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13:41:58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원수정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아우구스투스 | 티베리우스 | 가이우스(칼리굴라) | 클라우디우스 | 네로
네 황제의 해 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플라비우스 왕조 베스파시아누스 | 티투스 | 도미티아누스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네르바 | 트라야누스 | 하드리아누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 | 공동 즉위 루키우스 베루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콤모두스
비정통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세베루스 왕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공동 즉위 게타 · 카라칼라
- 마크리누스 · 디아두메니아누스
세베루스 왕조 엘라가발루스 |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군인 황제 시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공동 즉위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공동 즉위 푸피에누스(막시무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 필리푸스 아라부스 · 필리푸스 2세 | 데키우스 | 공동 통치 데키우스 ·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 공동 즉위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호스틸리아누스 · 볼루시아누스 | 아이밀리아누스 | 공동 즉위 발레리아누스 · 갈리에누스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 퀸틸루스 | 아우렐리아누스 | 타키투스 | 플로리아누스 | 프로부스 | 카루스 | 공동 즉위 누메리아누스 · 카리누스
비정통 스폰시아누스 · 실반나쿠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
- 카리누스 · 디오클레티아누스
서방 동방
양두정치 막시미아누스 양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사두정치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막센티우스 | 2차 재위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누스 1세 사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리키니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공동 즉위 콘스탄티누스 2세 · 콘스탄스
비정통 마그넨티우스 · 율리우스 네포티아누스 · 베트라니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 요비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서방 동방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 그라티아누스 | 발렌티니아누스 2세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스
비정통 프로코피우스
비정통 에우게니우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마그누스 막시무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통일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서방 동방
테오도시우스 왕조 호노리우스 | 콘스탄티우스 3세 | 발렌티니아누스 3세
비정통 히스파니아의 막시무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르카디우스 | 테오도시우스 2세 | 마르키아누스
비정통 콘스탄티누스 3세 · 프리스쿠스 아탈루스 · 요안네스
최후의 순간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아비투스 | 마요리아누스 | 리비우스 세베루스 | 안테미우스 | 올리브리우스 | 글리케리우스 | 율리우스 네포스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레오 왕조 레오 1세 | 레오 2세 | 제노 | 바실리스쿠스 · 마르쿠스 | 2차 재위 제노
동방
레오 왕조 2차 재위 제노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유스티누스 1세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유스티누스 2세 | 티베리우스 2세 | 마우리키우스 · 테오도시우스
- 포카스
이라클리오스 왕조 이라클리오스 | 공동 즉위 콘스탄티노스 3세 · 이라클로나스 · 다비드 티베리오스 | 콘스탄스 2세 · 콘스탄티노스 4세 · 이라클리오스 · 티베리오스 | 유스티니아노스 2세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2차 재위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이사브리아 왕조 레온 3세 | 콘스탄티노스 5세 | 아르타바스도스 · 니키포로스 | 2차 재위 콘스탄티노스 5세 | 레온 4세 | 콘스탄티노스 6세 | 이리니
니키포로스 왕조 니키포로스 1세 | 스타브라키오스 | 미하일 1세 랑가베스 · 테오필락토스 · 스타브라키오스
- 레온 5세 · 콘스탄티노스
아모리아 왕조 미하일 2세 | 테오필로스 | 미하일 3세
마케도니아 왕조 바실리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 레온 6세 | 알렉산드로스 2세 | 콘스탄티노스 7세 | 로마노스 1세 · 흐리스토포로스 레카피노스 · 스테파노스 레카피노스 · 콘스탄티노스 레카피노스 | 로마노스 2세 | 니키포로스 2세 | 요안니스 1세 | 바실리오스 2세 | 콘스탄티노스 8세 | 로마노스 3세 | 미하일 4세 | 미하일 5세 | 공동 즉위 조이 · 테오도라 | 콘스탄티노스 9세 | 2차 재위 테오도라
- 미하일 6세
콤니노스 왕조 이사키오스 1세
두카스 왕조 콘스탄티노스 10세 | 미하일 7세 · 콘스탄티오스 두카스 ·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로마노스 4세 · 레온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3세
콤니노스 왕조 알렉시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요안니스 2세 · 알렉시오스 콤니노스 | 마누일 1세 | 알렉시오스 2세 | 안드로니코스 1세
앙겔로스 왕조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3세 | 2차 재위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4세 | 알렉시오스 5세
니케아
라스카리스 왕조 테오도로스 1세 | 요안니스 3세 | 테오도로스 2세 | 요안니스 4세 | 미하일 8세
비정통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동방
팔레올로고스 왕조 미하일 8세 | 안드로니코스 2세 | 미하일 9세 | 안드로니코스 3세 |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요안니스 6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안드로니코스 4세 · 요안니스 7세 | 3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7세 · 안드로니코스 5세 | 4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 요안니스 8세 | 콘스탄티노스 11세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742em; letter-spacing: -0.35px"
{{{#!wiki style=""<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라틴어 문구 색상 범례
  • ignotus: 불명
황제 겸 집정관 }}}
101년 101년 보결 101년 보결 101년 보결 101년 보결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네르바 트라야누스 아우구스투스 섹스투스 아티우스 수부라누스 아이밀리아누스 가이우스 세르토리우스 브로쿠스 퀸투스 세르바이우스 인노켄스 […]us 프로쿨루스 루키우스 아룬티우스 스텔라
퀸투스 아르티쿨레이우스 파이투스 마르쿠스 마이키우스 켈레르 ignotus 루키우스 율리우스 마리누스 카이킬리우스 심플렉스
102년 102년 보결 102년 보결 102년 보결 103년
루키우스 율리우스 우르수스 세르비아누스 티투스 디디우스 세쿤두스 루키우스 안토니우스 알부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네르바 트라야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수라 루키우스 파비우스 유스투스 루키우스 푸블릴리우스 켈수스 마르쿠스 유니우스 호물루스 마니우스 라베리우스 막시무스
103년 보결 103년 보결 103년 보결 103년 보결 104년
퀸투스 글리티우스 아틸리우스 아그리콜라 푸블리우스 메틸리우스 네포스 [마르쿠스 플라비우스 Ap]er (A)nnius 멜라 섹스투스 아티우스 수부라누스 아이밀리아누스
퀸투스 바이비우스 마케르 가이우스 트레보니우스 프로쿨루스 메티우스 모데스투스 푸블리우스 칼푸르니우스 마케르 카울리우스 루푸스 마르쿠스 아시니우스 마르켈루스
104년 보결 105년 105년 보결 105년 보결 105년 보결
섹스투스 수브리우스 덱스테르 코르넬리우스 프리스쿠스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칸디두스 마리우스 켈수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 바수스 마르쿠스 비토리우스 마르켈루스
그나이우스 C[…]ius 파울루스 카이소니아누스 가이우스 안티우스 아울루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 그나이우스 아프라니우스 덱스테르 퀸투스 카일리우스 호노라투스 가이우스 카이킬리우스 스트라보
106년 106년 보결 107년 107년 보결 107년 보결
루키우스 케이오니우스 콤모두스 루키우스 미니키우스 나탈리스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수라 (루키우스 또는 마르쿠스) 아킬리우스 루푸스 가이우스 미니키우스 푼다누스
섹스투스 베툴레누스 키비카 케리알리스 퀸투스 리키니우스 실바누스 그라니아누스 콰드로니우스 프로쿨루스 퀸투스 소시우스 세네키오 가이우스 베텐니우스 세베루스
107년 보결 108년 108년 보결 108년 보결 109년
가이우스 율리우스 롱기누스 아피우스 안니우스 트레보니우스 갈루스 푸블리우스 아일리우스 하드리아누스 퀸투스 폼페이우스 팔코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팔마 프론토니아누스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파울리누스 마르쿠스 아피우스 브라두아 마르쿠스 트레바티우스 프리스쿠스 마르쿠스 티티우스 루스트리쿠스 브루티아누스 푸블리우스 칼비시우스 툴루스 루소
109년 보결 109년 보결 109년 보결 110년 110년 보결
루키우스 안니우스 라르구스 그나이우스 안토니우스 푸스쿠스 가이우스 아부르니우스 발렌스 마르쿠스 페두카이우스 프리스키누스 가이우스 아비디우스 니그리누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 필로파푸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프로쿨루스 세르비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살비디에누스 오르피투스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아퀼라 폴레마이아누스
110년 보결 110년 보결 111년 111년 보결 111년 보결
루키우스 카틸리우스 세베루스 율리아누스 클라우디우스 레기누스 아울루스 라르키우스 프리스쿠스 가이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티투스 아비디우스 퀴에투스 루키우스 옥타비우스 크라수스
가이우스 에루키아누스 실로 섹스투스 마르키우스 호노라투스 마르쿠스 베티우스 볼라누스 루키우스 에기우스 마룰루스 푸블리우스 코엘리우스 아폴리나리스
112년 112년 보결 112년 보결 112년 보결 112년 보결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네르바 트라야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루소 그나이우스 피나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세베루스 푸블리우스 스테르티니우스 콰르투스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티투스 섹스티우스 코르넬리우스 아프리카누스 루키우스 뭄미우스 니게르 퀸투스 발레리우스 베게투스 티투스 율리우스 막시무스 만리아누스 브로쿠스 세르빌리아누스 티투스 세티디우스 피르무스
113년 113년 보결 113년 보결 113년 보결 114년
루키우스 푸블릴리우스 켈수스 세르비우스 코르넬리우스 돌라벨라 메틸리아누스 폼페이우스 마르켈루스 루키우스 스테르티니우스 노리쿠스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우르비쿠스 퀸투스 닌니우스 하스타
가이우스 클로디우스 크리스피누스 루키우스 파디우스 루피누스 티투스 셈프로니우스 루푸스 푸블리우스 마닐리우스 보피스쿠스 비키닐리아누스
114년 보결 114년 보결 115년 115년 보결 115년 보결
가이우스 클로디우스 눔무스 루키우스 헤디우스 루푸스 롤리아누스 아비투스 루키우스 빕스타누스 메살라 루키우스 율리우스 프루기
루키우스 카이센니우스 소스페스 마르쿠스 메시우스 루스티쿠스 마르쿠스 페도 베르길리아누스 티투스 스타틸리우스 막시무스 세베루스 하드리아누스 푸블리우스 유벤티우스 켈수스 티투스 아우피디우스 호에니우스 세베리아누스
115년 보결 116년 116년 보결 116년 보결 116년 보결
마르쿠스 폼페이우스 마크리누스 네오스 테오파네스 루키우스 푼다니우스 라미아 아일리아누스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세쿤두스 데키무스 테렌티우스 겐티아누스 루키우스 스타티우스 아퀼라
티투스 비비우스 바루스 섹스투스 카르미니우스 베투스 마르쿠스 에그나티우스 마르켈리누스 루키우스 Co[…] 가이우스 율리우스 알렉산데르 베레니키아누스
117년 117년 보결 117년 보결 118년 118년 보결
퀸투스 아퀼리우스 니게르 루키우스 코소니우스 갈루스 ignotus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트라야누스 하드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레빌루스 아프로니아누스 푸블리우스 아프라니우스 플라비아누스 그나이우스 미니키우스 파우스티누스 그나이우스 페다니우스 푸스쿠스 살리나토르 벨리키우스 테바니아누스
118년 보결 118년 보결 119년 119년 보결 119년 보결
루키우스 폼포니우스 바수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트라야누스 하드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파키우스 실바누스 퀸투스 코레디우스 갈루스 가르길리우스 안티쿠스
가이우스 움미디우스 콰드라투스 티투스 사비니우스 바르바루스 푸블리우스 다수미우스 루스티쿠스 아울루스 플라토리우스 네포스 퀸투스 비비우스 갈루스
119년 보결 120년 120년 보결 120년 보결 121년
가이우스 헤렌니우스 카펠라 루키우스 카틸리우스 세베루스 율리아누스 클라우디우스 레기누스 가이우스 퀸크티우스 케르투스 포블리키우스 마르켈루스 가이우스 아르미니우스 갈루스 마르쿠스 안니우스 베루스
루키우스 코엘리우스 루푸스 티투스 아우렐리우스 풀부스 보이오니우스 아리우스 안토니누스 티투스 루틸리우스 프로핀쿠스 가이우스 아틸리우스 세라누스 그나이우스 아리우스 아우구르
121년 보결 121년 보결 121년 보결 122년 122년 보결
마르쿠스 헤렌니우스 파우스투스 티투스 폼포니우스 안티스티아누스 푸니술라누스 베토니아누스 마르쿠스 스타토리우스 세쿤두스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아비올라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칸디두스 카피토
퀸투스 폼포니우스 마르켈루스 루키우스 폼포니우스 실바누스 루키우스 셈프로니우스 메룰라 아우스피카투스 루키우스 코렐리우스 네라티우스 판사 루키우스 비트라시우스 플라미니누스
122년 보결 123년 123년 보결 123년 보결 124년
가이우스 트레비우스 막시무스 퀸투스 아르티쿨레이우스 파이티누스 티투스 프리페르니우스 게미누스 티투스 살비우스 루피누스 미니키우스 오피미아누스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
티투스 칼레스트리우스 티로 오르비우스 스페라투스 루키우스 베눌레이우스 아프로니아누스 옥타비우스 프리스쿠스 푸블리우스 메틸리우스 세쿤두스 그나이우스 센티우스 아부르니아누스 가이우스 벨리키우스 플라쿠스 토르콰투스 테바니아누스
124년 보결 124년 보결 125년 125년 보결 126년
아울루스 라르키우스 마케도 가이우스 율리우스 갈루스 마르쿠스 롤리우스 파울리누스 데키무스 발레리우스 아시아티쿠스 사투르니누스 퀸투스 베티나 베루스 마르쿠스 안니우스 베루스
푸블리우스 두케니우스 베레스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루키우스 티티우스 에피디우스 아퀼리누스 푸블리우스 루키우스 코스코니아누스 가이우스 에기우스 암비불루스
126년 보결 126년 보결 127년 127년 보결 127년 보결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프로핀쿠스 루키우스 쿠스피우스 카메리누스 티투스 아틸리우스 루푸스 티티아누스 푸블리우스 툴리우스 바로 퀸투스 티네이우스 루푸스
가이우스 사이니우스 세베루스 마르쿠스 가비우스 스퀼라 갈리카누스 [데키무스] 유니우스 파이투스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켈레르 네포스
