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14:31:13

하시모토 신야

투혼삼총사
무토 케이지 쵸노 마사히로 하시모토 신야
신(新) 투혼삼총사
타나하시 히로시 나카무라 신스케 시바타 카츠요리
레이와(令和) 투혼삼총사
우미노 쇼타 츠지 요타 나리타 렌
파일:1_O40nzXJFBj1lEfU-gDMLjg.jpg
<[ruby(破壊王, ruby=は かいおう)] / King of Destruction>
[ruby(橋本 真也, ruby=はしもと しん や)] / Shinya Hashimoto
파일:하시모토신야.png
NWA 명예의 전당 헌액자
NJPW 명예의 전당 헌액자
<colcolor=#f8d010><colbgcolor=#000> 본명 하시모토 신야
[ruby(橋本 真也, ruby=はしもと しん や)]
출생 1965년 7월 3일

[[일본|]][[틀:국기|]][[틀:국기|]] 기후현 토키시([ruby(土岐市, ruby=と き し)])
사망 2005년 7월 11일 (향년 40세)
요코하마시 미나미구
요코하마시립대학부속 시민종합의료센터
신장 183cm
체중 135kg
가족 관계 장남 하시모토 다이치(1992년생)[1]
학력 츄쿄([ruby(中京, ruby=ちゅうきょう)])상업고교 (졸업)[2]
유형 브롤러 + 스트롱 스타일
시그니쳐 무브 케사기리 찹
각종 킥
한판 업어치기 ([ruby(一本背負, ruby=いっぽん ぜ お)]い)[3]
피셔맨 버스터
DDT, 점핑 DDT
우라(裏) DDT
다이빙 엘보 드롭
십자굳히기 ([ruby(十字固, ruby=じゅうじがた)]め)
피니쉬 무브 수직낙하식 DDT[4]
별명 투혼전승([ruby(闘魂伝承, ruby=とうこんでんしょう)])
파괴왕([ruby(破壊王, ruby=は かいおう)])
테마곡 [ruby(闘魂伝承, ruby=とうこんでんしょう)] (1997)[5]
[ruby(爆勝宣言, ruby=ばくしょうせんげん)] (1989 - 1996, 1998 - 2005.7)[6]
데뷔 1984년 9월 1일 (19세)
도쿄도 네리마구 네리마 남부구장 특설 링[7]
신일본 블러디 파이트 시리즈 9일차
vs 고토 타츠토시[8]
마지막 경기 2004년 8월 31일 (39세, 커리어 20년)
이와테현 모리오카시 이와테현영체육관
ZERO-ONE Determination
vs 오오타니 신지로 & 오오모리 타카오[9]
(w/후지와라 요시아키)

1. 개요2. 경력3. 갑작스러운 사망4. 경기 스타일5. 논란 및 사건사고6. 여담
6.1. 장난의 화신
7. 출연 작품
7.1. 영화
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1_6tn4gFlqPzATF55shLIjXw.jpg
"[ruby(時, ruby=とき)]は[ruby(来, ruby=き)]た!それだけだ。"[10]
(때는 왔다! 그것 뿐이다.)
일본의 전 프로레슬러.

동기 무토 케이지, 쵸노 마사히로와 함께 투혼 삼총사로 신일본에서 인상깊은 활약을 보여줬으나, 믿어왔던 스승 안토니오 이노키와 평생을 몸담아왔던 신일본에게 버림받고 자신이 세운 단체에서도 불명예스럽게 쫓겨난 후, 40세의 젊은 나이에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난 비운의 선수이다.

2. 경력

1965년 7월 3일 스시 장인 아버지 밑에서 태어났다. 하시모토가 어렸을 적 아버지의 스시 가게가 잘 안 되어 아버지가 빚을 지고 도망갔고, 어머니가 이자카야를 경영하며 하시모토를 키웠기 때문에 사실상 조부모 밑에서 자랐다. 유도에서 두각을 보여 유도 특기생으로 고교에 입학했으나 어머니마저 하시모토가 고교 1학년을 마쳤을 때 시절에 뇌일혈로 사망하자 유도를 그만뒀고, 3학년 때 복귀했으나 이미 엘리트의 길과는 멀어져 있었다.

원래 프로레슬링을 좋아하여 안토니오 이노키를 동경하던 하시모토는 결국 은사와 할머니에게 프로레슬러가 되겠다는 결의를 하였고, 유도부의 선생님이 이노키의 후원 회장을 소개해주어 그 후원 회장의 소개로 신일본의 입문 테스트를 응시했고, 합격하면서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입단했다. 투혼삼총사 가운데 한 명으로, 무토 케이지쵸노 마사히로와는 동기다.

