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18:14:43

텔레비전

테레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TV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TV(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미국의 펑크밴드에 대한 내용은 텔레비전(밴드)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방글라데시 영화에 대한 내용은 텔레비전(영화)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파일:삼성qledtv.jpg
파일:wq3H667.png
텔레비전

1. 개요2. 역사3. 종류4. 주요 제조사5. 대중 매체
5.1. 동요
6. 기타7. 참고 자료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

전파 신호를 받아 영상으로 보여주는 전자기기.

Television이란 명칭은 원격의, 멀리 떨어진이라는 뜻인 그리스어 접두사 tele-[1]와 시야, 화상을 뜻하는 vision의 합성어이다. 줄여서 흔히 TV라고도 하며 가전 업계에서는 텔레비전 수상기라고도 한다.

==# 명칭 #==
한국어 <colbgcolor=#fff,#1c1d1f> 텔레비전, TV(티브이[2], 티비[3]), 테레비[4]
텔레비죤[문화어]
중국어 <colbgcolor=#fff,#1c1d1f> 电视
일본어 テレビジョン, テレビ 영어 <colbgcolor=#fff,#1c1d1f> Television, TV, telly[6] 프랑스어 Télévision
스페인어 Televisión 독일어 Fernsehgerät, Fernseher 포르투갈어 Televisor, Televisão
이탈리아어 Televisione 스웨덴어 Television 라틴어 Televisio
에스페란토 Televido 러시아어 телеви́дение, телеви́зор 태국어 โทรทัศน์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텔레비전/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종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텔레비전/종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주요 제조사

5. 대중 매체

여러 대중 매체에서는 은근히 호러 쪽으로 자주 묘사되는 주 아이콘. 매체에서 주로 TV 속의 존재가 TV 밖으로 빠져나오는 연출이 자주 보인다.

The Twonky처럼 텔레비전 수상기 자체가 생명력을 지니는 작품도 있다. 호러라기보단 코미디에 가깝지만.

1990년대 ~ 2000년대까지만 해도 주파수가 안 잡히거나 스크램블이 걸려 화면이 나오지 않는 경우 뚱뚱이 CRT 기계의 옆이나 뒤를 쳐서 다시 화면이 나오게 하는 경우가 있어 드라마만화의 클리셰처럼 여겨졌지만, 방송송출이 안정화된 2010년대부터는 거의 사라졌다.[7] 그 외에 외지에서는 전파를 잡기 위해 기와집의 지붕 위로 올라가 안테나의 방향을 고치는 일도 있었다. 나라는 다르지만 아이언맨 3의 개리가 대표적인 사례.

각종 매체에서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의 대중화 이전 시대를 표현할 때는 사람들이 가게 유리벽 안에 있는 텔레비전이나 번화가 빌딩 위에 있는 옥외 광고판에 등장하는 텔레비전 방송을 보고 뉴스를 알게 되는 장면이 흔히 등장한다.[8]

가필드의 주인공 가필드는 텔레비전을 좋아한다.

5.1. 동요

텔레비전에 내가 나왔으면 정말 좋겠네 정말 좋겠네 (2번 반복)
춤추고 노래하는 예쁜 내얼굴
텔레비전에 내가 나왔으면 정말 좋겠네 정말 좋겠네

텔레비전에 엄마[A]나왔으면 정말 좋겠네 정말 좋겠네 (2번 반복)
아기[B]가 엄마[A]하고 부를테니까
텔레비전에 엄마[A] 나왔으면 정말 좋겠네 정말 좋겠네
작사/작곡 - 정근

6. 기타

그러니 제 말 들으십쇼. 똑바로 들으십쇼. 텔레비전은 진실이 아닙니다! (Television is not the truth!) 텔레비전은 놀이 공원이란 말입니다! 서커스이고, 카니발입니다! 무용수와 이야기꾼과 가수와 춤꾼과 저글러와 괴물과 사자 조련사와 축구 선수가 놀아납니다! 지루함을 달래서 돈을 쓸어담을 뿐입니다! 그러니 진실을 원하신다면 하나님에게 가십시오! 상담을 받으십시오! 자기 자신을 돌아보십시오! 오직 그렇게 할 때만 진실에 다가갈 수 있는 것입니다!
영화 네트워크(1976)영상 참조
종종 '바보상자'라고 불리기도 하며 이 때문에 투철한 교사나 교수 같은 교육자 집안은 아예 텔레비전이 없는 경우도 있다. 인터넷을 즐기는 원룸 자취생의 집도 텔레비전이 없는 경우가 많다. 1990년 6월 가와시마 키코일본 황실로 시집올 때, 그녀의 친정에 텔레비전이 없어 가와시마 가문의 독특한 교육이 화제가 되었다. 키코 비의 친정아버지 가와시마 타츠히코(川嶋辰彦)는 저명한 경제학자로 가쿠슈인 대학 교수였으며, 가와시마 가문은 대대로 학자, 의사, 교수 등이 많이 나온 집안이다.
한편 이 '바보 상자'라는 낱말은 비단 한국어로만이 아니라 영어로도 Idiot box는 텔레비전에 대한 슬랭이다. 이 Idiot box를 바보들이 들어있는 상자로 해석해서 만든 것이 네모바지 스폰지밥의 바보상자 에피소드. 실제로 에피소드 초반부에 스폰지밥이 커다란 상자를 얻기 위해 커다란 TV를 사는 사소한 서술 트릭도 있다.
단순히 종교적인 이유로 텔레비전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실제로도 아프가니스탄탈레반이 집권하고 나서 한 삽질 중 하나가 세속주의 성향의 TV 방송국들을 모두 폐국시키고 쿠란 관련 방송만 나오도록 한 것이 있다. 아랍권에서 위성방송이 발달한 이유도 각 나라에서 이슬람 윤리를 내세워 지상파 방송을 규제한 탓이 크다. 또한 TV에 나오는 대중문화가 프리메이슨 등의 음모론이라는 이유로, 예를 들어 아이돌 가수들이 루시퍼 등을 내세운다는 이유로 TV를 없애라고 하는 일부 기독교 목사들도 있다.
허나 움베르토 에코는 인터뷰에서 TV를 바보상자라고 여기는 것은 음악회를 가거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등의 문화적 경험이 가능한 사람들의 생각이고 오지에 살거나 직접적 문화적 경험이 불가능한 사람들에게 TV는 문화적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도구라고 옹호했다. 실제로 밥값을 걱정해야 할 처지의 빈민들조차 TV는 값싸게 문화생활을 누릴수있는 수단이기 때문에 사려고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13] 2010년대 이후로는 스마트폰이 그 자리를 차지하는 추세이지만, 그래도 스마트폰은 화면이 작기 때문에 텔레비전이 여전히 여가생활을 나기 좋은 수단임은 변함이 없다.

