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31 11:26:20

플로리아누스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원수정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아우구스투스 | 티베리우스 | 가이우스(칼리굴라) | 클라우디우스 | 네로
네 황제의 해 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플라비우스 왕조 베스파시아누스 | 티투스 | 도미티아누스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네르바 | 트라야누스 | 하드리아누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 | 공동 즉위 루키우스 베루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콤모두스
비정통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세베루스 왕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공동 즉위 게타 · 카라칼라
- 마크리누스 · 디아두메니아누스
세베루스 왕조 엘라가발루스 |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군인 황제 시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공동 즉위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공동 즉위 푸피에누스(막시무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 필리푸스 아라부스 · 필리푸스 2세 | 데키우스 | 공동 통치 데키우스 ·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 공동 즉위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호스틸리아누스 · 볼루시아누스 | 아이밀리아누스 | 공동 즉위 발레리아누스 · 갈리에누스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 퀸틸루스 | 아우렐리아누스 | 타키투스 | 플로리아누스 | 프로부스 | 카루스 | 공동 즉위 누메리아누스 · 카리누스
비정통 스폰시아누스 · 실반나쿠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
- 카리누스 · 디오클레티아누스
서방 동방
양두정치 막시미아누스 양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사두정치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막센티우스 | 2차 재위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누스 1세 사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리키니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공동 즉위 콘스탄티누스 2세 · 콘스탄스
비정통 마그넨티우스 · 율리우스 네포티아누스 · 베트라니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 요비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서방 동방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 그라티아누스 | 발렌티니아누스 2세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스
비정통 프로코피우스
비정통 에우게니우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마그누스 막시무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통일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서방 동방
테오도시우스 왕조 호노리우스 | 콘스탄티우스 3세 | 발렌티니아누스 3세
비정통 히스파니아의 막시무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르카디우스 | 테오도시우스 2세 | 마르키아누스
비정통 콘스탄티누스 3세 · 프리스쿠스 아탈루스 · 요안네스
최후의 순간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아비투스 | 마요리아누스 | 리비우스 세베루스 | 안테미우스 | 올리브리우스 | 글리케리우스 | 율리우스 네포스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레오 왕조 레오 1세 | 레오 2세 | 제노 | 바실리스쿠스 · 마르쿠스 | 2차 재위 제노
동방
레오 왕조 2차 재위 제노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유스티누스 1세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유스티누스 2세 | 티베리우스 2세 | 마우리키우스 · 테오도시우스
- 포카스
이라클리오스 왕조 이라클리오스 | 공동 즉위 콘스탄티노스 3세 · 이라클로나스 · 다비드 티베리오스 | 콘스탄스 2세 · 콘스탄티노스 4세 · 이라클리오스 · 티베리오스 | 유스티니아노스 2세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2차 재위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이사브리아 왕조 레온 3세 | 콘스탄티노스 5세 | 아르타바스도스 · 니키포로스 | 2차 재위 콘스탄티노스 5세 | 레온 4세 | 콘스탄티노스 6세 | 이리니
니키포로스 왕조 니키포로스 1세 | 스타브라키오스 | 미하일 1세 랑가베스 · 테오필락토스 · 스타브라키오스
- 레온 5세 · 콘스탄티노스
아모리아 왕조 미하일 2세 | 테오필로스 | 미하일 3세
마케도니아 왕조 바실리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 레온 6세 | 알렉산드로스 2세 | 콘스탄티노스 7세 | 로마노스 1세 · 흐리스토포로스 레카피노스 · 스테파노스 레카피노스 · 콘스탄티노스 레카피노스 | 로마노스 2세 | 니키포로스 2세 | 요안니스 1세 | 바실리오스 2세 | 콘스탄티노스 8세 | 로마노스 3세 | 미하일 4세 | 미하일 5세 | 공동 즉위 조이 · 테오도라 | 콘스탄티노스 9세 | 2차 재위 테오도라
- 미하일 6세
콤니노스 왕조 이사키오스 1세
두카스 왕조 콘스탄티노스 10세 | 미하일 7세 · 콘스탄티오스 두카스 ·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로마노스 4세 · 레온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3세
콤니노스 왕조 알렉시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요안니스 2세 · 알렉시오스 콤니노스 | 마누일 1세 | 알렉시오스 2세 | 안드로니코스 1세
앙겔로스 왕조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3세 | 2차 재위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4세 | 알렉시오스 5세
니케아
라스카리스 왕조 테오도로스 1세 | 요안니스 3세 | 테오도로스 2세 | 요안니스 4세 | 미하일 8세
비정통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동방
팔레올로고스 왕조 미하일 8세 | 안드로니코스 2세 | 미하일 9세 | 안드로니코스 3세 |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요안니스 6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안드로니코스 4세 · 요안니스 7세 | 3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7세 · 안드로니코스 5세 | 4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 요안니스 8세 | 콘스탄티노스 11세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
로마 제국 제39대 황제
플로리아누스
FLORIANVS
파일:Aureus_Florianus_Ticinum_(obverse).jpg
<colbgcolor=#9F0807><colcolor=#FCE774,#FCE774> 이름 마르쿠스 안니우스 플로리아누스
( Marcus Annius Florianus)
출생 232년 8월 19일
로마 제국 움브리아 테르니
사망 276년 9월 9일 (향년 44세)
로마 제국 킬리키아 타르수스
재위 기간 로마 황제
276년 7월 ~ 276년 9월 (2개월)
전임자 타키투스
후임자 프로부스
가족 타키투스 (이부형제)
종교 로마 다신교
1. 개요2. 생애
2.1. 황제 즉위 이전2.2. 황제 즉위2.3. 최후