무토 케이지가 '천재'로 불리는 프로레슬링 센스를, 쵸노 마사히로가 '검은 카리스마'로 관객들에게 어필했다면 하시모토 신야는 파괴적인 파이팅 스타일로 1990년대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대표적인 프로레슬러로 활동했다. 하지만 하시모토 신야의 스타일이 라이트팬에겐 좀 어필이 안 되었는지, 셋의 매치업은 무토 케이지 vs 쵸노 마사히로 쪽이 더 인기를 끌었다.

1996년 4월 29일에 타카다 노부히코와의 최종전에서 이기고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차지하며 UWF 인터내셔널과의 항쟁에서 신일본 프로레슬링에게 승리를 안겨준다. 1998년 8월 1일엔 G1 클라이막스 8에서 텐류 겐이치로와 정면 승부를 가져 데이브 멜처에게 4.75성을 받는 명경기를 만들어서, 본인 커리어 사상 최고 평점을 받았다.

1997년에 올림픽 은메달리스트인 오가와 나오야가 프로레슬러로 데뷔했을 때 대립한다. 두 사람의 대립은 전형적인 입식타격 vs 유술의 이종격투기 양상으로 흘렀다. 첫 싸움에서 하시모토 신야는 포지션과 거리 조절에 실패해서 입식타격이 서브미션에 밀리는 전형적인 패턴으로 패했고, 리벤지 매치에서는 반대로 유술가의 취약한 가드를 찌른 로우킥 & 미들킥 콤비네이션으로 기권승을 거뒀다.

1999년 1월 4일에 도쿄돔에서 가진 세 번째 시합에서 오가와 나오야가 지금껏 입던 유도복 대신 이종격투기 선수의 복장인 오픈 핑거 글러브와 팬츠, 슈즈 차림으로 나섰다. 그리고 유도를 베이스로 한 지난 시합과는 다른 격투가의 시합을 펼치서 하시모토 신야는 압도당한다. 경기 양상이 과열되면서 양측 세컨드끼리 패싸움이 터지며 시합은 무효로 끝났지만 사실상 하시모토 신야의 패배였다. 백마운트, 사커킥, 스톰핑까지 당하면서 전혀 대응을 못하고 링 밖으로 나가떨어졌다.

오가와 나오야와의 세번째 시합은 시멘트 매치였다. 시합 전에 합을 맞추기 위해 미팅을 가졌으나 오가와 나오야가 불참했고, 시멘트 매치임을 직감한 하시모토 신야는 온몸에 오일을 바르고 경기에 임했다. 하지만 유도를 베이스로 하는 입장에서 유도 올림픽 메달리스트인 오가와 나오야에게 실전에서 이길 수가 없는 싸움이었다. 경기를 보면 오가와 나오야의 펀치와 킥이 프로레슬링 식이 아닌 이종격투기 식으로 들어간다. 이는 안토니오 이노키의 지시라는 설이 정론이며 단순히 이노키의 단독 지시가 아니라 당시 하시모토 신야를 탐탁지 않게 여기던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현장 감독 쵸슈 리키의 묵인 하에 펼쳐졌다는 설도 있다.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사장에 취임한 후지나미 타츠미는 흥행을 위해서, 하시모토 신야를 설득해 복귀시키며 오가와 나오야와의 대전을 잡았다. 네번째 시합도 패배한 하시모토 신야는 2000년 4월 7일에 도쿄돔에서 열린 다섯번째 시합에서 '패하면 은퇴한다'라는 조건까지 걸고 결전에 임했으나 끝내 오가와 나오야에게 패했는데, 시청률이 15%가 나오며 흥행했다. 당시 후지나미 타츠미는 하시모토 신야를 은퇴시킬 생각이 없었지만 TV 아사히의 갑질이 있었다.