127년 보결 128년 128년 보결 128년 보결 128년 보결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윤쿠스 루키우스 노니우스 칼푸르니우스 토르콰투스 아스프레나스 루키우스 카이센니우스 안토니누스 마르쿠스 유니우스 메티우스 루푸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섹스투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마르쿠스 안니우스 리보 퀸투스 폼포니우스 마테르누스 마르쿠스 [유니우스 호물루스]
128년 보결 129년 129년 보결 130년 130년 보결
아울루스 에그릴리우스 플라리아누스 푸블리우스 유벤티우스 켈수스 티투스 아우피디우스 호에니우스 세베리아누스 퀸투스 파비우스 카툴리누스 카시우스 아그리파 (또는 아그리피누스)
퀸투스 [플라니우스 사르두스 바리우스 암비불루스] 루키우스 네라티우스 마르켈루스 퀸투스 율리우스 발부스 마르쿠스 플라비우스 아페르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콰르티누스
131년 131년 보결 132년 132년 보결 133년
세르기우스 옥타비우스 라이나스 폰티아누스 루키우스 파비우스 갈루스 가이우스 유니우스 세리우스 아우구리누스 가이우스 아킬리우스 프리스쿠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히베루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루피누스 퀸투스 파비우스 율리아누스 가이우스 트레비우스 세르기아누스 아울루스 카시우스 아리아누스 푸블리우스 뭄미우스 시센나
133년 보결 133년 보결 134년 134년 보결 134년 보결
퀸투스 플라비우스 테르툴루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아티쿠스 헤로데스 루키우스 율리우스 우르수스 세르비아누스 티투스 하테리우스 네포스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판사
퀸투스 유니우스 루스티쿠스 푸블리우스 수페나스 베루스 티투스 비비우스 바루스 루키우스 아티우스 마르코
135년 135년 보결 135년 보결 136년 137년
루키우스 투틸리우스 루페르쿠스 폰티아누스 마르쿠스 쿠티우스 프리스쿠스 메시우스 루스티쿠스 아이밀리우스 파푸스 아리우스 프로쿨루스 율리우스 켈수스 푸블리우스 루틸리우스 파비아누스 루키우스 케이오니우스 콤모두스 루키우스 아일리우스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칼푸르니우스 아틸리아누스 (아티쿠스 루푸스) 루키우스 부르불레이우스 옵타투스 리가리아누스 그나이우스 파피리우스 아일리아누스 아이밀리우스 투스킬루스 섹스투스 베툴레누스 키비카 폼페이아누스 푸블리우스 코엘리우스 발비누스 비불리우스 피우스
138년 138년 보결 138년 보결 139년 139년 보결
카누스 유니우스 니게르 마르쿠스 빈디우스 베루스 푸블리우스 카시우스 세쿤두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티투스 아일리우스 하드리아누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피우스 루키우스 미니키우스 나탈리스 콰드로니우스 베루스
가이우스 폼포니우스 카메리누스 푸블리우스 팍투메이우스 클레멘스 마르쿠스 노니우스 무키아누스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프라이센스 루키우스 풀비우스 루스티쿠스 루키우스 클라우디우스 프로쿨루스
139년 보결 139년 보결 140년 140년 보결 140년 보결
ignotus 마르쿠스 케키우스 유스티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티투스 아일리우스 하드리아누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피우스 퀸투스 안토니우스 이사우리쿠스 율리우스 크라시페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스카풀라 가이우스 율리우스 바수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이사르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플라쿠스 ignotus
140년 보결 141년 141년 보결 141년 보결 141년 보결
마르쿠스 바르비우스 아이밀리아누스 티투스 호에니우스 세베루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피시바누스 티투스 카이세르니우스 스타티아누스 루키우스 안니우스 파비아누스
티투스 플라비우스 율리아누스 마르쿠스 페두카이우스 스틀로가 프리스키누스 (라르키우스) 레피두스 ignotus ignotus
142년 142년 보결 142년 보결 142년 보결 142년 보결
루키우스 쿠스피우스 팍투메이우스 루피누스 루키우스 그라니우스 카스투스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프론토 루키우스 투시디우스 캄페스테르 [술피키우스] 율리아누스
루키우스 스타티우스 콰드라투스 티베리우스 유니우스 율리아누스 가이우스 라베리우스 프리스쿠스 퀸투스 코르넬리우스 세네키오 안니아누스 티투스 율리우스 카스투스
143년 143년 보결 144년 144년 보결 144년 보결
가이우스 벨리키우스 플라쿠스 토르콰투스 퀸투스 유니우스 칼라무스 루키우스 헤디우스 루푸스 롤리아누스 아비투스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카루스 ignotus
루키우스 비불리우스 히파르쿠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아티쿠스 헤로데스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유니아누스 티투스 스타틸리우스 막시무스 퀸투스 에그릴리우스 플라리아누스 퀸투스 라베리우스 리키니아누스
144년 보결 145년 145년 보결 145년 보결 145년 보결
루키우스 마르키우스 켈레르 마르쿠스 칼푸르니우스 롱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티투스 아일리우스 하드리아누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피우스 루키우스 플라우티우스 라미아 실바누스 그나이우스 아리우스 코르넬리우스 프로쿨루스 퀸투스 무스티우스 프리스쿠스
데키무스 벨리우스 피두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이사르 루키우스 포블리콜라 프리스쿠스 데키무스 유니우스 (파이투스) 마르쿠스 폰티우스 라일리아누스
145년 보결 145년 보결 146년 146년 보결 146년 보결
루키우스 페트로니우스 사비누스 가이우스 파디우스 루푸스 섹스투스 에루키우스 클라루스 퀸투스 리키니우스 모데스티누스 (섹스투스) 아티우스 라베오 푸블리우스 뭄미우스 시센나 루틸리아누스
가이우스 비크리우스 루푸스 푸블리우스 비크리우스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아라비아누스 티투스 프리페르니우스 파이투스 로시아누스 노니우스 아그리콜라 가이우스 라베오 테티우스 게미누스
146년 보결 146년 보결 146년 보결 147년 147년 보결
그나이우스 테렌티우스 호물루스 유니오르 퀸투스 보코니우스 삭사 피두스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롱구스 가이우스 울피우스 파카투스 프라스티나 메살리누스 아울루스 클라우디우스 카락스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갈루스 가이우스 안니아누스 베루스 퀸투스 코르넬리우스 프로쿨루스 루키우스 안니우스 라르구스 퀸투스 푸피키우스 코르누투스
147년 보결 147년 보결 147년 보결 148년 148년 보결
쿠프레세누스 갈루스 섹스투스 코케이우스 세베리아누스 호노리누스 루키우스 옥타비우스 코르넬리우스 푸블리우스 살비우스 율리아누스 아이밀리아누스 사티리우스 피르무스
퀸투스 코르넬리우스 콰드라투스 티베리우스 리키니우스 카시우스 카시아누스 가이우스 포필리우스 카루스 페도 가이우스 벨리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토르콰투스 가이우스 살비우스 카피토
148년 보결 148년 보결 149년 149년 보결 150년
루키우스 코엘리우스 페스투스 가이우스 파비우스 아그리피누스 루키우스 세르기우스 살비디에누스 스키피오 오르피투스 퀸투스 파시에누스 리키누스 마르쿠스 가비우스 스퀼라 갈리카누스
푸블리우스 오르피디우스 세네키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제노 퀸투스 폼페이우스 소시우스 프리스쿠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아비투스 섹스투스 카르미니우스 베투스
150년 보결 150년 보결 150년 보결 151년 151년 보결
[…]mus 마르쿠스 카시우스 아폴리나리스 가이우스 쿠르티우스 유스투스 섹스투스 퀸틸리우스 콘디아누스 마르쿠스 코미니우스 세쿤두스
가이우스 La[berius 프리스쿠스] 마르쿠스 페트로니우스 마메르티누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율리아누스 섹스투스 퀸틸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루키우스 아티디우스 코르넬리아누스
152년 152년 보결 152년 보결 152년 보결 153년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세베루스 푸블리우스 수페나스 [베루스] 가이우스 노비우스 프리스쿠스 푸블리우스 클루비우스 막시무스 파울리누스 루키우스 풀비우스 루스티쿠스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프라이센스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호물루스 루키우스 다수미우스 툴리우스 투스쿠스 루키우스 율리우스 로물루스 마르쿠스 세르빌리우스 실라누스 아울루스 유니우스 루피누스
153년 보결 153년 보결 153년 보결 154년 154년 보결
섹스투스 카이킬리우스 막시무스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아페르 가이우스 카티우스 마르켈루스 루키우스 아일리우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프리페르니우스] 파이투스
마르쿠스 폰티우스 사비누스 마르쿠스 세다티우스 세베리아누스 울리우스 아케르 메틸리우스 네포스 루피누스 티베리우스 루틸리아누스 켄소르 퀸투스 페티에디우스 갈루스 티투스 섹스티우스 라테라누스 마르쿠스 노니우스 마크리누스
154년 보결 154년 보결 154년 보결 155년 155년 보결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에트루스쿠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아누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스타티우스 세베루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가이우스 아우피디우스 빅토리누스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윤쿠스] 섹스투스 칼푸르니우스 아그리콜라 티투스 유니우스 세베루스 마르쿠스 유니우스 루피누스 사비니아누스 마르쿠스 가비우스 …
155년 보결 155년 보결 156년 156년 보결 156년 보결
안티우스 폴리오 [데키무스 루필리우스] 세베루스 마르쿠스 케이오니우스 실바누스 아울루스 아빌리우스 우리나티우스 콰드라투스 퀸투스 카누시우스 프라이네스티누스
미니키우스 오피미아누스 루키우스 율리우스 티투스 스타틸리우스 세베루스 가이우스 세리우스 아우구리누스 스트라보 아이밀리아누스 가이우스 루시우스 스파르수스
157년 157년 보결 157년 보결 157년 보결 158년
마르쿠스 베툴레누스 키비카 바르바루스 루키우스 로스키우스 아일리아누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콤모두스 오르피티아누스 퀸투스 빌리우스 프로쿨루스 (또는 퀸투스 비리우스 라르키우스 술피키우스) 섹스투스 술피키우스 테르툴루스
마르쿠스 메틸리우스 아퀼리우스 레굴루스 네포스 볼루시우스 토르콰투스 프론토 그나이우스 파피리우스 아일리아누스 가이우스 카일리우스 세쿤두스 퀸투스 […]binus 퀸투스 티네이우스 사케르도스 클레멘스
158년 보결 158년 보결 159년 159년 보결 159년 보결
마르쿠스 세르빌리우스 파비아누스 막시무스 퀸투스 폼포니우스 무사 플라우티우스 퀸틸루스 마르쿠스 피시바니우스 레피두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덱스테르
퀸투스 얄리우스 바수스 루키우스 카시우스 유베날리스 마르쿠스 스타티우스 프리스쿠스 리키니우스 이탈리쿠스 루키우스 마투키우스 푸스키누스 ignotus
159년 보결 160년 160년 보결 160년 보결 160년 보결
아울루스 쿠르티우스 크리스피누스 아피우스 안니우스 아틸리우스 브라두아 아울루스 플라토리우스 네포스 칼푸르니아누스 [가이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가이우스 프라스티나 파카투스
ignotus 티투스 클로디우스 비비우스 바루스 마르쿠스 포스투미우스 페스투스 […] 플라부스 마르쿠스 켄소리우스 파울루스
160년 보결 160년 보결 161년 161년 보결 161년 보결
티베리우스 오클라티우스 세베루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이사르 마르쿠스 안니우스 리보 가이우스 율리우스 게미누스 카펠리아누스
[퀸투스] 닌니우스 하스티아누스 [… N]ovius 사비니아누스 루키우스 아일리우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퀸투스 카무리우스 누미시우스 유니오르 티투스 플라비우스 보에투스
162년 162년 보결 162년 보결 162년 보결 163년
퀸투스 유니우스 루스티쿠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파울리누스 데키무스 폰테이우스 프론티니아누스 루키우스 스테르티니우스 루푸스 마르쿠스 인스테이우스 비티니쿠스 마르쿠스 폰티우스 라일리아누스
루키우스 티티우스 플라우티우스 아퀼리누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 ignotus ignotus 아울루스 유니우스 파스토르 루키우스 카이센니우스 소스페스
164년 164년 보결 165년 166년 166년 보결
마르쿠스 폼페이우스 마크리누스 티베리우스 하테리우스 사투르니누스 마르쿠스 가비우스 오르피투스 퀸투스 세르빌리우스 푸덴스 마르쿠스 비비우스 리베랄리스
푸블리우스 유벤티우스 켈수스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아비투스 루키우스 아리우스 푸덴스 루키우스 푸피디우스 폴리오 푸블리우스 마르티우스 베루스
167년 167년 보결 168년 168년 보결 169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베루스 아우구스투스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덴틸리아누스 루키우스 베눌레이우스 아프로니아누스 옥타비우스 프리스쿠스 퀸투스 툴리우스 막시무스 퀸투스 폼페이우스 세네키오 소시우스 프리스쿠스
마르쿠스 움미디우스 콰드라쿠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팔라스 루키우스 세르기우스 파울루스 ignotus 푸블리우스 코엘리우스 아폴리나리스
170년 170년 보결 171년 172년 172년 보결
가이우스 에루키우스 클라루스 티투스 호에니우스 세베루스 티투스 스타틸리우스 세베루스 세르비우스 칼푸르니우스 스키피오 오르피투스 가이우스 모디우스 유스투스
마르쿠스 가비우스 코르넬리우스 케테구스 ignotus 루키우스 알피디우스 헤렌니아누스 섹스투스 퀸틸리우스 막시무스 ignotus
173년 174년 174년 보결 175년 175년 보결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갈루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마케르 사투르니누스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푸블리우스 헬비우스 페르티낙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 퀸투스 볼루시우스 플라쿠스 코르넬리아누스 ignotus 푸블리우스 살비우스 율리아누스 마르쿠스 디디우스 세베루스 율리아누스
176년 177년 178년 179년 179년 보결
티투스 폼포니우스 프로쿨루스 비트라시우스 폴리오 루키우스 아일리우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카이사르 세르비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살비디에누스 오르피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아일리우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아우구스투스 티투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아누스
마르쿠스 플라비우스 아페르 마르쿠스 페두카이우스 플라우티우스 퀸틸루스 데키무스 벨리우스 루푸스 (율리아누스) 푸블리우스 마르티우스 베루스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윤쿠스
179년 보결 180년 181년 182년 182년 보결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파우스티누스 루키우스 풀비우스 루스티쿠스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프라이센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페트로니우스 수라 마메르티누스 (아우렐리아누스)
루키우스 율리우스 프로쿨리아누스 섹스투스 퀸틸리우스 콘디아누스 루키우스 안티스티우스 부루스 퀸투스 티네이우스 루푸스 (루키우스 아티디우스) 코르넬리아누스
183년 183년 보결 183년 보결 183년 보결 184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투틸리우스 폰티아누스 겐티아누스 마르쿠스 헤렌니우스 세쿤두스 티투스 팍투메이우스 마그누스 루키우스 코소니우스 에기우스 마룰루스
가이우스 아우피디우스 빅토리누스 ignotus 마르쿠스 에그나티우스 포스투무스 루키우스 셉티미우스 플라쿠스 그나이우스 파피리우스 아일리아누스
184년 보결 185년 186년 186년 보결 186년 보결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빈덱스 트리아리우스 마테르누스 라스키비우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노비우스 루푸스 가이우스 사부키우스 마이오르 카이킬리아누스
카시우스 아프로니아누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쿠스 아피우스 아틸리우스 브라두아 레길루스 아티쿠스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 루키우스 안니우스 라부스 발레리우스 세네키오
