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뮬러 스튜던트 Formula Student FS | ||
<nopad> 파일:TU_GRAZ_Racing.jpg | ||
▲ TU GRAZ RACING |
1. 개요
전 세계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열리는 포뮬러 대회로, 대학생들이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여 겨루는 경기이다.2. 상세
앞서 말했듯 대학생들이 학교와 동아리의 이름을 걸고 팀으로 참가해 차량의 기술력과 내구성을 입증하는 대회이다. 규정상 대학생들이 설계 및 제작, 드라이빙까지 소화해야하며 자율주행 경기의 경우 로직또한 대학생이 제작해야한다. 차량의 형상은 모든 휠이 돌출된 포뮬러 형태의 차량으로 제작되어야 한다.내연기관(CV/IC/ICV/C-Formula) | 전기기관(EV/E-Formula) |
3. 주요 대회
3.1. 포뮬러 스튜던트 코리아(FSK)
홈페이지대한민국, KSAE(한국 자동차 공학회)에서 진행되는 포뮬러 스튜던트 대회로, 내연기관인 C-Formula와 전기기관인 E-Formula로 분류된다.[1] 대회 장소는 2024년부터 영광에 위치한 e-모빌리티 센터에서 진행된다. C-Formula의 경우 300cc 배기량을 기준으로 300cc 초과급인 A-포뮬러와 300cc 이하급인 B-포뮬러로 나뉜다.
3.2. 포뮬러 SAE 미시간(FSAE Michigan)
홈페이지미국, SAE International(국제 자동차 공학회)에서 진행하는 포뮬러 스튜던트 대회로 1981년 개최되었다. 내연기관인 IC와 전기기관인 EV로 나뉘며, 대회장소는 미시간에 위치한 미시간 인터내셔널 스피드웨이 나스카 트랙에서 진행된다.
3.3. 포뮬러 스튜던트 저머니(FSG)
홈페이지독일, VDI(독일 엔지니어 협회)의 후원으로 진행되는 경기이다. 내연기관인 CV와 전기기관인 EV로 나뉘며, 대회는 호켄하임링에서 개최된다.
3.4. 포뮬러 스튜던트 스페인(FSS)
홈페이지스페인에서 진행되는 경기이다. 내연기관인 Combution과 전기기관인 Electric로 나뉘며, 대회는 바르셀로나-카탈루냐 서킷에서 개최된다.
3.5. 포뮬러 SAE 오스트레일리아(FSAE-A)
홈페이지오스트레일리에서 진행되는 경기이다. 내연기관인 ICV과 전기기관인 EV로 나뉘며, 대회는 레드불링에서 진행된다.
4. 주요 규정
- 엔진은 710cc 이하로 규정한다
- 스로틀바디는 하나로 작동해야하며 클래스에 따라 흡기 제한장치를 장착해야한다.[2]
- EV차량의 경우 600VDC 이하로 규정되며 모터의 출력은 80kw로 제한된다.[3]
- 휠은 앞뒤 각각 2개, 총 4개가 장착되어야한다.
- 포뮬러 형태의 오픈휠 레이스 카 형상이어야 한다.
4.1. 엔진의 경우
앞서 서술하였듯 고배기량 4기통같은 엔진은 출력의 감소폭이 엄청나다. 예를들어 혼다 CBR 600RR엔진을 사용하는 경우, 순정출력이 119마력인데에 비해 리스트럭터(흡기 제한장치)와 단일 스로틀바디를 장착한 경우 실제 출력은 약 70마력 전후이다.[4] 해외사례의 경우 글래스고 대학교 팀의 경우 CBR600RR 엔진에 커스텀 캠샤프트를 장착해 80마력정도의 출력을 만들었다.참고주로 사용되는 엔진은 다음과 같다.
- 혼다 - CBR 250R / CBR 300R / CRF450R / CBR 650R / CBR 600RR: B-포뮬러와 A-포뮬러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600RR의 경우 4기통을 사용하는 팀의 대부분이 이 엔진을 사용한다.[5][6]
- 야마하 모터 - YZF-R6 · FZ6N / MT-07: 몇몇팀에서 사용하며 대표적으로 한양대 에리카 baqu4 팀에서 R6 엔진을 사용한다.[7] 영남대 YUSAE 팀에서는 MT-07엔진을 사용해 좋은 성적을 내고있다.
- 가와사키 중공업 - ZX-6R: 몇몇팀에서 사용된다.
- 스즈키 - GSX-R600: 몇몇팀에서 사용된다. 무난한 4기통임이 특징이다.
