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04:46:12

함대 컬렉션/이벤트


파일:칸코레로고.png 함대 컬렉션 (艦隊これくしょん ~艦こ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관련 문서 및 최신 정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1E90FF> 게임 플레이 <colbgcolor=#00BFFF> 최신 최근 업데이트:
2025년 6월 27일 업데이트 [ 펼치기 · 접기 ]
1. 2025년 장마 미니이벤트 종료
· 장마 기간한정임무군 실장 종료, 테루테루보즈 추가 획득 불가

2. 테루테루보즈 교환 보상
① Ho 229, 테루테루보즈 22개로 교환 가능, 1회 한정
② (가구)여름의 모래사장으로의 출격 준비 선반(夏の砂浜への出撃準備棚) + GFCS Mk.37, 테루테루보즈 18개로 교환 가능, 1회 한정
③ 푸른 리본, 테루테루보즈 12개로 교환 가능, 1회 한정
④ 개수자재×1 + 고속수복재×1, 테루테루보즈 1개로 교환 가능, 10회 한정

3. 새 장비 추가
① Ho 229: 화력 +3, 대공 +8, 색적 +3, 폭장 +16, 사거리 4, 대공사격회피 초강/분류: 육상공격기
② 새 장비 Ho 229 보충 설명
· 기지항공대에 배치 가능한 육상기로 분류됨
· 전용 장비 아이콘 및 항공전 연출 전용 유닛을 사용함
· 분식 추진기이므로 재보급시 보크사이트 대신 강재를 소모함
· 스텔스 기능을 반영해 일반적인 타 기체보다 높은 대공사격회피 능력을 지님(기존 분식 케이운, 킷카 改보다 더 강력한 '초강')
· 해당 기체는 선행실장, 이후 추가적인 능력치 갱신 가능성 있음

4. 개수공창 테이블 업데이트
· 2번함 닛신으로 아래의 장비가 개수 가능
① 갑표적 병형
※ 해당 장비의 ★+9 → ★Max 강화에 긴급수리자재×3을 소모함
· 2번함 쇼난으로 아래의 장비가 개수 가능
① 12cm 단장고각포 E형
※ 히부리, 다이토 등으로 개수 가능 요일 확장
· 2번함 에토로후, 시무슈로 아래 장비의 개수 가능 요일 확장
① 95식 폭뢰
· 2번함 랭글리로 아래의 장비가 개수 가능
① TBF
② SBD-5(→ SB2C-3로 개수변환 가능)
· 2번함 랭글리 改로 아래의 장비가 개수 가능
① F4U-4
※ 해당 장비의 ★+7 → ★+8 강화에 숙련탑승원을 소모함
※ 해당 장비의 ★+8 이상 강화에 해외함 최신 기술을 소모함
· 2번함 빅토리어스 改로 아래의 장비가 개수 가능
① Seafire Mk.III 改
· 2번함 갬비어 베이 Mk.II로 아래의 장비가 개수 가능
① F4U-2 Night Corsair(→ F4U-4로 개수변환 가능)
· 2번함 101호 수송함으로 아래의 장비가 개수 가능
① 육군보병부대

5. 신규 임무 추가 및 기존 임무 일부 종료, 연습 임무 계절 갱신
① 신규 임무 추가
· 출격/월간 - 【하계한정임무】 여름날의 「아사히」 호위
· 출격/월간 - 【하계한정임무】 솔로몬의 여름밤
· 출격/단발 - 2등 수송함의 적극 운용
· 공창/단발 - 육군 전투기 및 해외 전투기의 증비
② 기존 임무군 일부 종료
· 2025년 장마 기간한정임무군
③ 연습 임무 계절 갱신
· 춘계 대연습 → 하계 대연습

6. 통상해역 기간한정드랍 일부 갱신
① 아가노급 경순양함 노시로: 2-1, 2-2 드랍
② 아사히급 특무연습함 아사히: 2-3 드랍
③ 플레처급 구축함 리처드 P. 리어리: 2-4, 2-5 드랍
④ 인디펜던스급 경항공모함 랭글리: 6-3 드랍
⑤ 애틀란타급 경순양함 애틀란타: 5-5 드랍
⑥ 2등 수송함 101호 수송함: 5-3 드랍
⑦ 플레처급 구축함 존스턴[1]: 2-3 드랍

7. 가구점 갱신 및 일부 가구의 계절 갱신
· 장마 후의 목제 벽(梅雨明けの木製壁)
· 파란 하늘과 산에 걸린 여름 구름(青空と山側の夏雲)
· 모래사장과 게(砂浜とカニさん)
· 솔로몬의 뜨거운 여름(ソロモンの熱い夏)
· 여름의 모래사장으로의 출격 준비 선반(夏の砂浜への出撃準備棚): 테루테루보즈 교환 보상

8. 해역 BGM & 쥬크박스 갱신

9. 칸무스 일러스트 & 보이스 실장
① 장마 일러스트 & 보이스 실장 종료
② 각종 칸무스 일러스트 및 보이스가 수영복 사양으로 변경
③ 스기, 카야, 시마네마루, 오오토마리, 모가도르, 글루아, 발리안트, 렉싱턴, 와후 등 여름 보이스 실장
④ 야마토 신규 보이스 실장
⑤ 유구모급 구축함 改2 제복 사양이 하복으로 변경
⑥ 리처드 P. 리어리 수영복 일러스트 & 보이스 실장
⑦ 아사히(改) 수영복 일러스트 & 보이스 실장
⑧ 랭글리 수영복 일러스트 & 보이스 실장
⑨ 애틀란타 수영복 일러스트 & 보이스 실장
⑩ 노시로 수영복 일러스트 & 보이스 실장

10. HTML 사양 조작성 향상
· PC판(HTML)에서 마우스 휠 조작성 향상
· 편성, 보급, 개장, 출격, 연습, 원정화면에서 함대 선택시 마우스 휠을 통한 조작이 가능

11. 모항 최대한도 확장
· 칸무스 680척 한도까지 확장 가능
※공식 운영 X(구 Twitter):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25년 5월 랭킹보상)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5위 41cm연장포改二 ★+6 1식철갑탄改 ★+7 533mm 삼연장어뢰(53-39형) ★+8 4식중폭 히류(숙련)+이호1형甲 유도탄 ★+4
6~20위 41cm연장포改二 ★+6 1식철갑탄改 ★+6 533mm 삼연장어뢰(53-39형) ★+6 -
21~100위 41cm연장포改二 ★+2 1식철갑탄改 ★+3 533mm 삼연장어뢰(53-39형) ★+4 -
101~500위 41cm연장포改二 ★+1 533mm 삼연장어뢰(53-39형) ★+2 - -
}}}}}}}}} ||
(2025. 9. 27. 현재 기간한정 드랍) [ 펼치기 · 접기 ]
※ 최근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기간한정 드랍은 밑줄표시.※참고: 일위키 기간한정 드랍 페이지
기본 접속 · 접속기 · 기본 플레이 가이드 · 기본 공략 페이지 · 랭킹 가이드 · 업데이트
※주의: 한국에서 게임이 접속되지 않는 경우 함대 컬렉션/접속을 참조할것
출격 진수부해역(1) · 남서제도해역(2) · 북방해역(3) · 남서해역(7) · 서방해역(4) · 남방해역(5) · 중부해역(6)
이벤트 현재 이벤트 해역 · (과거 이벤트 해역 아카이브: 미니 이벤트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임무 최근 신규 임무 · 임무 가이드 · 연습전 가이드 · 원정 가이드
편성 임무 · 출격 임무\(단발) · (일간) · (주간) · (월간) · (계간) · (연간)\] · 연습 임무 · 원정 임무 · 공창 임무 · 개장 임무 · 결혼(가) 임무
장비 장비 일람과 비교표 · 초기 장비 목록
함포(소구경 주포 · 중구경 주포 · 대구경 주포 · 부포) · 어뢰 · 함재기(함공 · 함폭 · 함전 · 수상기) · 육상기(육상전투기) · 대공 · 전탐 · 대잠 · 보조(야간 · 수송 · 대지)
공창 칸무스 건조 가이드 · 개수공창 가이드 · 장비 개발 가이드
보조 아이템 가이드 · 진수부 장식 가이드 · BGM
캐릭터 기본 기본 캐릭터 정보 · 도감 번호 정보
일본함 전함 · 항공모함 · 중순양함 · 경순양함 · 구축함 · 잠수함 · 해방함 · 보조함
해외함 기본 정보 · 독일 · 이탈리아 · 미국 · 영국 · 프랑스 · 소련 · 그 외 국가
심해서함 기본 정보 · 일반 클래스 · 보스급 · 육상기지
대사 결혼(가) 대사 모음 · 유언 대사 모음
그 외 콜라보레이션 한정 캐릭터
미디어 믹스 기본 기본 미디어 믹스 정보
애니메이션 기본 애니메이션 정보 · 에피소드 가이드 · 평가
TVA · 극장판 · 칸코레: 언젠가 그 바다에서
게임 함대 컬렉션 Arcade · 칸코레 改 · 모바일
서적 수뢰전대 크로니클 · 카게로 발묘
기타 관련인물 제작진 · 참여 성우 · 동인 작가
사건사고 비판 · 논란 · 국내 반응 · 루리웹의 함대 컬렉션 차별
커뮤니티 칸코레 갤러리 · 칸코레 정보소(2022년 폐쇄)
정보/안내 사이트 칸코레 공식 트위터 · C2기관 공식 트위터 · wikiwiki(日) · Kancolle Wiki(En) · 아카시 리스트(日)

