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08:40:17

공화당(프랑스)

프랑스 공화당에서 넘어옴
파일:프랑스 상원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민의회 로고.svg 프랑스 공화국 의회
원내 구성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상원 교섭단체 구성 ]
파일:프랑스 공화당 상원 교섭단체 로고.png 파일:프랑스 사회당 상원 교섭단체.png 파일:중도연합(프랑스 상원 교섭단체) 2020.png
[[공화당(프랑스)|공화당 그룹
148석
]]
[[사회당(프랑스)|
65석
]]
중도연합2
57석
파일:민주, 진보, 무소속 연합.png 파일:프랑스 공산당 상원 교섭단체 로고(2020).jpg 파일:RDSE(프랑스 상원 교섭단체) 2014년 로고.png
[[르네상스(정당)|
24석
]]
[[프랑스 공산당|
15석
]]
민주사회적 유럽연합5
14석
파일:무소속-공화국과 국토 그룹 로고.png 파일:생태주의 그룹(2022).jpg 무소속 그룹
무소속-공화국과 국토 그룹6
13석
생태주의·연대·국토
12석
어떤 그룹에도 속하지 않은 상원의원들의 행정 회의7
3석
*. 각 교섭단체 소속 의원은 정당과 상관없이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교섭단체에 있는 정당명과 소속의원의 당적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음.
1. 사회당, DVG(범 좌파 진영), MDC(시민 운동)으로 구성된 교섭단체.
2. UDI 중심의 중도 교섭단체.
3. 르네상스 중심의 교섭단체.
4. 공산당 중심의 교섭단체.
5. 급진운동, 사회당, DVG(범 좌파 진영) 등으로 구성된 중도 교섭단체.
6. 범 우파진영, UDI, 급진운동 등으로 구성된 중도우파 교섭단체.
7. 교섭단체에 가입하지 않은 의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국민연합, 재정복!이 여기에 속한다.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하원 교섭단체 구성 ]
여당
[[르네상스 그룹|파일:르네상스 그룹 로고.png
르네상스 그룹1
170석
]]
파일:민주·민주운동·독립 그룹 로고.png
민주 그룹2
51석
파일:수평선 그룹.png
수평선 그룹3
29석
신임과 보완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공화당 그룹.png
공화당 그룹4
42석
[[자유·독립·해외 및 국토|파일:자유·독립·해외 및 국토.png
자유·독립·해외 및 국토D
2석
]]
파일:국민의회 로고 (회색).png
소속 그룹이 없는 의원
1석
}}}
야당
[[국민연합 그룹|파일:국민연합 그룹 로고.png
국민연합 그룹5
88석
]]
[[불복하는 프랑스|파일:불복하는 프랑스 그룹 로고.png
불복하는 프랑스 그룹6,N
74석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Logo_Groupe_socialiste_AN_2023.svg
사회주의자 및 관계자 그룹7,N
31석
파일:생태주의자 그룹.png
생태주의자 그룹8,N
22석
파일:민주·공화 좌파 그룹 로고.svg
민주·공화 좌파 그룹9,N
22석
파일:공화당 그룹.png
공화당 그룹D
18석
파일:자유·독립·해외 및 국토.png
자유·독립·해외 및 국토10
18석
파일:국민의회 로고 (회색).png
소속 그룹이 없는 의원11
4석
}}}
공석
4석
*. 프랑스 정치 특성상 원내 구성이 자주 바뀌는 경우가 많아 갱신이 늦을 수 있음.
*. 각 교섭단체 소속 의원은 정당과 상관없이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교섭단체에 있는 정당명과 소속의원의 당적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음.
N. 신민중생태사회연합 가맹 그룹.
D. 당과는 다른 성향을 띄는 의원.
1. 르네상스 외 9개 정당 참여중.
2. 민주운동 외 2개 정당 참여중.
3. 수평선 외 3개 정당 참여중.
4. 공화당 외 4개 정당 참여중.
5. 국민연합 외 1개 정당 참여중.
6. 불복하는 프랑스 외 3개 정당 참여중.
7. 사회당 외 4개 정당 참여중.
8. 유럽 생태녹색당 외 3개 정당 참여중.
9. 프랑스 공산당 외 6개 정당 참여중.
10. 사회당 외 9개 정당 참여중.
11. 바로선 프랑스와 불복하는 프랑스 외 2개의 정당의 개별 의원들이 이에 해당함.
}}}}}}