187년 188년 189년 189년 보결 190년
루키우스 브루티우스 퀸티우스 크리스피누스 푸블리우스 세이우스 푸스키아누스 둘리우스 실라누스 세베루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로스키우스 아일리아누스 파쿨루스 마르쿠스 세르빌리우스 실라누스 퀸투스 세르빌리우스 실라누스 비텔리우스 마르쿠스 페트로니우스 수라 셉티미아누스
190년 보결 191년 192년 193년 193년 보결
루키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포필리우스 페도 아프로니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아일리우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아우구스투스 퀸투스 폼페이우스 소시우스 팔코 퀸투스 티네이우스 사케르도스
아풀레이우스 루피누스 (또는 아툴레누스)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브라두아 마우리쿠스 푸블리우스 헬비우스 페르티낙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에루키우스 클라루스 비비아누스 푸블리우스 율리우스 스카풀라 프리스쿠스
193년 보결 193년 보결 193년 보결 194년 194년 보결
마르쿠스 실리우스 메살라 루키우스 율리우스 메살라 루틸리아누스 루키우스 파비우스 킬로 셉티미누스 카티니우스 아킬리아누스 레피두스 풀키니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페르티낙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가비니우스 바르바루스 폼페이아누스
ignotus 가이우스 아이밀리우스 세베루스 칸타브리누스 데키무스 클로디우스 셉티미우스 알비누스 카이사르 ignotus
195년 196년 197년 198년 198년 보결
푸블리우스 율리우스 스카풀라 테르툴루스 프리스쿠스 가이우스 도미티우스 덱스테르 티투스 섹스티우스 마기우스 라테라누스 푸블리우스 마르티우스 세르기우스 사투르니누스 퀸투스 아니키우스 파우스투스
퀸투스 티네이우스 클레멘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트라세아 프리스쿠스 (루키우스 또는 가이우스) 쿠스피우스 루피누스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갈루스 ignotus
199년 200년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아눌리누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프로쿨루스
마르쿠스 아우피디우스 프론토 가이우스 아우피디우스 빅토리누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8px; padding: 0 6px"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742em; letter-spacing: -0.35px"
{{{#!wiki style=""<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라틴어 문구 색상 범례
  • ignotus: 불명
황제 겸 집정관 }}}
201년 202년 202년 보결 203년 204년
루키우스 안니우스 파비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페르티낙스 아우구스투스 티투스 무렌니우스 세베루스 가이우스 풀비우스 플라우티아누스 루키우스 파비우스 킬로 셉티미누스 카티니우스 아킬리아누스 레피두스 풀키니아누스
마르쿠스 노니우스 아리우스 무키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카시우스 레갈리아누스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 마르쿠스 안니우스 플라비우스 리보
204년 보결 205년 206년 206년 보결 207년
루키우스 폼포니우스 리베랄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움브리우스 프리무스 세네키오 알비누스 푸블리우스 툴리우스 마르수스 루키우스 안니우스 막시무스
ignotus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 카이사르 루키우스 풀비우스 가비우스 누미시우스 페트로니우스 아이밀리아누스 마르쿠스 카일리우스 파우스티누스 가이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아페르
208년 209년 210년 211년 212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폼페이아누스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파우스티누스 헤디우스 롤리아누스 테렌티우스 겐티아누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아스페르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 카이사르 퀸투스 헤디우스 롤리아누스 플라우티우스 아비투스 아울루스 트리아리우스 루피누스 폼포니우스 바수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밀리우스 아스페르
212년 보결 213년 214년 215년 216년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세베루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퀸투스 마이키우스 라이투스 푸블리우스 카티우스 사비누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 데키무스 카일리우스 칼비누스 발비누스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아피우스 수에트리우스 사비누스 마르쿠스 무나티우스 술라 케리알리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아눌리누스
217년 218년 218년 보결 219년 220년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프라이센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오펠리우스 세베루스 마크리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티투스 메시우스 엑스트리카투스 마르쿠스 오클라티니우스 아드벤투스 퀸투스 티네이우스 사케르도스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코마존
221년 222년 223년 224년 225년
가이우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사비니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마리우스 막시무스 페르페투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아누스 티베리우스 마닐리우스 푸스쿠스
마르쿠스 플라비우스 비텔리우스 셀레우쿠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알렉산데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로스키우스 아일리아누스 파쿨루스 살비우스 율리아누스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크리스피누스 세르비우스 칼푸르니우스 도미티우스 덱스테르
226년 227년 228년 229년 230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세네키오 알비누스 퀸투스 아이아키우스 모데스투스 크레스켄티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비리우스 아그리콜라
가이우스 아우피디우스 마르켈루스 마르쿠스 라일리우스 풀비우스 막시무스 아이밀리아누스 마르쿠스 폼포니우스 마이키우스 프로부스 카시우스 디오 섹스투스 카티우스 클레멘티누스 프리스킬리아누스
231년 232년 233년 234년 235년
루키우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 루키우스 비리우스 루푸스 율리아누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아킬리우스 프리스킬리아누스 마르쿠스 클로디우스 푸피에누스 막시무스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티투스 플라비우스 살루스티우스 파일리그니아누스 루키우스 마리우스 막시무스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파테르누스 마르쿠스 무나티우스 술라 우르바누스 루키우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퀸티아누스
236년 237년 238년 239년 240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율리우스 베루스 막시미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마리우스 페르페투우스 [루키우스] 풀비우스 피우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고르디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아피우스 수에트리우스 사비누스
마르쿠스 푸피에누스 아프리카누스 막시무스 루키우스 뭄미우스 펠릭스 코르넬리아누스 폰티우스 프로쿨루스 폰티아누스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아비올라 루키우스 라고니우스 베누스투스
241년 242년 243년 244년 245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고르디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아티쿠스 사비니아누스 루키우스 안니우스 아리아누스 티베리우스 폴리에누스 아르메니우스 페레그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클로디우스 폼페이아누스 가이우스 아시니우스 레피두스 프라이텍스타투스 가이우스 케르보니우스 파푸스 풀비우스 아이밀리아누스 가이우스 마이시우스 티티아누스
246년 247년 248년 249년 250년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프라이센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풀비우스 가비우스 누미시우스 아이밀리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메시우스 퀸투스 트라야누스 데키우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알리우스 알비누스 마르쿠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필리푸스 카이사르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나이비우스 아퀼리누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251년 252년 253년 254년 255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메시우스 퀸투스 트라야누스 데키우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비비우스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비비우스 볼루시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퀸투스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메시우스 데키우스 카이사르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비비우스 볼루시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포플리콜라 발비누스 막시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256년 257년 258년 259년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 아킬리우스 프리스킬리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투스쿠스 (눔미우스) 아이밀리아누스 (덱스테르)
마르쿠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뭄미우스 바수스 폼포니우스 바수스
260년 261년 262년 263년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사이쿨라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알비누스
가이우스 유니우스 도나투스 루키우스 페트로니우스 타우루스 볼루시아누스 눔미우스 파우스티아누스 덱스테르 (막시무스)
동방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풀비우스 마크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풀비우스 퀴에투스 아우구스투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호노라티아누스
264년 265년 266년 267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오비니우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아퀼리우스 파테르누스
사투르니누스 루킬루스 사비닐루스 아르케실라우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피아보니우스 빅토리누스
268년 269년 270년 271년
아스파시우스 파테르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안티오키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에그나티우스 마리니아누스 파테르누스 비리우스 오르피투스 폼포니우스 바수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피아보니우스 빅토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피아보니우스 빅토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아우구스투스
산크투스
272년 273년 274년 275년
티투스 플라비우스 포스투미우스 퀴에투스 아울루스 카이키나 타키투스 또는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타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유니우스 벨둠니아누스 율리우스 플라키디아누스 카피톨리누스 (아우렐리우스) 마르켈리누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아우구스투스
노빌리시무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276년 277년 278년 279년 280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타키투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풀비우스) 아이밀리아누스 (루키우스 율리우스) 비리우스 루푸스 노니우스 파테르누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281년 282년 283년 284년 284년 보결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루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리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유니우스 티베리아누스 빅토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리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누메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카이소니우스 오비니우스 루피누스 마닐리우스 바수스 Ⅱ)
285년 286년 287년 288년
티투스 클라우디우스 아우렐리우스 아리스토불루스 마르쿠스 유니우스 막시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베티우스 아퀼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폼포니우스 야누아리아누스
동방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서방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리누스 아우구스투스
288년 보결 289년 289년 보결 289년 보결
… a 마르쿠스 마그리우스 바수스 마르쿠스 움브리우스 프리무스 케이오니우스 프로쿨루스
… ivianus 루키우스 라고니우스 퀸티아누스 티투스 플라비우스 코엘리아누스 헬비우스 클레멘스
브리타니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마우사이우스 카라우시우스
289년 보결 290년 291년 292년
플라비우스 데키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유니우스 티베리아누스 아프라니우스 한니발리아누스
… ninius 막시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카시우스 디오 율리우스 아스클레피오도투스
브리타니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마우사이우스 카라우시우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마우사이우스 카라우시우스
293년 294년 295년 296년 297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눔미우스 투스쿠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안니우스 아눌리누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카이사르
298년 299년 300년
아니키우스 파우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비리우스 갈루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카이사르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8px; padding: 0 6px"
}}}}}}}}}}}}}}}