[1] 공지에 없던 칸무스[A] [A] [A] [A] [6] 평시에도 7-5-K, T(각각 1게이지, 3게이지 보스)에서 드랍 가능[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


1. 진행예정/진행중인 게임 이벤트
1.1. 2025년 할로윈 미니 이벤트1.2. 2025년 가을 이벤트1.3. 2025년 진수부 꽁치 축제
2. 진행중인 기간한정임무
2.1. 제3전대 출격 임무2.2. 월간 제32구축대 출격 임무2.3. 2025년 봄 이벤트 대비 기간한정임무2.4. 칸코레 12주년 기념 기간한정임무
3. 개요4. 이벤트 팁
4.1. 이벤트 준비4.2. 공략 준비
4.2.1. 공략용 함선 및 장비4.2.2. 성능상 추천 함선
4.3. 주의해야 하는 사고들4.4. 이벤트 관련 전용 지식
4.4.1. 대지특효 장비 일람표4.4.2. 기지항공대 육공별 특효4.4.3. 연탄소비4.4.4. 경계진4.4.5. PT소귀군 관련 검증4.4.6. 수송작전4.4.7. 난이도4.4.8. 난이도에 따른 대중폭 방공4.4.9. 사령부시설4.4.10. 적 연합함대를 상대로 한 전투에서의 야간전 이행 조건4.4.11. 레이더습격 및 수상전탐4.4.12. 정박지 긴급수리4.4.13. 연합함대 뇌격 버그
5. 종료된 정기 이벤트6. 함대 컬렉션/이벤트/미니 이벤트7. 기간 한정 드랍8. 한정일러 및 보이스

1. 진행예정/진행중인 게임 이벤트

제공권 시뮬레이터나 편리한 지원함대에 데이터를 입력할때 아래를 참고할 것
[ 장비 코드 추출방법 펼치기 · 접기 ]
1. 디버그창을 연다. (KC3에서 게임을 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열려 있는 패널이므로 건너뛰어도 무방)
2. Console 탭을 클릭하여 Ctrl+L로 모두 지워준 후 top 옆에 드롭다운 메뉴를 열어 index.php를 선택한다.
3. > 명령어줄에 this.KCS를 입력 후 엔터, 다음 >가 나올때까지 한번 더 엔터
4. init: f 옆에 삼각형을 클릭, 한 번 더 init: f 옆에 삼각형을 클릭, Scopes: Scopres[3] 옆의 삼각형을 클릭, Closure라고 써있는 것이 2개 나오는데 window라 써지지 않은 것을 클릭하면 0x###### 형식의 데이터가 4개 나온다. 그중 true, default: f라 써진 것을 클릭해서 하위 항목에 default를 클릭, 그 하위 항목에 friendlyRequest, model등등이 있으면 제대로 찾은것이므로 default를 우클릭후 Store as global variable를 선택한다.
5. 명령어창에 칸무스 데이터 코드를 얻으려면 copy(JSON.stringify(Object.entries(temp1.model.ship._map).map(([, v]) => v._o).filter(v => v.api_locked), ['api_ship_id', 'api_lv', 'api_kyouka', 'api_exp']))를 붙여넣고 엔터.
장비 데이터 코드를 얻으려면 copy(JSON.stringify(Object.entries(temp1.model.slot._map).map(([, v]) => v._o).filter(v => v.api_locked), ['api_slotitem_id', 'api_level']))
6. undefined가 뜨면 제대로 장비 데이터가 클립보드에 복사된 것이다. 메모장에 붙여넣어 보고 확인해보자. 이것을 제공권 시뮬레이터나 편리한 지원함대 사이트에 붙여넣어주면 된다.

기간한정 임무군의 탬플릿 활용은 함대 컬렉션/임무 문서의 최근 업데이트 임무 등록 예시를 참조하십시오.

[1] @@에 해역명을 적는다. 22년 여름 이벤트의 1해역이라면 55-1

1.1. 2025년 할로윈 미니 이벤트

2025년 9월 말 예정.

1.2. 2025년 가을 이벤트

2025년 10월 예정.

구레시 오프라인 이벤트 일정으로 인해 여름을 결국 넘기고 9월까지 넘겨서 10월이 되었다. 진수부 꽁치 축제가 11월에 잡힌 것을 보아 이벤트 규모는 작거나 전단은 유럽, 후단은 꽁치 관련으로 쪼개지는 건 아닌지 추측이 있다.

1.3. 2025년 진수부 꽁치 축제

2025년 11월 예정.

2. 진행중인 기간한정임무

2.1. 제3전대 출격 임무

2024년 9월 24일 키리시마 改2 丙과 함께 추가된 단발 출격임무와 주간 연습임무.
제3전대 출격 임무
2024년 9월 24일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20○○년 ○○월 ○○일
{{{#!wiki style="float: center" 2409 B1
【기간한정임무】 「제3전대」 긴급전개!
【期間限定任務】「第三戦隊」緊急展開!
}}}||
임무 내용 제3전대 「콩고」 「히에이」 「하루나」 「키리시마」의 2척 이상을 포함한 고속전함부대로, 남서제도 방위선, 남서제도 근해, 바시 해협, 카레양 해역에 출격! 동 해역의 적을 포착, 이를 해치워라!
기간한정임무: 콩고, 히에이, 하루나, 키리시마 중 2척을 포함한 함대로 1-4, 2-1, 2-2, 4-2 각각 S승리
보상 고정보상: 연료 500, 탄약 300, 강재 300, 보크사이트 300, (가구)제독과 제3전대의 테이블
선택보상: [35.6cm 연장포×4/급양함 「이라코」×2/개수자재×3] 中 택 1
설명 임무 번역
  • 1-4, 2-1, 2-2: 콩고급 2척 포함, 1항모 2전함 1잠수모함 2구축, 제공우세 81 이상
  • 4-2: 콩고급 2척 포함, 2전함 1경순 3구축, 제공우세 42 이상
연계임무 이전 임무: 2409 C1 【기간한정임무】 「32구축」 특별연습![2], ?
다음 임무: B204 「제2구축대 (후기편성)」, 출격하라!, F128 「키리시마 改2 丙」 개장 공창임무

[2] 기간한정임무 종료로 인해 트리거가 변경됨.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2.2. 월간 제32구축대 출격 임무

월간 제32구축대 출격 임무
2024년 12월 3일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20○○년 ○○월 ○○일
{{{#!wiki style="float: center" 2412 B5
【기간한정임무】 「32구축」 월차 전투초계!
【期間限定任務】「三十二駆」月次戦闘哨戒!
}}}||
임무 내용 【기간한정임무】 제32구축대, 유구모급 구축함 「타마나미」 「스즈나미」 「후지나미」 「하야나미」 「하마나미」 중 3척 이상을 포함한 함대로, 동부 오룔해, 잼섬 앞바다, 남방해역 전면, 브루나이 앞바다의 초계를 실시하라!
기간한정 월간임무: 타마나미, 스즈나미, 후지나미, 하야나미, 하마나미 중 3척 이상을 포함한 함대로 2-3, 4-1, 5-1, 7-1 각각 A승리 이상
보상 고정보상: 연료 320, 탄약 320, 강재 320, 보크사이트 320
선택보상 1: [7.7mm 기총×4/25mm 단장기총×3/급양함 「마미야」] 中 택 1
선택보상 2: [개수자재×4/연료×4000/급양함 「이라코」×2] 中 택 1
설명 임무 번역 제32구축대 연습임무가 종료되며 후지나미 改2와 함께 실장된 임무.
  • 2-3: 2경항모 1경순 3구축, 제공우세 81 이상
  • 4-1: 1항모 1경순 4구축 or 1항순 1경순 4구축, 제공우세 36 이상
  • 5-1: 1항전 1경항모 1경순 3구축, 제공동등 114 이상
    • 2-3, 4-1, 5-1을 절분 기간한정 임무군의 2501 B7 절분 확장작전 오곡풍요!와 동시에 진행하는 경우 2중순 1경항모 3구축으로 진행 가능하다.
  • 7-1: 1경순 4구축
연계임무 이전 임무: -
다음 임무: -

