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56:33

탈보(자동차 브랜드)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동음이의어:
동음이의어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0.912em"
파일:external/www.cartype.com/british_leyland_logo_art.jpg
파일:Rover logo.png 파일:스털링 로고(투명).png 파일:오스틴 로고.jpg 파일:모리스 로고.png 파일:울즐리 로고.png 파일:란체스터 로고.gif
브리티시 레일랜드 로버 스털링 오스틴 모리스 울즐리 란체스터
파일:라일리 로고.png 파일:Standardlogo.webp 파일:반덴 플라 로고.jpg 파일:alvislogo.png 파일:트라이엄프 투명 로고.png 파일:Leylandlogo.png 파일:Sunbeammcc.png
라일리 스탠더드 반덴 플라 알비스 트라이엄프 레일랜드 선빔
파일:Singerlogo.png 파일:힐만 로고.png 파일:HUMBERlogo.jpg 파일:1977 탈보 로고.png 파일:팬서 웨스트윈즈.png 파일:젠센 모터스 로고.png 파일:릴라이언트 로고.png
싱어 힐만 험버 탈보 팬서 젠센 릴라이언트
파일:gordonkeeblelogo.png 파일:Ascari_Cars_logo.svg.png 파일:브라밤 로고.png 파일:브리스톨 자동차 로고.png 파일:LDV 로고.png 파일:베드포드 로고.png 파일:비맥 로고.png
고든-키블 아스카리 브라밤 브리스톨 LDV 베드포드 비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셰너드 월커 로고.png 파일:로레인 디트리히 로고.png 파일:somualogo.jpg 파일:delahayelogonew.png파일:delahayelogonewwhite.png 파일:1977 탈보 로고.png 파일:생카 로고.png 파일:르노 스포트 로고.png파일:르노 스포트 로고 화이트.png
슈나르 & 발케르 로렌-디트리히 소뮤아 들라이예 탈보 심카 르노 스포트
}}}}}}}}} ||




TALBOT
탈보

파일:1977 탈보 로고.png

<colbgcolor=#1A4C78> 업종 자동차 제조업
국가
[[영국|]][[틀:국기|]][[틀:국기|]]
소재지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파리
설립일 1903년
해체일 1995년
모기업
[ 펼치기 · 접기 ]
끌레망 탈보 (1903년 ~ 1919년)
다락 (1919년 ~ 1938년)
루츠 그룹 (1938년 ~ 1967년)
크라이슬러 (1967년 ~ 1978년)
PSA 그룹 (1978년 ~ 1995년)

자동차의 정신 (L'esprit Automobile).
- 1979년 브랜드 런칭 광고, 프랑스어판 - [1]

1. 개요2. 역사
2.1. 부활시도 (무산)
3. 생산 차량4. 여담

[clearfIx]

1. 개요

1903년 설립되어 1995년 해체된 영국-프랑스 계열의 자동차 브랜드.

2. 역사

역대 로고의 변천사
파일:Clement_talbot_logo_1903.png
파일:Talbot_london_logo1908.png

파일:Talbot_london_logo1919.png
1903 ~ 1908 1908 ~ 1919 1919 ~ 1935

파일:Talbot_brand_logo_1954.png


파일:Sunbeam_talbot_logo.png

파일:Talbot_brand_logo_1962.png
1936 ~ 1959 1938 ~ 1954 1962 ~ 1977

파일:1977 탈보 로고.png

1977 ~ 1995

찰스 탤벗(탈보)이라는 영국 기업과 아돌프 끌레멩이라는 프랑스 사업가가 영국에서 창업했고 설립 초기에는 동명의 개[2]가 엠블럼에 그려진 형태였다. 영국의 끌레멩-탈보사는 프랑스 탈보 차종을 들여와 팔며 1938년까지 존속했다. 그 당시 다락(Darracq)이라는 회사가 지주회사로 탈보 프랑스 법인을 만들고, 영국의 선빔과 탈보, 다락을 합친 STD 모터스를 출범시켰다.

파일:IMG_2714.jpg
[3]
1936년에는 다락이 떨어져 나갔고 남은 선빔-탈보는 이탈리아계 영국인 엔지니어 안토니오 라고(Antonio Lago)가 탈보 엠블럼 사용권을 인수하여 탈보-라고(Talbot-Lago)라는 고급차 브랜드를 세워 존속하였다. 탈보-라고는 롤스로이스, 부가티가 직접적인 경쟁 상대였을 정도로 호화로운 차들을 만들었지만 1959년에 프랑스의 심카에게 인수되었고, 이후 크라이슬러 유럽 법인[4]이 심카와 선빔을 같이 인수했었다가 PSA 그룹이 빚투성이었던 크라이슬러 유럽 법인을 1$에 인수한 뒤 먹고먹히는(...) 인수전을 거쳐 결국 1978년푸조 산하 브랜드가 되었다. 이때부터 빨간 동그라미 가운데에 T가 그려진 탈보 엠블럼을 썼다.#[5]

하지만 런칭 초기부터 2차 석유파동으로 인한 불황기를 맞이하자 PSA 그룹이 푸조와의 자원 공용화를 발표하며 1981년부터 1983년까지 프랑스의 탈보 딜러점 488곳 중 75%를 폐점하는 등 구조조정을 계속했지만[6] 당시 신규 브랜드로서 인지도가 빈약했던 탓에 판매량이 오르지 않는 등 상황이 계속 악화되었고, 1987년에 호라이즌이 단종되고 마지막으로 남은 탈보 익스프레스[7]마저 1994년에 단종되면서 결국 브랜드 자체가 사라졌다. 그 후 남은 탈보 소속의 공장들 중 영국 라이튼 공장은 2007년까지 푸조의 현지 공장으로 유지되었으며, 스페인 비야베르데(Villaverde)와 프랑스 푸아시(Poissy) 공장이 현재까지 살아남아 2023년 기준 비야베르데가 시트로엥 C4, 푸아시가 DS 3오펠 모카를 생산하고 있다.

