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1 23:12:26

캣냅

파일:보라색 캣.png
캣냅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Poppy_Playtime_Logo.png
파피 플레이타임의 챕터별 보스
(스포일러 주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373a3c> CHAPTER 1: A TIGHT SQUEEZE CHAPTER 2: FLY IN A WEB CHATER 3: DEEP SLEEP
허기 워기 마미 롱 레그 캣냅
<rowcolor=#373a3c> CHAPTER 4: SAFE HAVEN CHAPTER 5: ???
도이 더 도우맨 미정
챕터별 중간 보스 일람
}}}}}}}}} ||

파일:SmilingCrittersLogoCharacters.webp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도그데이 그림.png 파일:보라색 캣.png
도그데이
(DogDay)
캣냅
(CatNap)
파일:BobbyBearhug.webp 파일:BubbaBubbaphant.webp 파일:크콘이.webp
바비 베어허그
(Bobby BearHug)
버바 버바펀트
(Bubba Bubbaphant)
크래프티콘
(CraftyCorn)
파일:KickinChicken.webp 파일:피기피키피키피기.webp 파일:HoppyHopscotch.webp
키킨치킨
(KickinChicken)
피키피기
(PickyPiggy)
하피 합스카치
(Hoppy Hopscatch)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프로토타입 흰색.png프로토타입의 사도
목록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수장급 사도 협력 관계
허기 워기 마미 롱 레그 캣냅 박시 부 박사
휘하 부하들
- 번조 버니 딜라이트 선생님 - 야나비
작은 허기들 양산형 동물들: 웃는 동물들ver 피아노사우루스
PJ 퍼그 어 필러 양산형 동물들: 나이트메어 크리터즈ver
}}}}}}}}} ||
<colcolor=#FFEC48><colbgcolor=#A560E4> 캣냅
CatNap
<nopad> 파일:보라색 캣.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실험체로 변이된 모습 (기괴함 주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캣냅 123.png
}}}}}}}}}
별칭 보라색 고양이 (Purple Cat)
실험체 1188 (Experiment 1188)
번호 1188 (No.1188)
제조일 1989년 (장난감)
1990년 11월 20일 (실험체)
제조사 플레이타임 사
향기 라벤더[1]
상징 그믐달[2]
종족 장난감 (前 인간)
실험체 시어도어 그램벨
소속 웃는 동물들 (리콜)
프로토타입의 사도 (이단 사냥꾼)[3]
성우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델로니 아발론(추정)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이장원[4]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불명
등장 챕터 챕터 3 (메인 빌런, 추격자)
테마곡 Panic Room(패닉 룸)[5]
I Had a Nightmare(난 악몽을 겪었어)[6]
Cat's in the Bag(감춰졌던 진실)[7]

1. 개요2. 특징
2.1. 완구용 소개2.2. 작중 설정
2.2.1. 신체 기질2.2.2. 능력2.2.3. 성격
3. 작중 행적
3.1. 챕터 3
3.1.1. 등장 및 작중 언급3.1.2. 조우3.1.3. 최후
3.2. 챕터 4
4. 평가
4.1. 스토리 및 설정4.2. 보스로서의 아쉬움
5. 기타
5.1. 작품 내5.2. 작품 외

[clearfix]

1. 개요

CatNap is a calming presence for the critters and ensures he and his friends always have the right amount of sleep to jumpstart the morning's play!

캐릭터 공식 소개문
파피 플레이타임의 등장 장난감으로, 챕터 3의 메인 빌런이자 최종 보스.[8]

2. 특징

2.1. 완구용 소개

파일:CatNap_Plushie.png
플레이타임 사에서 출시한 완구 모습
파일:F_UAQNnaQAA908A.jpg
웃는 동물들 공식 프로필
웃는 동물들의 구성원으로, 초승달[9] 목걸이가 달린 보라색 고양이 인형이다. 다른 인형들에 비해 유달리 긴 꼬리도 특징. 티저 트레일러 영상에서 처음 등장했다.

실제 판매되는 인형의 입에는 분사구가 삽입되어 있어, 꼬리를 당기면 분사구에서 불면증을 치료하고 편안한 숙면에 도움이 되는 라벤더 향수가 뿜어져 나오게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 당시 언론에 보도된 자료 내용 ]
>Everyone knows Huggy Wuggy and Poppy Playtime, but are your children safe from Playtime Co's latest toy?
What you've seen here is Playtime Co's own "Smiling Critters," a limited series cartoon meant to celebrate the release of the toys sharing it's name, yet both now face the fires sparked by the inclusion of one key member...
This, is CatNap, and like the others in his line, you just pull his little tail and— Seems innocent enough.
However, parents across the country report their children experiencing strange and often violent nightmares.
And beside them? Their little grinning CatNap doll.
Now, with controversy growing, Playtime Co has announced the recall of ALL CatNap toys from the Smiling Critters line, his image cleared from all promotional material.
But damage already done, will disappearing be that easy?
The exact cause of these incidents still unknown, only one thing appears glaringly certain: Your children are NOT safe with CatNap.
허기 워기와 파피 플레이타임을 아실 겁니다. 하지만 최근에 발매된 장난감이 정말 아이들에게 안전할까요?
지금 보고 계신 건 플레이타임 사의 만화 시리즈 웃는 동물들로, 같은 이름의 장난감이 출시되면서 이를 기념하기 위해서 제작된 작품입니다.
하지만 만화와 장난감 모두 새로 등장한 주인공 때문에 논란에 휩싸이고 있는데요. 바로 캣냅입니다. 이 시리즈의 다른 장난감들처럼 작은 꼬리를 잡아 당겨봐도... 보시다시피 별다른 건 없죠.
하지만 전국에서 쏟아진 부모들의 항의에 따르면 아이들이 기이하고 끔찍한 악몽을 꾼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옆에는 언제나 캣냅이 활짝 웃고 있죠.
현재 이 같은 논란이 커지며, 플레이타임 사에서는 장난감 웃는 동물들 라인에서 캣냅을 전량 리콜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지금은 모든 홍보물들에서도 삭제되었죠.
하지만, 이미 발생한 피해까지 쉽게 모른 척해도 되는 걸까요?
이 사건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한 가지 사실만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아이들과 캣냅을 함께 두지 마십시오.
당시 WLE4 언론[10]에 보도된 내용.