이후 복귀를 바라던 어린이팬들이 100만마리 종이학을 접어 보내줬고, 이를 계기로 다시 마음을 다잡고 8월에 프로레슬러로 복귀한다. 이 무렵 일본 프로레슬링계는 미묘한 세대교체 시기를 맞고 있었는데, 자이언트 바바가 사망하면서 사실상 링의 헤게모니는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사천왕이나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투혼삼총사 세대가 쥐어야했다. 그러나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선 안토니오 이노키가 아예 흑막처럼 똬리를 트고 있고, 쵸슈 리키나 텐류 겐이치로 등 바로 윗세대의 저항도 만만치 않았다.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상부층은 전일본 프로레슬링과 교류해야 한다고 판단했지만, 하시모토 신야는 전일본 선수 이탈사건 이후 탄생한 프로레슬링 NOAH와 교류해야 한다고 봤다. 이런 시각 차이 때문에 결국은 그토록 동경했던 안토니오 이노키와 사이가 틀어지고, 하시모토 신야는 11월에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나온다.

2001년 1월에 하시모토 신야는 자신의 단체인 ZERO-ONE을 설립하고, 3월 2일에 첫 흥행을 연다. 제로원의 특징은 사실상의 풀컨택트 타격으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타격기를 소리만 날 정도로 때리고 피폭자가 오버해서 맞아주는 기존의 프로레슬링에 비해 리얼함을 강조한 것이었다. 하지만 K-1 참전 여부를 물어보는 기자에게 그곳에서 자신의 킥은 통하지 않는다고 답하며 프로레슬링과 격투기는 명백히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이노키즘하고는 선을 그었다.

ZERO-ONE 출범 당시 첫 메인 이벤트가 하시모토 신야 & 나가타 유지 vs 미사와 미츠하루 & 아키야마 쥰의 태그 매치였다. 신일본 프로레슬링과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톱스타였던 슈퍼스타와 차세대 슈퍼스타가 한 팀을 이룬,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매치업이었다. 흥행의 보증수표나 다름없는 네 사람이 보여준 기량은 훌륭했고, 단체 대항전의 분위기 속에서 가진 팽팽한 신경전과 자존심 싸움 또한 일품이었다. 이를 계기로 일본 프로레슬링 계에서 단체간 진입 장벽이 낮아져 일본 내 단체들끼리 교류하게 된다.

그리고 이 날 경기장에 오가와 나오야가 모습을 드러낸다. 2002년에 오가와 나오야는 안토니오 이노키와 견해 차이를 보이다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떠났고, 제로원에서 하시모토 신야와 태그팀 OH포를 결성했다. 안토니오 이노키 때문에 프로레슬링에 뛰어든 두 사람이 숙적이 되어 싸우고, 끝내 이노키와 결별하곤 동반자가 되었다는 아이러니한 상황이었다.

설경구가 주연으로 참여한 영화 '역도산'에서 후나키 마사카츠, 무토 케이지와 함께 출연했다. 하시모토 신야는 스모계 밑바닥에서 뼈를 깎는 고생을 하던 역도산이 동경하는 요코즈나인 '아즈마나미' 역을 맡아서, 스모 선수 출신의 프로레슬러 역할을 훌륭히 소화해내며 '파괴왕'이라는 별명답게 화끈한 모습을 선보였다.

그러나 ZERO-ONE은 꾸준히 경영난에 시달렸고, 결국 2004년 11월에 ZERO-ONE 붕괴를 선언하는데 문제는 이 과정에서 하시모토가 공금을 횡령한 사실이 적발된 것이었다. 결국 하시모토의 선언과 달리 ZERO-ONE은 ZERO-ONE MAX로 이름을 바꾸고 계속 존속했으며[11], 불법을 저지른 하시모토만 사장 자리에서 물러나 자숙 겸 고질적인 어깨부상을 치료하고자 긴 재활에 들어갔다.

3. 갑작스러운 사망

그러던 와중 복귀가 머지 않았음이 예상되던 시점이었던 2005년 7월 11일, 갑작스런 뇌출혈로 40세의 나이에 사망하고 말았다.
7/15일 무토 케이지가 즉석에서 연 하시모토 신야 추도 시합
7월 15일 18시에 츠야가 치러졌으나 당일 코라쿠엔 홀에서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참가해야 했던 전일본 소속 선수들은 츠야에 참가할 수 없었다.

