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7 09:42:40

2023년 나주 시내버스 개편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D4912B><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나주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f> 광역
급행
시내
마을
콜버스 나주콜버스
폐지된 노선은 나주시 시내버스/폐선 문서 참조.
}}}}}}}}} ||


1. 개요2. 개편 전 상황3. 개편 과정4. 추진방향 및 주요 개편 내용5. 개편 후 노선
5.1. 급행버스5.2. 광역버스 (구 간선버스)5.3. 시내버스 (구 지선버스)5.4. 마을버스5.5.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6. 폐지 노선
6.1. 간선버스6.2. 지선버스
7. 노선 조정8. 문제점9. 결과10. 기타

1. 개요

2023년 10월 2일부터 시행된 전라남도 나주시의 시내버스 개편에 대한 문서이다.

문서의 내용 중 대부분은 나주시 홈페이지의 노선개편 안내 페이지에 기반한다. 같은 페이지에서 시민 의견을 접수 중이다.

2. 개편 전 상황

나주시 시내버스 문서의 r377 버전 참조. 대체로 지간선제 시행 이후에도 나주 도심에서 각 읍면 깊숙히 있는 자연마을까지 중형 시내버스가 오고 가다 보니 발생한 비효율과 2014년 조성 시작 이후 10년간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빛가람동의 대중교통 문제를 타개하기 위한 개편이며, 민선 8기 윤병태 시정의 주요 교통 정책 중 하나이다.

3. 개편 과정

4. 추진방향 및 주요 개편 내용

5. 개편 후 노선

2023년 9월 22일 공개된 노선개편 안내에 따라 기술한다.

5.1. 급행버스

5.2. 광역버스 (구 간선버스)

5.3. 시내버스 (구 지선버스)

5.4. 마을버스

마을버스 노선은 나라교통이 운행하여야 하나, 소송과 차량 출고지연으로 인해 나주교통에서 운행하는 중이다.

5.5.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주콜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혁신도시 셔틀버스 요금을 받으며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하고 타 시내버스와 환승도 되기 때문에 시내버스의 범주에 들어간다.

6. 폐지 노선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나주시 시내버스/폐선
,
,
,
,
,

번호만 바뀌는 것이 아니라 개편으로 인해 노선 자체가 폐지되었거나 심하게 바뀐 경우에만 작성한다.[6]

6.1. 간선버스

6.2. 지선버스

100번대에서 600번대 노선은 노선 수 자체는 줄어들었지만 폐지보다는 공통 구간만 시내버스로 유지하고 가지노선을 마을버스로 대체한 것에 가깝고, 거기에 번호만 똑같고 노선이 크게 달라져서 사실상 다른 노선 수준인 노선도 있다. 그렇기에 여기에 모두 서술하면 문서 양이 방대해지므로 서술하지 않는다. 종전 지선 노선들의 정보는 나주시 시내버스/폐선 문서 참조.

7. 노선 조정

8. 문제점

9. 결과

각 읍면 소재지에서 마을버스를 통해 자연마을로 향하도록 환승을 유도하면서 각 버스 노선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게 되었으며, 기존의 농어촌버스 운행패턴을 어느 정도 벗어던졌다. 또한 혁신도시의 교통편도 개편되면서 기존에 버스가 잘 다니지 않던 아파트 단지나 학교[61]의 교통이 개선되고, 금천면, 산포면, 남평읍 등 주변 읍면에서 혁신도시로의 접근성이 좋아지며, 광주로 향하는 간선 노선이 거주지 바로 앞까지 들어가면서 광주 방향의 교통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반대급부로 원도심의 교통 상황은 크게 악화되었으며, 특히 160번의 배차간격이 9~15분에서 15~56분으로 최소 2배에서 최대 4배까지 벌어진 것 때문에 시민들 사이에서 불만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혁신도시에 신설된 광역 노선들도 배차간격은 시궁창이며 그린로 연선과 같이 종전보다 버스 이용이 불편해진 곳도 있고 시계외요금도 원도심보다 비싸게 받는데다가 나주콜버스도 이용 편의성이 완전히 복불복이라[62] 혁신도시 주민들 사이에서도 비판이 나오고 있다. 노선 및 배차간격 추가 조정으로 시민들의 불만 사항이 해결되고 개편이 정착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할 듯하다.