출시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캣냅 인형을 구매한 아이들이 불면증 치료에 좋다는 소개글과 달리 기괴하고 잔인한 악몽을 자주 꾸게 되면서 부모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었으며[11], 이후 뉴스에도 보도될 정도로 일이 커지자 플레이타임 사는 곧바로 캣냅 인형을 리콜한 후 광고, 포스터에서 완전히 빼버렸다.[12][13] 물론 이미 일이 커져버린 후라서 앵커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듯이 보도한다.

2.2. 작중 설정

2.2.1. 신체 기질

파일:보라색 무언가.jpg
티저 영상에서 공개된 변이된 모습[14]
[ 클릭 시 주의 ] 공식 트레일러에서 공개된 변이된 캣냅의 모습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nopad>파일:캣냅 보정.jpg
파일:캣냅 보정 2.jpg}}}}}}}}}
실험체로서의 모습은 기존 인형의 모습에 인간의 체형을 어거지로 끼워맞춘듯 한 기괴한 생김새를 하고 있으며 덩치도 7m에 달해 기린보다 훨씬 거대하다. 또한 골격이 마미 롱 레그의 사지를 구성하는 엘라스틱-플라스틱과 유사하지만 다른 어떤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몸 크기를 본래의 3분의 1로 줄일 수 있으며 형체가 변형된다고 한다.[15] 사전 공개된 ARG로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홈 스윗 홈 시설에 '어떤 목적'을 위해 고양이의 날렵하고 유연한 움직임을 구현할 목적으로 탁월한 운동 능력, 뛰어난 기동성과 함께 특별히 실제 고양이와 동일한 구조의 앞발을 구현했다고 하며, 인게임에서도 긴 다리와 날카로운 발톱을 지닌 모습으로 등장했다.

이는 실물로 공개된 판매용 봉제인형의 밋밋한 팔다리와는 판이한 모습인데, 플레이케어 시설 내부 벽 이곳저곳이 발톱에 의해 강하게 긁힌 자국과 곳곳에 자리한 토막난 인형들을 보아 전술한 크기 변환 특성과 더불어 불시에 인명을 살상할 목적으로 제작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그리고 ARG의 '부서간보고서'에서 정신 검사 측정 결과 수술 전과 거의 차이가 없다고 한다. 즉 마미 롱 레그처럼 지성이 존재하며, 실제로 게임에서 말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2.2.2. 능력

플레이타임 사에서 출시한 애니메이션[16][17]
[ 오프닝 가사 및 내용, 엔딩 크레딧 ]
>(All) S-M-I-L-E everyday! ♬
(합창) 웃-어-언-제-나 매일매일! ♬
KickinChicken: When you are down and out ♬
키킨치킨: 슬프고 힘들 때 ♬
Bobby BearHug: No need to frown and pout ♬
바비 베어허그: 우울해 하지 마 ♬
Bubba Bubbaphant, Craftycorn: The Smiling Critters' here to say ♬
버바 버바펀트, 크래프티콘: 스마일링 크리터즈와 함께!
(All) S-M-I-L-E everyday! ♬
(합창) 웃-어-언-제-나 매일매일! ♬
(바람이 불면서 시계가 째깍인다.)

Bobby BearHug: The wind is really scary...
바비 베어허그: 나... 바람이 무서워...

(나뭇가지가 딱 부러진다.)

CraftyCorn: (Scream) I can't sleep!
크래프티콘: (비명) 난... 잠이 안 와!
DogDay: Hey, we will be okay, guys! I promise! All winds blow away... eventually.
도그데이: 자, 걱정하지 마! 괜찮을 거야! 영원히 부는 바람은... 없으니까.

(노크 소리가 들리고, 문이 끼익 하면서 열린다. 바람 소리가 잦아들고, 문 앞에 캣냅이 서 있다.)

All: CatNap!
모두: 캣냅!
Bubba Bubbaphant: Please, help us go to sleep, CatNap!
버바 버바펀트: 제발, 잠잘 수 있게 도와줘, 캣냅!
PickyPiggy: We need it, CatNap!
피키피기: 자고 싶어, 캣냅!
KickinChicken: Please help us!
키킨치킨: 좀 도와줄래?!
Hoppy Hopscotch: Sleep! Sleep! Sleep!
하피 합스카치: 잠! 잠! 잠!

(캣냅이 가스를 분사한다.)
(모두가 가스를 마시고 미친 듯이 웃는다. 웃음소리가 점점 커진다.)

(갑자기 지지직거리더니 불이 꺼지고 모두가 잠들어 있다. 캣냅이 화면을 응시한다.)
Produced by
PLAYTIME PICTURES
Television Animation Crew
제작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제작팀
플레이타임 픽쳐스

Executive Producer - Timothy Townley
총 감독 - 티모시 타운리
Supervising Producer - Carmen Adams
감수 - 카르멘 애덤스
Associate Producer - Neal Sale
부감독 - 닐 세일
Director - Richard Stockton
감독 - 리처드 스톡튼
Story Editors - Denise Wolfe, Susan Schoeber
편집 - 데니스 울프, 수잔 슈와버
Written By - Scott Tellman, Elizabeth Tellman
스토리 - 스콧 텔만, 엘리자베스 텔만

DogDay - Gary Wood
도그데이 - 게리 우드
PickyPiggy - Hannah Coughlin
피키피기 - 해나 코플린
Bobby BearHug - Mary Reed
바비 베어허그 - 메리 리드

실제 완구에서는 라벤더 향기가 나온다는 선전과 달리, 애니메이션이나 인게임에서는 입에서 붉은색 수면 가스를 뿜어내며, 이를 이용해 가스에 접촉한 상대에게 섬뜩한 환각을 일으키는 능력을 보여준다.[18] 인게임에서 그가 보여주는 환각은 건물 내부의 복도가 끝없이 이어지거나, 자신의 모습을 기괴하게 보이게 만드는 등 플레이어의 경험을 극단적으로 공포스러운 모습으로 바꿔 보여줄 수도 있다. 이러한 환각적 공포는 챕터 3의 핵심 요소로 등장한다.

섬뜩한 점은 가스에 라벤더가 들어갔다면 가스가 무색이어야 하는데 하필이면 붉은색이며, 가스에 마약 혹은 환각을 일으키는 성분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가스에는 라벤더가 아닌 이 게임을 상징하는 꽃인 양귀비가 들어갔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양귀비가 들어갔다는 것은 단 하나진실을 의미한다.[19]

2.2.3. 성격

프로토타입을 가장 열렬히 따르는 사도답게 무자비하고 잔혹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자신과 프로토타입에게 방해가 되는 존재들이 있으면 가차없이 죽여버리기 때문이다.

