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4 10:24:12

한국어능력시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문서는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는 공인 시험을 다룹니다. KBS 한국어진흥원이 주관하는 한국어능력시험}}}에 대한 내용은 [[KBS한국어능력시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KBS한국어능력시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KBS한국어능력시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국립국제교육원이 주관하는 한국어능력시험}}}에 대한 내용은 [[TOPIK]]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TOPIK#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TOPIK#|]]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세종학당재단이 주관하는 한국어능력시험}}}에 대한 내용은 [[SKA]]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KA#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KA#|]]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문서는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는 공인 시험을 다룹니다. KBS 한국어진흥원이 주관하는 한국어능력시험: }}}[[KBS한국어능력시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KBS한국어능력시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KBS한국어능력시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국립국제교육원이 주관하는 한국어능력시험: }}}[[TOPIK]]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TOPIK#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TOPIK#|]]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세종학당재단이 주관하는 한국어능력시험: }}}[[SKA]]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KA#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KA#|]]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공인 어학 시험 관련 문서
<bgcolor=#4b8cc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98em"
<colbgcolor=#4682b4><colcolor=#fff> 영어 <colbgcolor=#4b8cc2><colcolor=#fff>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개발 IELTS · PTE · 케임브리지 영어 시험 · 국제법률영어능력인증시험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개발 G-TELP · G-TELP Speaking and Writing Tests · TOEFL · TOEFL Essentials · TOEFL Junior · TOEIC · TOEIC Speaking and Writing Tests · 듀오링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개발 EPTA · TEPS · TEPS Speaking & Writing · i-TEPS · TOSEL · 무역영어 · TESL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개발 실용영어기능검정 · TEAP · GTEC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개발 CET
한국어 원어민 대상 KBS한국어능력시험 · 국어능력인증시험 · 한국실용글쓰기검정
비원어민 대상 TOPIK · EPS-TOPIK · KLAT · KPE · 한글능력검정시험 · SKA
파일:漢_White.svg 한자/검정시험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 한자급수자격시험
중국어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개발 BCT · HSK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개발 TOCF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개발 TSC
일본어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개발 JLPT · BJT · J-TEST · 일본어검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개발 JPT · SJPT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어 Goethe-Zertifikat · TestDaF · DSH · DSD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어 DELF/DALF · TCF · TEF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어 TORFL
DELE
CELA
CAPLE
Celpe-Bras
CELI · CILS
CNaVT (쎄엔아베데)
KER
🌐 다국어 FLEX · SNULT · FLAT · OPI(c) · TELC
관련 문서 유학 · 어학 연수 · 이민 ·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 언어학 · 교육학 · 편입 · 대학원· 해외의 검정고시 · IGCSE · IB · 영어 교육/논쟁 · GED · HISET · SAT · ACT · GRE · EJU · G30 · MCAT · GMAT · LSAT · A레벨 · 유럽 언어 기준 · 영어/학습 조언 · 영문법 · 영숙어 · 이중 언어 · 어학원 · 대학수학능력시험 · 대학입학공통테스트 · 영국식 영어 · 미국식 영어 · 전문대학원 }}}}}}}}}


1. 개요2. 한국어 원어민 대상 시험3. 한국어 비원어민 대상 시험
3.1. TOPIK (한국어능력시험)3.2. EPS-TOPIK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3.3. KLAT3.4. KPE3.5. 한글능력검정시험3.6. SKA (세종한국어평가)

1. 개요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는 공인 시험의 목록이다.

2. 한국어 원어민 대상 시험

2.1. KBS한국어능력시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BS한국어능력시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BS한국어능력시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BS한국어능력시험#|]][[KBS한국어능력시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인을 위한 한국어능력시험으로 특별히 응시 자격에 제한은 없으나, 대한민국 국적 보유자이거나 외국인등록번호 또는 국내거소신고번호를 보유하고 있는 사람만 응시 가능하다. 990점 만점이다.

2.2. 국어능력인증시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어능력인증시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어능력인증시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어능력인증시험#|]][[국어능력인증시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한국실용글쓰기검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실용글쓰기검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실용글쓰기검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실용글쓰기검정#|]][[한국실용글쓰기검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한국어 비원어민 대상 시험

3.1. TOPIK (한국어능력시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OPIK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OPIK#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OPIK#|]][[TOPIK#|]]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국립국제교육원에서 주관한다.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능력시험이다. TOPIKⅠ(1,2급)과 TOPIKⅡ(3~6급)으로 나뉜다. 쓰기(=작문), 읽기, 듣기가 각각 100점 만점이다.

3.2. EPS-TOPIK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한다. 한국에서 외국인 근로자로 일하기 위한 절차 중 하나로 이 시험에서 합격점 이상을 받으면 비자를 받을수 있다. 시험의 난이도는 TOPIK Ⅰ(1,2급)과 비슷하다.
네팔,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미얀마, 방글라데시 등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응시하는 비중이 높다. 이 가운데 고학력자들의 수도 많은데 해당 국가에서는 고학력자라 해도 연줄이나 돈줄이 있지 않은 이상은 월 100만원 이상 벌기 힘든 경우가 많기 대문이다. 그러다보니 막노동이라고 해도 월 200만원을 버는 한국에서 일하는 것이 매력적인 선택인 것이다. 1970~80년대 중동에서 열악한 환경에도 상당한 고임금직이라는 점 때문에 건설노동자일을 한 한국 노동자들을 생각하면 된다. 외국인 노동자 문제 문서 참고.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2024년 외국인력 고용 관련 종합애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 1인당 평균 월급은 263만8000원으로 집계됐다. 기본급은 계속 상승하고 있으나 경기불황으로 잔업량이 줄어 잔업수당이 감소하였기에 평균 월급도 3년째 감소중이다.

3.3. KLA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LAT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LAT#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LAT#|]][[KLAT#|]]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KP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PE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P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PE#|]][[KP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한글능력검정시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글능력검정시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글능력검정시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글능력검정시험#|]][[한글능력검정시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SKA (세종한국어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KA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KA#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KA#|]][[SKA#|]]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세종학당재단에서 주관한다. 세종학당 학습자 및 예비 학습자 등을 대상으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한다. 한국어표준교육과정(국립국어원, 2020)에 준거하여 개발되었으며 말하기,듣기,읽기,쓰기 4개 영역을 모두 평가한다. 각 영역별 200점 만점으로 총 800점 만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