1950년대까지만 해도 탈보 브랜드 고유의 차들을 생산했었지만 크라이슬러에 인수된 후 푸조 산하에서 사라질 때까지 유럽 크라이슬러 계열 차종들의 뱃지갈이용 브랜드로 전락했다. 이름은 프랑스스럽지만 기원은 영국이기 때문에 PSA그룹이 영국 시장에 이 브랜드로 상당수의 차를 팔았고 유럽 대륙에서도 1980년부터 심카 브랜드를 대체했다.[8]

여담으로, 영국의 브리티시 레일랜드 출신 경영진 중 한 명이었던 영국인 조지 턴불(George Turnbull)이 탈보에서 일한 적이 있었다. 턴불은 탈보 소속 공장들 중 탈보 선빔을 생산하던 스코틀렌드 렌푸르셔의 린우드(Linwood) 공장을 폐쇄하는 대신, 모회사 푸조-시트로엥을 설득해 탈보 소유의 영국 현지공장인 코번트리의 라이튼(Ryton) 공장을 위한 신차생산 포트폴리오를 보장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선빔의 후속이자 PSA 기술력에 기반한 신차로 탈보 삼바의 개발과정이 탈보 소속 휘트니(Whitney)에서 진행되고, 마찬가지로 개발과정에 휘트니 출신 인력들이 같이 참여한 탈보 아리조나가 영국 라이톤 공장에 배정되어 턴불이 퇴사한 이후인 1985년에 푸조 309라는 이름으로 양산되었다.#

2.1. 부활시도 (무산)

이후 2008년, PSA는 르노다치아 로간(Dacia Logan)을 통해 저가차 시장에서 성과를 거둔 것처럼 저예산 구매자를 대상으로 탈보의 재도입을 고려했다. 이 모델들은 탈보 버전의 시트로엥 엘리제푸조 206과 같은 중국에서 생산된 모델일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었지만 PSA가 2세대 시트로엥 C-엘리제푸조 301을 도입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3. 생산 차량

파일:1977 탈보 로고.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1A4C78,#1A4C78> 분류 단종 차량
소형 선빔 · 삼바
준중형 1100 · 어벤저 · 호라이즌
중형 솔라라 · 알파인/1510
준대형 타고라
스포츠카 바기라 · 무레나
LAV 란쵸
LCV 익스프레스
}}}}}}}}} ||

4. 여담



[1] 독일어 버전은 "Die Freude Am Autobil", 이탈리아어 버전은 "Riscopri Il Piacere Dell'automobile"이었으며 영국에서는 "The New Spirit of Motoring"을 사용한 뒤 1980년부터 "On The Move"를 주로 사용했다.[2] 비글의 조상으로 추정되는 종류로 현재는 멸종되었다.[3] 사진은 1937년식 탈보-라고 T150C-SS 티어드롭(Teardrop) 쿠페.[4] 당시 영국의 루츠 그룹, 스페인의 바레이로스(Barreiros)를 소유하고 있었다.[5] 당시 심카는 마트라와 공동 개발한 차종들이 많았는데, 이 차들은 마트라-심카 엠블럼을 달고 판매하다가 심카가 PSA그룹으로 넘어가면서 브랜드 자체가 폐지되자 탈보-마트라 엠블럼을 달고 팔렸다. 이후 차기 미니밴을 개발하던 마트라는 탈보의 모회사 PSA 그룹으로부터 해당 기획을 거절당하자 PSA 그룹과의 계약을 파기하고 르노와 손을 잡았다.[6] 이를 기점으로 TV 광고에서도 탈보라는 이름을 단독으로 쓰지 않고 푸조와 함께 등장시키는 경우가 생겨났다.[7] 피아트 두카토 1세대의 배지 엔지니어링 모델.[8] 푸조 104를 토대로 만든 탈보 삼바 정도를 빼면 대부분이 심카 시절에 개발된 차들(타고라 등)이나 기존 심카나 루츠 그룹 계열 차들의 뱃지 엔지니어링(심카 호라이즌, 크라이슬러 알파인 등), 혹은 그 기반의 변형(탈보 솔라라) 등이었다.[9] 원래는 탈보 애리조나라는 명칭으로 개발중이었으나 탈보 브랜드가 폐지수순을 밟으면서 푸조로 편입되었다.# 탈보 명의로 만들어진 프로토타입의 사진이 남아 있고, 이를 기반으로 한 1:43 사이즈의 다이캐스트도 시판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6
, 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