올리의 언급에 따르면 캣냅은 장난감의 몸이 되기 전 어떤 대형 사고로 죽을 뻔한 적이 있는데 그걸 프로토타입이 구해줬다고 한다.[20][21] 때문에 캣냅에게 프로토타입은 영웅이자 구세주나 다름없으며, 인간들로부터 해방이 된 후에도 그가 두려워서 복종하게 된 다른 장난감들과 달리 스스로의 자유를 포기하면서까지 그의 광신도가 되었다.[22] ARG로 공개된 '부서간 보고서'에서 레이스 피에르는 프로토타입과 캣냅이 한 방에 있을 때마다 캣냅이 프로토타입 주위를 맴돌면서 쫓아다니는 이상 행동을 하는데, 정작 프로토타입은 딱히 캣냅을 신경 쓰지 않는다고 언급한다. 게임 플레이 트레일러에서는 아예 캣냅이 '프로토타입을 숭배한다'고 언급되며, 실제로 티저 트레일러에서도 종교적인 문구들[23]이 등장했다.

ARG나 VHS에서 언급된 바에 의하면 처음에는 아이들에게 상냥하고 낯을 가리는 성격이었던 것으로 보인다.[24] 다만 동시에 변덕스러우며 외부 환경과 프로토타입의 말과 행동에 영향을 받기 쉬웠다고도 언급된다. 현재의 성격이 된 것은 이러한 영향이 큰 듯.

의외로 주인공에게 유일하게 자비를 한 번 베풀어준 보스다. 허기 워기는 목적이 주인공을 가지고 놀다 죽이는 것임이 드러났고, 마미 롱 레그는 오히려 나가려는 주인공을 틀어막고 증오를 표출하며 대놓고 없애려 들었는데, 캣냅은 주인공을 죽일 기회가 있었지만 한 번은 경고하는 선에서 끝내려고 해주었다. 플레이케어에서 나가기만 하면 목숨은 살려주겠다고 경고했지만 결국 주인공이 경고를 무시하고 돌파를 강행했기에 직접 행동하기 시작한 것.

3. 작중 행적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3.1. 챕터 3

3.1.1. 등장 및 작중 언급

챕터 2 마지막에 기차 폭주로 전복 사고가 일어나 쓰러졌던 주인공을 물어 와 쓰레기 압착기로 던지며 시작한다. 플레이케어에 도달하여 붉은 환각 가스를 흩어버리기 위해 배터리를 모으러 돌아다니던 주인공은 홈 스위트 홈에서 파괴한 장소를 통해 갈 수 있는 곳으로 향하다가 그곳을 지나던 캣냅의 본모습을 처음 마주한다. 캣냅은 프로토타입이 주인공을 막기 위해 보낸 사도이자 이단심문관으로, 파피는 캣냅을 "프로토타입이 마련한 마지막 방해물"이라고 언급한다.

최초의 웃는 동물들로, 캣냅으로 개조된 이후 4년 동안 다른 스마일링 크리터즈들도 제작되어 플레이케어로 보내졌다고 한다. 또한 처음에는 플레이케어의 아이들과 사이가 좋지 않은 편이었지만 자신의 붉은 가스로 그들을 중독 시켜 환심을 샀다고 한다. 한편 자신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해 온 레이스 피에르[25]에게 "프로토타입이 우리를 구원할 것이다."라는 말을 남겼다.[26] 부하로는 수많은 양산형 크리터즈들[27]과 최후의 미스 딜라이트[28][29]를 두고 있다.

3.1.2. 조우

파일:Poppy_Playtime_Logo.png
파피 플레이타임의 챕터별 보스
(스포일러 주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373a3c> CHAPTER 1: A TIGHT SQUEEZE CHAPTER 2: FLY IN A WEB CHATER 3: DEEP SLEEP
허기 워기 마미 롱 레그 캣냅
<rowcolor=#373a3c> CHAPTER 4: SAFE HAVEN CHAPTER 5: ???
도이 더 도우맨 미정
챕터별 중간 보스 일람
}}}}}}}}} ||
[ 클릭 시 주의 ] 붉은 가스의 환각 속 캣냅의 모습[3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나이트메어 캣냅.png
}}}
"LEAVE PLAYCARE. OR I'M COMING FOR YOU."
"플레이케어에서 나가라. 안 나가면 잡으러 가겠다."
주인공이 여태 살아남아 프로토타입의 계획을 방해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 캣냅은 홈 스위트 홈의 환각 속에서 주인공을 빤히 쳐다보거나[31] 환풍구에서 환각 가스를 흘려보내는 등[32] 주인공을 집요하게 방해한다.

하지만 주인공이 미스 딜라이트를 죽이고 도그데이까지 따돌리며 전력을 복구하고, 이후 상담소에서 전력을 다시 가동하고 나오려고 하자 직접 나서서 주인공을 덮친 뒤 방독면을 빼앗고 방에 가둔다. 환각을 겪고서 다시 정신을 차린 주인공에게 전화를 걸어 본인의 목소리로 이곳을 나가라며 경고한다. 그럼에도 발전기의 메인 전력을 재가동하려는 주인공을 처리하기 위해 대량의 붉은 가스를 내뿜으며 매우 기괴한 환각으로 변해 공격한다. 주인공이 승강기에 탑승해 도망치자 승강기의 철제망 벽을 올라타며 추격해 온다.

3.1.3. 최후

플레이어에 의해 감전되고 화염에 휩싸인 모습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nopad>파일:catnap_execution_1.gif}}}}}}}}}
끝까지 주인공을 추격하던 캣냅은 주인공을 급습해 죽이려 들었으나 주인공이 배터리 충전 장치가 사방에 배치된 패닉 룸[33]에 자리를 잡고서 조명탄을 쏘고 강력한 증기를 틀어 방어하며 농성에 들어가자 쉽게 다가가지 못한다. 마지막에는 천장 통로에서 낙하해 급습하려 했으나 때마침 주인공이 배터리로 충전하여 강화된 스파크 그랩[34]에 맞고 제대로 감전되어 쓰러지고, 반격을 위해 다시 붉은 가스를 내뿜으려다 도리어 스파크가 가스에 반응해 불이 붙으면서 산 채로 전신과 몸속이 불타는 고통에 몸부림치며 처절하게 날뛴다.

