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7 != null
, [[]]1. 개요
1901년부터 1932년까지 생산된 탱크식 증기 기관차이다. 어원은 북아메리카의 대평원 지대인 프레리(Prairie)에서 따왔다.총 279대의 차량들이 있었고 분단 당시 남한으로 169대. 북한으로 110대가 갔다고 한다.
2. 도입
경부철도주식회사가 경부선 철도의 급구배 및 급곡선 구간에 대응하기 위하여 미국 볼드윈(Baldwin)사로부터 18량을 처음으로 도입하였으며 그 이후엔 국철과 사철에도 널리 운행되었다.초기에는 경부선과 경인선에 주로 투입되었으나, 이후 경인선등 비교적 단거리 구간에 널리 투입되었다.
3. 사양
3.1. 푸러 1형(Purei)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총독부 철도국 푸러1형 증기기관차 Chosen Goverment Railway Purei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여객, 화물용 증기기관차 | ||
| 도입량 | 70량 -> 24량[감차] | ||
| 차륜배치 | 2-6-2 | ||
| 도입시기 | 1901년, 1906년 | ||
| 제작사 | 볼드윈 | ||
| 차량 제원 | |||
| 전장 | 10,205㎜ | ||
| 전폭 | 2,800㎜ | ||
| 전고 | 3,860㎜ | ||
| 궤간 | 1,435㎜ | ||
| 중량 | 기관차: 52.00t | ||
| 최고 속도 | 75㎞/h |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
형식도
| |||
3.2. 푸러 2형(Pureni)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총독부 철도국 푸러 2형 증기기관차 Chosen Goverment Railway Pureni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 도입량 | 10대 | ||
| 차륜배치 | 2-6-2T | ||
| 도입시기 | 1905년, 1935년 | ||
| 제작사 | Brooks, 니혼샤료 | ||
| 차량 제원 | |||
| 전장 | 10,446㎜ | ||
| 전폭 | 2,730㎜ | ||
| 전고 | 3,695㎜ | ||
| 중량 | 53,78t | ||
형식도
| |||
차호 개정 이전 276호는 모종의 이유로 폐차되어, 1935년에 니혼샤료에서 신 276호를 제작했다.
276호는 현재 기준 푸러 2형 6호이며 실 도입량은 9대이다.
271-279호 -> 푸러 2형 1호-9호
3.3. 푸러 3형(Puresa)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총독부 철도국 푸러3형 증기기관차 Chosen Goverment Railway Puresa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여객, 화물용 증기기관차 | ||
| 도입량 | 14대 | ||
| 차륜배치 | 2-6-2T | ||
| 도입시기 | 1912년 | ||
| 제작사 | Hohenzollern(호엔촐레른)[2] | ||
| 차량 제원 | |||
| 전장 | 10,338㎜ | ||
| 전폭 | 3,000㎜ | ||
| 전고 | 3,880㎜ | ||
| 궤간 | 1,435㎜ | ||
| 중량 | 기관차: 52.00t | ||
| 최고 속도 | 75㎞/h |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
형식도
| |||
1912년에 도입된 차량으로 독일 Hohenzollern(호엔촐레른)사에서 제작하여 부산의 초량공작창에서 조립되었다.
3.4. 푸러 4형(Pureshi)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총독부 철도국 푸러4형 증기기관차 Chosen Goverment Railway Pureshi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불명 | ||
| 도입량 | 46량 | ||
| 차륜배치 | 2-6-2T | ||
| 제작사 | 경성공작창 | ||
| 차량 제원 | |||
| 전장 | 10,222㎜ | ||
| 전폭 | 2,946㎜ | ||
| 전고 | 4,470㎜ | ||
| 궤간 | 1,435㎜ | ||
| 중량 | 기관차: 54.00t | ||
| 최고 속도 | 75㎞/h |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
형식도
| |||
푸러 1형을 국내 사정에 맞도록 개조한 차량이며, 1925년부터 1920년대 후반까지 경성공장(현재의 용산 철도기지창)에서 개조 공사를 수행하였는데, 주요 개조사항은 다음과 같으며 이로 인해 외관과 성능이 변경되었다.
- 열량이 부족한 국내산 갈탄을 사용하기 위해 화상(火床) 면적을 넓혔다.
- 보일러의 효율 향상을 위해서 보일러 외장을 타원형으로 개조하여, 보일러의 연관 용적을 늘렸다.
- 전열 면적의 증가를 꾀하였다.
- 선로 연변 화재 방지를 위한 불똥비산방지장치를 설치하였다.