로마 제국 제20대 황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Septimius Severus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eptimius_Severus_Glyptothek_Munich_357.jpg
<colbgcolor=#9F0807><colcolor=#FCE774,#FCE774> 이름 루키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Lucius Septimius Severus
출생 145년 4월 11일
로마 제국 렙티스 마그나
사망 211년 2월 4일 (향년 65세)
로마 제국 에보라쿰
재위 기간 로마 황제
193년 6월 1일 ~ 211년 2월 4일 (17년 248일)
전임자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후임자 카라칼라
게타
부모 아버지 :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
어머니 : 풀비아 피아
배우자 율리아 돔나
가족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형)
셉티미아 옥타빌라(여동생)
자녀 카라칼라, 게타
종교 로마 다신교
1. 소개2. 생애3. 평가
3.1. 세베루스와 도미나투스3.2. 세베루스 시대의 그림자
4. 여담

[clearfix]

1. 소개

세베루스는 키는 작지만 강인했다. 결국에는 통풍 때문에 몸이 매우 쇠약해졌지만 정신적으로는 아주 열정적이고 원기 왕성했다. 학식 면에서는 자신이 배운 것 이상을 원했으며 이 때문에 생각은 많아도 말은 거의 하지 않았다. 친구들에게 무관심하지 않았고 적에게는 아주 가혹했던 그는 이루고자 하는 일은 무엇이든 주의를 기울였지만 자신에 대해 하는 말들에는 신경 쓰지 않았다.

디오 카시우스, 77. 16

로마 제국의 제20대 황제. 193년 다섯 황제의 해 속에서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클로디우스 알비누스와의 경쟁에서 모두 승리하고 세베루스 왕조를 연 인물로, 북아프리카 지방 출신으로 두 번째로 권좌에 오른 황제이자 푸닉 지방 출신 중 최초로 황제가 된 사람이다.[1]

로마 제국의 군제 개편, 군대 복지 개혁 등을 추진하고, 관료제 개혁과 개편에 진력했으며, 법률과 칙령을 통한 질서 확립을 통해 황권을 신장한 황제로 평가된다. 세베루스는 로마 제국 역사상 동부, 남부 일대 국경 확장에 진력해, 오스로에네 왕국을 합병하고, 아라비아 페트라이아 영역을 넓혔으며, 202년 아프리카와 마우레타니아 일대를 위협한 가라만테스를 상대로 원정을 벌여 북아프리카 사막을 국경 삼은 황제로도 유명하다.

원로원 의원, 변호사, 치안판사 출신 법률가이나 스스로를 군인 출신 황제로 자처한 사람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한때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서거한 180년부터 디오클레티아누스가 로마 황제로 등극한 285년까지의 시기를 과거의 학자들은 로마사에서 가장 힘겹고 혼란스러운 시기로 정의내릴 때 그와 그의 왕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못했다. 그러나 오늘날 학자들이 이 시기를 재평가하고, 이 시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와 그가 개창한 세베루스 왕조에 대한 연구가 구체화되고, 세베루스 왕조의 황제들이 재평가되었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학자들에게 4세기 도미나투스(전제군주정) 체제의 원형을 제공한 황제이자 군사전제정 체제의 교과서를 제공한 전제군주의 시초, 또는 2세기 동안 누적된 문제 해결에 노력해 반세기 이상 쇠퇴를 막아낸 명군으로 평가받고 있다.

2. 생애

3. 평가

정적들을 상대로 한 내란에서든 이민족들을 상대로 한 외국 땅에서의 전쟁에서든 누구도 그와 같은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그는 18년간 제국을 통치한 뒤 어린 아들들이 성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주었고, 그들에게 이전의 어떤 황제보다 큰 부와 무적의 군대를 물려주었다.
로마 시대의 역사가 헤로디아누스

에드워드 기번이나 원로원 중심에서 황제들을 평가한 디오 카시우스에게,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상당히 부정적이면서도 매력 있는 악당 같은 황제로 묘사된다. 이중 기번은 세베루스를 "제국의 쇠퇴를 초래한 주범" 내지 "이상적인 원수정 체제를 가혹하게 바꾼 황제"로 묘사하면서, 그가 능수능란하고 뛰어났음에도 굉장히 잔인했다고 평가한다. 이는 기번이 많이 참조한 디오의 기록이 큰 영향을 끼친 듯 하다. 왜냐하면 디오는 세베루스가 본인과 가문의 야망을 위해 제국에 무분별하게 쾌락, 조작, 공포감을 위한 협박을 자행했는지 묘사하면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를 "자신과 가문의 영광을 위해 가혹하고 잔혹하게 통치한 권위적인 프린켑스"로 기록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부정적 평가에도, 동시대 디오와 헤로디아누스가 인정했듯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비열함과 잔혹성 등 인격적 부분의 문제 외에는 뛰어난 황제였다. 그는 동시대 원로원 의원 디오와는 정견이 다르고, 성향도 반대였으나 사적으로는 매우 친밀한 친구였고 매우 귀족적인 그에게서 엄격함, 절제력, 결단력, 애국심 측면과 사생활 측면에서의 검소함 측면에 있어, 디오가 경험한 여러 황제 중 가장 훌륭한 평가를 얻었다. 이는 헤로디아누스도 비슷한데, 세베루스 밑에서 황궁 관료로 근무한 것으로 추정된 헤로디아누스 역시 그가 가진 인격적 측면과 별개로, 세베루스가 가진 황제로서의 능력과 자세를 높이 평했다. 이런 동시대의 평처럼 세베루스는 재위 기간 내내 제국의 흐트러진 법체계와 질서를 바로잡는데 큰 공을 세웠다고 후대 로마인들에게 찬사를 받았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제국 통치에 필요한 법률, 행정, 군정, 종교, 경제 지식이 풍부한 황제이자, 잔혹함과 유연한 통치술을 두루 갖춘 훌륭한 황제였다. 간단히 말해, 그는 동시대 사람, 후대 사람 모두에게 공과가 분명한 현군으로 평가받는다.

세베루스는 2세기 후반 무렵 숫자가 줄어들고 있던 전통적인 로마엘리트 출신답게, 경험이 풍부하고 능력이 대단했다. 어떤 면에서 보면 또래 원로원 의원들과 비교해도 그는 전통적 로마 엘리트 중에서도 매우 뛰어난 인재였다. 이런 배경 때문에 세베루스는 즉위 후 스스로를 군인황제라고 하면서, 군대의 신임을 얻고 내전을 승리로 이끌어냈다.

실제 세베루스는 정치적 역량과 상황 파악 능력에서 동시대 경쟁자들과 비교해 매우 뛰어났다. 디오, 헤로디아누스로 대표된 동시대 사람 및 후대의 아우렐리우스 빅토르 등의 평처럼 세베루스는 교활하면서도 영리한 사람이었다.