그런데 이때 천장 위에서 프로토타입이 손을 내민다. 털이 전부 타버려 만신창이가 된 캣냅은 처음엔 그가 다른 이들처럼 자신을 부품으로써 회수하려 온 것이라 생각하고 두려워하며 뒤로 물러나지만, 프로토타입이 그를 구원하려는 듯 손길을 내밀자 빈사 상태가 된 몸을 움직여 무릎을 꿇고 경건한 자세를 취한다.[35][36]
(유혈 장면 포함) 프로토타입의 강림과 캣냅의 최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nopad>파일:프로토타입 구원.gif
파일:프로토타입 구원 2.gif}}}}}}}}}
하지만 그것은 거짓이었고 캣냅이 방심한 틈을 타 프로토타입은 즉시 자신의 날카로운 손으로 캣냅의 얼굴을 뚫어 죽인다. 그는 결국 자신이 신처럼 숭배하던 자에게 허무하게 최후를 맞이했고, 남은 사체는 프로토타입의 손에 관통 당한 채 천장 위로 끌려간다. 이후 기쁨의 시간 영상에선 다른 장난감들과 함께 직원들을 살해하는 모습으로 잠시 나온다.[37]

대사 없이 벌어진 일이므로 행동만으로 파악해야 해서 최후 정황에 대한 해석은 극과 극으로 갈린다. 하나는 서술된 그대로 프로토타입이 구해줄 거라고 믿었다가 토사구팽당한 것이란 거고, 둘은 패배 후 프로토타입의 손이 나타나자 다른 패배자 사도처럼 자신도 처분되어 부품이 될 운명임을 직감하고 본능적으로 몸을 피하려 움츠렸다가, 이내 광신도라는 이명에 걸맞게 생존 본능을 이겨내고 순순히 그의 손에 죽어 그 일부가 되기를 받아들였다는 것. 프로토타입을 대하는 캣냅의 태도가 다분히 종교적이고, 맹목적인 수준으로 프로토타입을 따랐다고 반복적으로 묘사되었고, 구원을 믿었다면 프로토타입의 손을 보고 일단 기겁해서 피할 이유가 없으며, 내밀어진 손을 붙잡으려 팔을 뻗는 것도 자연스러운데, 그는 무릎을 꿇고 앉아 양팔을 좌우로 뻗고 턱을 쳐든, 일종의 기도를 하는 듯한 괴상한 자세로 최후를 맞았으므로 두 번째 해석도 억측은 아니다. 즉, 두 번째에 의하면 캣냅은 자기를 포함한 장난감을 다 쓰고 버리는 장기말 취급하는 프로토타입의 진의를 알면서도 개의치 않고 그를 따랐던, 광신도 중 광신도인 것이다.

3.2. 챕터 4

본인은 죽었기에 등장은 없으나, 그의 환각가스는 박사가 사용한다거나, 폭발에 대한 계획에 사용되기 위해 초록색으로 개량되었다.[38]

나중에 박사의 대사에서도 언급되는데 허기 워기, 마미 롱 레그와 엮여서 하나같이 진부했다고 세트로 까여 버린다.[39] 이후, 안식처를 둘러보다 보면 양산형 소형 캣냅과 도그데이가 있다. 별개의 개체이므로 적으로 상대한 캣냅과는 다른 인물이다. 둘은 마지막으로 식사한 게 언제적인지 이야기를 나누면서 신세를 한탄한다. 이후 프로토타입의 계략에 휘말리는 바람에 안식처 째로 도그데이와 함께 폭사하고 만다.

4. 평가

4.1. 스토리 및 설정

캐릭터 자체의 설정은 나름 참신하다는 평이 많은데, 단순한 추격자에 지나지 않았던 허기 워기나 처음부터 주인공을 죽이려고 게임을 제시하며 지능적으로 주인공을 압박해왔던 마미 롱 레그와 달리 주인공에게 별 관심이 없던 최종 보스이자[40] 최초로 종교적인 요소가 가미된 캐릭터이기 때문이다. 작중에서는 캣냅과 허기 워기, 마미 롱 레그 등을 프로토타입의 사도라고 부르는데, 사도(Disciple)의 어원이 그리스도교임을 생각해보면 캣냅의 입장에서 프로토타입예수와 다름없는 인물이며, 스스로를 예수(프로토타입)의 말씀을 전하기 위해 파견된 성스러운 대리인으로 칭하고 있는 꼴이다. 정작 그 프로토타입이 보여주는 행태는 극악무도한 독재자이자 학살자일 뿐이라는게 아이러니.

이유야 어쨌든, 캣냅이 프로토타입을 충실히 따랐다는 것 하나는 분명하다.[41][42] 장난감이 되기도 전 인간 시절 프로토타입에게 구해진 뒤 그를 추앙했다는 기록이 있고 장난감이 된 이후로도 프로토타입의 주변을 쉴새없이 돌아다니는 등, 그에게 관심을 지속적으로 드러냈고 이후에도 딜라이트 자매들을 가둬 그들끼리 골육상잔을 벌이게 해 최후의 하나만 남겨서 결국 협조를 받아내는 행보를 보이는 등, 프로토타입을 위해 활동했으며[43] 아예 땅굴 한편에는 폐품과 장난감 시신을 주워모아다 프로토타입을 묘사한 거대 조각상까지 모셔둔 '신전'까지 있고, 곳곳에 그를 찬양하는 문구가 적혀있다.

그러나 캣냅이 최강의 사도라느니, 프로토타입 파벌의 선봉대로서 이단들을 응징하느니 뭐니 하지만, 결국 챕터 3 엔딩에서 보이듯 그는 캣냅에게 일체 관심이 없었고 그조차 용도가 떨어지면 버려질 장기말에 불과했다. 프로토타입이 캣냅 스스로 측근 행세를 하는 걸 그저 지켜본건 그가 실제로 유용성을 증명했기 때문이었지 캣냅 자체를 인격체로서 대우할 생각 따윈 애초에 없었던 것.[44] 올리가 캣냅의 신전에 도달한 주인공에게 '저건 진짜 모습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설명하여 캣냅의 조각상을 은근히 까내리거나 캣냅을 이기면 주인공에게 승리를 거머쥐었다며 신난단 투로 말하며 캣냅을 까는데, 올리의 정체를 고려하면 프로토타입 본인은 쓸만하니까 써먹긴 했지만 잘 알지도 못하면서 설쳐대는 캣냅을 오히려 썩 좋지 않게 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4.2. 보스로서의 아쉬움

초반부터 플레이어 근처를 어슬렁거리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추격전을 기대하게 만들었으나, 이번에는 새로운 시도를 하기 위해서인지 디펜스 게임 형식[45]으로 보스전을 치렀기 때문에 최종보스로서 위엄이 떨어졌다는 평가가 많다. 물론 인게임 내에서 환각 가스를 이용한 환상이나 이를 통해 본인의 모습을 기괴하게 바꾸는 등의 차별화된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제대로 보여주었으나, 이것이 후술할 보스전에서는 제대로 활용되지 않다 보니 영 아쉽다는 평가.