10. 기타

버스는 아니지만 기존 지선버스가 읍면 소재지로 단축되면서 마을버스와 함께 마을택시의 운행도 확대되었다. 기존에는 거주지와 버스 정류장간 거리가 300m 이상이어야 마을택시 이용권을 지급했지만, 개편 후에는 거주지가 아니라 마을회관과 정류장간 거리가 300m 이상인 모든 가구에 이용권을 지급한다. 이용권 갯수도 가구원 수와 상관없이 매월 4매를 지급했었는데, 개편 후에는 1~2인 가구는 4매, 3인 이상 가구에는 6매로 지원을 확대했다.

또한 기존 남평정류장(남평종점)발 노선들이 모두 남평중학교 정류장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1] 2023년 12월, 2차 조정 때 급행01번으로 통합되었다.[2] 개편 전 160번과 대부분 같으며, 모든 회차가 양방향 나주역을 경유한다는 점만 다르다.[3] 종전 999-1번과는 다르게 동신대학교를 경유하지 않으며, 997, 998번과 다르게 산포면소재지 대신 내기리, 남평중학교 대신 남평초교를 경유한다.[4] 혁신도시 및 금천면 코오롱하늘채 순환 노선이다.[5] 나주시내 및 영산포 순환 노선이다.[6] 예컨대 1160번은 대부분 구간이 161번으로 대체되었으나 광주공항~영산포만 왕복하던 노선에서 광주광역시 깊숙히 들어가는 노선으로 성격이 완전히 바뀌어 버렸으므로 작성하지만, 999-1번동신대학교 구간만 빼면 노선이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었으며 번호만 999번으로 바뀌었으므로 작성하지 않는다.[7] 개편 전에 존재했던 노선을 다시 운행한다.[8] 영산포 - 나주 - 금천 - 고동리 - 혁신도시 - 남평농협 - 유성그린 노선으로 변경되었다.[9] 영산포 방향 한정으로 실내체육관을 경유한다.[10] 중도마을 경유로 변경되었다.[11]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대신 산제, 화지 경유로 변경된다.[12] 702번 재신설에 따라 702번과 겹치는 구간이 단축되며, 다도농협을 경유한다.[13] 시내버스 602번으로 변경되었으며, 나주터미널 - 동신대 - 노안사거리 - 남산 - 현애마을 - 감정마을 - 평동역 노선으로 변경되었다.[14] 급행01번으로 통합되었다.[15] 111번으로 변경.[16] 112번으로 변경.[17] 113번으로 변경.[18] 114번으로 변경.[19] 115번으로 변경.[20] 노선 연장 - 12번 : 봉추(수문, 대전2리 제외.)[21] 노선 통합 - 15번 : 성계·석전리[22] 노선 연장 - 11번 : 운산·대각리[23] 노선 통합 - 11번 : 진천·곡천리, 12번 : 수문, 대전2리, 13번 : 화성리[24] 노선 연장 - 13번 : 화성리 제외.
노선 변경 - 순환 노선 적용 및 왕곡 미경유.(공산 → 영산포 직행으로 변경.)
교차 운행 - 덕음1구 방면, 가송리 방면
[25] 노선 변경 - 순환 노선 적용.
노선 연장 - 14번 : 용교 제외.
[26] 노선 통합 - 14번 : 용교, 15번 : 성계·석전리 제외.[27] 노선 변경 - 산포면소재지 경유.
노선 연장 - 나주터미널까지 연장 운행.
[28] 회차지 변경 - 기존 : 봉황면행정복지센터 → 변경 : 봉황농협[29] 노선 변경 - 영산포터미널 미경유, 나주터미널까지 운행. 면허시험장은 운영시간 외 미운행.(탄력 운행으로 변경.)[30] 학생 등교 및 예비군 훈련시간을 반영하여 시간표 변경.[31] 학생 하교시간을 반영하여 시간표 변경.[32] 500번 시간표 변경에 따른 환승 연계시간 변경.[33] 500번 시간표 변경에 따른 환승 연계시간 변경.[34] 노선 변경 - 빛가람전망대 미경유, LH6단지 쪽으로 운행, 광주공항까지 단축 운행.[35] 세지 화동은 410번, 세지 교산은 411번, 세지 식산은 412번으로 변경.[36] 운곡, 철애는 413번, 봉황 덕곡은 415번으로 변경.[37] 415번으로 변경.[38] 502번(다시 신광은 504번)으로 변경.[39] 다시 화동은 503번, 다시 청림은 504번으로 변경.[40] 문평 월계, 방골, 소학은 501번, 문평 신경은 502번으로 변경.[41] 노선 통합 : 400번, 41-1번(세지 화동)[42] 노선 통합 : 401번, 41-1번(세지 교산)[43] 노선 통합 : 401번, 41-1번(세지 식산)[44] 노선 변경 : 402번(다도→봉황, 세지),