2.3. 2025년 봄 이벤트 대비 기간한정임무

2025년 2월 28일 추가된 단발 출격임무. 마침 3월 1일부터 월간 및 분기 임무가 리셋되므로 일부 임무를 함께 진행하는 경우 매우 효율적이다.
2025년 봄 이벤트 대비 기간한정임무
2025년 2월 28일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20○○년 ○○월 ○○일
{{{#!wiki style="float: center" 2502 B3
「제1수뢰전대」 전투 준비! 발묘하라!
「第一水雷戦隊」合戦用意!抜錨せよ!
}}}||
임무 내용 【한정임무】 「아부쿠마」 「카스미」 「시라누이」 「우스구모」 「아케보노」 「우시오」 「하츠시모」 「하츠하루」 「와카바」에서 4척 이상을 포함한 함대로 진수부해역 남서제도 앞바다, 제유소 지대 연안, 남서제도 방위선에 반복 출격, 개수일촉, 적을 분쇄하라!
2025년 봄 기간한정임무: 지정 칸무스 중 4척 이상을 포함한 함대로 1-2, 1-3, 1-4 각각 S승리 2회
보상 고정보상: 연료 350, 탄약 350, 강재 350, 보크사이트 350
선택보상 1: [개발자재×8/22호 대수상전탐 改4/개수자재×3] 中 택 1
선택보상 2: [훈장/북방 미채 (+북방장비)★+5/급양함 「이라코」×2] 中 택 1
설명 임무 번역 제시된 해역을 2회씩 S승리로 클리어 하면 된다. 쉬운 해역이지만 간혹 보스방에서 A승리로 끝내고 돌아오는 경우에 주의.
선택보상의 경우 고급 전탐인 22호 대수상전탐 改4와 1월 랭킹보상으로 배포된 북방 미채(+북방장비)의 개수 버전이다. 북방 미채 (+북방장비)의 경우 ★+7 이상부터 각종 스탯 보너스가 생기고, 이벤트 해역 클리어 보상으로 입수가 가능해질 예정이다.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편성 예시 #
    • 1-2: 지정 칸무스 4척 이상 포함, 1경순 4구축
    • 1-3, 1-4: 지정 칸무스 4척 이상 포함, 1경항모 1경순 4구축
  • 동시에 진행 가능한 반복임무: Bm3, Bm8, Bq9, Bq11
연계임무 이전 임무: -
다음 임무: 2502 B4 「제5함대」 긴급 출동 준비!
{{{#!wiki style="float: center" 2502 B4
「제5함대」 긴급 출동 준비!
「第五艦隊」緊急出動用意ッ!
}}}||
임무 내용 【한정임무】 「아시가라」 「나치」 「타마」 「키소」 및 이전 임무의 「제1수뢰전대」 계 5척 이상을 포함한 제5함대로, 남서제도 근해, 바시해협, 북방해역 모레이해, 북방해역 키스섬 앞바다에 전개! 적 전력을 포착 격멸하라!
2025년 봄 기간한정임무: 지정 칸무스 중 5척 이상을 포함한 함대로 2-1, 2-2, 3-1, 3-2 각각 S승리
보상 고정보상: 연료 550, 탄약 550, 강재 550, 보크사이트 550
선택보상 1: [고속수복재×8/신형포공병장자재×2/개수자재×4] 中 택 1
선택보상 2: [급양함 「마미야」×3/한랭지장비&갑판요원/훈장×3] 中 택 1
설명 임무 번역 직전 임무에서 사용한 제1수뢰전대 소속 칸무스들을 그대로 다시 사용 가능하다. 해당 임무에서 사용된 총 13척의 칸무스가 이번 2025년 봄 이벤트 전단작전 공략의 핵심이 될 예정. 다만 아시가라와 카스미의 경우 후단작전에서도 고증함으로 쓰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선택보상의 경우 이벤트 대비용으로 한랭지장비&갑판요원을 받아두면 된다. 이미 많은 경우엔 다른 소모성 아이템을 골라도 무관.
  • 편성 예시 #
    • 2-1, 3-1: 지정 칸무스 5척 포함, 1(경)항모 2중순 1경순 2구축, 제공우세 81 이상
    • 2-2: 지정 칸무스 5척 포함, 2중순 1경순 2구축 1수상모, 제공우세 41 이상
    • 3-2: 지정 칸무스 5척 이상 포함, 1경순 4구축 1(구축 or 야마시오마루 改), 고속+통일, 전탐 3개 이상 장비 권장
  • 동시에 진행 가능한 반복임무: Bm8, Bq5, Bq9, Bq11[3]
연계임무 이전 임무: 2502 B3 「제1수뢰전대」 전투 준비! 발묘하라!
다음 임무: -

[3] Bm8과 Bq9, Bq11과 동시에 진행하는 경우 2-1, 2-2는 1(경)항모 1중순 1경순 3구축 편성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다만 2-2의 경우 수상기모함이 빠지기 때문에 루트 고정이 불가하므로 주의.