그러자 이날 흥행의 메인 이벤트였던 무토 케이지 & 이시모리 타이지 vs 코지마 사토시 & 카즈 하야시 전이 종료된 후, 무토 케이지가 링에서 마이크를 쥐고 갑작스럽게 백스테이지의 사사키 켄스케와 링 위에 같이 있던 코지마 사토시, 그리고 아라시를 불렀다. 그리고 "하시모토, 죽어버렸어. 잠시, 추도 시합하자. 10분."이라고 외치더니, 링 밖의 와다 쿄헤이 레퍼리를 불렀다. 그리고 정말로 즉석에서 하시모토 신야 추도 시합이 시작됐다. 무토가 하시모토의 특기 기술인 케사기리 찹과 삼각조르기를 선보이며 코지마에게 항복을 얻어내며 이 즉석 추도 시합은 마무리됐고, 시합이 끝난 후 무토가 하시모토의 영정을 들고 텐 카운트 공 세레모니를 하며 흥행을 마무리했다.
하시모토 신야의 고별식
7월 16일에 하시모토 신야를 떠나보내는 고별식이 열렸고, 투혼삼총사를 비롯해서 1만 명을 넘는 업계 관계자 및 팬들이 도쿄도 미나토구아오야마 장의소에서 열린 하시모토의 고별식에 참석했다.

무토 케이지, 쵸노 마사히로, 오가와 나오야, 하시모토 사후 ZERO-ONE MAX를 이끌어갈 중책을 맡은 오오타니 신지로의 주도 하에 고별식이 진행되었으며, 유족 대표인 하시모토 신야의 장남, 하시모토 다이치가 모여준 수많은 팬들에게 인사를 나눴다. 하시모토 신야의 죽음을 애도하면서도 고별식을 주도한 무토와 쵸노, 오오타니, 오가와가 모여준 팬들을 위해 입담을 선보이면서 밝은 분위기로 고별식은 마무리되었다. 그렇게 '파괴왕' 하시모토 신야는 세상과의 작별을 마쳤다.

이후 하시모토 다이치가 '파괴왕자'라는 별칭을 가지고 아버지의 뒤를 이어 프로레슬러가 되었으며, 하시모토 신야의 오랜 벗인 쵸노 마사히로와 오오타니 신지로가 육성 책임을 맡고 블로그를 개설하여 팬들에게 육성 과정을 보여줬다.

4. 경기 스타일

호쾌함과 카리스마는 여느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메인 이벤터들에 뒤지지않는 명 프로레슬러였지만, 명성에 걸맞지 않게 접수에서 혹평을 받기도 한다. 타격기를 맞는 것을 두려워하는 게 경기마다 눈에 띄는 수준이었다. 일본 프로레슬링의 타격기 접수는 일단 제대로 맞아주고 약간 텀을 주면서 고통을 참는 듯한 묘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하시모토 신야는 노골적으로 안 아프게 맞으려고(...) 안간힘을 쓰는 듯한 모양새였고, 이후에는 이게 맞은 건지 어떤 건지 전혀 반응이 없었다. 정리하자면 맞는 것을 상당히 두려워했다. 헌데 그러면서 때리는 기술은 매번 무지막지하게 해대서 같은 투혼 삼총사이자 절친인 무토 케이지조차도 그렇게 세게 때리는 놈이 될 줄 몰랐다며 혀를 찰 정도. 커리어 내내 상대선수에게 배려심 없게 기술을 세게 넣어서 동시기 활동했던 동료 레슬러들은 학을 뗐다고 한다. 어느 정도였냐 하면 WWE 내에서 기술 세게 걸고 배려심 없다고 악명이 높은 3인방인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 하드코어 할리 & 버버레이 더들리 이 셋조차도 하시모토가 때리는 거에 비하면 양반으로 보일 정도. 즉 그냥 내가 세게 팰테니 알아서 버티라는 식...그야말로 내로남불이자 이율배반적 행태로 팬들이 생각할 정도. 이런 점이 같은 투혼 삼총사 중에서도 무토나 쵸노에게 밀린 이유일지도 모른다.

5. 논란 및 사건사고

결혼 이후 불륜을 세 번이나 저질렀다. 첫번째 불륜은 장남 하시모토 다이치를 임신했을 때로(1991년), 불륜이 걸렸음에도 아내 카스미(かすみ) 씨에게 부정조차 안 하고 "너보다 이상의 사람에 가깝다"라고 말하는 적반하장을 보여줬다.

장남까지 임신하고 있을 때라 어떻게든 넘어간 이후 차에서 불륜 상대에게 보내려고 한(장남 다이치의 유치원 선생) 연애 편지를 부인이 찾아내는 바람에 두번째 불륜 시도가 걸렸는데, 이 때는 울고 불고 질질 짜서 사죄를 했으나 3일 뒤에 갑자기 "애초에 남의 차를 뒤져서 편지를 찾는 너가 나쁜거잖아!"라고 역정을 내는 패기를 보여줬다.

그리고 세 번째로 불륜이 걸리자 아내도 결국 인내심이 한계에 달했고, 그렇게 둘은 2005년 3월에 이혼했다.