- KTM - KTM 듀크 시리즈 / 슈퍼모토: 390, 525, 450, 690 등의 엔진을 사용하며 단기통 빅싱글[8]이므로 출력의 감소폭이 제일 작다.[9][10]
그외 특수 제작 엔진 혹은 FSK B-포뮬러
- 로탁스: 주문제작으로 사용하는 팀들이 있으나 평은 그럭저럭이다.
- 메르세데스-AMG - FS133: 595cc 직렬 2기통에 터보차저가 결합되어 100마력의 출력을 내는 엔진이다.[11]
- 대림 - VJF250: 국내 B-포뮬러에서 대부분의 팀들이 사용한다. 연료펌프등의 부품목적으로도 많이 쓰인다.
- 효성 - 아퀼라 300: B-포뮬러의 배기량 규정이 300cc임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아퀼라 300의 경우 이 급에서 보기 힘든 2기통 엔진이다.
4.2. 모터의 경우
모터를 사용한 E-포뮬러 차량의 경우 초반부터 강한 토크감, 출력을 막기위해 달리는 부품등의 부재로 인해 최근 경기에서 많이 보이는 추세이다. 내연기관이 달린 A-포뮬러의 경우 보통 70마력 남짓한 츨력을 보이지만 전기기관을 사용한 A-포뮬러의 경우 80kw, 약 107마력(!)의 출력을 보인다. B-포뮬러의 경우에도 내연기관은 30마력 남짓이지만 전기기관은 약 54마력의 출력을 보인다.[12][13]주로 사용되는 모터는 다음과 같다.
- 엠랙스 - EMRAX 188 / EMRAX 208 / EMRAX 228: 기본적으로 E포뮬러에서 A클래스는 이 모터가 대부분이다. 숫자가 커질수록 출력이 강해지며 228의 경우 최대 128kw(약 166마력)의 출력을 보여준다. 228의 경우는 전압을 낮추어 80kw규정에 맞추어 사용하는 편이며 188의 경우도 전압 디튠으로 B클래스에 참여하기도 한다.
- 모트에너지 - ME1302 / ME1616: B클래스에 참여하는 차량들의 기본 소양이 되는 모터이다.
그외 특수한 경우 혹은 영광 e-모빌리티
- AMK - AMK DD시리즈: 원래는 서보모터 용도로 개발되었으나 토크가 높은 모터라는 이유로 차량에 사용하기도 한다.[14]
- 골든모터 - BLDC 5kw / BLDC 10kw: e-모빌리티 대회에서 사용되는 모터로 싱글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10kw, 듀얼모터를 사용하는경우 5kw 모터 2대를 선택한다.
5. 2025 KSAE FSK 참가팀
2025 포뮬러 스튜던트 코리아 참가 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5 시즌 | |||||||
No. | 대학교 | 캠퍼스 구분 | 지역 | 팀명 | ||||
1 | 국민대학교 | 본교 | 서울특별시 | KOOKMIN RACING KEF-25 | ||||
2 | 영남대학교 | 본교 | 경상북도 | YUSAE | ||||
3 | 홍익대학교 | 본교 | 서울특별시 | LIGHT ON | ||||
4 | 금오공과대학교 | 본교 | 경상북도 | Auto-Mania | ||||
5 | 영남대학교 | 본교 | 경상북도 | 천마DM | ||||
6 | 강릉원주대학교 | 캠퍼스 | 강원도 | GHOST | ||||
7 | 단국대학교 | 본교 | 경기도 | Run2X | ||||
8 | 한양대학교 | 캠퍼스 | 경기도 | 바쿠넷 | ||||
10 | 한국공학대학교 | 본교 | 경기도 | TEAM NSSUR | ||||
11 | 한양대학교 | 캠퍼스 | 경기도 | baqu4 | ||||
12 | 호서대학교 | 본교 | 충청남도 | CHALLENGER | ||||
13 | 국민대학교 | 본교 | 서울특별시 | KOOKMIN RACING F-25 | ||||
14 | 경희대학교 | 본교 | 경기도 | KHARS | ||||
15 | 한국교통대학교 | 본교 | 충청북도 | Challenger | ||||
16 | 건국대학교 | 본교 | 서울특별시 | Team K.A.I. | ||||
17 | 공주대학교 | 캠퍼스 | 충청남도 | KUMA | ||||
18 | 충남대학교 | 본교 | 대전광역시 | WHEEL-4 | ||||
19 | 한밭대학교 | 본교 | 대전광역시 | Team Miracle - B | ||||
20 | 한국과학기술원 | 본교 | 대전광역시 | 질주 | ||||
21 | 한밭대학교 | 본교 | 대전광역시 | TeamMiracle-A | ||||
22 | 홍익대학교 | 본교 | 서울특별시 | LIGHT ON sl | ||||
23 | 아주대학교 | 본교 | 경기도 | A-FA | ||||