노선 통합 : 41-2번(운곡, 철애)
[45] 노선 통합 및 연장 : 402번(다도), 403번(봉황, 영산포)[46] 노선 통합 : 41-2번(봉황 덕곡), 42번[47] 노선 변경 : 403번(영산포→금천, 나주)[48] 노선 연장 : 53번(문평 월계, 방골, 소학)[49] 노선 통합 : 51번(다시 신광 제외.), 53번(문평 신경)[50] 노선 연장 : 52번(다시 화동)[51] 노선 연장 : 52번(다시 청림),
노선 경유 : 51번(다시 신광)
[시간조정] 첫차 및 막차시간 조정으로 인한 시간표 변경[시간조정] [시간조정] [시간조정] [56] 그나마 혁신도시 셔틀버스는 노선이 변경됨에도 불구하고 25~40분으로 종전과 비슷한 배차간격으로 운행하나, 이 노선은 원래부터 배차간격 때문에 말이 많던 노선인데 변화가 없는 것이라 개편 전에도 후에도 이용이 불편하다고 보는 것이 맞다.[57] 나주 원도심은 혁신도시가 생기기 전부터 전적으로 광주에 의지했던 터라 광주행 광역버스의 배차 간격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 그런데 이번 개편은 특히 원도심 인구 밀집 지역인 대호동에 최악의 감차를 선사하였다. 혁신도시가 어느정도 자리 잡았음에도 원도심 인구는 혁신도시가 아니라 광주에 전적으로 의지하는데 광주행 광역버스의 배차 간격을 기존의 3~4배로 만들었으니 불만이 클 수밖에 없다.[58] 물론 혁신도시의 대중교통이 과도하게 형편없었던 것이지, 원도심에서 광주로 향하는 배차가 과분했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지금도 원도심 3만의 인구와 주변 읍면에서 광주로 향하는 수요를 담당하고 있다. 독자 생활권의 시골 촌락에서 타 권역으로 향하는 것도 아니고 오래전부터 여타 광주권 주요 읍면처럼 광주로 향하는 빗자루질 배차가 있었던 곳이다. 광주권 지역으로서 모든 것을 광주에 의존하며 생활했는데 다른 방면의 노선도 아니고 광주로 향하는 버스를 칼질한 것은 문제가 많을 수밖에 없다.[59] 새로 개통된 노선에 필요한 만큼 버스를 순증차하거나 지나치게 중복되는 구간의 경유지를 조정해야 했다.[60] 혁신도시가 어디든 걸어서 갈 수 있다고는 하지만, 원도심과 비교하면 도시 크기가 절대 작지 않다. 원도심은 남북으로 길쭉한 신장형의 도시인데, 이 때문에 동서로 가장 넓은 곳이 기껏해야 2km 정도이며, 대부분 지역에서 1km, 도보 20분 이내로 160번을 비롯한 주요 버스 노선 정류장에 닿을 수 있다. 하지만 혁신도시는 끝에서 끝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에서 이노시티애시앙 사이의 직선거리만 3km나 되며, 원도심에 비해 사다리꼴 모양의 단괴형에 가까운 도시라 외곽에서 중심축까지의 거리가 원도심에서보다 평균적으로 더 멀다. 좌석02번이 다니는 중심축에서 가까운 편인 루멘하임에서 우정사업정보센터까지가 1km, 도보 20분정도 되는데, 빛가람로에서 가장 멀다고 할 수 있는 LH3단지에서 한전KDN까지는 2km, 30분 정도를 잡아야 한다. 이러니 노년층이나 거동이 불편한 주민은 좌석02번 이용이 신체적으로 힘들고, 젊고 건강한 사람도 버스를 타러 나가는 시간이 너무 길어진다는 단점 때문에 상당수가 자가용이나 택시로 빠져버리게 되니 출퇴근 시간대의 교통체증과 대기오염, 생활의 질 하락으로 이어지는 것이다.[61] 특히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62] 배차 시 대기 시간이 10분 안쪽에서 40분 이상까지 들쭉날쭉하며 같은 구간이라도 중간 경유지에 따라 소요시간이 많이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