파일:프랑스 상원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민의회 로고.svg 프랑스
정당 목록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연립여당
야당
}}}}}}}}} ||

파일:프랑스 공화당 로고.png
Les Républicains | 공화당
<colcolor=#000091,#fff> 영문명 <colbgcolor=#fff,#1f2023>The Republicans
한글 명칭 공화주의자들
공화당
약칭 LR[1]
슬로건 Rassembler. Réconcilier. Rebâtir.
다 함께, 화해, 재건.
창당일 2015년 5월 30일
이전 정당
주소
283 뤼 드 보기라르드, 파리
(제15구역, 공화당 당사)
총재 에리크 시오티 / 4선 (13 ~ 16대)
사무총장 아니 제네바르 / 3선 (14 ~16대)
상원 원내대표 브뤼노 르타이요 / 재선 (9 ~ 10대)
국민의회 원내대표 올리비에 마를레이 / 3선 (14 ~ 16대)
상원
143석 / 378석 (37.8%)
국민의회
58석 / 577석 (10.1%)
유럽의회
6석 / 81석 (7.25%)
시주지사
6석 / 17석 (35.3%)
데파르드망
44석 / 101석 (43.6%)
당색
짙은 남색 (#004078)

파란색 (#000091)
이념 드골주의
자유보수주의
보수주의 (프랑스)
스펙트럼 중도우파 ~ 우익[2]
국제조직


유럽 정당 유럽 인민당
유럽의회 정당
청년조직 젊은 공화당 (Les Jeunes Républicains)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1. 소개2. 역사3. 선거 결과
3.1. 대통령 선거3.2. 국민의회 선거
4. 둘러보기

[clearfix]

1. 소개

프랑스중도우파 보수 정당.

자유 프랑스의 지도자이자 제5공화국 출범의 주역이었던 샤를 드골 전 대통령의 이념을 따르는 드골주의 정당으로, 그가 창당을 주도한 1947년의 프랑스인민연합(RPF)과 1958년 재창당한 신공화국연합(UNR), 1967년 재창당한 공화국민주연합(UDR)이 역사적 기원이다. UDR은 1976년 자크 시라크 대통령 주도 하에 공화국연합(RPR) 창당으로 계승되었으며, 2002년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 주도 하에 대중운동연합(UMP)으로 계승되었고 2015년 현재의 당명으로 변경하며 재창당하였다. 당명을 직역하면 공화주의자들이지만, 한국에서는 국민 정서에 맞게 '당'을 붙여 '공화당'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전형적인 정통 보수 우파 정당으로 유럽 인민당에 가입해 있으며, 국제 정당 연합체인 기독교 민주주의 성향의 중도민주 인터내셔널(CDI)과 보수 우파 성향의 국제민주연합(IDU)에도 가입해 회원 정당으로 활동 중이다.

프랑스 총리를 역임한 알랭 쥐페[3], 에두아르 필리프, 장 카스텍스가 소속되어 있었으나 모두 탈당했다.

2. 역사

자크 시라크1976년 창당한 공화국연합이 연원이다. 그 후신인 대중운동연합이 당명을 변경하면서 2015년 5월 30일 창당하였다. 당명을 바꿀 때 미국 공화당 따라한다는 비난도 있었다

공화국연합 시절 이래로 중도좌파 정당인 사회당(PS)과 함께 프랑스의 양대 정당이었다. 그러나 2017년에 치러진 대선과 총선에서 사회당이 먼저 몰락했고, 공화당 또한 2019년 유럽의회 선거에서 8석을 얻는 데 그치며[4] 참패한 데 이어 2022년 대선에서는 발레리 페크레스 후보가 5위로 낙선하여 사회당과 함께 사이좋게 군소정당 수준이 되어버렸다. 양당의 대선 득표율 합계는 6.5%. 극우 성향의 국민연합이 득세하면서 중도 성향의 유권자들이 앙 마르슈로 집결하는 경향이 계속 강화되고 있어, 당의 존립이 위태로워진 수준.

2022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이후로는 공화당 의원 상당수가 신임보완에 참여하는 등 여당 르네상스(舊 앙 마르슈)와 협력하고 있어, 사실상 범여권으로 분류된다.

크리스티앙 자콥 대표가 2022년 선거 결과에 책임을 지고 물러났으며, 같은 해 열린 전당대회에서 에리크 시오티가 신임 대표로 선출되었다.