점프 스케어에 대한 평가는 썩 좋지 못하다. 점프 스케어 자체는 무섭다는 평가가 대부분이긴 하지만 허기워기, 마미 롱 레그 등 최종 보스보다 섬뜩한 생김새를 가진 것에 비해 동공이 없는 것 같은 섬뜩한 생김새를 잘 활용하지 못했는데, 주인공의 시야를 바닥으로 처박아버리기 때문에 시야가 45도 정도 꺾인 채로 진행되고 이 과정에서 캣냅이 비명만 지르며 입으로 덮치기만 하기 때문에 공포의 주체가 가려진다. 또한 보스전을 하는 장소가 워낙 어두워서 얼굴이 제대로 보이지 않을 뿐더러[46] 추가로 지금까지의 점프 스케어와는 달리 얼굴을 클로즈업한 채로 시작하지 않기 때문에 무서움이 덜하다. 이는 고양이를 비롯한 고양잇과 동물들이 사냥감의 머리부터 짓누르는 사냥 방식을 참조한 것으로 보인다.

캣냅의 보스전은 기존까지의 허기마미와 같은 추격전이 아닌 Five Nights at Freddy's를 연상 시키는 디펜스 기믹을 채용했다. 디펜스 기믹은 기존에 등장한 적이 없는 탓에 보스전에 돌입하자마자 모니터로 띄워주는 다량의 메세지를 보고 문을 닫는 기믹을 숙지해야 하는데, 당장 캣냅에게 도망쳐야 하는 상황에서 몇 분간 퍼즐 튜토리얼을 한다는 점에서도 템포가 늘어진다. 더불어 캣냅은 먹잇감을 갖고 놀다가 죽인다는 언급대로 플레이어를 단숨에 잡을 수 있을 정도의 거리임에도 고의적으로 어슬렁거리며 플레이어가 행동할 시간을 충분히 주는데, 마지막까지도 전력을 내지 않았다는 점도 최종 보스로서 긴박감을 크게 주지 못했다고 평가 받는다.[47]

Five Nights at Freddy's식 디펜스 자체도 캣냅의 위용을 깎아먹는 요소가 되는데, FNaF가 잘 만든 공포 게임 중 하나인 이유는 온 사방에서 날 덮쳐오려고 하는 수많은 애니매트로닉스들이 주는 심리적 압박감이 다른 디펜스형 게임과는 차원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캣냅의 보스전은 FNaF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 중 긴박함과 압박감이란 요소가 완전히 배제되어있다.

결국 그 불친절한 규칙 설명을 뚫고 규칙을 이해해버리는 순간, 캣냅의 보스전은 FNaF 1편에서 통로는 5개가 됐으나 애니매트로닉스는 1기뿐이고, 배터리 압박 없고, 좌우 통로가 훤히 다 보여 문만 제때 닫으면 되는, '뭐 오면 막기' 원 패턴만 3분 내내 반복하는 게 된다.

이후 4번째 패치를 통해 파피의 전화가 추가됨과 동시에 보스전의 난이도가 올라갔다. 이전에는 캣냅이 오는 것도 랜덤이고 가짜와 진짜가 동시에 오는 경우도 거의 없고, 양 옆 통로로 오는 경우도 아주 드물어 사실상 가짜 구별도 필요 없고 그냥 앞에서 오는 것만 막으면 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진짜 하나와 가짜 여러 마리가 동시에 오는 경우가 아주 많아졌고, 운이 좋으면 캣냅이 거의 안 와서 날먹이 되기도 했던 이전과 달리 거의 쉬지 않고 3분 내내 계속 오는 수준이 되었다. 때문에 안 그래도 어렵다는 소릴 듣던 보스전이 더더욱 어려워졌다.

거기다 추격전 이후 캣냅은 플레이어에게 감전사와 전신 화상을 당하는 굴욕을 보여주고, 이후 본인에게 구원하러 온 것이라 믿은 프로토타입에게 통수를 맞고 허무하게 살해당하는 엔딩을 보여주면서 평가가 더욱 떨어졌다. 하다못해 캣냅이 마미 롱 레그처럼 초반부부터 직간접적으로 등장해서 주인공을 계속 위협했다면 평가가 달라졌을지도 모르나[50], 이 비중을 중간 보스인 딜라이트 선생님도그데이가 전부 가져가버려서 챕터 3의 메인 빌런이라고 대대적으로 홍보했던 캣냅의 존재감이 옅어지는 부작용이 발생한 것.[51]

아이러니하게도 이 문제점은 오히려 챕터 2의 메인 빌런인 마미 롱 레그가 공포 요소로써 지적받았던 점들과 대비된다. 캣냅의 적은 대사량, 후반부를 제외하면 어둠 속에서나 가끔씩 볼 법한 드문 출현 빈도 등은 이전 챕터에서 마미가 반대되는 행적을 보이면서 지적받아온 요소들이었다. 마미의 경우 스토리 진행 및 완급 조절 목적이 있었기에 참작할 수 있고, 후반 추격전에서 돌변한 모습에 공포를 느낀 플레이어도 많았던 반면 캣냅은 시도는 눈 여겨볼 만 하나 정작 가장 중요한 부분에서 기대한 만큼의 공포를 이끌어내지 못했다는 평.

파이널 트레일러[52]를 보면 인게임에선 없던 캣냅이 플레이하우스에서 등장하여 추격전을 벌이는 장면으로 나오는데, 초기엔 추격전이 있을 계획이었으나 최종적으로 빠진 것으로 추측된다.[53] 본판의 플레이하우스에서는 도그데이가 추격해오므로 직전에 도그데이로 대체된 듯하다. 다만 추격전 부분만 화질이 다르고 그랩팩이 안 보이는 것으로 보아서 인 게임에선 구현되지 않은 기쁨의 시간에 직원이 캣냅에게 쫓기는 녹화본으로 추정된다.

종합적으로 캣냅은 티저 트레일러에서부터 워낙 강렬한 등장으로 깊은 인상을 남겼던 만큼 역대 보스 중 가장 큰 기대를 갖게 만든 캐릭터지만, 기대에 비해 게임 내에서는 큰 인상을 남기지 못한 아쉬운 빌런이었다.

그나마 이후 챕터 4의 최종 보스인 도이 더 도우맨에 보스전이 더 심한 악평을 받으면서 캣냅 보스전이 시도는 좋았다며 재평가를 받게 되었다.