2.4. 칸코레 12주년 기념 기간한정임무

12주년 한정 임무
2025년 4월 23일 17:30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2025년 ○○월 ○○일
{{{#!wiki style="float: center" 2504 B1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12주년 함대, 출격!
【艦隊12周年記念任務】12周年艦隊、出撃!
}}} ||
임무 내용 12주년 기념임무: 기함 및 동 수반함에 중순 또는 수상기모함을 각 1척, 그 외 경순 1척, 구축 1척 이상을 포함한 12주년 기념함대로, 진수부 정면해역, 남서제도 앞바다, 제유소 지대 연안, 남서제도 방위선, 진수부 근해를 초계! 경계를 엄중히 하라!
기간 한정: 중순양함 또는 수상기모함 2척(기함 필수), 경순양함 1척, 구축함 1척 이상을 포함한 함대로 1-1, 1-2, 1-3, 1-4, 1-5 각각 A승리 이상
보상 고정보상: 연료 600, 탄약 600, 강재 120, 보크사이트 120
선택보상 1: [개발자재×12 or 훈장] 中 택 1
선택보상 2: [급양함 「이라코」×3 or 개수자재×4 or 고속수복재×12] 中 택 1
설명 임무 번역 작년 임무와 마찬가지로 특정 함급을 편성해서 1해역을 돌면 되는 임무. 1개의 편성으로 쭉 진행할 수도 있으나 역시 관건은 1-1과 1-2의 나침반. 항공순양함의 경우 임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점은 주의.
  • 편성 예시 #1 #2
    • 1-1, 1-2, 1-5: 지정 함급 4척, 수상모 기함, 1-1과 1-2의 경우 보스방 분기 랜덤
    • 1-3, 1-4: 지정 함급 4척 포함, 수상모 기함, 1경항모 1경순 2구축 2수상모, 1-4 제공확보 60 이상
    • 하나의 편성으로 도전하는 경우 2수상모(기함) 1경순 1구축으로 진행 가능
연계 임무 이전 임무: -
다음 임무: 2504 B2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2항전, 여기 건재함!, 2504 C1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기념함대 연습!, 2504 D1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해상호위원정
{{{#!wiki style="float: center" 2504 B2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2항전, 여기 건재함!
【艦隊12周年記念任務】二航戦、此処に在り!
}}} ||
임무 내용 12주년 기념임무: 제2항공전대 「히류」, 「소류」를 기함 및 동 2번함으로 하는 정예함대로, 바시 해협, 동부 오룔해, 오키노시마 해역, 산호제도 앞바다, 사몬 해역에 전개! 각 해역의 적 주력함대를 포착, 이를 격멸하라!
기간 한정: 히류와 소류를 각각 기함과 2번함에 둔 함대로 2-2, 2-3, 2-4, 5-2, 5-4 각각 S승리
보상 고정보상: 탄약 2025, 강재 423
선택보상 1: [개장설계도 or 개수자재×12 or 전투상보] 中 택 1
선택보상 2: [훈장×3 or 시제 갑판 캐터펄트 or 해외함 최신 기술×3] 中 택 1
설명 임무 번역 선택보상 1은 필요한 것을 받으면 된다. 개수자재는 훈장으로 치환할 경우 3개 분량. 선택보상 2의 경우 해외함 최신 기술이 풀린 적이 얼마 없어서 웬만하면 받는걸 추천.
  • 편성 예시 #1 #2
    • 편성례 1
      • 2-2, 2-3: 히류, 소류 각각 기함 및 2번함 고정, 2항모 1수상모 3구축[4]
      • 2-4: 히류, 소류 각각 기함 및 2번함 고정, 2항모 1경항모 1경순 2구축, 제공우세 84 이상
      • 5-2, 5-4: 히류, 소류 각각 기함 및 2번함 고정, 1항전 2항모 1항순 1경순 1구축[5]
    • 편성례 2
      • 2-2, 5-2, 5-4: 히류, 소류 각각 기함 및 2번함 고정, 2항모 1항순 1경순 1구축 1수상모[6]
      • 2-3: 히류, 소류 각각 기함 및 2번함 고정, 2항모 1경순 2구축 1수상모, 제공우세 81 이상
      • 2-4: 히류, 소류 각각 기함 및 2번함 고정, 2항모 1경항모 1경순 2구축, 제공우세 84 이상
연계 임무 이전 임무: 2504 B1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12주년 함대, 출격!
다음 임무: 2504 B4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확장작전】 함대, 서쪽으로!
{{{#!wiki style="float: center" 2504 B3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자원확보 해상호위작전
【艦隊12周年記念任務】資源確保海上護衛作戦
}}} ||
임무 내용 12주년 기념임무: 해상 중요 병참 보급선의 유지 확보를 실시한다! 진수부해역 제유소 지대 연안, 진수부 근해, 진수부 근해 항로, 쇼난 본토 항로, 타위타위 정박지 앞바다 심부에 전개! 해상 수송로의 안전을 확보하라!
보상 고정보상: 연료 550, 탄약 550, 강재 550, 보크사이트 550
선택보상 1: [급양함 「마미야」 or 보크사이트×3600 or 훈장] 中 택 1
선택보상 2: [개발자재×12 or 연료×8800 or 특주가구장인×2] 中 택 1
설명 임무 번역 별다른 편성 조건 없이 주어진 해역을 클리어하면 된다.
  • 편성 예시 #1 #2
    • 1-3: 1경항모 1경순 4구축
    • 1-5: 4(구축+해방)
    • 1-6:
    • 7-2-2: 1항전 1항모 1경항모 1경순 2구축, 제공우세 최대 359 이상
    • 7-4: 1항전 1경항모 1경순 3구축, 제공우세 231 이상, 색적 Cn=4 37 이상, 기항대 1육공 2토카이 1전 J, 보스마스 1회씩(각각 사거리 3, 2)
연계 임무 이전 임무: 2504 C1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기념함대 연습!
다음 임무: 2504 F1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확장임무】 특별공창, 2504 F2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확장임무】 특별 항공기술창
{{{#!wiki style="float: center" 2504 B4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확장임무】 함대, 서쪽으로!
【艦隊12周年記念任務:拡張作戦】艦隊、西へ!
}}} ||
임무 내용 12주년 기념임무 확장작전: 「후부키」 「아케보노」 「오보로」 「쇼카쿠」 「야마토」 「Mogador」 「Gotland」 「키누가사 改2」 「Fletcher 改 Mod.2/Mk.II」의 2척 이상, 거기에 특 1형 1척을 포함한 정예함대로 서방해역의 적을 일소하라!
기간 한정: 지정 칸무스 중 2척과 특 1형(후부키급) 구축함 1척을 포함한 함대로 4-1, 4-2, 4-3, 4-4, 4-5 각각 S승리, 후부키는 해당 임무에서 특 1형 구축함 조건에 포함되지 않음에 유의
보상 고정보상: 연료 2025, 탄약 2025, 강재 1200, 보크사이트 1200, (가구)「12주년 기념」 족자
선택보상: [2식복전 토류 병형×2 or 킷카 改 or 시제 갑판 캐터펄트] 中 택 1
설명 임무 번역 전술한대로 후부키는 지정함 조건에는 포함되나, 특 1형 구축함 조건은 만족시킬 수 없으므로 헷갈리지 않도록 다른 칸무스를 편성하는걸 추천한다.[7]
한편 임무에서 요구하는 해역이 겹치는 Bw6 적 동방함대를 격멸하라! , Bw8 적 동방중추함대를 격파하라!, Bq12 발령! 「서방해역 작전」 등을 동시에 진행가능하다.
선택보상의 경우, 후속 12주년 공창임무에서 2식복전 토류 병형을 하나 요구하기 때문에 캐터펄트가 충분하거나, F107 「무선 유도탄」 장비 신형 습격기의 실전 배비를 완료하지 않은 경우 이를 선택하면 도움이 된다. 사실 토류 병형 자체는 개수로 제작은 가능하므로 킷카 改나 캐터펄트를 모으고 있다면 이쪽을 골라도 된다.
  • 편성 예시 #1 #2
    • 4-1: 지정 칸무스 3척 포함, 1항모 1항순 1경순 2구축 1자유, 제공확보 71 이상
    • 4-2: 지정 칸무스 3척 포함, 2(정규항모 + 경항모) 1경순 3구축, 제공확보 84 이상
    • 4-3: 지정 칸무스 3척 포함, 2경항모 1경순 3구축, 대기지 장비, 제공우세 최대 155 이상
    • 4-4: 지정 칸무스 3척 포함, 2항모 1경항모 1경순 2구축, 제공우세 72 이상
    • 4-5
      • 최단(A or C - D - H - T)
        • 지정 칸무스 3척 포함, 4항모 1중순 1구축, 고속+통일, 대기지 장비
        • 지정 칸무스 3척 포함, 2항모 1경순 3구축, 속도 무관, 대기지 장비
      • 준최단(A or C - D - H - K - T)
        • 지정 칸무스 3척 포함, 0~1전함 2~3항모 1중항순 1경순, 대기지 장비, 제공우세 252 이상
연계 임무 이전 임무: 2504 B2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2항전, 여기 건재함!
다음 임무: 2504 F1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확장임무】 특별공창, 2504 F2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확장임무】 특별 항공기술창
{{{#!wiki style="float: center" 2504 C1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기념함대 연습!
【艦隊12周年記念任務】記念艦隊演習!
}}} ||
임무 내용 12주년 기념 연습: 기함 및 2번함을 「헤이안마루」 「Mogador」 「Gotland」 「오오토마리」 「오보로」 「아케보노」 또는 「키누가사 改2」로 편성한 12주년 기념함대로, 오늘 중에 연습에서 【A판정】 승리 이상을 5회 이상 달성하라!
기간 한정: 지정 칸무스 중 2척을 기함과 2번함에 둔 함대로 하루에 연습전 A승리 이상 5회
보상 고정보상: 연료 423, 탄약 423, 보크사이트 423
선택보상 1: [급양함 「이라코」×2 or 개수자재×3 or 7.7mm 기총×4] 中 택 1
선택보상 2: [응급수리여신 or 개발자재×12 or 연료×2025] 中 택 1
설명 임무 번역 해당 임무는 주간임무이므로 매주 잊지 말고 보상을 챙겨가도록 하자. 지정 칸무스가 없는 경우, 모가도르는 2-1[8], 고틀란드는 2-2[9], 헤이안마루는 이벤트해역 E-3와 E-6, 오오토마리는 E-1과 E-2에서 드랍이 풀려있으니 가능하다면 얻어두는 것도 좋다.
연계 임무 이전 임무: 2504 B1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12주년 함대, 출격!
다음 임무: 2504 B3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자원확보 해상호위작전, 2504 D2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자원 수출입 강화
{{{#!wiki style="float: center" 2504 D1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해상호위원정
【艦隊12周年記念任務】海上護衛遠征
}}} ||
임무 내용 12주년 해상호위: 「해상호위임무」 「병참강화임무」 「장시간 대잠경계」 「대잠경계임무」 거기에 「자원수송임무」를 실시, 이들 각 원정을 무사 완수하라!
기간 한정: 4, 5, 12, A1, A3번 원정 각각 1회 성공
보상 고정보상: 연료 2025
선택보상 1: [강재×2025 or 탄약×2025 or 보크사이트×2025] 中 택 1
선택보상 2: [개발자재×12 or 개수자재×3 or 3식 폭뢰투사기 집중배치] 中 택 1
설명 임무 번역 큰 어려움 없이 클리어 가능한 단발 원정임무. 직후 주간 원정임무 하나가 더 나오지만 탄약과 강재를 많이 요구하므로 이벤트 기간인 만큼 자원 비축량을 고려해서 클리어 여부를 결정할 것.
  • 편성 가이드
    • 4번 원정: 최저 3척, 경순양함 1척, 구축+해방함 2척 이상, 기함 레벨 3 이상, 대체편성 가능
    • 5번 원정: 최저 4척, 경순양함 1척, 구축+해방함 2척 이상, 기함 레벨 3 이상, 대체 편성 가능
    • 12번 원정: 최저 4척, 구축+해방함 2척 이상, 기함 레벨 4 이상
    • A1번 원정: 최저 4척, 구축+해방함 3척 이상, 기함 레벨 15 이상
    • A3번 원정: 최저 5척, 경순양함 1척, 구축+해방함 3척 이상, 기함 레벨 35 이상, 대체 편성 가능, 함대 대공 162, 대잠 280, 색적 60 이상 필요
연계 임무 이전 임무: 2504 B1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12주년 함대, 출격!
다음 임무: 2504 D2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자원 수출입 강화
{{{#!wiki style="float: center" 2504 D2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자원 수출입 강화
【艦隊12周年記念任務】資源輸出入強化
}}} ||
임무 내용 자원 수출 임무: 수출용의 강재 2,800 및 탄약 3,000을 준비. 그 뒤 「해상호위임무」 및 「유조선 호위임무」 「보크사이트 수송임무」를 각 2회 이상 성공시켜라!
기간 한정: 강재 2800, 탄약 3000 준비, 5, 9, 11번 원정 각각 2회 성공
보상 선택보상 1: [연료×6000 or 보크사이트×4800] 中 택 1
선택보상 2: [고속수복재×12 or 급양함 「마미야」×2 or 개수자재×4] 中 택 1
설명 임무 번역 이 임무는 주간임무이다.
여러모로 연간임무인 Fy8 강재 수출 임무의 상위호환. 해당 임무는 1년에 한 번 강재만 가져가게 되지만, 이벤트 기간임을 감안한건지 작년의 요구량인 강재 9500과 탄약 7500보다는 다소 완화되었다.
일단 첫 선택보상 중 하나인 연료 6000의 가치는 강재 2800, 탄약 3000를 상회하며, 이라코와 연계로 한방에 6척 반짝이를 붙여줄 수 있는 마미야는 현질 외에는 입수 수단이 한정적인 만큼 마미야 2개 확보를 위해 수행하는 사람들도 있다. 마미야를 잘 쓰지 않는다면 대신 고를 수 있는 개수자재 4개도 나쁘지 않다. 어차피 탄약과 강재는 결국 원정이나 해역 파밍으로 다시 모을 수 있으니, 자신의 진수부 상황 등을 고려해 클리어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한편, 3월 연간 임무인 D40 신병장 개발자재 수송을 선단호위하라!를 아직 클리어하지 않았을 경우 5, 9, 11번 원정이 겹치기 때문에 함께 소화 가능하다.
  • 편성 가이드
    • 5번 원정: 최저 4척, 경순양함 1척, 구축+해방함 2척 이상, 기함 레벨 3 이상, 대체 편성 가능
    • 9번 원정: 최저 4척, 경순양함 1척, 구축+해방함 2척 이상, 기함 레벨 3 이상, 대체 편성 가능
    • 11번 원정: 최저 4척, 구축+해방함 2척 이상, 기함 레벨 6 이상
연계 임무 이전 임무: 2504 C1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기념함대 연습!, 2504 D1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해상호위원정
다음 임무: -
{{{#!wiki style="float: center" 2504 F1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확장임무】 특별공창
【艦隊12周年記念任務:拡張任務】特別工廠
}}} ||
임무 내용 12주년 기념임무: 「중구경주포」×12, 「수상정찰기」×12, 「전탐」×6을 각 폐기. 그리고, 「20.3cm (2호) 연장포」×4, 보크사이트 880, 강재 2,500을 준비하라! (임무 달성 후, 준비 장비 및 자재 등을 소비합니다.))
기간 한정 : 20.3cm (2호) 연장포 4개, 보크사이트 880, 강재 2500 준비, 중구경주포 12개, 수상정찰기 12기, 전탐 6개 폐기
보상 선택보상 1: [신형포공병장자재×2 or 신형항공병장자재×2 or 개수자재×5] 中 택 1
선택보상 2: [시제 20.3cm (4호) 연장포 or 203mm/53 연장포★+4×3] 中 택 1
설명 임무 번역 4호포 혹은 중순 사거리 조절용 파스타포를 거저 얻을 수 있는 임무. 2호포는 이미 개발이 풀린 상태이므로 부족하다면 몇 개 개발해주면 된다.
  • 시제 20.3cm (4호) 연장포: 현재 4호포는 이 시점까지 꽤 배포되었거나 제작도 가능하며, 중순양함들의 처지상 많아도 월간 제5전대에 사용할 5개 정도만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이미 파스타포를 개수해 활용하고 있었다면 언젠가를 대비해 무개수로 방치할 4호포를 골라도 문제는 없다.
  • 203mm/53 연장포★+4: 4호포를 이미 5개를 구비해 놓았다면 중순급의 사거리를 늘릴 수 있는 사실 개수는 이미 가능하지만 귀찮은 파스타포를 선택할 수도 있다. 파스타포는 기본적으로 명중 -1이 붙어있는데, 이미 4강이 되어있는 관계로 개수 효과까지 반영한 실제 명중은 +1이 된다.
연계 임무 이전 임무: 2504 B3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자원확보 해상호위작전
다음 임무: -
{{{#!wiki style="float: center" 2504 F2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확장임무】 특별 항공기술창
【艦隊12周年記念任務:拡張任務】特別空技廠
}}} ||
임무 내용 12주년 기념임무: 기함 「히류 改2」 「호쇼 改2/戰」, 동 제1슬롯 「시덴 改2」★+8 이상만을 장비. 개발자재×48, 신형항공병장자재×3, 숙련탑승원×1을 준비, 「시덴 11형」×8 「2식복전 토류 병형」×1을 폐기!)
기간 한정 : 기함 히류 改2 또는 호쇼 改2/戰의 제1슬롯에 시덴 改2★+8 이상을 장비, 개발자재 48개, 숙련탑승원 1개, 신형항공병장자재 3개를 준비, 시덴 11형 8기, 2식복전 토류 병형 1기 폐기
보상 선택보상 1: [신형병장자재×3 or 개수자재×5 or 네식 엔진] 中 택 1
선택보상 2: [시제 슈스이★+2 or 시제 케이운 (함상정찰형)★+3 or 시제 신덴 (국지전투기)] 中 택 1
설명 임무 번역 조건이 다소 어렵지만 이벤트 공략에 필수적인 고고도 요격기 시제 슈스이 또는 현존 최고 성능의 방공용 국지전투기 중 하나인 시제 신덴 (국지전투기)를 얻을 수 있는 임무. 앞선 출격임무로 2식복전 토류 병형을 선택했다면 허들이 다소 내려간다. 기함을 잘못 세워서 재료 장비만 날리는 불상사가 없도록 주의할 것.
참고용 시제 슈스이 vs 시제 신덴 비교 #
연계 임무 이전 임무: 2504 B3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자원확보 해상호위작전, 2504 F1 【함대 12주년 기념임무: 확장임무】 특별공창
다음 임무: -

