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15:56:15

425년 로마 내전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투명.png로마의 내란·내전파일:투명.png파일:라바룸.svg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00201><rowcolor=#FAE572> 시대 내란·내전 주체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
로마 공화국
제1차 노예 전쟁 로마 공화국 vs 노예 반란군
제2차 노예 전쟁 로마 공화국 vs 노예 반란군
동맹시 전쟁 로마 공화국 vs 이탈리아 공화국
술라의 내전 파일:Senate_loyalists.png 술라파 vs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마리우스
세르토리우스 전쟁 파일:Senate_loyalists.png 로마 원로원 vs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세르토리우스
제3차 노예 전쟁 로마 공화국 vs 스파르타쿠스
카이사르의 내전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카이사르 vs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폼페이우스
무티나 내전 파일:rome_antony_mon_256.png 안토니우스 vs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로마 원로원
해방자 내전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제2차 삼두정파 vs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해방자
필리피 전투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제2차 삼두정파 vs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해방자
페루시아 내전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옥타비아누스 vs 파일:rome_antony_mon_256.png 루키우스 안토니우스
시칠리아 내전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옥타비아누스 vs 파일:rome_pompey_mon_256.png 섹스투스 폼페이우스
안토니우스-옥타비아누스 내전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옥타비아누스 vs 파일:rome_antony_mon_256.png 안토니우스
악티움 해전 파일:rome_octavian_mon_256.png 옥타비아누스 vs 파일:rome_antony_mon_256.png 안토니우스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라바룸.svg
로마 제국
네 황제의 해 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 베스파시아누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여섯 황제의 해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푸피에누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군인 황제 시대 49년간 황제 18명 vs 갈리아 제국 vs 팔미라 제국
사두정의 내전 막센티우스 · 막시미아누스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갈레리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리키니우스 · 콘스탄티누스 1세
밀비우스 다리 전투 콘스탄티누스 1세 vs 막센티우스
무르사 전투 마그넨티우스 vs 콘스탄티우스 2세
프리기두스 전투 파일:east_roman_mon_256.png 테오도시우스 1세 vs 파일:western_roman_mon_256.png 에우게니우스
425년 로마 내전 파일:east_roman_mon_256.png 테오도시우스 2세 vs 파일:western_roman_mon_256.png 요안네스
파일:라바룸.svg
동로마 제국
니카의 반란 녹색당과 청색당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제6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미하일 2세 vs 슬라브인 토마스
제10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콘스탄티노스 9세 vs 레온 토르니키오스
제16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팔레올로고스 내전 안드로니코스 2세 vs 안드로니코스 3세
요안니스 5세 vs 요안니스 6세
요안니스 5세 vs 안드로니코스 4세
}}}}}}}}}
425년 로마 내전
Roman Civil War of 425
시기 서기 425년
장소 이탈리아
원인 참제 요안네스의 즉위에 대한 동로마 제국의 반발.
교전세력 파일:east_roman_mon_256.png 동로마 제국 파일:western_roman_mon_256.png 서로마 제국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Hun_flag.png 훈족
지휘관 파일:east_roman_mon_256.png 테오도시우스 2세
파일:east_roman_mon_256.png 갈라 플라키디아
파일:east_roman_mon_256.png보나파키우스
파일:east_roman_mon_256.png아스파르
파일:external/wiki.totalwar.com/100px-Visigoth_flag.png 아르다부르
파일:western_roman_mon_256.png 요안네스
파일:western_roman_mon_256.png플라비우스 카스티누스
파일:western_roman_mon_256.png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
병력 10000명 ~ 15000명 15000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피해 규모 불명
결과 서로마 제국의 패배. 요안네스처형.
영향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즉위.

1. 배경

서기 423년 11월 20일, 요안네스의 통치가 시작되었지만, 동로마 제국요안네스를 정통 황제로 인정하지 않았다. 서로마 제국의 총사령관인 플라비우스 카스티누스에 의해 옹립된 요안네스동로마 궁정은 참제로 간주했다. 이에 반기를 든 보나파키우스는 북아프리카에서 요안네스에 대한 반란을 일으킨다.

2. 진행

동-서 갈등이 심화되고 있을 때, 424년 테오도시우스 2세는 조카 발렌티니아누스 3세서로마 제국의 황제로 인정하면서 본격적인 내전의 시작되었다. 보나파키우스가 이탈리아남부에서 공격을 개시했고 요안네스아이티우스로 하여금 훈족에 원병을 요청하게 했다.

테오도시우스 2세훈족의 증원군이 도착하기 전 공격을 개시했고 아르다부르와 아스파르가 각각 육로와 해로로 이탈리아를 공격했다.

아퀼레이아가 아르다부르에게 점령당하면서 아스파르와 공동작전을 펼치며 서로마 제국군을 공격했다. 아르다부르는 전투 도중, 요안네스에게 포로로 잡혔지만 역으로 서로마 장교들을 설득하여 요안네스에 대한 반란을 일으키도록 사주했고 요안네스는 라벤나에서 사로잡혔다.

3. 결과

포로로 잡힌 요안네스는 425년 5월 참수당했고, 아이티우스아스파르와 짧은 교전을 벌인 후 상호간에 협정을 맺었고 발렌티니아누스 3세서로마 제국의 황제로 즉위하면서 내전은 종식되었다.

당시 서로마군의 총사령관이었던 플라비우스 카스티누스는 직위에서 해임된 후 추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