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8 01:18:33

라페라리

페라리 라페라리에서 넘어옴
페라리의 한정판 미드십 슈퍼카
엔초 페라리 라페라리 F80
파일:페라리 로고.svg
파일:2014 페라리 라페라리.jpg
파일:Ferrari-Laferrari-Logo.png

1. 개요2. 제원3. 특징4. 파생 모델
4.1. 라페라리 아페르타
5. 기타6. 한국에서7. 경쟁 차량8. 미디어9. 후속 차량10. 둘러보기


LaFerrari[1][2]

1. 개요

2013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된 엔초 페라리와 F시리즈의 후속 & 한정판 모델. 개발 코드네임은 F70이 아닌, F150[3]으로 페라리 시승차량은 스티어링 휠의 네임태그[4]에 그 흔적으로 각인되어 있다.

참고로 압도적인 성능과 가격 때문에 당시 페라리의 기함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당시 페라리의 진짜 기함은 페라리 F12베를리네타이다. 람보르기니베네노를 기함이라 부르지 않는 것과 비슷하다. 엄밀히 따지면 기함보다는 브랜드의 후광을 위한 헤일로카에 가깝다.

이탈리아어에서 La는 여성형 정관사이다. 탑기어에서는 제임스 메이가 이걸 가지고 영어로 'The Ferrari LaFerrari' 라고 표기하면 "The Ferrari TheFerrari" 라는 요상한 이름이 된다고 디스했다.

2. 제원

차량 제원
모델명 라페라리
제조국가 및 제조사 이탈리아, 페라리
최초생산년도 2013년
차량가격 약 18억원
엔진 페라리 F140FE
엔진형식 V12 자연흡기
미션형식 7단 DCT
구동방식 MR
배기량 6,262cc
최고출력 963ps[5]
최대토크 91.8kg.m 이상(내연기관 + 전기모터)
최고속도 350km/h 이상[6]
제로백 (0→100km/h) 2.9초
제로이백 (0→200km/h) 6.9초
제로삼백 (0→300km/h) 15초[7]
연비 5.9km/ℓ
탄소 배출량 330g/km
승차인원 2명
전장 4,702mm
전폭 1,992mm
전고 1,116mm
공차중량 1,585kg[8]
생산모델 쿠페, 스파이더(아페르타)

3. 특징

파일:2014 라페라리_(1).jpg파일:2014 라페라리_(2).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14 라페라리_(3).jpg파일:2014 라페라리_(4).jpg
파일:2014 라페라리_(5).jpg파일:2014 라페라리_(6).jpg
}}}}}}}}} ||
LaFerrari

페라리 최초의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6.3L V12엔진 + 전기모터인 HY-KERS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 두 개의 모터를 이용, 하나는 차량에 각종 전원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는 추진력에 보탠다. 엔진이 시동이 걸려있거나 브레이킹 시 바닥 부분에 장착된 배터리에 전기를 축적하여 두 개의 모터가 사용하는 방식. 뉴스나 잡지나 '하이브리드'라는 것에 많이 집중을 하고 있는데, 페라리의 최고 성능 차량답게 엔진 또한 무시무시하다. 페라리 FXX의 엔진이 거의 그대로 사용되어 엔진 출력만으로도 최고 출력이 무려 800마력이라는 동급 하이브리드 슈퍼카나 하이퍼카[9] 뺨을 왕복으로 두번 후려칠 정도의 출력이 나온다. 여기에 모터의 출력을 더해 무려 963마력의 출력이 나온다. 맥라렌 P1이나 포르쉐 918 스파이더 처럼 내연기관과 전기모터를 분리하여 주행할 수 없고[10] 항상 결합하여 주행한다.[11]

공차 중량이 초고성능 슈퍼카 중에서도 최고로 낮은 수준인 1,585kg인데, 처음 개발 목표는 1,000kg 이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극한의 경량화를 위하여 차량에 무려 4가지 다른 종류의 탄소섬유가 사용되었다고 한다. 운행가능한 상태에서의 중량은 라페라리 오너들이 연료를 채우고 무게를 재 본 결과 1,500kg을 넘었다. 별로 놀랄 것은 없는게, 당장 옆 동네의 경쟁 모델인 918 스파이더가 1,600kg이 넘는다. P1도 건조 중량이 1,395kg으로 나와있지만 공차 중량은 1,547kg이라고 엄연히 공식제원에 나와있다. 아무래도 대배기량 엔진인데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냉각수와 윤활유가 많이 사용되고, 연료탱크도 90L가 넘어가는 등, 부피가 큰 자동차들이어서 건조 중량과 공차 중량의 차이가 일반적인 차량들보다 큰 것은 사실이다.

