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하늘신 | <colbgcolor=white,#000>하느님 · 환인 · 옥황상제도교 · 천지왕제주도 |
통치신 | 환웅 · 대별왕과 소별왕제주도 | |
국조신 | 단군 · 해모수 · 동명성왕 · 박혁거세 · 수로왕 · 고을나왕제주도 | |
자연신 | 마고할미 · 미륵불교 · 웅녀 · 해당금이 · 손돌 · 도수문장 · 설문대할망제주도 · 오늘이제주도 | |
산신 | 산신령 · 선도성모 · 정견모주 · 석탈해 · 운제산성모 · 단종 · 금성대군 | |
수신 | 유화부인 · 용왕 · 사해용왕도교 · 경강적룡 | |
사방신 | 청룡도교 · 백호도교 · 현무도교 · 주작도교 | |
무조신 | 바리데기 · 걸립신 | |
농업신 | 풍백 · 우사 · 운사 · 고수레 · 자청비제주도 | |
탄생신 | 삼신할미 | |
운명신 | 구삼승할망 · 사라도령 · 할락궁이 · 감은장아기제주도 | |
사신 | 염라대왕불교 · 강림도령 · 이덕춘 · 해원맥 · 연직사자불교 · 시직사자불교 | |
복신 | 칠성신(북두칠성) · 부근신 | |
재물신 | 칠성신(뱀)제주도 | |
가택신 | 성주신 · 조왕신 · 삼신할미 · 터주신 · 문전신 · 철륭신 · 업신 · 정랑각시 · 제석신 · 우물신 | |
수호신 | 장승 · 선묘 · 두두리 · 괴목신 · 지귀 · 부군신 · 궤네깃또제주도 | |
역병신 | 역신 · 호구별성 | |
왕신 | 경순왕 · 공민왕 · 궁예 · 문무왕 · 단종 | |
군웅신 | 이순신 · 강감찬 · 최영 · 김유신 |
1. 개요
'터-主大監'[1]한국토속신앙인 가신신앙(家神信仰)에서 집터를 지키는 땅의 신(地神). 터주, 터대감, 후토주임, 대주라고도 부르며 높혀서 터주신이라고 부르지만 보통은 터줏대감으로 많이 부른다. 비유적표현으로 어떤 분야나 집단의 구성원 중에서 가장 오래된 사람을 터줏대감으로 부르기도 한다.
2. 내용
집안 사람들의 재물운, 건물의 안전, 집터의 운수 등을 관장하는 신이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따르면 집이 안치되어 있는 터, 즉 울타리 안을 돌본다고 한다[2]. 사악한 기운을 없애고 잡귀를 쫓아내 집안 사람들을 보호한다.키는 50척이 넘는 데다 귀는 장승처럼 늘어졌고, 작은 눈에 납작한 코와 두꺼운 입, 큰 배에 조막손, 마당발로 생겼다고 한다. 그런 생김새에도 불구하고 높은 위상을 가진 신이기에 사람들이 귀하게 모신다.
집의 뒤뜰 장독대 옆에 벼짚따위로 가마니같은 것을 만들어 그 안에 작은 단지를 넣어서 신체(神體)를 만들어 모시는데 이를 터주가리라고 부른다. 그 작은 단지안엔 해마다 추수 때 수확한 곡물 을 넣는데[3][4] 원래 단지안에 있던 묵은 곡물은 집안사람들끼리 나누어먹어 복을 빈다고 한다.
터주가리 외에도 오쟁이에 베와 짚신을 넣고 나무에 걸어 두거나, 한 홉의 쌀을 종이나 베에 담고 마당 중앙에 얕게 묻어 모시기도 한다.
대감놀이의 터줏대감을 모시는 거리는 무당이 시루를 머리에 이고 노래를 부르고 술을 마시며 집안을 도는 식으로 진행된다.
집에서 가족끼리 집안싸움이 심하거나 주변과 사이가 안좋은 일이 많이 생긴다면 터주가 싫어해서라는 이유가 있다고 한다.
3. 일본의 ぬし
일본에서는 일반적인 크기에 비해 큰 짐승이나 대물 물고기를 발견하면 그 장소[5]의 우두머리 개체라는 의미로 ぬし(누시)라 부르는데, 이를 한글화 할 때 그 장소(터)의 주인이라는 뜻을 담아 '터주'로 번역하기도 한다. 본 문서가 서술하는 '터줏대감'은 인간형 모습에 집의 신이라 이 ぬし와는 거리가 멀지만, 일단 의미 그대로 보았을 때 틀린 번역이라 보긴 어렵기에 용인되고 있다.4. 현대에서는
현대에서는 미신으로 안믿는 경우가 많아 이런 터주라는 개념이 많이 사라지고 있지만 그래도 믿는 사람들은 다른 방식으로 모신다고 한다. 현대의 터주가 있는 곳은 주택기준으로 보통 물이 많이 사용되고 습기도 많아 음기가 강하고 특성상 집안 안쪽에 있어 어두운 화장실쪽에 터주가 좋아해서 그곳에 상주한다고 알려지고 있다. 처음 집에 이사오거나 터가 센 경우 이곳에 막걸리던가 간단한 음식을 놓으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집안 영가들중 가장 센 영가가 이곳에 자리를 잡고 있기에 조심해야 하며 특히 사람들이 화장실에서 많이 다치거나 사망하는 이유가 터주를 서운하게했거나 장난이 심해서라고 한다. 터가 좋은 곳일수록 사람뿐만 아니라 영가들도 매우 좋아하기에 좋은 터에 경쟁이 치열하며 그런 곳은 아주 강한 터주가 있을 수 있기에 주의 하란 이야기도 있다. 이런 성향에 활용으로 외부에서 들인 중고 물품은 꼭 화장실에 하루 또는 길게는 일주일을 두란 것도 터주에 의해 중고물품에 깃든 외부 영가가 정화된다는 비방도 있다고 한다.현대의 터주대감의 이미지는 상술한 터주대감의 이미지보다는 먼저 집에 오래살거나 장악한 영가들을 터주로 보는 관점으로 바뀌었다는 것과 그래서 성별과 특징이 다양하며 도깨비나 또는 귀신에 가까운 모습으로 보는 것도 있다.
5. 창작물에서
'집안을 보살피고 지킨다.'는 특징 때문인지 여신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터[6]를 담당해 보호한다.'는 설정만은 건드려지지 않는다.- 계룡선녀전 - 조봉대 부인: 머리를 빨갛게 염색한 여신이다. 카페에서 일하며, 드라마에선 안영미가 연기했다.
- 미래의 골동품 가게 - 터줏신: 프롤로그에서 감투를 쓴 두꺼비의 형상으로 등장했다. 어느 부잣집의 터줏대감으로, 보름달의 정기를 받기 위해 나왔다가 뱀 요괴에게 습격을 받지만 연화 일행에 의해 구조된다.
- 수린당 -비늘 고치는 집- - 터주신: 용의 형태를 하고 있다. 수린당 창고에 외부인이 들어가려하거나 수린당 자매가 귀가하지 않으면 화를 낸다.
- 신과함께 - 막막부인: 신과함께 신화편에서 성주신 황우양의 아내 막막부인으로 등장한다. 집 터를 지키는 가정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