5. 기타

5.1. 작품 내

5.2. 작품 외



[1] 불면증 치료 및 편안한 숙면을 돕는 효과가 있다.[2] 상징이 태양도그데이와 대조된다.[3] 프로토타입을 신처럼 모시고 있으며 동시에 가장 강력한 사도이다.[4] 공개 전에도 특유의 목소리 톤으로 이장원 성우로 추정되었고, 이후 남도형의 블루클럽에서 맞다고 밝혀졌다. 할리 소이어와 같은 성우. 덤으로 블루클럽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작중 목소리가 심히 변조돼서 알아채기 힘들지만 실제로는 톤이 상당히 높아보이는 인게임 내 사운드와 다르게 목소리를 깐 굵직한 톤으로 연기했다고 한다.[5] 보스전 전의 캣냅 등장 BGM.[6] 보스전 BGM.[7] 캣냅 데스씬 BGM.[8] 중반부에 양산형 개체로도 등장한다.[9] 근데 방향은 그믐달이다.[10] 파피 플레이타임에 등장하는 언론이다.[11] 소개 영상마저 어른들이 보기에도 상당히 괴기스러운데, 연출과 스토리에서 마약이 연상되는 부분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다른 스마일링 크리터즈들이 캣냅의 붉은 가스가 없으면 잠을 자지 못하여 캣냅에게 매달리는 장면은 마약 중독 증세와 흡사하며, 캣냅의 붉은 가스를 마신 후에 미친 듯이 웃다가 자는 증상은 마약 복용 증상과 비슷하다.[12] 캣냅이 기록말살형을 당한 것은 인게임에서도 제대로 구현되었다. 시작부터 스마일링 크리터즈의 광고에서 빠진 걸 보여주고, 플레이케어 중앙에 위치한 스마일링 크리터즈의 동상 및 소개글 중 캣냅의 것은 아래로 추락해서 양쪽 다 확인할 수 없다. 도그데이는 캣냅이 살아있음에도 그를 스마일링 크리터즈로 인정하지 않으며, 그랩팩 2.0을 얻는 장소(혹은 3편 최후반부)에서 발견 가능한 캣냅의 카드보드에는 숨소리 외 아무런 대사가 나오지 않는다. 결국 장난감으로서의 캣냅의 대사는 전혀 알 수 없다.[13] 이후 챕터 4에서 밝혀지길 할리 소이어가 멋대로 판매용 캣냅 인형들에 라벤더 향수가 아니라 양귀비 가스를 집어넣는 바람에 이 사단이 났다는 게 밝혀진다.[14] 현재 모습보다 다리가 더 굵다.[15] 작중에선 이러한 신체 변형 능력은 나오지 않고 환각을 이용해 모습을 바꾸는 것만 나온다. 어쩌면 변이된 모습 자체가 형체 변형으로 크기를 키운 것일지도 모른다.[16] 위의 유튜브 동영상에서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는데, 일부 사람에 따라서는 섬뜩하게도 느껴질 수 있다.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내용 자체가 절대로 아동에게는 적합하지 않다는 점이다. 캣냅이 등장하기 전까지의 장면은 그나마 아동용 호러 애니메이션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캣냅이 등장한 직후부터는 상당히 섬뜩하다. 특히 캣냅의 등장씬은 거의 공포 영화 수준.[17] 스마일링 크리터즈가 캣냅의 가스에 의해 잠들고 난 후의 모습을 보면 단순히 자고 있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 소파에 앉은 캣냅 옆에 담요로 하반신을 가리고 양 팔을 든 자세로 잠든 도그데이만이 그의 현주소를 암시한다.[18] 애니메이션에서 이 가스와 접촉한 캐릭터들의 반응을 보면 단순히 수면 효과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정신줄을 놓은 듯이 웃는 등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인다.[19] 이후 챕터 4의 엔딩을 통해 양귀비가 사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20] ARG에서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시어도어 그램벨은 프로토타입과 함께 탈출하기 위해 그랩팩으로 플레이케어 관리실의 문을 열고자 했으나 무언가 잘못되어 감전 사고를 당하고 심장마비까지 일어났다. 그러나 프로토타입이 탈출하는 대신 시어도어를 한 직원의 사무실 문 앞에 데려다주면서 병원으로 무사히 이송되었으며 이후 캣냅으로 개조되었다.[21] 프로토타입은 기계를 개조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기에, 몰래 그랩팩을 개조해서 우연을 가장한 사고를 일으키고 시어도어를 구원해준 것처럼 속여 그에게 확실한 신뢰를 얻기 위해 자작극을 일으킨 게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22] 플레이케어의 지하에 있는 동굴에 프로토타입을 숭배하는 신전도 있으며, 조각상 앞에서 기도하는 캣냅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좀 더 가까이 가보려고 하면 낌새를 눈치 챘는지 동굴의 틈새로 숨어버린다.[23] THE ORIGINAL SAVED ME, I REJOICE IN HIM!(원본이 나를 구했다. 그 분을 찬양하라!), I LIVE TO SERVE OUR ANGEL OF SALVATION!(난 구원의 천사를 섬기려고 산다!), FOLLOWERS OF THE PATH(운명을 따르는 자들), MY SOMNIFEROUS FLOCK(나의 최면 무리들아), NEVER FORGET THE HOUR OF JOY(기쁨의 시간을 잊지 마라).[24] 이러한 묘사에 걸맞게 Sleep Well 뮤직 비디오에서도 양산형 크리터즈에게 손을 내밀며 위로하는 모습이 나온다.[25] 그의 말에 따르면 본래 할리 소이어 박사가 기록을 해야 했으나, 무언가 문제가 생겨서 소이어의 후임이 들어올 때까지 당분간 본인이 기록하게 되었다고 한다. 때문에 기록하면서 캣냅의 본명도 몰라서 연구원에게 이름을 듣고 나서야 그의 이름을 불렀다.