6. 여담

6.1. 장난의 화신

일본 프로레슬링계를 통틀어 독보적인 장난의 화신이여서 장난기에 대한 에피소드가 상당하다. 이 분야에서는 한가닥 하는 수신 선더 라이거와 7년 후배인 '싸우는 철학자' 니시무라 오사무가 가장 큰 공범이었으며, 주 피해자는 순진함의 극치로 유명한 후배 텐잔 히로요시였다.

7. 출연 작품

7.1. 영화

<rowcolor=#fff> 연도 제목 배역 비고 관객수 흥행
2004역도산아즈마나미

8. 둘러보기

파일:신일본 프로레슬링 로고.svg 역대 G1 클라이맥스 우승자
1997 1998 1999
사사키 켄스케 하시모토 신야 나카니시 마나부
파일:신일본 프로레슬링 로고.svg 역대 월드 태그 리그 우승자
1991 1992 1993,1994
후지나미 타츠미 & 빅 밴 베이더 하시모토 신야 & 초슈 리키 하세 히로시 & 무토 케이지
1995 1996 1997
쵸텐
쵸노 마사히로 & 텐잔 히로요시
하시모토 신야 & 스캇 노튼 nWo JAPAN
쵸노 마사히로 & 무토 케이지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
2000년 레슬링 옵저버 명예의 전당 헌액자
파일:NWA 명예의 전당.jpg
2010년 NWA 명예의 전당 헌액자

파일:신일본 프로레슬링 로고.svg
NJPW 그레이트 레슬러
[ 2007 ]
안토니오 이노키
사카구치 세이지
호시노 칸타로
야마모토 코테츠
[ 2009 ]
카이 쇼지
코바야시 쿠니아키
마에다 아키라
블랙 캣
[ 2010 ]
하마구치 애니멀
하시모토 신야
[ 2011 ]
아라카와 돈

파일:프로레스대상 로고.svg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MVP (최우수 선수상)
텐류 겐이치로
(1993)
하시모토 신야
(1994)
무토 케이지
(1995)
파일:프로레스대상 로고.svg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수훈상
후지나미 타츠미
(1988)
하시모토 신야
(1989)
미사와 미츠하루
(1990)
파일:프로레스대상 로고.svg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감투상
타우에 아키라
(1992)
하시모토 신야
(1993)
카와다 토시아키
(1994)
파일:프로레스대상 로고.svg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특별공훈상
후유키 고도
미츠 히라이
(2003)
마츠나가 쿠니마츠
안토니오 이노키
(2005)
칼 곳치
(2007)


