야모리 (宮守) | 25.1 | 快 | Galaksia Kajo(은하의 플랫폼) | ||
카시와기다이라 (柏木平) | 31.2 | 快 | Glanoj(도토리) | ||
마스자와 (鱒沢) | 33.6 | 快 | Lakta Vojo(은하수) | ||
아라야마에 (荒谷前) | 36.4 | 快 | Akvorado(수차) | ||
이와테후츠카마치 (岩手二日町) | 39.3 | 快 | Farmista Domo(농가) | ||
아야오리 (綾織) | 41.1 | 快 | Teksilo(직기) | ||
토노 (遠野) | 46.0 | 快 | Folkloro(민화) | ||
아오자사 (青笹) | 50.3 | 快 | Kapao(캇파) | ||
이와테카미고 (岩手上郷) | 53.8 | 快 | Cervodanco(사슴춤) | ||
히라쿠라 (平倉) | 56.6 | 快 | Monta Dio(산신) | ||
아시가세 (足ケ瀬) | 61.2 | 快 | Montopasejo(고개) | ||
카미아리스 (上有住) | 65.4 | 快 | 케센군 스미타정 | Kaverno(동굴) | |
리쿠츄오하시 (陸中大橋) | 73.7 | 快 | 카마이시시 | Minaĵo(광석) | |
도센 (洞泉) | 79.6 | 快 | Cervoj(사슴) | ||
마츠쿠라 (松倉) | 83.2 | 快 | La Suda Kruco(남십자성) | ||
코사노 (小佐野) | 86.5 | 快 | Verda Vento(초록 바람) | ||
카마이시 (釜石) | 90.2 | 快 | ¶산리쿠 철도 ●리아스선 | La Oceano(대양) |
3. 여담
네이버 웹툰에 연재중인 위장불륜에서 SL 은하철도선이 등장한다.4. 관련 문서
[예정] 2025년 하반기 예정. 키하 100계 동차는 대차될 예정이다.[2] 다만 《은하철도의 밤》에는 열차가 증기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언급이 있다. #[3] 급수와 재버림작업(회사작업, 灰捨)을 위해 한시간 이상 정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