[26] 물론 피에르는 허튼 희망이고 너희들의 집은 이 감옥이라며 무시했다.[27] 작은 크기의 양산형을 제외한 오리지널 스마일링 크리터즈는 하반신이 잘린 채 감옥에 갇힌 도그데이를 제외하면 전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자세한 내용은 웃는 동물들 문서 참조.[28] 모든 미스 딜라이트들을 학교에 가둬 놓고 서로 살기 위해 죽이고 잡아먹게 해 최후의 한 개체만이 남을 때까지 방치했다. 이 최후의 미스 딜라이트는 다른 자매들이 자길 굶겨 죽이려고 방치해 죽어가던 중 '바브'의 환청을 듣고 다른 자매들을 모두 죽여 살아남았다. 그 후 캣냅이 학교의 봉쇄를 풀자 당장이라도 그를 죽이고 싶었지만, 상대가 되지 않는 것을 받아들이고 그와 거래해서 부하가 되기로 했다.[29] 캣냅이 미스 딜라이트 들을 전부 가둔 건 추측이지만 그 숫자로 프로토타입을 상대로 반역을 일으킬 가능성을 없애기 위한 걸로 보인다. 미스 딜라이트의 일기에 보면 하나 남았다는걸 알고 캣냅이 기뻐보였다 라는 글이 있기에 더더욱 확신이 선다.[30] 캣냅이 방출한 환각 가스의 영향으로 뒤틀려 보이는 것이지 실제로 변한 것은 아니다. 이 상태의 캣냅에게 잡혀 게임 오버 될 경우 점프 스케어가 본모습으로 나온다.[31] 홈 스위트 홈에서 올리의 전화를 받은 후, 들어왔던 입구 쪽을 보면 고개를 반만 내민 채 주인공을 바라보고 있는 캣냅을 볼 수 있다. 다소 한정적인 출현 조건과 어두운 배경 때문인지 많은 유저들이 여기서 캣냅이 등장하는 것을 잘 모른다.[32] 홈 스위트 홈의 방독면이 필요한 환기구를 지나가면 환기 팬의 그릴 너머에서 주인공을 쳐다보다가 시야에서 사라진다. 이것 역시 붉은 연기 때문에 시야가 흐릿해서 모르는 유저들이 많다.[33] 파피에 의하면 플레이타임 사의 패닉 룸으로, 비상 대피소와 비슷한 일종의 세이프 룸이다.[34] 이 스파크 그랩을 눌러서 발사해야 한다. 이걸 발사하지 않으면 그대로 죽는다. 연출이 컷신같아 보여서 편히 손놓고 있다가 이때 죽는 경우도 종종 있다.[35] 구원의 손길은 주로 오른손으로 묘사되는데, 프로토타입은 왼손을 내밀었다. 여기서부터 이미 프로토타입이 캣냅을 구원하려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36] 성경에서도 이것이 언급되는데 이사야 41장 10절에 '두려워 말라 내가 너와 함께 함이니라 놀라지 말라 나는 네 하나님이 됨이니라 내가 너를 굳세게 하리라 참으로 너를 도와 주리라 참으로 나의 의로운 오른손으로 너를 붙들리라.' 라고 언급된다.[37] 도망치는 직원 한명을 환각 가스로 중독시킨 뒤 입으로 물어 내동댕이 쳐버려 살해했다.[38] 보라색 털로 뒤덮힌 해골이 있어 캣냅으로 오해하는 사람들도 있다.[39] 이때문에 한국판 한정으로 성우가 본인이 맡은 캣냅을 까는 성우개그가 성립된다.[40] 처음엔 그냥 보기만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았으나 주인공이 프로토타입에 계획을 방해하고 있다는 걸 간파하고 환각 가스를 이용해 주인공을 죽이려 들었다.[41] 다른 장난감들의 사연이 어찌 되었든 간에 프로토타입에게 목숨을 빚졌기 때문이다. 즉 생명의 은인.[42] 작중 묘사로 보아 은인이란 점에서 그를 따랐던 것도 있지만, 죽기 직전에 프로토타입을 보고 겁에 질린듯 뒤로 기어가려했던 모습을 보면 그의 잔악한 행보와 강함에 대해 어느정도 두려움은 있는 듯 하지만 자신보다 강대한 존재고 거기다가 과거 목숨까지 구해진 적 있으니 동시에 경외심도 느끼는 듯 보이고, 프로토타입의 속임수에 간단히 넘어가 토사구팽 당한걸 보면 자신만은 특별대우 받는다는 착각에 빠진 광신도 그 자체.[43] 당시 딜라이트는 프로토타입을 따르지 않는 무소속을 고수했고, 다른 자매들까지 같이 모여있는걸로보아 자매들 모두 같은 뜻으로 뭉치며 프로토타입 세력과 대치하는 사이였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에 프로토타입의 지시인지 본인의 의지인지는 몰라도 이들을 고립시킨 뒤 극한상황으로 몰고가 굴종시키려 했던 것.[44] 실제로 레이스의 기록을 보면 캣냅과 프로토타입이 같은 방에 있을때 캣냅의 반응과 달리 프로토타입은 캣냅에게 일체의 반응도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45] 아니면 챕터2에 추격전이 매우 무서웠다는 평가가 많았는지 이번 챕터는 보스로서의 추격전을 뺀 것 같다는 의견도 존재한다.[46] 물론 작품 외적으론 파피 플레이타임이 서양에서 제작된 게임인 것도 있고 이는 밝기를 어느정도 올리면 얼추 해결할 수 있다.[47] 실제로 부하들을 내보내며 주인공을 자잘자잘하게 공격하며 직접 나설 때도 캣냅에 대항할 도구인 방독면만 빼앗고 기절시킨 뒤 가버렸다. 이때 주인공은 기절해서 완전 무방비 상태라 바로 죽여버릴 수 있었다. 보스 전에서도 환각으로 페이크만 주고 말지 마지막까지 적극적인 공세는 없었다. 다 가지고 놀고 죽이려 할 때 주인공이 예상 못한 과충전 그랩팩을 발사하여 캣냅이 패배한 거지, 챕터3 내내 주도권은 캣냅에게 있었다.[48] 실제로 FNaF 1편과 2편은 CCTV의 비중이 매우 적다. 애초에 코앞까지 왔을 때 문을 닫거나 탈을 쓴다는 선택지로 방어하기 때문에 CCTV로 굳이 정해진 경로로 오는 애니마트로닉스들의 움직임을 확인할 이유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걸 해결하고자 1편에선 CCTV를 올려야지 행동이 멈추는 폭시, 2편에선 CCTV로 뮤직박스를 감아 막아야 하는 퍼펫을 넣은 것이다. 이 후 3편은 아예 CCTV 감시를 메인으로 하거나 4편에선 아예 없애는 등의 변화를 주다가 SL에서 순전히 무작위 경로로 오는 에너드를 통해 CCTV의 비중과 문 막기의 비중을 모두 살렸다.