2024년 유럽의회 선거에서 7.25%를 득표, 극우정당 국민연합과 집권여당 르네상스 중도연합은 물론 사회당 중심의 좌파연합과 급진좌파정당 불복하는 프랑스에게도 밀린 5위에 그치며 프랑스에 할당된 의석 81석 중 단 6석만 얻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당 안팎에서 정통 우파 정당으로서의 입지가 점점 약화되고 있다는 위기론이 고조되는 중.

유럽의회 선거에서 집권여당이 참패하자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즉각 국민의회의 해산을 선포하며 곧바로 조기 총선 국면에 돌입하게 되었는데, 에리크 시오티 총재가 언론 인터뷰에서 극우정당인 국민연합과 선거 과정에서 연대, 협력할 수 있다고 언급하여 파문이 일었다. 극우 파시즘에 맞서 싸운 샤를 드골 전 대통령의 정신을 계승하는 드골주의 정당이 우파라는 이유로 극우와 손잡을 수가 없다는 비판론이 논란의 핵심. 결국 6월 12일에 긴급 정치국회의 결과는 에리크 시오티 총재를 공화당에서 제명하기로 의결했다. 그런데 에리크 시오티 총재가 절차상 당규위반이라며 법원에 해당 제명조치의 시행을 정지하는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고 14일 파리지방법원이 이 신청을 인용하면서 총재직을 유지하게 되었다. 조기 국민의회 의원 총선거 당일까지 극우파와의 제휴를 놓고 격론이 예상되며, 최악의 경우에는 분당의 가능성까지 우려되는 상황.[5]

3. 선거 결과

3.1. 대통령 선거

연도 선거명 대통령 후보 1차 득표수 (득표율) 2차 득표수 (득표율) 결과
2017 201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프랑수아 피용 7,213,797 (20.01%) 진출 실패 낙선
2022 202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발레리 페크레스 1,658,386 (4.79%) 진출 실패 낙선

3.2. 국민의회 선거

연도 선거명 총 의석 (비율) 결과
2017 2017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112 / 577 (19.41%)
2022 2022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61 / 577 (10.6%)
2024 2024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 577 (.%)

4. 둘러보기

||<-3><tablebgcolor=#002395><tablebordercolor=#002395><tablewidth=100%>
파일:프랑스 국장.svg
프랑스의 이념
Idéologie Française
||
사회주의 급진·자유주의 자유주의 우파
드골주의
프랑스 내셔널리즘

프랑스의 드골주의 정당
파일:charles-de-gaulle-6708350__340.png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8px; word-break: keep-all"
파일:프랑스인민연합 로고.png 파일:프랑스 신공화국연합 로고.png 파일:공화국민주연합.png
프랑스인민연합
1947 ~ 1955
신공화국연합
1958 ~ 1967
공화국민주연합
1967 ~ 1976
파일:프랑스 공화국연합 로고.png 파일:대중운동연합.png 파일:프랑스 공화당 로고.png
공화국연합
1976 ~ 2002
대중운동연합
2002 ~ 2015
공화당
2015 ~ 현재
}}}}}}}}} ||


[1]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소속된 정당 '앙 마르슈!'의 약칭이 LREM이어서 혼동할 수 있으나, LREM이 2022년 당명을 '르네상스(RE)'로 바꾸면서 현재에는 문제되지 않는다.[2] 최근 반이슬람, 내셔널리즘 성향 등이 강조되고 당대표인 에리크 시오티 파벌 한정이지만 그 국민연합과 선거연대를 할 정도로 상당히 우경화되었다. 따라서 중도우파~우익으로 평가받는다. 심지어 프랑스어 위키백과스페인어 위키백과에서는 단순 우익이라고만 적혀 있다.[3] 자크 시라크 대통령 하에서 1995년부터 1997년까지 총리직을 수행했으나 1997년 총선에서 사회당을 위시한 좌파에게 패하며 리오넬 조스팽에게 직을 넘기고 퇴임했다.[4] 녹색당에도 밀리면서 4위를 기록했다.[5] 한편 국민연합의 전직 당대표이자 대통령선거후보였던 '실권자' 마린 르펜 국민의회 원내대표는 에리크 시오티 대표의 연대 가능성 발언에 대해서 "용감한 결정을 지지한다"며 환영의 뜻을 밝혔고, "많은 선거에서 (우리 국민연합을) 패배하게 했던 40년간의 '방역선'이 사라지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