[1] 일본의 프로레슬러. 1992년생으로 하시모토와 전처 사이의 1남 2녀 중 첫째이다. 하시모토 신야의 사망 이후 프로레슬러를 지망하여 2011년에 데뷔했으며 카나가와현 기반의 인디단체 대일본 프로레슬링 소속으로 챔피언 전선에서 활약하고 있다.[2] 현 츄쿄고교. 토키시 인근 미즈나미시 소재 학교. 야구, 복싱 명문으로 야구에서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전성기를 이끌고 7개의 우승반지를 낀 3루수 마츠다 노부히로, 소뱅의 외야수였던 키도코로 류마, 니시오 아유마,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주전 2루수 요시카와 나오키, 한신 타이거스의 포수 후지타 켄토, 오릭스 버팔로즈의 겐 켄다이와 챠노 토쿠마사,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아카츠카 켄토 등이 이곳 출신이며, 복싱에서는 세계 4체급 챔피언 '츄쿄의 괴물' 타나카 코우세이, 코우세이의 형이자 2020 도쿄 올림픽 플라이급 동메달리스트 타나카 료메이, 전 WBC 세계 플라이급 챔피언 하타나카 켄토, 2023년 일본 슈퍼 밴텀급 신인왕 무토 료타가 이곳 출신이다. 그 외에 육상 1000m(갱신됨), 2000m 일본 기록 보유자 코바야시 후미카즈도 이곳 출신.[3] '잇뽄제오이'라고 읽는다. 원래는 유도 기술로, 유도 경력이 있는 하시모토가 애용한 기술.[4] 이름은 DDT인데 아무리 봐도 수직낙하식 브레인버스터라고밖에 말할 수 없는 기술이었다. 정작 본인은 "스텝 밟는 게 DDT식이니까 이건 DDT가 맞다!"며 죽는 날까지 DDT라고 고집했다고 한다.[5] 투혼전승. 1997년 잠깐 쓰다가 오가와 나오야와의 리벤지전 때 다시 폭승선언으로 테마를 바꿔버렸기 때문에 하시모토 팬들 사이에서는 '환상의 테마'로 불리고 있다. 이 노래는 하시모토 신야 사망 이후 2011년에 데뷔한 아들 하시모토 다이치가 물려받아 다시 사용하기 시작했다.[6] 폭승선언. 하시모토 신야를 상징하는 테마곡. 잠시 테마곡을 투혼전승으로 바꾼 적도 있었으나 다시 변경하여, 사망 때까지 사용했다.[7] 타가라 5쵸메에 있었다고 하며, 지금은 사라졌다.[8] '미스터 백드롭'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 선수. '북두의 유성' 하세 히로시에게 백드롭을 시전했다가 하세가 심장마비를 일으켜 진짜로 죽다 살아났을 정도의 강렬한 백드롭으로 유명했다. '광견' 오하라 미치요시와의 광견 태그로도 유명했는데, 그에 걸맞은 지랄맞은 술버릇으로도 유명했다.[9] 이 경기 이후 11월 제로원이 붕괴하며 미뤄왔던 오른쪽 어깨 수술을 받고 재활에 들어갔다가 복귀가 예상되던 시점에 급사하여 이 경기가 생전 마지막 경기가 되었다.[10] 하시모토 신야를 대표하는 명언.# 1990년 2월 10일, 안토니오 이노키 & 사카구치 세이지 VS 하시모토 신야 & 쵸노 마사히로의 태그팀 경기 전에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당시 양쪽 대기실이 모두 굉장히 험악한 분위기인 가운데 쵸노가 "똑바로 봐둬라 자식아!! 박살내줄테니까!"라며 과격한 코멘트를 한 직후에 하시모토가 뜬금없이 이런 오글거리며 짧고 굵은 코멘트를 담담하게 질렀고, 옆에서 듣던 쵸노는 그 온도차에 어처구니가 없었는지 웃음이 터졌고, 실제로 웃음을 억지로 참는 듯한 모습이 카메라에 잡혀버렸다. 쵸노는 이후에 "난 안 웃었다!"라면서 해명했지만 슬쩍 "그래도 (선수들이 있는)대기실에서는 폭소가 터지지 않았을까?"하고 간접적으로 이 발언에 웃은 사람이 많았음을 드러냈다.[11] 이후 인디단체로 그럭저럭 운영되었으며, 몇 년 후에는 다시 원래 이름을 되찾기도 했으나 결국 해산했다.[12] 그 어머니마저 하시모토가 고등학교 1학년을 마치자마자 뇌일혈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13] 하시모토가 자신용 배트맨 코스튬을 특별 주문 제작해서 입고서 밖에 돌아다닌다라는 소문이 돌아서 한 잡지에서 인터뷰 때 물어봤는데, 의외로 순순히 인정했다. 하시모토 왈 "약간 꽉 끼었다"라고...[14] 초슈만이 부르는 하시모토의 별명이었다.[15] KENSO와 달리 후쿠다는 꼼꼼한 성격이여서 하시모토가 운전을 맡겼다고 한다.[16] 일본어로 돈카츠의 '카츠'와 이긴다라는 뜻의 '카츠(勝つ)'가 발음이 같다.[17] 본명은 한자는 동일하고 읽는 법만 다른 후유키 히로미치. 일본 프로레슬링 역사상 최고의 악역 중 한명으로 꼽히는 선수. '프로레슬링은 엔터테인먼트다'라는 개념을 실전뽕에 미쳐있던 시절에 일찍이 깨달은 선구자였으며 자도&게도가 그의 제자로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브레인으로 재직하며 성공적인 엔터테인먼트 단체로 신일본을 이끌었다.[18] 시기를 보아 사실상 하시모토가 또 불륜을 했다는 것이 기정 사실이다. 여담으로 이 약혼녀 나카무라 카오루(中村 薫)는 후유키와 재혼(이전 남편은 자살), 하시모토와는 결혼했다면 세번째 결혼인데다가 2016년에 50대 남성에 대한 결혼 사기로 체포되어 프로레슬링 팬들에게 악녀의 이미지를 굳혔다.[19] 만화에서 아들의 이름은 하시모토 마사히로이다.[20] 이것 때문에 이 곡의 작곡가인 스즈키 오사무가 하시모토에게 직접 항의를 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