[49] 원전들은 이미 모두 죽었다 치더라도 이들 대신에 양산형 크리터들이라도 배치했다면 압박감이 훨씬 올라갔을 것이다.[50] 물론 등장이 없던 건 아니다. 하지만 문제는 말 그대로 등장만 하면서 주인공에게 위협을 가한 것이 아니라 환풍기 뒤에서 플레이어를 향해 가스만 살포하거나, 전화를 받고 있는 플레이어를 뒤에서 몰래 보다가 사라지고, 공포스러운 연출을 위해서 얼굴만 비추고 가는 수준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잠깐의 심적인 공포밖에 주지 못했다.[51] 그도 그럴 것이 딜라이트 선생님플레이어가 시선 안에 있으면 움직이지 않으며, 종종 들려오는 기괴한 웃음 소리, 은근히 빠른 이동 속도까지 더해서 시선 밖에 나가면 언제 덮쳐올지 모르는 압박감과 공포 속에서 도망치며 시리즈 역대 최고난도의 퍼즐까지 풀어야 했기 때문에 캣냅보다 더 무섭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도그데이 역시 양산형들이 본체 안에 들어가서 도그데이를 강제로 조종하는 끔찍한 연출을 보여준 뒤 섬뜻한 괴성과 함께 플레이어를 추적해오고, 좁고 미로 같이 복잡한 놀이터 구간 안에서 도망가야 하기 때문에 챕터 1의 허기 워기 추격전을 다시 한 번 떠올리게 만들어 짧고 굵은 인상을 남겼다. 이러한 연출을 통해 플레이어에게 주는 중간보스들의 임팩트가 무척 강렬했다.[52] 40초와 58초, 1분 16초 쯤에 있다.[53] 트레일러에서 PJ 퍼그 어 필러의 디자인이 많이 달라진 것과 비슷한 사례로 보인다.[54] 그마저도 입을 닫는다면 원본과 다른 점이 없어진다.[55] 도그데이나 캣냅의 경우를 봤을 때 얼굴 표정을 바꾸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캣냅은 감전되었을 때도 얼굴 표정이 전혀 바뀌지 않으며, 도그데이는 심각한 이야기를 할 때마저 얼굴이 웃는 모습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그데이는 하반신이 잘려나가있긴 하지만 이건 변이라기보다는 심하게 망가진 쪽에 가깝다.[56] ARG의 실험체 1188 제안서의 내용을 고려하면 개조 과정에서 날렵하고 유연한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서 원본 인형보다 더 고양이에 가까운 형태로 개조한 것으로 보인다. 도그데이나 바비 베어허그 등도 BBI 버전은 캣냅처럼 사지가 길쭉길쭉한걸 보면 BBI 스마일링 크리터즈들은 전부 다 저렇게 생겼을 것으로 보인다.[57] 다른 원조 스마일링 크리터즈들은 자신들의 시그니처 대사를 하는데 유독 캣냅만이 대사가 없이 이러한 반응을 낸다. 잠을 상징하는 캐릭터라 어떻게 보면 수긍될 수 있겠으나 이 작품에서 캣냅의 위치를 살펴본다면... 게다가 위 애니메이션에서도 모두 말을 하는 다른 스마일링 크리터즈들과는 달리 혼자서만 대사가 없다. 작중에서 캣냅의 첫 대사는 플레이하우스에서 얻을 수 있는 비디오 영상에서 나온다.[58] 원작에서 대사가 없기 때문인지 팬들이 자체적인 더빙으로 캣냅에게도 대사를 넣어주는 영상이 많은데, 어째 대체적으로 소년보다는 거의 유쾌한 톤의 성인 남성 수준, 혹은 진지한 목소리로 나온다.더빙판을 기준으로 상상해본다면 딱 올라프[59] 이는 중간 보스들인 딜라이트 선생님도그데이보다 대사량이 적으며 심지어 출연도 안했던 나머지 크리터즈 6명도 인트로 영상에서 말하거나 카드보드 대사가 있기 때문에 캣냅보다 대사가 더 많다.(...)[60] 캣냅의 방을 잘 보면 도그데이와 서로 껴안는 그림도 있는데, 이를 통해 도그데이와는 둘도 없는 친구였지만 자신의 구원자라고 믿고 있는 프로토타입의 뜻을 이루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죽였다는 의견도 있다. 다른 스마일링 크리터즈는 처참하게 죽였지만 도그데이만큼은 비록 하반신을 잘라놨어도 어떻게든 살려놓는 것이 그 이유. 허나 그게 도그데이에겐 죽느니만 못한 처참한 신세였지만... 물론 나중에는 프로토타입을 방해하려 드는 플레이어를 막기 위해 죽인 것이라는 해석.[61] 니콜 캘러웨이, 카터 스티븐스, 더글라스 맥킨티, 다코타 가이슬러, 윌리엄 콜, 트랜튼 로브케[추가로] 외래어 표기법을 따른 올바른 표기는 '캐트닙'이다. 한국어의 한계로 '캣닙'으로 적으면 보통 '캔닙'으로 읽히기 때문, 마찬가지로 Catnap도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면 '캐트냅'이지만, 보통 지켜지지 않는다.[63] 그 예로 허기 워기와 마미 롱 레그의 보스전은 패러디가 상당히 많은데, 캣냅의 보스전은 패러디가 거의 없다.[64] 특히 길쭉길쭉한 허기워기와 마미 롱 레그에 비해 애초에 설정부터 짧뚱맞은 인형이라 단순하게 캐릭터화 시키기가 쉬운 것도 있다.[65] 이 둘 모두 고양이인지 아닌지 단정 짓기 어렵고 무엇보다 거대한 덩치에 앙상한 뼈에서는 루가족들과 유사하다.[66] 작중 설정에 맞게 해당 캣냅 인형은 꼬리를 당기면 입에서 하얀색 가스가 나오는 기능이 구현되어 있어 게임을 플레이하던 유저들 사이에서 가지고 싶어하는 말들이 많았지만 제작 업체인 Boira Plushies 공식 트위터에서는 오로지 챕터 3 PV 촬영용으로 계획된 소품이며 시중에 판매할 계획은 없다고 못을 박았다.[67] 일반 캐릭터까지 따지면 번조 버니가 있어서 최초는 아니다.[68] 실제로 파피 플레이타임 일본 트위터 공식 계정에서 시행한 인기 투표에서 1040표로 1위를 달성했다. # 2위는 774표의 도그데이. 빌런만이 아닌 선역 캐릭터들을 모두 합친 결과이며 앞서 등장했던 인기 빌런들인 허기워기, 마미 롱 레그, 미스 딜라이트, 번조 버니, 조력자 포지션인 도그데이까지도 모두 제친 것이다.[69] 이미지가 해와 달이라서 그런지 옆동네 캐릭터들과 엮이기도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