- 화격자(Stoker)의 간격을 확대하였다.
개조를 진행한 차량은 2200번대 차호를 부여받았다.
3.5. 푸러 5형(Pureko)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총독부 철도국 푸러5형 증기기관차 Chosen Goverment Railway Pureko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푸러 5형의 차량 형식도[X]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불명 | ||
| 도입량 | 2량 | ||
| 차륜배치 | 2-6-2T | ||
| 도입시기 | 1911년 | ||
| 제작사 | 볼드윈 | ||
| 차량 제원 | |||
| 전장 | 10,480㎜ | ||
| 전폭 | 3,100㎜ | ||
| 전고 | 4,328㎜ | ||
| 궤간 | 1,435㎜ | ||
| 중량 | 기관차: 58.91t | ||
| 최고속도 | 75㎞/h |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
3.6. 푸러 6형(Purero)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총독부 철도국 푸러6형 증기기관차 Chosen Goverment Railway Purero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푸러 6형의 차량 형식도[X]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불명 | ||
| 도입량 | 2량 | ||
| 차륜배치 | 2-6-2T | ||
| 도입시기 | 1911년 | ||
| 제작사 | 오렌스타인 운트 코펠[5] | ||
| 차량 제원 | |||
| 전장 | 10,846㎜ | ||
| 전폭 | 2,900㎜ | ||
| 전고 | 3,900㎜ | ||
| 궤간 | 1,435㎜ | ||
| 중량 | 기관차: 51.45t | ||
| 최고속도 | 75㎞/h |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
3.7. 푸러 7형(Purena)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총독부 철도국 푸러7형 증기기관차 Sentetsu Purena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객화겸용 증기기관차 | ||
| 도입량 | 93량 | ||
| 차륜배치 | 2-6-2T | ||
| 도입시기 | 1930 ~ 1941년 | ||
| 제작사 | 가와사키 중공업 | ||
| 히타치 제작소 | |||
| 경석공착장 | |||
| 니혼샤료 | |||
푸러 7형은 1938년 차호 개정 당시에 원형(原形) 푸러 7형과, 국(局) 푸러 7형이 통합된 형식명으로, 원형(原形)과 국(局) 푸러형은 제원이 상이하다.
원형(原形)푸러 7형, 국(局) 푸러 7형과 또 다른 형식의 푸러 7형이 존재하였으며 해당 차량들의 차호는 푸러 7형 93호 이후 번호를 사용하였다. [6]
북한에서 조선총독부 철도국 출신 차량은 1700호대로 개번되었고, 푸러 7형과 동종인 남만주철도국 차량은 1300호대, 그 중 일부는 300호대로 개번되었다.
300호대로 개번된 이유는 조선총독부 철도국 출신 푸러 3형 차량이 1300호대로 지정되었기 때문에 차적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서 300호대로 지정된 것으로 추정된다.
3.7.1. 원형(原形) 푸러 7형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총독부 철도국 원형(原形) 푸러7형 증기기관차 Chosen Goverment Railway Original Purena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 | ||
| 도입량 | - | ||
| 차륜배치 | 2-6-2T | ||
| 도입시기 | 1930년, 1931년 | ||
| 제작사 | 경성공작창 | ||
| 가와사키 중공업 | |||
| 차량 제원 | |||
| 전장 | 10,480㎜ | ||
| 전폭 | 3,250㎜ | ||
| 전고 | 4,268㎜ | ||
| 궤간 | 1,435㎜ | ||
| 중량 | 기관차: 65.5t | ||
| 최고속도 | 75㎞/h |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
원형 푸러 7형은 푸러 4형 증기기관차 개조 과정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조선총독부 철도국이 설계한 차량이다.
최초 도입된 8대는 HITACHI와 가와사키 중공업이 각각 4량씩 제작하였다.
이 기관차들은 1936년에 조선총독부 철도국이 인수하였고 차호는 341-348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1938년 차호 개정에서 해당 차량들은 푸러 7형 1호 - 8호를 부여받았고, 국(局) 푸러 7형과 형식이 통합되었다.
3.7.2. 국(局) 푸러 7형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총독부 철도국 국(局) 푸러 7형 증기기관차 Chosen Goverment Railway Bureau Purena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 | ||
| 도입량 | - | ||
| 차륜배치 | 2-6-2T | ||
| 도입시기 | 1931년, 1938년 - 1939년 | ||
| 제작사 | 경성공작창 | ||
| 가와사키 중공업 | |||
| 니혼샤료 | |||
| 차량 제원 | |||
| 전장 | 10,773㎜ | ||
| 전폭 | 3,200㎜ | ||
| 전고 | 4,230㎜ | ||
| 궤간 | 1,435㎜ | ||
| 중량 | 기관차: 67.7t | ||
| 최고속도 | 75㎞/h |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
국(局) 푸러 7형 증기기관차는 기존 원형 푸러 7형에서 과열기가 추가되는 설계 변경을 거친 차량으로 1931년에 첫 6대가 경성공착장에서 제작되었다.