그가 로마 입성 후 정통성을 위해 내세운 페르티낙스가 어떤 이유 때문에 몰락했고, 왜 마키아벨리, 디오 카시우스 등에게 까였는지 생각하면 이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생애 전반과 집권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세베루스는 매우 기민하고 영리한, 즉 영악한 사람이었다. 따라서 그는 다섯 황제의 해 경쟁자 중 황제 참칭을 가장 먼저 했음에도, 적절한 시점에 자신이 황제가 됐음을 선포했고 과감히 로마로 군을 이끌고 간 뒤 스스로를 군인황제로 자처해 그 권위를 내세웠다. 이는 그가 원로원 의원이며, 법률가, 변호사 출신이라는 배경을 생각하면 상당히 놀라운 행보인데, 세베루스는 군인황제를 자처한 원로원 출신 황제임에도 군사적인 역량이 상당했다.

군사적 측면의 평을 살펴보면, 세베루스는 제 2 파르티카 군단을 이탈리아의 알바에 주둔시켜 전략적 예비대 및 기동군 역할을 하게 했다. 이는 상당히 진보적인 군사 배치였는데, 이러한 움직임과 아이디어가 모여서 후기 로마의 황제를 따라다니며 적을 격파하는 전문 야전군이 탄생하게 된다. 또한 두 차례의 파르티아 원정을 성공시켜서 전략적 요충지인 북부 메소포타미아의 속주화를 결정했다. 이런 정복 전쟁 외에도 그는 말년에 칼레도니아 원정을 추진하면서 브리타니아와 북해 연안의 치안까지 해결하고자 했고, 방어선 구축과 로마군 활용 전술 역시 유연했다. 또 정복 전쟁을 치르면서도 그는 트라야누스처럼 철저한 군사적 계획만 수립하는데 그치지 않고, 제국의 국고 수입, 속주민들의 생활 문제까지 신경쓰는 등 행정가이기도 한 황제가 보여줄 치밀한 행보를 보였다. 이런 이유로 세베루스는 그와 세베루스 왕조가 재평가되면서, 군사적 측면에서는 트라야누스, 하드리아누스, 안토니누스 피우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보다 유연하고 현명한 황제였다고 재평가받고 있다.

그는 로마 황제가 원수정 아래에서 얼마나 군대를 잘 장악하고 이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지 알았던 황제이기도 했다. 로마 황제들이 근위대 뿐만 아니라 제국 전역에 주둔 중인 군을 완전히 장악하지 못할 경우 상당한 부담감을 가져야 했던 것은 원수정의 문제점과 게르만족, 사산 왕조의 성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그래서 그는 유언으로 두 아들에게 그토록 군대를 강조하고 그들을 통제하고 장악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세베루스 가의 마지막 후계자 알렉산데르 세베루스는 명군이긴 했지만 근위대조차 통제하지 못했고, 군의 지지도 온전히 받지 못한 까닭에 게르마니아에서 병사들 손에 암살됐다. 여기서 고려해야 하는 건 황제의 어린 나이도 있었다. 세베루스 왕조에서 초대 황제 빼고는 어린 시기에 즉위해서 전부 20대에 죽음을 맞이하였다. 그 전에 그들과 같은 경우는 가이우스(칼리굴라)와 네로 뿐이었고 그들의 최후가 어땠는지 고려한다면 세베루스 왕조의 불운은 어린 황제들이 연달아 즉위한 것이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2]

이런 점에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능수능란하게 군을 활용해 권위를 세운 다음, 혼란한 정국을 평화롭게 만든 황제라는 업적 하나만으로도 그 능력이 대단한 사람이었다. 그럼에도 그의 통치 스타일은 통치계급인 원로원 계층에게 비판받았고, 현대 이전까지는 저평가되거나 다소 부정적인 측면이 많이 부각된 군인황제의 시초로 평가받았다. 이유는 내전 때 알비누스를 지지하는 원로원과 척을 지게 되면서[3] 도미티아누스가 그랬듯이 자신의 기반인 군대에게 지지를 얻어서 통치하려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4]

허나 세베루스 황제의 짧지 않은 재임기간에서, 황제와 원로원 사이는 생각보다 험악하지 않았고 치세 초반 외에는 도리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시대보다 훨씬 안정적이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두 경쟁자를 모두 제거한 직후, 그들을 지지한 그리스, 푸닉, 시리아, 레반트 일대의 권세가들을 죄다 숙청하고 제위 안정에 잠재적 위협이 될 이들을 무력화시킨 것이 컸다. 즉, 세베루스의 치세는 대개의 왕조 교체기때 원로원 구성변화처럼 황제 쪽 인사들이 들어오면서 되레 안정됐던 것이다. 따라서 세베루스 치세 초기를 제외하면, 디오나 기번의 주장과 달리 황제 정부 안에는 원로원 의원들이 다시 넘쳐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그의 치세에도 원로원 계급이 고위 행정, 군사직을 독점한 것이다(물론 기사계급의 대두는 철인황제 이후로 시대적 흐름이긴 했다).

황제로서의 지위가 확고해진 후 전형적인 원수정 황제로 제국을 통치했다. 시민들을 위해서 공공사업과 볼거리를 제공했으며, 특별한 축제가 있는 날이 아니면 법정에 늘 참가하여 시민들의 말에 귀를 기울였다(카라칼라가 병에 걸려서 아플 때도 빠지지 않았다). 낙태 금지를 법으로 제정한 것도 세베루스 황제였다.[5] 따라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냉혹한 성품과 종종 나타난 잔혹한 모습에도 불구하고 내전에 시달리던 로마에 평화와 안정을 가져다 준 명군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래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시기에 벌어진 소득없는 마르코만니 전쟁과 안토니누스 역병, 콤모두스 황제의 실정, 이어진 내란으로 거덜난 제국의 재정을 안정시켰다.[6] 후세에 니콜로 마키아벨리군주론에서 이런 세베루스를 성공한 로마 황제의 예시로 들며, 그가 주장한 짐승의 방법, 곧 사자의 사나움과 여우의 교활함을 가장 잘 활용한 황제라고 평가하고 그가 앞서 말했듯 대중에게 증오를 사지 않았기에 제국을 안정적으로 지배할 수 있었다고 서술했다.

다만, 세베루스는 지나칠 정도로 공포심을 상대에게 심어주는 과도한 철권통치, 가혹한 보복에 기반한 통치술, 매우 비열하고 폭력적인 성격, 그리고 후계자 양성과 선정 문제에 있어서는 오늘날까지 비판받고 있다.

먼저 그의 통치술은 설령 193년 내전과 안토니누스 피우스 시대부터 방비가 늦은 로마 내 경제, 사회 문제 및 속주 도시들의 독립 움직임 방지를 위한 목적이라고 하더라도, 일정 부분 이상을 넘어설 정도로 과격하고 지나치게 잔인한 측면이 많았다. 실제로 니게르와 알비누스를 지지한 동방의 비잔티움과 서방의 루그두눔은 시민들까지 세베루스에게 적국의 포로보다 못한 처벌을 받았고 이 때문에 세베루스를 향한 비난이 쏟아졌다. 또 그의 시대에 벌어진 과도한 보복조치들은 동방과 서방 속주들의 지역갈등을 넘어 일부 속주 내의 지역갈등까지 초래했다.[7] 또 세베루스의 통치는 기본적으로 황제 본인의 뛰어난 통치술과 카리스마에 기반한 만큼, 도미나투스의 원형에 가까울 정도로 전제적이었고 기본적으로 속주 내 자치와 도시 내 자치를 황제 개인이 철권통치 방식으로 통제해 어린 황제 또는 함량미달의 인물이 제위에 오를 경우 내재된 문제를 심화시킬 위험이 많았다고 지적받고 있다.

다음으로 그의 후계자 문제를 살펴보면, 그는 자신의 독단적인 인격 교육과 비열한 방법의 통치술 교육을 두 아들에게 오롯이 물려주고 이를 장려해 왕조를 단명케 했다. 세베루스는 집권 직후부터 장남, 차남에게 독단적이고 냉혹한 통치술을 손수 교육시켰고, 냉혹한 통치술로 비난 받은 선대 황제들[8]의 방법을 10살도 안 된 장남에게 교과서로 삼게 했다. 이런 자녀 교육과 후계자 양성 방법은 세베루스의 측근들까지 걱정할 정도였는데, 마리우스 막시무스 등의 걱정처럼 세베루스의 연년생 아들들은 서로 남보다 못한 사이가 되고 만다.

세베루스는 집권 이후 오래도록 장남 카라칼라에게만 제위 계승권을 인정하고, 어린 카라칼라에게 누구보다 혹독하게 상대를 다뤄야 함을 손수 가르쳤다. 이는 당시 원로원이 무력하면서도 권위적이고 이기적으로 일관한 상황 속에서 효율적인 제왕교육 방법이 됐다. 그러나 결과론적으론 카라칼라와 게타 간의 분쟁을 막을 수 없는 원인 중 하나가 됐다. 설상가상으로 세베루스는 차남 게타를 한 단계 낮게 대우했다가 결국 둘에게 같은 제위 계승권을 인정해 교통정리까지 실패했다. 차남 게타는 무뚝뚝했으나, 인격이나 재능으론 카라칼라보다 나았고 형제가 합심하면 서로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카드였다. 하지만 세베루스의 원칙 없는 결정과 후계구도 변경 조치는, 그의 바람[9]을 나타내는 것임에도 동복형제를 정적으로 만들고 가문을 단명케 했다. 장남 카라칼라는 게타를 살해하고, 그나마 소수였던 세베루스 가문의 방계 황족들까지 그의 손으로 모조리 멸문시켜 버렸다. 따라서 세베루스 황제가 뛰어난 황제임에도, 결론적으로 이는 그가 평가절하된 이유가 됐다.

물론, 세베루스의 이런 조치는 당시 정황상 합리적이긴 했다. 카라칼라는 시간이 지날수록 잔혹해졌고, 성년식 전부터 세베루스 부부조차 통제가 불가능한 후계자였다. 그래서 학자들은 게타를 아우구스투스로 격상시킨 건 게타를 보호하고 가족을 지키려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카라칼라가 게타를 살해하기 전까지 황제가 다른 사람에게 살해당한 적은 있어도, 공동 통치자에게 살해당한 경우는 없었기 때문인 전례를 생각한 그의 고심 끝에 내린 결정이었다. 따라서 원수정 시기 황제 시해에 관련되어 있던 근위대, 군인들은 세베루스의 바람대로 카라칼라와 게타 두 명에게 모두 충성서약을 하였다.[10][11]

군인들의 봉급을 올려준 것을 비판하는 시각은 전형적인 시오노 나나미의 시각이며 이 부분에서도 평가가 훌륭하다.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봉급인상 이후 100년 만의 인상이었고 그 동안 조금이나마 인플레이션은 있었다. 로마군사사의 권위자인 브라이언 캠벨(Brian Campbell)은 세베루스 황제 이전에 미리 했어야 했던 일이라고 평가하였다.[12] 하지만 이 역시 그 필요성과 현실성 외에는 평가가 완전히 좋다는 것은 아니다. 2008년과 2017년 베르트 판 더 스펙으로 대표되는 현대 로마사, 셀레우코스 제국 및 헬레니즘 세계 분야의 권위자들이 발표했듯, 세베루스가 벌인 막대한 군사비 지출과 계속된 대외원정은 대부분의 세금을 내며 비용을 충당한 지중해 동부 일대의 세금 피로도를 높여, 끝내 카라칼라, 세베루스 알렉산데르에게 부채로 고스란히 돌아갔기 때문이다.[13]

또 세베루스 왕조에서 벌어진 근위대장의 전횡, 세베루스 가문과 친분을 맺은 극소수의 권세가들의 탐욕과 부정부패 역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비호 아래 벌어져 오늘날까지 비난을 받고 있다. 물론 세베루스 황제의 친구 플라우티아누스만 제 직위를 이용해 과거 세야누스, 마크로, 라이투스 같은 악행을 벌였기 때문에, 이 부분 역시 감안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플라우티아누스 외의 세베루스 왕조의 다른 근위대장들은 문제 많았던 플라우티아누스와 달리 행정적, 법적으로 매우 뛰어났고 제 임무를 성실히 수행한 사람들이었기 때문이다. 당장 마크리누스만 하더라도 카라칼라 암살 사건에 간접적으로 연관된 점을 빼면 위험 인물이 아니었으며, 그가 카라칼라에게 등을 돌린 것은 카라칼라가 그를 비롯한 근위대 장교들을 의심해 죄를 덮어 씌워 죽이려고 했던 점이 컸다. 하지만 세베루스 집권 이후, 2세기~3세기 원로원 내에서 벌어진 극소수의 권세가들의 행태와 플라우티아누스 등 극소수의 공신 집단의 부정부패는 세베루스의 비호 아래 벌어져, 로마 귀족들의 갈등을 표면화시켰다.

