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12:30:10

요안니스 4세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원수정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아우구스투스 | 티베리우스 | 가이우스(칼리굴라) | 클라우디우스 | 네로
네 황제의 해 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플라비우스 왕조 베스파시아누스 | 티투스 | 도미티아누스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네르바 | 트라야누스 | 하드리아누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 | 공동 즉위 루키우스 베루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콤모두스
비정통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세베루스 왕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공동 즉위 게타 · 카라칼라
- 마크리누스 · 디아두메니아누스
세베루스 왕조 엘라가발루스 |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군인 황제 시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공동 즉위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공동 즉위 푸피에누스(막시무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 필리푸스 아라부스 · 필리푸스 2세 | 데키우스 | 공동 통치 데키우스 ·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 공동 즉위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호스틸리아누스 · 볼루시아누스 | 아이밀리아누스 | 공동 즉위 발레리아누스 · 갈리에누스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 퀸틸루스 | 아우렐리아누스 | 타키투스 | 플로리아누스 | 프로부스 | 카루스 | 공동 즉위 누메리아누스 · 카리누스
비정통 스폰시아누스 · 실반나쿠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
- 카리누스 · 디오클레티아누스
서방 동방
양두정치 막시미아누스 양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사두정치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막센티우스 | 2차 재위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누스 1세 사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리키니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공동 즉위 콘스탄티누스 2세 · 콘스탄스
비정통 마그넨티우스 · 율리우스 네포티아누스 · 베트라니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 요비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서방 동방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 그라티아누스 | 발렌티니아누스 2세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스
비정통 프로코피우스
비정통 에우게니우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마그누스 막시무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통일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서방 동방
테오도시우스 왕조 호노리우스 | 콘스탄티우스 3세 | 발렌티니아누스 3세
비정통 히스파니아의 막시무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르카디우스 | 테오도시우스 2세 | 마르키아누스
비정통 콘스탄티누스 3세 · 프리스쿠스 아탈루스 · 요안네스
최후의 순간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아비투스 | 마요리아누스 | 리비우스 세베루스 | 안테미우스 | 올리브리우스 | 글리케리우스 | 율리우스 네포스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레오 왕조 레오 1세 | 레오 2세 | 제노 | 바실리스쿠스 · 마르쿠스 | 2차 재위 제노
동방
레오 왕조 2차 재위 제노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유스티누스 1세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유스티누스 2세 | 티베리우스 2세 | 마우리키우스 · 테오도시우스
- 포카스
이라클리오스 왕조 이라클리오스 | 공동 즉위 콘스탄티노스 3세 · 이라클로나스 · 다비드 티베리오스 | 콘스탄스 2세 · 콘스탄티노스 4세 · 이라클리오스 · 티베리오스 | 유스티니아노스 2세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2차 재위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이사브리아 왕조 레온 3세 | 콘스탄티노스 5세 | 아르타바스도스 · 니키포로스 | 2차 재위 콘스탄티노스 5세 | 레온 4세 | 콘스탄티노스 6세 | 이리니
니키포로스 왕조 니키포로스 1세 | 스타브라키오스 | 미하일 1세 랑가베스 · 테오필락토스 · 스타브라키오스
- 레온 5세 · 콘스탄티노스
아모리아 왕조 미하일 2세 | 테오필로스 | 미하일 3세
마케도니아 왕조 바실리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 레온 6세 | 알렉산드로스 2세 | 콘스탄티노스 7세 | 로마노스 1세 · 흐리스토포로스 레카피노스 · 스테파노스 레카피노스 · 콘스탄티노스 레카피노스 | 로마노스 2세 | 니키포로스 2세 | 요안니스 1세 | 바실리오스 2세 | 콘스탄티노스 8세 | 로마노스 3세 | 미하일 4세 | 미하일 5세 | 공동 즉위 조이 · 테오도라 | 콘스탄티노스 9세 | 2차 재위 테오도라
- 미하일 6세
콤니노스 왕조 이사키오스 1세
두카스 왕조 콘스탄티노스 10세 | 미하일 7세 · 콘스탄티오스 두카스 ·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로마노스 4세 · 레온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3세
콤니노스 왕조 알렉시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요안니스 2세 · 알렉시오스 콤니노스 | 마누일 1세 | 알렉시오스 2세 | 안드로니코스 1세
앙겔로스 왕조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3세 | 2차 재위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4세 | 알렉시오스 5세
니케아
라스카리스 왕조 테오도로스 1세 | 요안니스 3세 | 테오도로스 2세 | 요안니스 4세 | 미하일 8세
비정통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동방
팔레올로고스 왕조 미하일 8세 | 안드로니코스 2세 | 미하일 9세 | 안드로니코스 3세 |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요안니스 6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안드로니코스 4세 · 요안니스 7세 | 3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7세 · 안드로니코스 5세 | 4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 요안니스 8세 | 콘스탄티노스 11세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EFA5> 비정통 초대 제2대
콘스탄티노스 테오도로스 1세 요안니스 3세
<rowcolor=#FFEFA5> 제3대 제4대 제4대 (공동)
테오도로스 2세 요안니스 4세 미하일 8세 }}}}}}}}}}}}