[4] 2-2 제공확보 81 이상, 2-3 제공우세 81 이상[5] 5-2 제공우세 257 이상, 5-4 제공우세 309 이상[6] 2-2 제공확보 81 이상, 5-2 제공우세 257 이상, 5-4 제공우세 309 이상[7] 특 1형 구축함은 후부키를 제외하고 시라유키, 하츠유키, 미유키, 무라쿠모, 우스구모, 시라쿠모, 이소나미, 우라나미를 편성하면 된다.[8] 2025년 발렌타인 기간한정드랍[9] 2024년 크리스마스 기간한정드랍

3. 개요

정기적인 주기마다 시행하는 기간 한정 해역으로, 칸코레의 메인 컨텐츠를 맡고 있다. 유저들에게 이벤트는 그 동안 키우고 모아온 칸무스와 장비, 아이템으로 이벤트를 클리어하기 위해 서로 정보를 교환하며 협력하거나, 누가 甲 난이도를 더 빨리, 어렵게, 혹은 괴상하게 클리어해서 최상급 보상과 갑종훈장을 얻는지 경쟁하는 자리다. 또한 제작진에게도 새로운 요소를 유저들에게 제공해줌과 동시에 유료 아이템 판매로 수익을 늘릴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물론 서비스가 10년이 넘은 만큼 노골적으로 유료 아이템을 팔기 위해 무리하게 레벨 디자인을 했다가 주 고객층(특히 고인물)에게 미움을 사서 접게 만들어봤자 좋을 것이 없으니, 제작진도 클리어에 도움이 되는 장갑 파쇄 기믹이나, 甲乙丙 난이도에 이어서 초보 및 캐주얼 유저가 클리어할 수 있는 마지막 보루용 난이도인 丁 난도, 남은 적을 더 처리해주고 보스를 더 긁어 킬각을 만들어주는 우군함대를 추가하는 등, 은근히 제작진과 유저 간에 밀당이 심화되는 시기였다. 물론 이제 와서는 신규 유저들을 바라기도 어려워졌으며, 접기는 힘들고 갑만 깨는 콘크리트층 고인물들만 남아가면서 난도 인플레는 극한을 찍는 중이다.

일반적인 해역과는 달리 난이도가 대체로 높지만 보스방 드롭이 매우 호화로운 경우가 많고, 클리어 시에 당연히 보상 칸무스나 장비를 얻을 수 있다. 대체로 3~7개의 맵이 열리며, 보통 2~4개의 해역을 정규 해역으로 보고, 마지막 1~3개의 해역을 엑스트라 해역이라고 하여 매우 어려운 도전용 해역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엑스트라 해역 전까지는 기간한정 답게 나오는 적이 일반 해역에 비해 강해도 어느 정도 클리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만들지만, 마지막 해역은 상당한 난이도로 엄청난 양의 자원이나 강력한 칸무스, 운을 요구하므로 진수부 상태에 따라 포기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후 갑을병 난이도 선택 시스템이 생긴 뒤로는 클리어 자체는 쉬워지면서 병 난이도를 골라서라도 클리어하는 비율이 높아졌다.[10] 매 이벤트는 보통 3개월을 주기로 계절마다 열리며 2017년부터는 보통 1달(+2주) 동안 진행되기 때문에, 사실상 칸코레는 3개월 준비해서 1달 간의 이벤트에 모든 걸 쏟아붓는 주기를 반복하는 게임으로 볼 수도 있다. 1년을 주기로 매년 세번 정도 열리는 3~5해역 규모의 통상 난이도[11] 의 이벤트와, 매년 한번은 반드시 열리는 운영진 공인의 이 지옥같은 해역을 빠져나가야 하는 수준의 6~7해역짜리 대규모&고난이도 이벤트의 패턴이 반복되고 있다. 그러나 기믹과 수송 게이지가 만들어진 상태에 와서는 3~4 해역이라도 그 이상의 규모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 예시로 모든 해역이 기믹과 트리플 게이지[12]와 마지막 해역인데도 이중 보스 게이지를 보여준 2017년 가을 이벤트가 있다.

2017년 가을 이후에는 극적인 연출을 위해서인지, 최종해역의 갑 난이도의 경우 어렵긴 하지만 모든 기믹을 해금하고 참전 칸무스를 포함시키면 최종보스 자체는 격침하기 상당히 쉬워지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오히려 중간 게이지 보스나 기믹 해금에 자원이 더 많이 들어갈 정도이다. 하지만 2019년 봄, 가을, 2020년 여름, 가을 이벤트처럼 딱히 그렇지만은 않은 경우도 많다.