더 큰 문제는 외가 친척이며 사돈관계인 플라우티아누스의 몰락과 이로 인해 벌어진 카라칼라, 게타 사이의 대립 격화였다. 플라우티아누스 일가의 비극적인 몰락은 세베루스 황제 일가에게 밉보여 몰락한 모양새였는데, 이는 필요악과 같았던 이 사람의 몰락으로 세베루스가 꿈꾼 가족애와 냉철함에 기반한 세베루스 가문의 번영이라는 프로파간다가 손상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따라서 세베루스 본인은 플라우티아누스를 마음대로 쳐내지도 못했고, 그가 몰락했을 때 구렁이 담 넘어가듯 서둘러 이를 끝내려는 모양새를 취했다.

어쨌든,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부정적인 면과 긍정적인 면이 공존하는 현군이었다. 그가 취한 근위대장 직위의 내각총리화 개혁, 제국 각 지방에서 언제라도 벌어질 일부 지방 총독들의 월권 행위 시정 조치, 중앙 집권적인 명령 조치, 각 군대의 지위 보장 및 군대 개혁 작업은 트라야누스 시대부터 해야 할 작업들이 뒤늦게 실행됐다는 점에서 로마 제국이 마지막 평화기를 누릴 수 있게 해줬다. 따라서 3세기의 위기에서 군대의 대두는 세베루스 황제의 정책보다는 원수정 자체의 문제점[14]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후 순수 군인 출신 막시미누스 트라쿠스가 병사들의 손에 옹립되면서 급기야 악명높은 군인 황제 시대가 도래하고 만다.[15]

3.1. 세베루스와 도미나투스

현대 연구에 이르러,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와 세베루스 왕조가 재평가되고 그 업적이 부각된 이유 중 하나는 그가 4세기 도미나투스 체제의 원시적 모습을 프린키파투스 체제에 도입해 정착시킨 부분에 있다.

고대 로마인 중 원로원 입장에서 세베루스 왕조를 평가한 디오 카시우스로 대표되는 이들은 세베루스와 그의 가문을 이전의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보다 강압적이고, 예전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보다 전제적이고 독단적인 황제, 황실이라고 비난하면서도 세베루스의 평가는 긍정적이었다고 말한다. 따라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고대부터 입체적인 평가를 받을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18세기 에드워드 기번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를 세베루스가 군인황제, 전제군주의 모습을 보인 인물로 규정했고, 19세기 J.부르크하르트 역시 세베루스를 최초의 군인황제로 이해하면서도, 마냥 그를 독단적이고 전제적인 인물만으로 매도하지 않았다.

그런데 이런 전통적 입장은 기본적으로 프린키파투스 체제에 관한 옹호 또는 원로원과 황제의 공존을 중시한 관점이 많았다. 그런데 이런 전통적 평가와 달리 현대에 이르러 이런 기류는 묘하게 달라지더니 최근 들어서는 아예 도미나투스 체제를 제시한 사실상의 시조격의 황제로 평가받는다. 그 대표적인 학자가 클르니에, 로스토프체프, 그랜트 그리고 해먼드와 반스가 대표적인데, 이런 흐름들은 현대에 이르러 전통적 입장을 대체하고 있고 이 부분의 연구는 실제 3세기의 위기와 4세기 도미나투스 체제 연구까지 연장선에서 이어지고 있어 주목할 만하다.

클르니에, 로스토프체프, 그랜트는 전통적 입장을 어느 정도 존중하면서 그가 도미나투스 체제의 사실상 시조이며, 그와 세베루스 왕조에 관해 군사전제정이라고 말하고 있다. 반면, 렙티스 마그나 발굴과 비문 해석을 통해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를 입체적으로 연구한 해먼드와 반스는 그가 황제 즉위 전까지 군사보다 행정, 사법관으로 경력을 쌓았던 점을 토대로 단순한 군사전제정보단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도미나투스 체제와 이전의 프린키파투스 체제 사이의 과도기적 형태의 도미나투스 체제로 평가한다. 다시 말하면, 현대에 이르러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도미나투스 체제에 영향을 끼친 사실상 시조이면서도, 전통적인 프린키파투스 체제를 유지를 시도한 황제로 평가받는다.

이 부분을 세밀하게 살펴보면, 세베루스는 개인의 성향도 있겠지만, 2세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시대 이전인, 안토니누스 피우스 시대때부터 시작된 프린키파투스 체제 아래에서의 로마 제국 내 문제 해결 방법을 위해 도미나투스의 원시적 형태 방법[16]을 많이 사용했다.

하드리아누스의 내정 개혁은[17] 효율성과 별개로 최상류층 내의 문무경력 이분화 및 관료들의 군사행정 이해도가 떨어지는 악영향을 가져왔다. 그래서 안토니누스 피우스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하드리아누스가 군경력 없이도 관료가 되는 조치를 일정부분 수정했는데, 그럼에도 이 문제는 세베루스 집권 전까지 사실상 방치됐다. 이는 2세기 말 역병으로 인한 인구감소와 변경위기 등으로 로마제국의 사회, 경제적 악화 못지 않게 그에게 당면 문제였다. 그래서 세베루스는 이전부터 방치되다시피 한 원로원의 무력화 및 출신에 따른 문무경력 이분화 문제까지 해결해야 했다. 이런 이유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내전 승리 직후부터 로마의 전통적 엘리트 계층 성장과 관료층 인재 육성에 힘을 쏟았는데, 이때 그는 행정가, 법률가 경력을 살려 내정에 황제가 직접 개입하는 빈도를 늘렸다. 또 원로원의 군사적 통제권 이양을 추진해 원로원 내 반란 움직임까지 사전차단에 힘을 쏟았다.[18] 그 예로 원로원 내 출신 의원 비중은 세베루스가 내전에 승리하기 전부터 이탈리아 내 경제, 사회적 쇠퇴로 인해 이탈리아 출신이 80%에서 그의 시대동안 40% 초반까지 감소하게 됐다.

베스파시아누스와 티투스 시대에는 80%가 이탈리아 출신이었지만,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통치기 중 하드리아누스 시대 이후 동방과 아프리카 속주출신들이 늘어나고 이탈리아를 제외한 서방출신들이 급격히 줄어든 모습도 띠게 되어 원로원 구성 내 지역 불균형 이야기가 나왔던 문제이기도 했다. 그런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아프리카 속주 출신들을 우대해 고위직을 내리면서도 이미지와 달리 황제가 이탈리아와 서방속주 출신들을 대신해, 이탈리아와 서방속주 내의 사회, 경제적 성장에 힘을 쏟았다. 따라서 그는 내전 이후 알비누스 세력을 척결한 이후 이탈리아와 속주 간의 격차를 해소하면서 황제가 쇠퇴된 본국 이탈리아의 주체이자 최고 통치자로 본국이 속주에게 제 목소리를 다하도록 통치했다.

즉, 이미지와 달리 그는 니게르와 알비누스 추종자들을 숙청한 이후 본국과 속주 간의 격차 해소를 추진하면서도 해마다 악화되는 본국 내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갈수록 목소리가 커지는 동방속주 출신들의 입김 차단에 힘을 쏟았다. 이는 이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시도한 방법의 연장선이기도 했는데, 차이가 있다면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황제권을 강화해 원로원에게 권력을 이양받고 뺏는 방법을 쓸때 내전 이후부터는 의도적으로 자신과 황후의 고향인 동방 속주들의 입김을 차단하는 것에 주력했다. 따라서 세베루스 통치기에 이르러, 과거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와 플라비우스 왕조 시대처럼 세력균형 내지 소외된 서방속주 출신들의 기용이 다시 시작됐고, 이는 자연스레 동서 간의 편차를 완화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그리고 이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노력 덕에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시대에는 40% 초반까지 떨어진 이탈리아 출신 원로원 의원들의 비율이 회복세를 띠고 이탈리아 출신들의 재산 비율도 늘어나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이런 조치와 함께 세베루스는 치세 내내 황제의 직접 통치권을 강화했다. 이는 과거 칼리굴라, 도미티아누스 이상으로 각 영역 내의 황제 행정권을 강화된 모습이었는데, 차이가 있다면 그는 뛰어난 행정가, 법률가답게 이를 법제화시켰다. 동시에 그는 정치적 이유로 원로원을 대신할 대안으로 군대와 프라이토리아니의 힘을 빌리면서도 정작 황제자문회의를 이용해, 후대의 도미나투스 체제를 연상시키는 방법을 많이 사용했다. 그래서 제국 통치 논의 역시 도미나투스 체제와 유사한 모양새를 띠게 되는데 실제 ​세베루스가 칼레도니아 원정 중 요크에서 위독해질 당시 후임황제 선정과 정권이양 및 제국 통치 논의는 이전 시대와 달리 원로원 대신 황제자문회의가 담당했고, 이후에도 로마의 결정들은 황제자문회의의 입김이 상당히 강화되게 됐다.

이를 증명하듯 세베루스 치세 이후(더 정확히 말하면 플라우티우스가 교살된 이후)부터 저명한 법률가 파피니아누스를 시작으로, 법률가 또는 사법관들이 프라이토리아니를 이끄는 근위대장을 맡았고 3, 4세기에도 주된 흐름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래서 세베루스는 근위대장의 성격을 기존의 군사적 성격보다는 행정, 법률가적 면모와 내정 업무에 능한 최고위 관료적 성격으로 변화시켰고, 이는 도미나투스 체제의 마기스테르 오피키오룸(magister officiorum)로 이어지는 모양새를 띄게 된다.[19][20]

또 그는 4세기 도미나투스 체제가 연상될 정도로 이전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속주를 지배했다. 이는 4세기 이후 로마황제들의 방식과 비슷하면서도 여타 다른 황제들과 많이 달랐던 부분으로, 과거의 아우구스투스와 칼리굴라, 도미티아누스의 방식과도 확실히 차이가 있던 직접통치 방식이었다.[21] 이에 관해 현대학자 루셰는 세베루스 왕조 시대의 소아시아 일대와 여타 다른 속주들의 속주 통치 기록과 편지 등을 통해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와 그의 후계자들(특히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시대에 이미 도미나투스 체제의 황제들처럼 지역 유력자들과 지역 출신 부자들의 공공건축물 기부 대신 황제의 이름을 받든 속주 총독들의 이름으로 공공건축물이 신축, 재건, 보수됨을 제시했다.