차체는 풀 카본 모노코크 방식으로 제작되었는데, 전 세대 모델이라 할 수 있는 엔초 페라리에 비해 비틀림 강성은 27%, 빔 강성은 22% 증가 되었다고 한다.

헤드라이트와 외관적인 측면은 리틀 페라리로 불리는 458 이탈리아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엔초 페라리의 후속답게 버터플라이 도어가 작용되어 있다. 가격은 한화로 14억.

독특하게도 시트의 각도가 조절되지 않는 대신에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가 조절된다고 한다. 그 덕분에 의자를 조절할 공간을 절약해 추가적인 경량화를, 차체 높이 그리고 무게 중심을 낮춰 더욱 극한의 코너링을 추구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뿐만 아니라 F40부터 엔초 페라리까지 사용한 닭다리 창문에서 드디어 파워 윈도우로 바뀌는등의 편의장비도 확실히 늘어났다.

페라리 측에서는 499대만 한정 생산한다고 발표했는데, 라페라리가 발표되기 이전부터 전세계에서 구입 희망자가 1,000명을 훌쩍 넘었다. 구매를 위해선 보유한 페라리가 최소 5대는 있어야 하지만 499대밖에 없는지라 실질적으로 20대 이상 보유한 구매 희망자들에게 판매되었다고 한다. 이런 한정판 슈퍼카는 필연적으로 엄청난 중고 가격 상승이 있을 수밖에 없는데, 얼마전에 200km 남짓한 라페라리 중고가 57억에 팔렸다고 한다.

원래 499대만 만들어질 예정이었지만, 당시 페라리 CEO였던 세르지오 마르치오네가 8월 31일 이탈리아 마라넬로[12]에서 열린 독일-이탈리아 간 양자회담에서 1대를 더 만든다고 밝히며 라페라리는 총 500대로 늘어났다. 이는 2016년 이탈리아 중부 지진 피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1대 더 만들어진 라페라리는 경매에서 판매되며 수익금은 모두 지진 피해자들을 위해 쓰인다고 한다. 페라리 공식 보도자료 관련 기사 [13]

2020년 기준 원화로 약 16억 8천만원이다.

4. 파생 모델

4.1. 라페라리 아페르타

파일:DA9E9D7A-A223-405B-BE86-7710B24FE9B2.jpg
페라리 창립 70주년 기념모델로 오픈카 버전인 라페라리 아페르타가 출시되었다. 가격은 한화로 무려 약 46억. 마찬가지로 한정판이고 209대가 생산되었으며 200대는 판매되었고, 나머지 9대는 페라리가 소유하고 있다. 그리고 빈곤 아동을 돕는 경매에 참가 하기 위해 1대를 추가로 생산하였으며 이 210번째 라페라리 아페르타는 무려 한화로 약 113억원에 낙찰되었다. 이는 21세기에 생산된 자동차 중 최고가 신기록이라고 한다.

5. 기타

6. 한국에서

대한민국에는 6~7대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019년 국토교통부의 리콜 발표에 의하면 2014년식 2대, 2015년식 1대의 쿠페가 올라가 있고(아페르타는 2016년부터 생산했다.), 온라인에 풀린 아페르타 모델이 3대 있다.# 쿠페(노란색, 하얀색) 2대, 아페르타(검은색, 빨간색[21][22] 2대. 다른 쿠페 2대는 미상.[23]

슈퍼카 수집 취미가 있는 축구선수 손흥민이 가진 5 대의 슈퍼카 (합계 24억원 상당) 중에 제일 손꼽는 것이 라페라리라고 알려졌지만 한 외국인 기자가 페라리 458[24]을 보고 잘못 보도 한 거라고 한다.

7. 경쟁 차량

8. 미디어

9. 후속 차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페라리 F80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페라리 F80#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페라리 F80#|]]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둘러보기

파일:페라리 로고.svg
페라리
한정 생산 차량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분류 생산 차량 단종 차량
한정 생산 차량
<colbgcolor=#D40000> V12 GT - 599 GTO · F12tdf · 812 컴페티치오네
아이코나 데이토나 SP3 몬자 SP1 · 몬자 SP2
슈퍼카 F80 250 GTO · GTO · F40 · F50 · 엔초 페라리 · 라페라리
코르세 클리엔티
스포츠 프로토티피 클리엔티 499P 모디피카타 -
XX 프로그램 SF90 XX 스트라달레 FXX · 599XX · FXX-K
챌린지 296 챌린지 348 챌린지 · 페라리 F355 챌린지 · 360 모데나 챌린지 ·
F430 챌린지 · 458 챌린지 · 488 챌린지
클럽 컴페티치오니 GT - 488 GT 모디피카타
페라리의 양산 차량
}}}}}}}}} ||