24 | 한국과학기술원 | 본교 | 대전광역시 | kz24 | ||||
25 | 동국대학교 | 본교 | 서울특별시 | Team KART | ||||
26 | 전북대학교 | 본교 | 전라북도 | MEKA | ||||
27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본교 | 서울특별시 | MIP-EF | ||||
28 | 인천대학교 | 본교 | 인천광역시 | INU Racing | ||||
29 | 홍익대학교 | 캠퍼스 | 세종특별자치시 | GARAGE | ||||
30 | 명지대학교 | 본교 | 경기도 | T.N.T | ||||
31 | 전북대학교 | 본교 | 전라북도 | JUST | ||||
32 | 한양대학교 | 캠퍼스 | 경기도 | FOURTOR | ||||
33 | 고려대학교 | 본교 | 서울특별시 | 어울수레 | ||||
35 | 동아대학교 | 본교 | 부산광역시 | 동아자동차연구회 DASC | ||||
36 | 부경대학교 | 본교 | 부산광역시 | TeamDOS | ||||
37 | 순천향대학교 | 본교 | 충청남도 | 무한질주 | ||||
38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본교 | 충청남도 | 자.연.인 | ||||
39 | 계명대학교 | 본교 | 대구광역시 | SPEEDING | ||||
40 | 경상국립대학교 | 본교 | 경상남도 | Car-tech | ||||
41 | 강원대학교 | 본교 | 강원도 | 아우토반 | ||||
42 | 중앙대학교 | 본교 | 서울특별시 | NstopO | ||||
43 | 경기대학교 | 본교 | 경기도 | KURC-F | ||||
44 | 부산대학교 | 본교 | 부산광역시 | Auto_Lab_C | ||||
45 | 원광대학교 | 본교 | 전라북도 | 메카니즘 | ||||
46 | 부산대학교 | 본교 | 부산광역시 | Auto_Lab_E | ||||
47 | 부산대학교 | 본교 | 부산광역시 | PARA | ||||
48 | 창원대학교 | 본교 | 경상남도 | SKID | ||||
50 | 숭실대학교 | 본교 | 서울특별시 | SSARA | ||||
52 | 영남이공대학교 | 본교 | 대구광역시 | CR&DE | ||||
53 | 충북대학교 | 본교 | 충청북도 | TACHYON | ||||
55 | 한양대학교 / 한양사이버대학교 | 연합팀(타 대학간) | 경기도 / 온라인 | Turbo RACE |
2025 영광 e-모빌리티 참가 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5 시즌 | |||||||
No. | 대학교 | 캠퍼스 구분 | 지역 | 팀명 | ||||
1 | 전남대학교 | 본교 | 광주광역시 | SEM | ||||
2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본교 | 서울특별시 | MIP-EV | ||||
4 | 호남대학교 | 본교 | 광주광역시 | ASPHALT | ||||
5 | 가천대학교 | 본교 | 경기도 | Team_SCUD | ||||
6 | 강원대학교 | 본교 | 강원도 | RPM | ||||
7 | 건국대학교 | 본교 | 서울특별시 | Team K.A.I. (EV) | ||||
8 | 경남대학교 | 본교 | 경상남도 | KUmotor | ||||
9 | 경북대학교 | 본교 | 대구광역시 | 천차많별 | ||||
10 | 경상국립대학교 | 본교 | 경상남도 | CAR-TECH | ||||
11 | 경성대학교 | 본교 | 부산광역시 | TEAM.MAJOR | ||||
12 | 계명대학교 | 본교 | 대구광역시 | LOOKEE | ||||
13 | 대림대학교 | 본교 | 경기도 | D-Racing | ||||
14 | 동명대학교 | 본교 | 부산광역시 | Team.S.E.C | ||||
15 | 동의대학교 | 본교 | 부산광역시 | DECA | ||||
16 | 두원공과대학교 | 본교 | 경기도 | T21E | ||||
17 | 부산대학교 | 본교 | 부산광역시 | PARA | ||||
18 | 부산대학교 | 본교 | 부산광역시 | PARA-LEMUS | ||||
19 | 서영대학교 | 본교 | 광주광역시 | Tuning-X | ||||
20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본교 | 서울특별시 | MDS | ||||
21 | 서울시립대학교 | 본교 | 서울특별시 | FULL ACCEL | ||||