[clearfix]

1. 개요

로마 제국 제39대 황제. 타키투스 황제의 이부(異父) 동생으로, 풀네임은 마르쿠스 안니우스 플로리아누스, 제호로서 개명한 이름은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안니우스 플로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이다. 276년 7월 타키투스가 사망하자 황위에 올랐으나 프로부스의 반란에 직면했고 겨우 2달 만에 부하들의 배신으로 살해당했다.

2. 생애

2.1. 황제 즉위 이전

플로리아누스가 황제를 칭하기 전 어떤 행적을 남겼는지는 별로 알려지지 않고, 고향이나 친부 이름조차 전혀 알 수 없다. 분명한 사실은 플로리아누스가 타키투스 황제의 이부동생이었고 유일한 형제지간이며 그의 최측근이었다는 점 정도다.

타키투스 황제보다는 어린 나이인 건 분명하며, 브리태니커 사전상 표기 설명처럼 232년생이 맞다면 대략 200년생으로 추정된 이부형 타키투스보다 무려 32살 정도가 어린 형제지간이 된다. 로마나 이탈리아 내에서 태어났을 것으로 짐작되며, 어머니는 전 결혼에서 타키투스를 얻은 만큼 부친 역시 최소 재혼 이상을 한 사람으로 추정된다. 275년 말 이부형 타키투스가 아우렐리아누스 황제 사후 황제로 선포되자, 그의 유일한 동생 플로리아누스는 곧 요직을 차지하게 된다. 이때 타키투스는 고트족과 결전을 벌이기 전, 플로리아누스를 직접 발탁해 그에게 프라이토리아니를 이끄는 근위대장에 임명했다. 따라서 플로리아누스는 타키투스 치세 중 제국 내 서열 2위에 일찌감치 올랐고, 실질적인 타키투스 세력의 군권을 쥔 실력자였던 것으로 보인다.

근위대장 시절, 근위대를 이끌고 판노니아로 이동한 타키투스를 호위했다.

2.2. 황제 즉위

276년 7월 타키투스가 판노니아에 주둔한 로마군 진지에서 노환 혹은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타키투스가 사망했다.[1] 그러자 플로리아누스는 자신이 황제와 가장 가까운 관계이자 근위대장이었음을 상기시키며 황제를 칭했다. <로마 제국 쇠망사>의 저자 에드워드 기번은 플로리아누스가 원로원의 승인을 받기도 전에 황제를 칭했다고 기술했다. 하지만 당대 사료들은 원로원이 그를 추대했다고 서술되었으며, 이탈리아 본토와 갈리아, 브리타니아 등 서방 로마군 역시 플로리아누스를 황제로 받들었다고 한다. 이후 플로리아누스는 이부 형이 미처 처리하지 못했던 고트족 원정에 착수했다.

2.3. 최후

276년 8월, 아우렐리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수많은 전공을 쌓았던 동방 사령관 프로부스가 반란을 일으켰다. 그의 반란은 이집트, 시리아, 팔레스타인과 페니키아 방면 로마군의 호응을 얻었다. 프로부스는 이집트에서 로마로 보내는 곡물 공급을 차단하여 로마를 괴롭게 했다. 이에 플로리아누스는 원로원을 통해 프로부스를 국가의 적으로 성토하고 친히 군대를 이끌고 프로부스 토벌에 착수했다. 그러나 유능한 지휘관이었던 프로부스는 수적으로 열세인 전력으로 적과 전면대결하지 않고 게릴라 전술을 통해 플로리아누스의 로마군을 괴롭혔다.

당시 플로리아누스가 이끌고 온 서방의 로마군은 게르마니아의 추운 날씨에 익숙했지만 소아시아 특유의 덥고 건조한 날씨 적응에 애를 먹었다. 결국 타르수스에 진군한 로마군은 더위와 갈증에 시달렸고 많은 병사들이 병에 걸렸다. 프로부스는 그런 적을 수시로 습격해 전의를 상실하게 했고 플로리아누스에게 지지를 표한 도시들을 습격했다.

이에 플로리아누스가 이끌고 온 군대는 불만을 품었고 자신들을 곤경에 빠뜨려놓고 아무런 대책도 세우지 않는 플로리아누스를 제거하고 프로부스에게 가담하기로 결의했다. 결국 276년 9월, 플로리아누스는 부하들에게 살해당했다.


[1] 노환으로 인한 사망이라는 말도 있고 피살이라는 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