[1] 이탈리아어에서 La는 정관사이기 때문에 영어로 해석하면 The Ferrari가 된다.[2] F12berlinetta처럼 띄어쓰기 없이 붙여서 LaFerrari다.[3] 라페라리는 2011년에 처음 개발이 시작되었는데, 당시 이탈리아 통일 150주년을 나타내었기에 정해진 이름이다. 해당 연도 시즌의 F1 차 이름도 페라리 150º 이탈리아였다.[4] 일반적으로는 소유자의 이름이 새겨진다.[5] 엔진 800마력, 모터 163마력.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는 한 HY-KERS 시스템이 상시 작동하므로 그냥 최고출력이 963마력이라고 생각하면 된다.[6] 공식 기록은 아니지만 한 영상에서 372km/h라는 경이로운 속도를 찍었다.#[7] 참고로 맥라렌 P1은 제조사 공식 기록은 없고, 포르쉐 918 스파이더는 20초이다.[8] 1,585kg이라 표시된 자료도 있고 1,255kg이라 표시된 자료도 있다. 다만 1,255kg은 6.3L V12 엔진+전기모터가 들어간 거 치고는 비현실적으로 가벼운 무게이고 오너들이 직접 잰 실측무게가 1,500kg이 넘어간 것이 확인된 이후 1,585kg이 정설로 굳어졌다. 당장 비슷한 구성을 가진 코닉세그 레제라도 공차중량이 1,420kg이다.[9] 무식하게 부스트업 한 코닉세그나 무려 8,000cc급의 부가티 제외 무식하다니 그냥 출력이 정말 미친거다..!![10] 따라서 P1이나 918의 EV모드 처럼 전기모터만 사용해 주행할 수 없다. 다만 전기모터만으로 움직이는 주차모드는 존재하는데 기어 1단에서 5~6Km/h로 속도가 제한된다. 이는, 맥라렌 P1에 비해 140kg 가량 가벼운 중량을 볼 때, 배터리 용량을 될 수 있는 대로 제한한 결과로 보인다.[11] 조작형태만 보면 2013년까지의 포뮬러 1KERS보다는 2014년부터의 ERS의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충전 즉시 추진력을 보태고 따로 작동버튼을 누르지 않기 때문. 물론 ERS처럼 배기가스의 운동 에너지까지 회수하는 물건은 아니다.[12] 이 도시는 페라리 본사와 공장이 있는 곳이다[13] 전작인 엔초 페라리도 예정보다 1대 더 만들어져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에게 기증되었고, 교황청은 이를 경매에 부쳐 남아시아 대지진 피해자들을 위해 수익금을 전액 기부했다.[14] 라페라리는 극한의 경량화와 코너링 성능을 추구했으며, 부가티 베이론 16.4는 최고속도와 안정적인 탑승감을 추구한 차이다.[15] 추가적으로 라페라리와 비교를 하지 못하게 맥라렌 P1도 차 문을 잠그고 몰래 랩타임을 재는 일이 없게 경비원을 고용해 놓은 것. 자세한 뒷이야기는 이 곳을 참조.[16] 이 말에서 비판 여론 상당수가 보수적 관점이라는 것을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다. 이런 반응은 전작 엔초 페라리에서도 비슷한 평가를 받은 바 있다.[17] FXX-K가 라페라리를 베이스로 만들었지만 라페라리보다 19cm나 길다.[18] 다만, 최근에 정말로 빨간색 라페라리를 구입한 듯 하다. 구입을 위해 지인의 차량을 빌려다 시승한듯.[19] 정확히는 "La Ferra" 라고 칭하지만, 이는 라임을 맞추기 위함이며, 애초에 가사의 맥락상 빠르고 소유할 수 있으며 탈 수 있는 것을 지칭하기 때문에 이 차 말고 다른 것을 칭하는 것일 리 없다.[20] 같은 회사의 FXX-K도 삭제되었다.[21] 해당 차주는 디보, 시론 퓨어 스포트, 세나 LM, SLR 두 대 또한 소유하고 있다.[22] 해당 차주가 소유하고 있던 아페르타 2대 중 블랙 휠 사양은 차주가 불미스러운 사건에 연루되기 이전에 해외로 수출되었다.[23] 둘다 빨간 라페라리라고 한다. 한대는 2020년쯤 수입되었다 한다.[24] 파일:페라리 라페라리 손흥민.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