22 | 선문대학교 | 본교 | 충청남도 | G90(지구를 구하는 공대생들) | ||||
23 | 성균관대학교 | 본교 | 경기도 | HEVEN | ||||
24 | 세종대학교 | 본교 | 서울특별시 | AUTORY | ||||
25 | 숭실대학교 | 본교 | 서울특별시 | SSARA_EV | ||||
26 | 아주자동차대학교 | 본교 | 경기도 | RacingCraft | ||||
27 | 아주자동차대학교 | 본교 | 경기도 | RacingArt | ||||
28 | 영남대학교 | 본교 | 경상북도 | AURA | ||||
29 | 영남대학교 | 본교 | 경상북도 | MYEVE | ||||
30 | 울산과학기술원 | 본교 | 울산광역시 | UNIMOTORS | ||||
31 | 원광대학교 | 본교 | 전라북도 | MECHANISM | ||||
32 | 이화여자대학교 | 본교 | 서울특별시 | E-RACER | ||||
33 | 인천대학교 | 본교 | 인천광역시 | NoBrake1 | ||||
34 | 인천대학교 | 본교 | 인천광역시 | NoBrake2 | ||||
35 | 인하대학교 | 본교 | 인천광역시 | GGOOL CHA | ||||
36 | 인하대학교 | 본교 | 인천광역시 | I.C.C. | ||||
37 | 전북대학교 | 본교 | 전라북도 | MEKA | ||||
38 | 전북대학교 | 본교 | 전라북도 | A.R.T | ||||
39 | 조선대학교 | 본교 | 광주광역시 | CU_Racing | ||||
40 | 중앙대학교 | 본교 | 서울특별시 | COC | ||||
41 | 창원대학교 | 본교 | 경상남도 | 횡운차AK | ||||
42 | 충북대학교 | 본교 | 충청북도 | VELOZ | ||||
43 | 충북대학교 | 본교 | 충청북도 | TACHYON | ||||
44 | 한경국립대학교 | 본교 | 경기도 | SV대학생자동차연구회 for EV | ||||
45 | 한경국립대학교 | 본교 | 경기도 | Team-Apollo | ||||
46 | 한국교통대학교 | 본교 | 충청북도 | M.A.D | ||||
47 | 한국교통대학교 | 본교 | 충청북도 | KNUT_EV | ||||
48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본교 | 충청남도 | Volts | ||||
49 | 한국폴리텍대학교 / 연세대학교 | 연합팀(타 대학간) | 경기도 / 서울특별시 | ZERO100 | ||||
50 | 한국항공대학교 | 본교 | 경기도 | KAUVOY | ||||
51 | 한국해양대학교 | 본교 | 부산광역시 | Haesla | ||||
52 | 한남대학교 | 본교 | 대전광역시 | Team_Dynamics_10th | ||||
53 | 한남대학교 | 본교 | 대전광역시 | Team_Dynamics_11th | ||||
54 | 한동대학교 | 본교 | 경상북도 | AMG | ||||
55 | 한양사이버대학교 | 본교 | 온라인 | 망치모터스 | ||||
56 | 한양사이버대학교 | 본교 | 온라인 | 망치모터스2 |
}}}}}}}}} ||
[1] E-Formula의 하위 버전인 스마트 e-모빌리티 경진대회도 있다.[2] 고배기량, 다기통 엔진일수록 출력 감소폭이 크다.[3] KSAE의 스마트 e-모빌리티의 경우 58V 10kw로 제한한다.[4] 대략 출력 감소폭이 35~45%이다.[5] 부품수급도 쉽다.[6] 650R은 부경대에서 사용한다.[7] 높은 레드존으로 V10시절 F1을 연상시킨다. 귀곡성[8] 소위 말하는 오랑캐산 불빠따[9] 690 엔진의 경우 흡기 제한장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50마력 중반대는 나오며 세미 드라이섬프 방식의 오일팬을 가지고있다.[10] 출력감소폭은 20~25% 정도이며 600RR 엔진대비 약 35% 가볍기까지 하다.[11] 요하네움 레이싱 그라츠 팀과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 KA-레이싱팀을 비롯해 사용했다.[12] 하지만 우천상황에 약하다. 엔진의 경우 기본적으로 방수이지만 전기기관 차량은 규정으로 수분감지센서가 강제되며, 수분감지센서에 수분이 감지되면 차가 죽어버린다.[13] 2025 FSK 경기의 내구레이스를 보면 이 경우로 리타이어하는 차량이 가끔 보인다.#[14] 2025년 기준 한양대 바쿠넷 E-포뮬러가 이 모터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