이벤트맵 기본 출격 조건
한 개인이 정리한 이벤트의 발자취.[15] 2016년 여름까지의 이벤트는 푸강아 콜라보를 제외하고 태평양 전쟁의 해전에서 모티브를 따오고 있다. 진행 상황상 미드웨이 해전을 지나 전쟁 말기의 최대 해전인 레이테 만 해전이 가까워졌으므로 소재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분위기가 강해, 만약 모든 해전을 다루고 나면 무슨 이벤트가 나올지도 유저들의 주 관심거리 중 하나다. 그러나 원래 이벤트의 모티브가 된 해전과 실제 이벤트의 개시 순서가 항상 일치하지는 않으며[16] 혼작전이나 트럭 공습 등의 사례로 볼 때 앞으로도 비교적 유명세가 덜한 중소규모 해전, 작전이나 11호 작전처럼 실제로 발동되지 않았던 작전을 모티브로 하는 중규모 이벤트가 등장할 가능성이 충분하므로 소재고갈까지 아직 여유가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심지어 2016년에 나온 기지항공대나 제 2차 말레이해전 이벤트는 아예 창작요소가 첨가된 IF작전이다.[17] 2016년 가을이벤트인 함대작전 제3법의 EO작전은 아예 전후에 있었던 크로스로드 작전이 모티브이다. 2018년부터는 일본의 해전 모티브에서 벗어나 비스마르크 추격전을 모티브로 삼은 이벤트도 등장하였으며, 연합군의 안치오 상륙작전(싱글 작전)이나 칼라브리아 해전, 페데스탈 작전을 모티브로 한 이벤트도 등장하였다.

여담으로 특정 해역을 모티브로 삼을 때 기존 해역에서도 본래 명칭을 살짝 돌려서 표현하는 만큼 이벤트에서도 본래 명칭을 꼬는 경우가 많으며, 유난히 먹을 것을 이름으로 삼는 경우가 많다. 단, 15년 여름의 SN이벤트만은 모티브 그대로 솔로몬 해역이라고 칭했는데 과거 똑같이 과달카날을 모티브로 했던 IBS 이벤트 당시에는 해역명을 약간 변경(솔로몬→서몬)했던 것을 생각하면 이례적인 경우였다. 2016년 가을 이벤트 이후로는 대부분 실제 지역명을 따와서 해역명을 짓는 편이다. 그 외에 겨울, 봄 이벤트는 대체로 평가가 괜찮은 반면 여름, 가을 이벤트는 대부분 평가가 영 좋지 못하며 특히 홀수년도 여름, 가을 이벤트는 매번 대차게 말아먹는 징크스가 있다. 당대 최악의 난이도를 갱신했던 IBS, AL/MI, SN, 유럽과 역대 최악의 부실 보상 이벤트였던 수송작전, 중규모의 탈을 쓴 준 대규모 이벤트였던 레1테 등 역대급 막장으로 손꼽히는 이벤트들이 전부 다 여름 아니면 가을 이벤트였으며 그나마 14년 가을 이벤트였던 혼작전과 16년의 말레이, 3법이 이 징크스를 무난하게 넘긴 편이었다.

여담이지만, 프린츠 오이겐이 14년 가을 이벤트 해역 클리어 보상으로 나온 이래로, 15년부터 진행된 이벤트에는 매번 해외함이 1척 이상은 새로 등장하는 것이 나름의 전통이었으나 17년 겨울 이벤트의 4척이 전부 일본군 소속 함선으로 채워지면서 2년만에 기록이 끊어졌다. 구축함의 경우도 14년 이후 이벤트부터는 단 한번도 신규함에서 빠지지 않은 채 17년 겨울 이벤트까지 기록이 지속되었으나 이후 열린 봄 이벤트에서 처음으로 신규 구축함이 등장하지 않게 되었다.

참고로 칸코레에는 한 번 지나간 이벤트는 다시 진행하지 않는다. 한번 이벤트를 놓치면 보상은 둘째치고 체험조차 할 수 없게 된다. 일부 유저들은 컨텐츠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서 보상이나 한정 드랍 수준을 낮추는 대신, 일정한 간격으로 지난 이벤트의 일부분이라도 다시 해달라는 주장을 하곤 한다.

현재 정규 이벤트는 보통 1달 반 정도로 기간을 잡고 1년에 2번 정도 시행하며, 대략 봄(3~5월)에 하나, 여름~가을(7~9월)에 하나씩 이벤트를 시행하고, 남은 기간에는 정규 이벤트 없이 할로윈(10월), 꽁치(11월), 절분(2월), 장마(6월) 미니 이벤트로 떼우고 있다. 그리고 크리스마스, 새해 등 연말연시(12~1월) 기간에는 보통 기간 한정 임무를 통해 이벤트를 대체하고 있다.

4. 이벤트 팁

4.1. 이벤트 준비

약 1~2달간 진행되는 기간 한정 이벤트를 돌기 위해 사전준비해야 할 것들이다. 보통 이벤트 시작 2주전에 발표가 나며 대략적인 날짜 추측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이때부터라도 준비를 시작하자.

가장 중요한 것은 자원고속수복재. 아무리 칸무스가 다양하고 레벨이 높아도 자원이 없으면 당연히 출격을 할 수 없고, 다른 게임으로 치면 잔기나 다름 없는 고속수복재가 없으면 아무리 자원이 많아도 칸무스들이 대파당했을 때 출격이 몇 시간 지연되며, 특히 전함과 항모는 수리시간이 무려 20~40시간으로 이벤트 기간내에 사실상 운용이 불가능할 정도로 길다. 특히 랜덤성이 강한 게임 특성상 당연히 많은 기회를 가지는 쪽이 유리하다.

무엇보다 이벤트가 얼마남지 않았다면 낭비하지 않는 게 중요하다. 특히 대형함건조를 돌렸다가 이벤트를 말아먹은 사람도 많기 때문. 대표적으로 다이호를 먹어보겠다고 대형함을 돌렸다가 시오이를 못 먹은 시바후가 있다. 야마토, 다이호는 언제든지(?) 얻을 수 있지만, 이벤트 보상 칸무스는 언제 풀릴지 알 수 없다는 것을 알아두자.

4.2. 공략 준비

4.2.1. 공략용 함선 및 장비

4.2.2. 성능상 추천 함선

4.3. 주의해야 하는 사고들

이하는 기간한정 이벤트 중 부주의에 인해서 자주 발생하는 사고들이다. 통상해역에 비해 지속적인 장시간 도전으로 인한 피로감 및 멘탈붕괴로 판단력이 흐려져 나타나는 사고가 대부분이다. 적당히 휴식을 취하면서 게임을 즐기도록 하자.

4.4. 이벤트 관련 전용 지식

4.4.1. 대지특효 장비 일람표

[ 생략된 보정표 및 실제 계산식 펼치기 · 접기 ]
* 승산보정
대상 심해서함 모두
보정타입 캡전보정[a14]
장비수 1 2~
특대발동정+전차 제11연대
특대발동정+1식포전차
1.8
보정타입 캡전보정[a15]
장비수 1 2~
M4A1 DD 1.4
보정타입 캡전보정[a16]
특대발동정+1식포전차 1.3
보정타입 캡전보정[a17]
장갑정(AB정) 무장대발 대발동정
특대발동정
대발동정(89식 중전차&육전대)
특대발동정+1식포전차
특대발동정+전차 제11연대
특 2식 내화정
둘중 1개 장비 둘중 1개 장비 1.2
1 1 1 0 1.32
1 1 0 1 1.44
1 1 2개 이상 장비 1.56
* 가산보정
대상 심해서함 모두
보정타입 캡전보정[b12]
잠수함/잠수항모 30
보정타입 캡전보정[b17]
장갑정(AB정) 무장대발 대발동정
특대발동정
대발동정(89식 중전차&육전대)
특대발동정+1식포전차
특대발동정+전차 제11연대
특 2식 내화정
둘중 1개 장비 둘중 1개 장비 10
1 1 1 0 12
1 1 0 1 13
1 1 2개 이상 장비 15
대상 심해서함 집적지서희
보정타입 캡후보정[b5]
기지항공대 폭격기 100
* 실제 계산식
캡전보정(주간 220, 야간 360) 캡후보정
[{((((((((기초화력+b12)*a13+b13)*a14+b14)*a15+b15)*a16+b16)*a17+b17)+b18) + 특수포보정[26]) *a5+b5) * 크리티컬 - 장갑난수} * 탄약량보정] = 최종데미지

4.4.2. 기지항공대 육공별 특효

표기 뇌장값 실제 뇌장값
전함 항공모함 중순양함 경순/뇌순 구축함 보급함
키102乙改+이호1형乙 유도탄 14 16.2 16.2 16.2(+7) 16.2(-15)
4식중폭 히류(숙련)+이호1형甲 유도탄 17 19.55 19.55 19.55 19.55(+7) 19.55
4식중폭 히류+이호1형甲 유도탄 15 17.25 17.25 17.25 17.25(+7) 17.25(-7)
Do 217 K-2+Fritz-X 16 21
Do 217 E-5+Hs293초기형 13 14.3
B-25 8 11.6~12.1(+28) 11.5~12(+28) 16(+21) 18(+15) 19.6(+15) 11.5~12
폭장1식전 하야부사3형改(65전대) 0 0 0 0 0 25 0
괄호안은 명중률 보정
비교용)
긴가 14, 히류★max 16.2, 노나카대 12, 노나카대★+2 12.9, 22형/34형 11, 34형★max 13.2, 22형★+6 12.7

그외 모든 육공 공통
공모서희에 대해서 3.2~3.4배
전함서희에 대해서 1.65~1.85배 또는 3배 랜덤
계열함들에게는 보정이 없다(전함서희改, 공모하희등)

4.4.3. 연탄소비

연료탄약
공습전6%4%
대잠전8%0%
대잠공습전12%6%
PT전4%8%
개막야전10%10%
개막야전 → 주간전20%30%
개막야전 + PT전4%8%
레이더습격4%0%

참고로 연합 vs 연합간의 전투에선 야간전 이행시 추가로 발생되는 탄약(10%)은 없다.