이러한 방식 외에도 세베루스의 복지수혜정책들 역시 이전과 상당히 달라진 모습이 많은데, 그는 이전 황제들과 달리 알리멘타 수혜 관리 및 결정권을 황제의 직접 명령을 받는 중앙 행정관리에게 맡기고, 각 속주 및 도시들의 세금 징수 및 세제대상 선정까지 자치 시의회가 관여하지 못하게 금지했다. 그러면서 세베루스는 중앙관료들을 속주로 보내 세금을 징수하고 속주들을 도미나투스 체제처럼 경영하면서 통행세, 간접세까지 황제와 황제의 대리인들의 허가 없이 손대지 못하게 했다. 이 외에도 세베루스는 니게르와 알비누스와의 내전 이후에도 시리아, 브리타니아, 아프리카 속주들을 세분화하여 나누고 각 속주에 대한 황제의 직접 경영을 강화했는데 아들 카라칼라는 이런 흐름을 그대로 이어받아 전제정의 면모를 한층 강화했다.

그 결과, 세베루스의 치세 후반 이후 통치체계는 황제를 최정점으로 한 프라이토리아니(근위대), 속주 군단, 중앙 관료와 황제자문회의의 직접 연계에 기반한 프린키파투스 체제로 완성됐고, 이후의 프린키파투스 체제는 확실히 도미나투스 체제의 원시적 형태로 변화된 모습을 띠게 됐다. 즉, 4세기 도미나투스 체제의 원형에 가까운 뼈대와 상당히 유사한 방식이 세베루스에 의해 제시되고 완성됐다.\

3.2. 세베루스 시대의 그림자

모든 황제가 그렇듯이,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역시 명암이 분명했다.

세베루스 시대는 공교롭게도 로마 제국의 마지막 군사적 원정 성공 속에서도 경제 하락의 시작, 로마 경제 쇠퇴가 심화된 시대의 서막이었다. 복잡해진 제국 현실 속에서 후계자들에게 많은 것을 요구한 문제가 심화됐고, 이는 그의 치세 후기부터 본인조차 온전히 제어하지 못한 채 그림자를 낳았다. 데나리우스 은화의 점진적인 하락이 문제였다.[22]

세베루스는 즉위 후 자신을 지지한 판노니아 군대와 다섯 황제의 해 기간 중 자신에게 협력한 로마군의 지지를 이끌어내고자, 많은 자금을 군대에 하사했다. 그렇지만 정적들의 이름을 살생부에 넣고, 내전 기간부터 그들의 재산을 압류해 현금화 하더라도, 돈이 넉넉하지 않았다. 이에 그는 기금을 통해 이자 불리기를 하고, 주화 발행 중 자신의 입김이 강하게 들어간 데나리우스 은화의 순도를 의도적으로 줄였다. 이는 순도를 줄여 통용은화를 이전보다 많이 찍어낸 다음, 이를 자신의 호주머니에 넣고, 군자금과 충성 보너스 등으로 활용하기 위함이었다. 이 조치는 국가적 위기, 장기화되는 마르코만니 전쟁 속에서 어쩔 수 없이 주화 은 함유량을 선대 황제 시절보다 25%까지 잠시 줄였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180년 조치와는 다른 부분이었고, 트라야누스 황제가 117년 군자금 문제로 잠시 주화 은함유량 최고치의 18% 은 순도 하락을 허락한 부분과도 많이 달랐다. 따라서 이 조치는 주화의 가치 하락과 시중 유통량이 늘어남과 함께, 물가가 치솟는 현상을 가속화시켰다.

이때 그는 콤모두스 시대까지 유지된 약 81.5%의 데나리우스 은 순도를 78.5%로 줄이고, 구리 등을 섞으라고 지시해 실제 은 함유 무게를 줄이고, 기타 금속 포함 기준 무게를 2.40g에서 2.46g으로 증가하라고도 지시했다. 이는 네로가 화폐 개혁 이후에도 국고 적자가 심화되자 한 조치와 비슷했는데, 이런 명령은 세베루스 아래에서 지속적으로 계속됐다.[23]

그런데 세베루스는 이듬해부터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클로디우스 알비누스와의 군비 경쟁, 병사들의 지지 확보를 위해, 더 많은 돈을 수중에 넣고자 여기에서 또 이를 명령한다. 그 결과, 그는 은 순도를 78.5%에서 64.5%로 감소시키고, 은화 무게 중 은 함유 무게를 2.46g에서 1.98g으로 떨어뜨렸다. 이어 그는 다음해인 196년 데나리우스 은화 순도와 은 실제 함유 무게를 각각 54%와 1.82g으로 줄였다. 당연한 이야기인데, 이는 구리 등 은 이외 금속 함유량을 높이고, 데나리우스 은 순도 하락 속의 가치를 떨어뜨렸다. 이런 명령 아래, 세베루스는 연이은 대규모 건설, 건축과 순행, 대외전쟁 속에서 많은 양의 주화를 발행했다. 이렇게 되자, 그의 치세 기간과 의도적인 은 순도 하락 조치, 많은 양의 주화 발행 아래, 여러 부작용을 낳았다.

이중 로마인에게 체감된 가장 큰 부작용은 제국의 화폐 가치 하락이 유발된 가운데, 벌어진 인플레이션이었다. 당대부터 경제의 장기적 강점의 손상을 유발했다는 우려를 샀던 제국 관료들의 예측이 현실이 된 것이다.

이 우려 그대로 세베루스 아래의 제국 경제는 문제에 빠졌다.

로마인의 주식인 밀 약 27kg의 물가는 그가 "모든 문제의 사단"이라고 부른 콤모두스 대의 곱절인 100 데나리우스가 넘게 치솟게 됐다. 국고에는 돈이 많아도 늘어난 물가로 막상 흑자가 아닌 상황이 펼쳐졌다. 세베루스가 치세 후기부터 법률가, 회계 전문가들인 파피니아누스, 마크리누스 등에게 전문성 아래의 고문 역할을 증대시킴 역시 이런 것을 해결하고자한 의도가 컸다. 그러나 이는 그의 칼레도니아 원정이 장기화되고 그의 계속된 명령 아래 은 순도가 40%대로 떨어져 발행되는 상황 속에서 결국 만년의 세베루스 자신조차 후회할 만큼 여러 고민을 안긴다. 물가는 아들 카라칼라 시대가 되면 200 데나리우스를 거뜬히 넘게 됐고, 그가 남겨준 국고 흑자에도 막상 국고는 일정 수준만을 넘긴 애매모호함 속에 빠진 것이다.

그 결과, 세베루스 치세 후반이 되면, 로마 제국의 인플레이션이 심화되고 국고의 적정성 속에서의 적자가 만성화된다. 이에 그는 콤모두스 아래 부작용이 이를 초래했다는 식으로 주장을 펼치고, 이 문제 해결을 하겠다며 기존 명령을 지속시킨다. 세베루스가 이렇게 한 이유는 다시 193년 이전인, 콤모두스 말년의 192년 데나리우스 은 순도로 되돌린다고 해도 뚜렷한 대책도 없고, 본인과 세베루스 왕조의 명분부터 본인 손으로 부정하는 우스꽝스러운 일이 됐기 때문이다. 하여 세베루스 치세 말인 서기 210년이 되면 약 45%대로 은 순도가 떨어진 주화가 발행되고, 물가가 오르고, 세베루스의 칼레도니아 원정이 장기화되면서, 이 부분이 도돌이표처럼 돌아가는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 세베루스의 주화 가치 하락 조치는 본인의 군사적 승리와 세베루스 왕조 탄생 속에서 제국의 안정을 만들었지만, 로마 제국의 경제와 주화 가치 문제를 황제가 스스로 유발시켜 본인만 이득을 보고 후임자들에게 잔뜩 짐을 안긴 것 역시 돌이켜보면, 아들 카라칼라가 벌인 실책만이 아니었던 것이다.

다만, 이런 상황 속에서도 세베루스는 후계자인 카라칼라와 달랐다. 그는 본인이 기용한 관료, 고문들의 주장을 수용했고, 기본적으로 매우 검소해 불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했다. 동시에 그는 모든 시혜에 앞서 나름 영리하게 적정선을 정해, 철저한 기준 아래 시혜와 상여금 지급량 모두 관리한 줄타기를 했다. 그는 군대 보너스를 내줄 시기에 재위 5주년, 10주년 기념 발행 등으로 주화발행량을 관리했고, 충성 보너스 하사 역시 장병들의 복지향상 등 속에 임금인상과 유지에 집중했다. 그렇지만 세베루스처럼 그의 후계자 카라칼라, 게타가 할 역량이 있는지 여부도 불확실했다. 두 아들의 섭정을 사촌 파피니아누스와 떠맡은 돔나, 그가 카라칼라에게 붙여준 법률가 겸 회계전문가 마크리누스 역시 그랬다. 이중 황후 율리아 돔나는 영리했고, 정치적 감각이 뛰어났지만, 남편 세베루스 같은 결단력은 갖추기 못했다. 설상가상 카라칼라는 동생 게타를 죽인 뒤부터 이를 유지할 상황도 못 됐고, 카라칼라의 무모함과 즉흥적인 행동들은 율리아 돔나의 통제 밖이었다.

따라서 세베루스가 교과서처럼 기준선을 마련한 틀은 카라칼라가 공동황제인 친동생 게타를 살해한 직후부터 깨졌고, 이때를 시작으로 카라칼라는 위기돌파 차원에서 앞뒤 안 가리고 충성 보너스를 추가인상했다. 그는 아예 일시급 지급을 정례화하면서 그 틀을 깨버리는데, 이는 세베루스가 벌인 그동안의 데나리우스 가치 관리가 불안정한 것의 단점을 키우고, 카라칼라 주변의 고문단이 율리아 돔나 도움 없이는 세베루스 유지를 받들지 못한 결정타가 됐다. 그러니 율리아 돔나는 아들 카라칼라에게 대놓고 "선대부터 돈이 국고에 부족한 것을 압니까? 돈을 이렇게 낭비하면 안 됩니다"고 하소연하는 일까지 벌어지게 했다. 하여 카라칼라는 연이은 전쟁, 순방을 벌이며, 주변 국경을 예방전쟁 차원에서 안정화함에도, 부황이 준 국고에 긍정적 측면이 악화됨을 가중시킨 것을 의식했다. 이 부분은 다행이었다. 따라서 이 부분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한 카라칼라는 세베루스 왕조의 관료들에게 이를 해결하게 했다. 그러나 이 조치는 카라칼라 시대에서 벌어진 순행, 전쟁, 학살 속에서 빛을 바랬고, 그가 암살되면서 미완으로 끝난다. 따라서 실제 해결 조치는 카라칼라 단독 치세 시작점인 212년보다 10년 뒤인 222년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시대 이후부터 시작됐다. 그러나 이것 역시 그의 집권 정통성인 세베루스 말년의 명에 따른 은 순도 45%가 암묵적 최대치로 된 까닭에 절반의 성공으로 애매하게 마무리됐다. 그렇지만 세베루스의 법적 손자로 권위와 정통성을 강조한 알렉산데르 아래에서, 로마 제국의 은 순도는 조금씩 높이는 조치 속에서 단계적으로 올려 나감은 분명 세베루스가 벌인 조치가 당시 그와 세베루스 왕조 집권에 있어 적정선인 것은 분명해, 이 부분에서는 그가 얼마나 영리한지 단번에 이해된다는 평을 듣는다.