첫 6대의 차호는 321-326호였으며 이후에 푸러 7형 9호 - 14호로 차호 변경되었다.
3.8. 푸러 8형(Pureha)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총독부 철도국 푸러8형 증기기관차 Chosen Goverment Railway Pureha Class Steam Locomotive | }}} | |
| | |||
| 푸러 8형 17호의 현역시절 모습[7] | |||
| 차량 정보 | |||
| 구분 | 텐더식 증기기관차 | ||
| 용도 | - | ||
| 도입량 | 38량 | ||
| 차륜배치 | 2-6-2T | ||
| 도입시기 | 1932 , 1939년 | ||
| 제작사 | 경성공작창 | ||
| 히타치 | |||
| 기샤세이죠 | |||
| 차량 제원 | |||
| 전장 | 10,800㎜ | ||
| 전폭 | 3,010㎜ | ||
| 전고 | 3,940㎜ | ||
| 궤간 | 1,435㎜ | ||
| 중량 | 기관차: 67.70t | ||
| 최고속도 | 90㎞/h | ||
| 밸브장치 | 왈샤트식 | ||
형식도
| |||
한국철도에서 조달한 마지막 푸러형으로, 1932년에 처음 제작되었다.
가장 독창적인 형식이자, 푸러형 기관차 중에서는 가장 발전된 형식으로 한국철도에서 자체 설계하여 경성공작창에서 처음 제작되었다.
그 이후 차량들은 니혼샤료 및 기샤가이샤(汽車會社)에 1939년도에 발주하여 15량이 도입되었다.
도입당시 번호는 350 ~ 360번대
4. 특징
푸러형 증기 기관차는 2개의 전륜(1축), 6개의 동륜(3축), 그리고 2개의 후륜을 공통적으로 갖추고 있다. 한국에서 사용된 푸러형 차량은 전부 탱크식으로, 텐더식 차량은 전무하다. 아울러, 푸러8형을 제외하면 동륜직경은 1370mm이며, 따라서 최고속도 역시 75km/h까지 낼 수 있었다. 푸러형은 특히 한반도의 환경조건에 맞도록 많은 개량과 조정이 따랐으며, 그로 인해 일제강점기 말기를 거쳐, 한국전쟁기까지 그대로 사용될 수 있었다.5. 현재
남한에서는 1967년 증기기관차 퇴역조치 당시에 푸러 8형 17호, 23호를 제외하고 전량 폐차되었다.당시 폐차를 면한 두 차량은 각각 서울, 인천 정비창에서 입환용으로 사용되다, 1982년 퇴역 후 폐차되었다.
푸러 8형 17호의 명판은 철도박물관에 보존돼있다.
북한에서는 2015년 푸러 7형이 운행하는 모습이 포착된 적이 있다. [8]
2015년에 포착된 것은 증기 1319호로 남만주철도에서 사용되던 차량이다. 이후 2019년에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사용하던 차량과 동일한 증기 1718, 1720호의 운행이 포착되었다.
1718호는 푸러 7형 18호에서 개정된 것으로 알려져있다.
증기 1718호는 2015년에 이미 은퇴[9]한 상황이었으나, 이후에 재생을 거쳐 현재는 청진시에서 관광용으로 운행중이다.
1720호는 푸러 7형 20호에서 차호개정된 것으로 추정된다.
[감차] 푸러 1형 차량이 푸러 4형 증기기관차로 개조되며 46량이 감차됨[2] 독일에 존재했던 철도차량 제작사 4륜형과 같은 제작사다[X] 실 차량의 사진은 남아있지않다.[X] [5] 약칭 O&K, 1876년부터 1999년까지 존속했던 철도차량 및 중장비 제조사였다.[6] 사설철도 출신 차량들이 101, 201, 255호 등의 번호를 사용하였다. 거의 차륜배치만 같은 차량들도 푸러 7형에 존재했다.[7] 해당 차량은 1982년 말에 폐차되었으며, 현재 철도박물관에 차호 명판이 보존되어있다.[8] 정확히는 남만주철도에서 쓰던 기관차이나 기종은 동일하다.[9] 일부 부품이 유용된 상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