4.4.4. 경계진

구 검증 버전
진형 위치 공격력 명중 대공 참고
포격 대잠 뇌격 야간전 포격 뇌격 대잠 야간전
4,5척 편성1~2번 0.5 1.0 1.0 0.5 0.8 0.7 1.1 주력함, 기함방어 발동 낮음
3~5번 1.0 0.6 1.0 1.0 1.2 0.9 1.1 경계함, 기함방어 발동 높음
6,7척 편성1~3번 0.5 1.0 1.0 0.5 0.8 0.7 1.1 주력함, 기함방어 발동 낮음
4~7번 1.0 0.6 1.0 1.0 1.2 0.9 1.1 경계함, 기함방어 발동 높음
포격의 위력은 단종진이 1.0, 대잠은 제형진이 1.0을 기준으로 함
명중의 경우 단종진이 포격, 뇌격 1.0

편성수의 중앙함(4,5척 편성일 경우 3번함, 6,7척 편성의 경우 4번함)을 기준으로 상단을 주력함, 하단을 경계함으로 나눈다.
주력함은 포격의 위력과 명중률(80%)이 감소, 대잠의 위력이 증가, 구축함이 아닐경우 회피 약간 상승, 구축함일 경우 회피 상승, 타게팅이 잘 되지 않는다.
중앙함은 포격의 위력과 명중률(125%)이 증가, 대잠의 위력이 감소, 구축함이 아닐경우 회피 약간 상승, 구축함일 경우 회피 상승, 타게팅이 집중된다.
경계함은 포격의 위력과 명중률(125%)이 증가, 대잠의 위력이 감소, 구축함이 아닐경우 회피 상승, 구축함일 경우 회피 매우 크게 상승, 타게팅이 집중된다.
6척 편성 포격전시 타게팅 비율은 기함 1%, 기함을 제외한 주력함 8~9%, 경계함 각각 27~28%
7척 편성 포격전시 타게팅 비율은 기함 1%, 기함을 제외한 주력함 6~7%, 경계함 각각 21~22%
타게팅 비율은 뇌격전,항공전등은 해당되지 않음. 야간전은 주간포격과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특성상 공격이 집중되지만 회피 버프가 상대적으로 적은 중앙함이 취약해진다.

신 검증 버전(2020.7.7) 소스#
추가 검증(2021.1.13) 소스#
주의점: 모수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오차 범위를 고려하면 이후 내용이 5~20%까지 차이가 날수 있음. 4,5,6번함의 경우 오차범위가 5~10% 수준이지만 기함의 경우 공격을 거의 당하지 않았기에 20%까지 차이가 날수 있음을 고려하고 보자.
* 뇌격 회피
구축함의 회피 증가 효과 구축함 이외의 함종의 회피 증가 효과
1번함 15% 15%
2번함 15% 15%
3번함 40% 20%
4번함 50% 45%
5번함 65% 45%
6번함 75% 60%
* 야전 회피
구축함의 회피 증가 효과 구축함 이외의 함종의 회피 증가 효과
1번함 10% 10%
2번함 10% 0%
3번함 10% 0%
4번함 20% 0%
5번함 20% 10%
6번함 20% 15%
야전 회피의 경우 회피 효과가 낮아보이지만 구축함 4,5,6의 경우 게임상에서 허용된 회피캡에 걸렸있을 가능성이 있다. 명중이 높은 심해서함을 상대로 검증시에 더 효과를 볼 가능성도 있다는 의미이다.

4.4.5. PT소귀군 관련 검증

4.4.6. 수송작전


드럼통과 상륙정들을 사용하여 TP를 충족시켜 클리어하는 임무이다.

장비과 편성된 함종의 TP숫자를 모두 합친것이 S승리시의 수송량. 여기에 0.7을 곱한것이 A승리시의 수송량이다. 장비의 강화는 TP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수송지점 도달시 대파되거나 퇴피한 함선과 화물은 계산되지 않는다.
장비S승리A승리함종S승리A승리
드럼통5.03.5구축함5.03.5
대발동정8.05.6연습순양함6.04.2
특대발동정경순양함2.01.4
대발동정(89식 중전차&육전대)항공순양함4.02.8
특대발동정+전차 제11연대항공전함7.04.9
M4A1 DD보급함15.010.5
장갑정(AB정)수상기모함9.06.3
무장대발잠수항모1.00.7
대발동정(II호 전차/북아프리카 사양)잠수모함7.04.9
특대발동정+일식포전차상륙함12.08.4
특2식 내화정2.01.4키누改二10.07.0
전투식량1.00.7
꽁치통조림
전투식량(특별한 주먹밥)
이외의 함종은 TP 0
수송작전을 위한 대발동정을 장비할 수 있는 함선은 다음과 같다.

4.4.7. 난이도

파일:난이도.png
난이도 사령부 레벨 출격 제한 여부 다음 해역 갑 난이도 선택 가능 여부
갑 甲 아주 어려움 80레벨 이상 딱지로 인한 출격 제한 있음 선택 가능
을 乙 어려움 ~ 보통 35레벨 이상 (최종 해역을 제외하고)
딱지로 인한 출격 제한 있음
선택 가능
병 丙 보통 ~ 쉬움 제한 없음 딱지가 붙으나 출격 제한 없음 갑 선택 불가, 을 이하 난이도만 가능
정 丁 무저항
아주 쉬움
제한 없음 딱지가 붙으나 출격 제한 없음 갑 선택 불가, 을 이하 난이도만 가능

4.4.8. 난이도에 따른 대중폭 방공

고고도전투기 편성수
0기 50% 50% 100% 100%
1기 80% 80% 100% 100%
2기 110% 110% 110% 110%
3기 이상 120% 120% 120% 120%
기존에는 병,정 난이도에서도 50%, 80%였으나 2021년 해상호위! 본토 근해항로의 방위 이벤트에서 패치된것으로 추정된다.#

4.4.9. 사령부시설

연합함대 구성시 1함대 기함에 사령부 시설을 장착하면 중간에 대파가 날 경우 2함대 구축함의 호위를 붙여 대피시키는 기능이다. 없어도 상관없지만 대파 회항율을 감소하여 자원소비를 절감할수 있다. 사령부시설의 입수방법은 현재 오요도를 개장하는 것밖에 없다. 평소에 1-6에서 획득할수 있지만 매우 낮은 확률로 드랍로 드랍하기에 추천되지 않는다. 대부분 경우 이벤트가 시작되면 공략하다보면 자연스레 얻는 편이다.
파일:퇴피는 왼쪽.png

4.4.10. 적 연합함대를 상대로 한 전투에서의 야간전 이행 조건

적 연합함대와의 전투에서 야간전을 걸었을때 적의 본대가 아닌 호위함대를 상대하게 되는 조건에 대해 설명

적 호위함대의 기함의 굉침 여부
무피해~대파 = 1
굉침 = 0

적 호위함대 수반함의 손상상태
무피해~소파 = 1
중파 = 0.7
대파~굉침 = 0

여기서 적 기함의 경우 굉침여부와 손상상태를 모두 더한다.
예) 기함 굉침 = 0+0 , 기함 대파 = 1+0 , 기함 중파 = 1+0.7 , 기함 소파 = 1+1

적 호위함대 기함의 굉침 여부+적 호위함대 수반함의 손상상태의 합계의 값이 3이상이라면 호위함대랑 야간전을 치르고 3미만이라면 본대와 야간전을 치르게 된다. 그외엔 주간전에 적의 본대가 전멸했을 경우 조건에 상관없이 호위함대와 야간전을 한다.

하지만 이 계산법도 정확하진 않은지 2차 남방 작전 이벤트에서 몇가지 반례들이 나오고 있다.
2함대 기함 생존, 중파3척 합계 3.1포인트로 2함대와 야전을 해야하지만 본대랑 야전을 한 사례 #
2함대 기함 격파, 무손실 2척, 중파 1척 합계 2.7포인트이지만 2함대와 야전을 한 사례 #

4.4.11. 레이더습격 및 수상전탐

2019년 겨울 이벤트부터 새로 추가된 적 전탐 관제 공격으로 인해 함대에 충분한 수의 수상전탐이 장비되지 않으면 일방적으로 공격당하는 방으로 빠질 수 있다. 일본에서는 이 레이더 관제사격방을 한국마스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이는 이벤트 당시 광개토대왕함이 해자대 P-1에 레이더를 조사하였다는 논란으로 인해 외교적 문제로 비화된 사건을 빗댄 것이다.(#)[35]

해당 관제사격방을 피하기 위하여 장비해야하는 수상전탐은 명칭(대공,대수상전탐)에 관계없이 색적 +5 이상의 전탐을 의미한다.[36] 일본 공략 스레드에서는 해당 대공전탐들이 대수상전탐으로 취급되지 않는다는 낭설이 잠깐 돌았으나 색적 +5 이상이면 무조건 대수상전탐으로 취급하니 안심하고 써도 된다. 특히 소형 양용전탐으로 분류되는 SG나 Mk.37 레이더를 사용하는 경우 주포/주포/대공전탐 조합으로 대공컷인을 사용하는 아키즈키급을 사용해도 수상전탐 장비함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관제공격 마스를 피해가면서 공습전의 피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4.4.12. 정박지 긴급수리


2019년 여름 이벤트부터 추가된 신기능으로 연합함대 상태에서 아카시改나 아키츠시마改를 기용한 상태로 긴급수리가 가능한 정박지 방을 통과할 경우 새로 추가된 소모성 아이템인 긴급수리자재를 소모하여 중파 이하의 파손된 함선의 수리를 실시한다. 수리를 받은 함선은 일시적으로 피로도가 7 회복되어 마미야/이라코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대파는 수리할 수 없으므로 회항하거나 퇴피시켜야 한다.