하지만 율리아 마이사, 율리아 마마이아로 대표된 세베루스 왕조 후기의 아우구스타들이 군대 연공금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정했던 적정 수준으로 되돌리고, 황실 예산을 절반 이상 줄인인 조치는 그와 같은 카리스마가 없는 후계자들에게는 군대 장악에서 양날의 칼과 비슷했다. 또 카라칼라 아래에서 이미 더 많은 보너스를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받아온 군대에게 호응도 얻기 힘들었다. 즉, 세베루스의 은 순도 절감 명령과 그의 충성 보너스 다양화 조치는 그의 후계자들의 조치들 아래 그 부작용이 가볍지 않았던 것이다. 물가 안정 정도만 성공할 만큼, 그 후유증이 컸다. 이는 재평가 이후에도 그 평이 비슷하다. 따라서 카라칼라의 화폐 개혁, 율리아 마이사의 황실 예산 축소 명령, 울피아누스의 군대 연공 보너스 정상화 조치, 세베루스 알렉산데르의 주화 관리 명령 등 역시 세베루스의 이런 조치 속에서 벌어진 후유증 극복 목적이 컸다는 평을 듣기도 한다.

그래서 그의 긍정적 측면이 부각된, 21세기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부정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왜냐하면 황제들의 은 순도 함유량 조절은 경제 상황에 따라 변동했다고 해도, 세베루스처럼 의도적으로 은 순도를 계속 줄이고 무게를 가지고 자신의 정치적 이득과 세베루스 왕조 건설을 추진한 경우는 분명 이전의 황제들과는 달랐고, 그 부정적 영향 역시 마냥 재평가 중에서도 명암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세베루스 시대의 또 다른 그림자가 된 부분은, 그가 꾸린 전문적 행정체제와 중앙 집권화 속에서 완성된 도미나투스(전제정) 틀 속에서 시작된, 새로운 체제 안전의 문제였다. 세베루스는 집권 직후부터 황제의 절대적 카리스마, 잘 갖춰진 내각의 완성, 엄격한 질서 회복 등으로 안정을 이끌었다. 그러면서 그는 원로원 대신 프라이토리아니와 군대를 통해, 황제의 절대성과 황실의 안녕을 체계화시켰다. 그런데 이는 세베루스 시대의 기반이 어린 황제, 불안하고 위험성이 강한 황제 등이 등장했을 때, 큰 문제가 됐다. 황제가 암살, 요절 등으로 사라져 통제가 불가능하거나, 있어도 군대 장악에 실패할 경우, 프린키파투스의 단점과 결합해 국가는 돌아가도 정치적 혼란이 심화될 위험성을 높인 것이다.

이는 종국적으로 세베루스 왕조가 단명하면서 그의 업적과 직계 후계 황제들 중 업적을 논할 수 있는 카라칼라, 세베루스 알렉산데르까지 저평가되는 원인을 제공했다. 여기에서 더 끔찍한 것은 세베루스 본인 역시 이를 알고 대비했다는 현실이었다. 따라서 이런 점은 그의 주화 가치 하락 속에서 물가 폭등을 심화시키고 제국 경제의 취약성을 부각시킨 부분과 함께, 그 그림자가 명확했다고, 재평가 이후에도 꾸준히 그 결점으로 지적받고 있다.

4. 여담



[1] 푸닉은 오늘날의 북아프리카 일대의 지중해 연안 중 아프리카 속주, 누미디아 속주, 트리폴리타니아 속주를 합쳐 부른 지역명이다. 이렇게 불린 이유는 카르타고를 세운 페니키아인을 로마에서 포에니, 푸닉으로 불렀기 때문이다. 참고로 푸닉 지방 서쪽의 마우레타니아 지방은 로마에서는 바다 건너 북쪽의 이베리아 반도와 합쳐 히스파니아 지방으로 통상적으로 불렸다.[2] 네로의 경우에는 그의 시대 대부분을 근위대장으로 있던 티겔리누스, 가이우스 님피디우스 사비누스는 모두 동시대인들의 기준에도 함량미달이었기 때문에 본인 스스로 무덤을 팠다는 견해에 여지가 없다는 평을 받고 있다. 반면 가이우스(칼리굴라)는 선황 티베리우스 시대 후반기 동안 힘이 커진 마크로와 그 세력을 제거한 뒤, 역으로 아버지의 옛 측근이자 프라이토리아니의 입장을 대변한 카시우스 카이레아, 루푸스 등이 황실관료, 일부 원로원과 공모해 암살됐기 때문에 세베루스 왕조의 어린 황제들의 실패사례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3] 자신의 적을 더 지지한다는데 사이가 좋을 수 없는게 당연했다. 알비누스 지지자들은 세베루스가 니게르와 싸우러 동방으로 간 틈에 빈집털이를 하라고 알비누스에게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4] 하지만 군단의 정치 개입은 가까이는 원수정 시기, 멀리는 공화정 후기부터 시작된 것이다. 가이우스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부터 술라, 루쿨루스, 폼페이우스, 크라수스, 카이사르, 안토니우스, 옥타비아누스 까지의 공화정 후기 및 내전기 군벌, 원수정 극초기 세야누스같은 근위대장은 말할 것도 없고, 네 황제의 해에서 보여준 게르마니아, 도나우 군단의 행보, 네르바 시기 근위대의 준동만 봐도 알 수 있다.[5] 태아인권의 존중도 있었겠지만 기본적으로 가부장제 강화의 목적이었다고 판단된다.[6] 세금을 신설하고, 파르티아 원정으로 금은보화를 가져왔고, 내전에서 반대파의 재산을 몰수했다. 옥타비아누스, 베스파시아누스의 행보와 상통하는 바가 많다.[7] 히스파니아 일대를 예로 들면 세베루스에 대한 여론과 황제의 태도로 남과 북, 동과 서에서 이런 갈등이 시작되고 그 대립이 강화되는 형태가 나타났다고 한다.[8] 티베리우스, 칼리굴라, 도미티아누스, 하드리아누스[9] 세베루스 황제가 내전을 극복하고 제국을 안정시키기 위해 내건 슬로건은 화목한 가족이었다. 그래서 율리아 돔나, 카라칼라, 게타와 같이 가족 사진처럼 나와 있는 많은 조각품을 세웠다. 물론 카라칼라가 게타를 죽인 이후에 게타의 얼굴을 파버렸지만...[10] 게타 살해후 카라칼라가 제 2파르티카 군단에 찾아갔을 때 "우리는 카라칼라와 게타 모두에게 충성 서약을 했다"면서 기지문을 열어주지 않았다.[11] 그러나 게타를 죽였음을 카라칼라가 직접 밝히고 사례금을 준다는 약속을 하자 결국 현실을 인정하고 카라칼라를 지지했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에게 절대적인 충성을 보내고 있던 군인들에게 남은 세베루스 왕조의 남자는 미워도 카라칼라 뿐이었다.[12] 세베루스의 로마군은 내전을 두 번 치렀고 큰 해외 원정을 3번이나 했다.[13] 물론,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도 이런 점을 신경 안 쓰고 지르고 보는 타입이 아니라서, 트라야누스와 달리 통화 평가 절하 조치를 취하면서도 세금 징세 과정에서 관행으로 여겨진 여러 악폐를 적극 단속하는 노력을 하며 장기적으로 국고 피로도를 줄이려는 노력을 했다.[14] 실질적으로는 말 그대로 황제였지만 형식상으론 원로원에게 프린켑스 제1인자라는 명칭을 수여받은 자에 불과하였다. 게다가 로마 황제라는 직책은 집정관이나 독재관이 아닌 호민관에서 차용한 것이다. 상황이 그러하니 원수정제의 황권은 원로원의 권위에 비해 떨어지기가 매우 쉬웠고 이를 타개하는 방법으로 가장 쉬운 것은 군대의 무력에 기대는 것 밖엔 없었다. 이렇게 되면 군대를 가지게 되면 누구나 황제를 자칭하기가 쉬워진다. 또한 마리우스의 군제개혁이 로마군의 사병화를 촉발했다는 단점이 있는데 이는 제정이 되면서도 유효하게 적용되었다. 공화정 시대가 군벌의 사병화가 문제되었다면 4황제의 해, 콤모두스 사후 5황제 난립 시대는 유능한 장수(군단장이나 속주 총독)들의 사병화로 바뀌었을 뿐이다. 그리하여 군대에 기대지 않고도 적절한 황권을 유지할 수 있었을 만큼 능력이 좋고 대외관계 상황도 좋았던 황제는 아우구스투스트라야누스를 비롯한 극소수였고. 이들 못지 않은 능력치를 가져도 군인황제시대엔 내전이나 야만족 침략으로 비명횡사하는 경우도 부지기수였다.[15] 그래서 근현대의 로마 역사서 중 높은 평가를 받는 프리츠 하이켈하임의 '로마사'에서는 "세베루스 왕조가 그에 버금가는 황제를 배출하지 못한 것이 로마의 불운이었다."라고 평가하고 있다. 사실 세베루스 왕조의 일원들 중에 능력이나 업적에서 그나마 가장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에 버금갈만한 사람은 그의 남자 후손들도 아니고 셉티미우스의 처제이자 율리아 돔나의 여동생이고, 카라칼라게타 형제의 이모이며 엘라가발루스알렉산데르의 외할머니인 율리아 마이사이다.[16] 프라이토리아니(근위대), 군대, 황제자문회의와 황실 관료층이 황제를 최정점으로 하는 형태로 운영된 중앙집권 방법[17] 현재 학계는 하드리아누스가 관료제 개편및 내정을 개혁한 것을 과거처럼 과대평가하지 않는다. 그가 했다고 여겨졌던 개편이란 것들이 사실이 아니고 몇몇은 과장됨이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18] 이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조치들은 후대의 갈리에누스 개혁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됐다.[19] 물론 이런 조치에 관해, 디오 카시우스로 대표되는 원로원은 "새로 꾸려진 프라이토리아니 병사들이 라틴어만 쓸 줄 알지 제대로 읽고 쓰는 실력이 형편없고 그리스어는 아예 말 한마디 할 줄도 모른다"며 "이런 행정적 조치들이 무슨 이유로 도움이 되겠냐"는 식으로 비난했다.[20] 물론 군사적인 측면도 고려하여 2명의 근위대장이 있다면 한 명은 군경험자가 맡았다. 카라칼라 시기에 마크리누스가 회계부분에서 두각을 나타낸 행정관료 였다면 다른 근위대장인 아드벤투스는 군사적 경험이 풍부한 인물이었다.[21] 아우구스투스와 칼리굴라는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와 달리 보호국을 통해 간접 통치를 하면서, 황제가 문제에 개입해 직접 명령권을 내리는 방법이 많았고, 도미티아누스 역시 속주 행정에 있어서는 직접 명령을 하면서 속주 내 자치는 허용하는 모양새를 띠었다.[22] 다만 당시에는 금본위제가 아니라서 아우레우스 금화는 대상이 아니었다. 어쨌든 데나리우스 같은 제국 아니 전 지중해 세계의 기축 통화의 화폐가치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것은 좋은 현상이 결코 아니다.[23] 의외일 수도 있는데, 콤모두스는 놀고 먹으면서 나라를 방치한 암군일 뿐 전대의 네로, 후대의 엘라가발루스처럼 국고 문제를 심화시킨 암군은 아니었다.[24] 사실 카라칼라의 성격이 개막장이 된 것은, 세베루스 자신이 카라칼라를 냉혹하게 대했던 것도 있지만, 헤로데스 아티쿠스의 제자들을 카라칼라의 가정교사로 한 것도 원인 중 하나이다. 헤로데스 아티쿠스는 당대에 유능한 철학자이자 웅변가였으나 그에 못지 않게 인성파탄자로도 유명했고, 그의 제자들도 스승이 했던 것 처럼 거의 아동 학대에 가까운 수준으로 카라칼라를 대하였다. 다만 세베루스는 아티쿠스의 제자들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소 파우스티나 등에 대한 루머를 양산하는 것" 만큼은 철저하게 금지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