7. 참고 자료

8. 관련 문서


[1] 망원경도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서 telescope이다.[2]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표준어[3] 외래어 표기법상 원칙[4] 일본식 표현인 テレビ에서 유래했다. 일제강점기 및 전후세대와 그 영향을 받은 세대에서 주로 쓰이고 있다.[문화어] 일제강점기부터 60년대 무렵에 남한에서 쓰이고, 북한 문화어에서 인정하던 표현이었으나, 2024년 6월부로 괴뢰말과 일본어를 금지한다면서 금지어가 되고 대신 'TV'가 표준어가 되었다고 한다. 텔레비죤은 일본어 같은 말이기는 한데, TV도 외래어라 북한 내부에서도 의아해한다고 한다. # 실제 북한 언론에서도 2021년까지만 로동신문에서 '텔레비죤'이라는 말을 썼고, 그 이후에는 TV를 더 많이 쓴다. 조선중앙텔레비죤이라는 명칭은 2024년 7월에도 보였지만, 이 표기가 유지될지, '조선중앙TV'만이 유일한 합법적 표기가 될지는 불분명하다.[6] 영국식 애칭 및 속어.[7] 애초에 TV가 PDPLCD를 거치며 얇아져서 유효한 타격을 줄 면 자체가 안 나온다.[8] 대표적으로 2013년작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94》 12화에서 성나정이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 뉴스 속보를 접하게 되는 매체가 빌딩 위에 있는 옥외 광고판의 뉴스 속보를 시내버스 안에서 보고 알게 된다. 다만 이 장면은 옥에 티라고 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A] 아빠/형/누나/친구이름 등 변형해서 부르기도 한다.[B] 자신 이름 넣거나 하여 변형해서 부른다.[A] [A] [13] 아비지트 배너지, 에스테르 뒤플로 저 <가난한 사람이 더 합리적이다> 참고.[14] 남한에서의 '테레비'는 영어 television의 일본식 발음 'テレビジョン'의 영향을 받은 것이고, 북한에서의 '떼레비'는 러시아어 телеви́зор의 영향을 받았다.[15] 북한에서는 이 표기가 표준이다.[16] 심지어 현 시점에서 세계 최빈국인 콩고민주공화국(1966), 중앙아프리카공화국(1974), 부룬디(1975) 같은 나라들보다도 늦었다.[17] 실제로 페르부르트는 TV를 핵폭탄, 독가스에 비유하기도 했다.[18] 4:3 TV가 가장 많이 보급되었고 16:9는 유럽(HD-MAC, PALplus)/일본(하이비전 시험방송/와이드 클리어비전)을 중심으로 1990년도에 생산되었지만 완전한 디지털시대인 2000년이 되어서야 보급되었다. 참고로 와이드TV는 더 무겁다.[19] 대표적으로 소니, 파나소닉, 도시바, 산요전기, 히타치, 미쓰비시전기 등.[20] 한국에서도 판매하고 있지만 한국에서 검색하면 대부분 뉴욕 메츠 같이 다른 내용만 나온다. 메츠 TV로 검색하자.[21] 과거 대우전자에서 인수하려고 시도한 회사로, 당시 프랑스에서 크게 논란이 되자 인수를 포기했다. 그러나 결국 파산하여 중국 TCL에 매각되었다.[22] 한국에선 오디오 쪽으로 들어본 사람이 있을 것이다. 그 외는 전기 면도기로 접해보는 정도다. 카오디오도 만들었다.[23] 제트기에서의 첫 영화 상영은 그로부터 2년 뒤인 1961년트랜스 월드 항공에 의해 성사되었다.[24] 이탈리아, 유고슬라비아, 그리스 중 하나로 추정[25] 1986년 알바니아 TV 화면조정시간, 방송 개시, 뉴스가 녹화되어 있다. 다만 영상의 2:46, 12:52, 13:28에서 스쳐가듯 컬러로 송출된 모습이 보인다.[26] 이들 중 약 1/4가 런던에 있다고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