수리를 하기 위해서는 각 슬롯에 함정수리시설을 장비해야 하며 박지마스에서 아이템의 사용 여부를 물은 후, 사용하기로 하면 각각 다음과 같은 함선을 수리한다.
1슬롯 2슬롯 3슬롯 4슬롯 수리량
아카시 본함대
1~3번함
본함대
4~6번함
호위함대
1~3번함
호위함대
4~6번함
최대 내구도의 30%(반올림)
아키츠시마 호위함대
1~3번함
호위함대
4~6번함
효과 없음 최대 내구도의 25%(반올림)

또한 이벤트의 몇몇 해역에서 긴급수리자재를 지속적으로 퍼주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긴급 수리 자재는 유료 아이템으로 3개(강재 800 포함)에 DMM 포인트 600엔이 들어가는 과금 컨텐츠이므로 무과금을 고수하면서 정말 필요하지 않다고 본다면 아끼는 편이 좋다.

4.4.13. 연합함대 뇌격 버그

아군 연합 vs 적 연합(12vs12)나 아군 통상 vs 적 연합(6vs12)의 폐막 뇌격전때 아군의 뇌격이 적 심해서함에게 먼저 피해를 입힌것으로 판정되어 심해서함 어뢰의 위력이 낮아진다. 예를 들어 손상이 없는 아군 구축함과 적 나급 구축함이 동시에 어뢰를 발사한것처럼 이펙트가 보여도 아군 구축함의 뇌격으로 적 나급이 중파라면 피해가 크게 감소되며 대파~굉침 당했다면 아군 피해는 0 또는 카스다메 된다. 또한 뇌격이 가능한 적대상을 일부함만으로 굉침이 가능한 경우 일부함만 뇌격을 발사하고 아래함선은 발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적 구성이 집적지+포대+수송와급등이 남았으며 아군함 1~6번함이 모두 뇌격이 가능한 상황에서 1~2번함의 뇌격만으로 수송와급이 굉침 판정된다면 3~6번함은 뇌격을 쏘는 이펙트가 나오지 않는다.

5. 종료된 정기 이벤트

6. 함대 컬렉션/이벤트/미니 이벤트

정기 이벤트 사이에 실시하는 미니 이벤트이다. 주로 이벤트 아이템을 모아서 자원이나 장비등을 얻는 이벤트.

해당 문서 참조

7. 기간 한정 드랍

일반 해역에서는 드랍되지 않거나 얻기 힘든 칸무스를 비교적 쉽게 얻을수 있는 기간 한정 이벤트. 내역은 항목 참조.

8. 한정일러 및 보이스

칸코레의 각 시즌별 한정일러 및 보이스 일람.
[10] 사실 서비스 초기인 2013년도까지는 이벤트 난이도가 높은 반면 야마토, 무사시, 시오이 등 이벤트 최종보상의 질이 풍성했으나, 2014년 이벤트를 기점으로 나름대로 끝까지 할 수 없는 유저들을 배려하여 마지막 보상을 안 얻어도 그만인 경순/구축등을 배치해놓고 있기 때문에 굳이 끝까지 클리어하지 않아도 무관했다. 그런데 2015년부터는 레벨 스케일링에서 갑, 을, 병 시스템으로 바뀌어 클리어가 쉬워지면서 최종 보상이 아키즈키급 방공구축함, 아이오와급 전함, 퀸 엘리자베스급 전함 따위의 최고급 보상으로 나오는 비중이 높아졌다.[11] 이벤트에 따라 조금 더 쉬워지거나 반대로 조금 더 까다로워지는 정도의 차이는 있다. 물론 2013년 가을 이벤트나 2016년 봄 이벤트가 노답 난이도라는 평을 듣는 등 예외가 아주 없지는 않다.[12] 수송 + 보스 + 보스 게이지.[13] 해역 클리어 보상 칸무스를 도크가 꽉차서 받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14] 일반 해역에서도 모항에 여유가 있더라도 장비칸에 여유가 없으면 드랍되지 않는다.(칸무스 1척 당 장비칸 4개로 계산)[15] 일본에서 한 유저가 이벤트를 자신의 논리에 맞게 이어붙인 것을 번역한 것이다.[16] 대표적으로 2013년 IBS이벤트의 모티브가 된 과달카날 전투만 봐도 2014년의 이벤트인 MI해역의 모티브가 된 미드웨이 해전보다 역사상으로 나중에 벌어진 일이며, 2016년 겨울이벤트인 례호작전은 레이테 만 해전의 패전 이후에 있었던 작전이다.[17] 단, 기지항공대의 경우 후단 일부 맵에서 진주만 공습 상황을 모티브로 채용했고 2차 말레이 해전의 경우 실제로는 없었던 대잠전 및 수송작전을 첨가해서 IF라고 언급했을 뿐 모티브 자체는 기존의 이벤트들처럼 원 역사의 말레이 해전이다.[18] 연료는 1-3, 탄약은 3-2, 보크사이트는 2-2, 4-3에서 모을 수 있지만 강재 파밍 해역은 없다.[19] 물론 4시간이라 시간당 기대값 자체는 매우 낮지만, 원정 중 유일하게 대성공 없이 양동이를 2개까지 주는 원정이라 장시간 자리를 비울 때 보내기도 한다.[20] 농담같지만 자기가 키운 함대로 당당하게 클리어하길 원하는 유저들도 당연히 있다. 일부 과몰입 갑 난도 유저들 중에는, 우군 함대의 도움을 받는 것 자체를 왠지 운영진한테 지는 느낌이라고 수치스럽게(?) 생각하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 과몰입 외에도 최근 이벤트에서 우군함대는 이벤트 종료 1~2주 전 아주 늦게 풀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기다리기 귀찮고 지루해서 그냥 빨리 깨버리는 유저들도 많다. 우군함대를 노리더라도 최종해역 전까지는 다 깨놓는 사람들도 많다.[21] 최소한 5척의 자리가 필요하다. 장비도 너무 많으면 출격이 불가능해진다.[22] 유라改二, 쿠마改二丁도 선제뇌격이 가능하긴 하나 뇌격 자체의 화력이 약한 편이라 수상전투기를 탑재한 제공 보조용이나 대발동정 수송용 등으로 주로 쓰인다.[23] 장갑을 못 뚫은경우 남은 HP의 일정% 만큼의 소량의 데미지만 들어가게 되는데, 어느 정도 HP가 낮을경우 계산식상 데미지가 0이 되어 공격이 안 통한다. 이 장갑 미관통 데미지로는 절대로 적 함선을 격침시킬 수 없다.[24] 정으로 클리어 했어도 다음 해역에서 을난이도는 선택가능한것으로 보아 한단계씩 상승하는 것은 아닌거같다.[25] 함상폭격기, 수상폭격기, 육상공격기가 해당, 분식강습기는 미검증[26] 경순포와 이탈리아주포 보정[27] 캡후 25.97배, 만약 전부 강화 0일 경우 13.52배로 차이가 크다.[28] 둘다 캡후 17.3배지만 무장대발쪽이 시너지 보정으로 캡전 화력이 약간 높기 때문에 생기는 차이이다. 전부 0강이라면 캡후 9.02배까지 떨어진다[29] 캡후 11.53배, 0강시 6.01배[30] 캡후 10.82배, 0강시 5.64배, 마찬가지로 무장대발에 의한 시너지로 캡전 화력 차이다.[31] 캡후 10.82배, 0강시 5.64배[32] 캡후 9.02배, 0강시 4.7배[33] 통상함대 화력 보정[34] T불리 보정[35] 사건 내용 자체에 대해서는 한일 초계기 갈등 참조[36] 대수상전탐의 명칭을 가진 전탐중엔 색적 +5미만인 전탐이 없지만 대공전탐 명칭이 붙은 일부 전탐들은 색적 +5 이상만 카운트된다. 참고로 일위키에선 최근 해당 전탐들의 분류가 수상・대공(水上・対空)전탐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이 양용전탐들은 시너지 보너스가 있는 장비와 같이 장착하면 대공+수상 보너스를 같이 얻는다는 특징도 있으므로 이를 통해 구분할 수도 있다.[37] 잠수함 전탐은 색적 4 이상이라면 수상전탐 취급된다. https://twitter.com/eddardos/status/1078656835551256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