니케아 제국 제4대 황제
로마 제국 제121대 황제
요안니스 4세
Ιωάννης Δ΄
파일:220px-John_IV_Laskaris_miniature[1].jpg
<colbgcolor=#9F0807><colcolor=#FCE774,#FCE774> 이름 요안니스 두카스 라스카리스
Ἰωάννης Δούκας Λάσκαρις
출생 1250년 12월 25일
니케아 제국
사망 1305년 (향년 55세)
동로마 제국 비티니아 다키비제 요새
재위 기간 니케아 황제
1258년 8월 16일 ~ 1261년 12월 25일 (3년)
전임자 테오도로스 2세
후임자 미하일 8세
부모 아버지 : 테오도로스 2세
어머니 : 불가리아의 엘레나 아세니나
종교 기독교(정교회)
1. 개요2. 생애
2.1. 부황의 요절과 어린나이 즉위 그리고 섭정2.2. 무잘론 형제의 피살과 미하일의 찬탈2.3. 폐위와 그 이후의 여파
3. 참고4. 대중 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로마 제국 제121대 황제이자 동로마 제국잔존국니케아 제국 라스카리스 왕조의 제4대 황제.

2. 생애

2.1. 부황의 요절과 어린나이 즉위 그리고 섭정

요안니스 3세의 적손이자 테오도로스 2세의 외아들이다. 1250년 12월 25일에 태어났다. 하지만 1258년 8월 18일 테오도로스 2세가 간질로 인하여 요절을 하게 되자 겨우 8세 나이에 즉위를 한다. 모후 불가리아의 엘레나 아세니나는 어린 황제를 보호하기 위해 요르요스 무잘론을 비롯한 무잘론 가문의 인사[1]섭정에 임명한다.

2.2. 무잘론 형제의 피살과 미하일의 찬탈

하지만 테오도로스 2세가 붕어하고 요안니스 4세가 즉위한지 겨우 9일만에 요르요스 무잘론과 형제들은 의문사를 당하고 만다. 이는 배후에 미하일 팔레올로고스(Michael Palaiolgos, Μιχαήλ Η' Παλαιολόγος, 1224~1282)가 관여하였다. 당시 미하일은 테오도로스 2세 치세 때 황제의 미움을 받아 견제를 받고있었다. 미하일은 요안니스 4세의 섭정단을 물리치고 정권을 장악하고 만다. 대관식도 못 치렀던 요안니스 4세는 같은 해 12월, 미하일과 공동황제로 대관식을 치렀다. 당연히 실권이 누구에게 있는지는 명약관화. 미하일 8세로 즉위한 미하일 팔레올로고스는 1259년 주변국들인 이피로스 전제군주국미하일 2세 콤니노스 두카스시칠리아 왕국, 아카이아 공국, 아테네 공국, 테살리아의 연합군을 펠라고니아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고 만다. 그 후 1261년 8월 15일에 미하일 8세는 수도콘스탄티노폴리스를 탈환하여 라틴 제국을 멸망시키고 로마 제국을 부활시킨다. 그 다음에는 이러한 군공을 바탕으로, 미하일 8세는 불편한 동거를 끝내기로 한다.

2.3. 폐위와 그 이후의 여파

정통황제인 요안니스 4세는 결국 1261년 12월 25일에 미하일 8세에 의해서 실명의 형벌을 받고[2][3] 폐위를 당하여 비티니아마르마라 해 다키비제 요새에 감금되었다. 이후 1290년 미하일 8세의 아들이자 새로운 황제 안드로니코스 2세가 요안니스 4세를 방문하여 미하일 8세가 한짓이 가혹했다고 사과를 한뒤 용서를 빌고 이제라도 자기를 적법한 황제로 인정해줄 수 있냐고 말했다.[4] 그러나 정말인지 일부러 했는지 요안니스 4세가 그에게 어떠한 대답을 했는지에 관한 기록이 없다. 그 뒤 비록 죽음은 면하였지만 실명당한 채 40여년간을 유폐된 상태로 보낸 요안니스 4세는 안드로니코스 2세의 치세가 한창인 1305년에 사망하고 만다. 이는 미하일 8세에 반발한 기존의 니케아 지역의 민심 이탈과 라스카리스 왕조의 지지자들에게도 반감을 사게 되었으며 심지어는 요안니스 4세를 참칭한 반란들도 일어났다. 결국 요안니스 4세의 폐위가 미하일 8세의 치세에 큰 결점 중 하나로 남기게 되어 외부적인 혼란뿐 만 아니라 내부적인 갈등이 심화되는 역사적 사건이 된다.

3. 참고

이탈리아 모데나 에스턴스 장서고(위키피디아 영문사전)

4. 대중 매체에서


[1] 요르요스의 형제[2] 동로마 정계의 '자비'란 것은 경쟁자를 죽이는 대신 눈알만 파버리는 것이었다. 그러니까 미하일 8세가 11살 아이의 두 눈을 파버린 거다.[3] 하필이면 이날은 요안니스 4세의 생일이기도 했다....[4] 공교롭게도 이 둘은 비슷한 또래다.[5] 이때 오스만 1세는 아직 어린 아이였기에 그 아버지인 에르투으룰을 대호군 직위(제국 관작의 35번째 서열로 원로원 출입이 가능한 가장 낮은 직급이다. 중앙 관작으로는 낮은 계급이지만 생판 인연도 없는 유목민에게 원로원 출입권, 즉 중앙 정계 진출권을 준 것이다.)에 임명하고 그를 통해 유목민들의 정착 사업 및 제국군 입대 사업을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