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11:39:22

게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게타(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원수정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아우구스투스 | 티베리우스 | 가이우스(칼리굴라) | 클라우디우스 | 네로
네 황제의 해 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플라비우스 왕조 베스파시아누스 | 티투스 | 도미티아누스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네르바 | 트라야누스 | 하드리아누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 | 공동 즉위 루키우스 베루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콤모두스
비정통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세베루스 왕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공동 즉위 게타 · 카라칼라
- 마크리누스 · 디아두메니아누스
세베루스 왕조 엘라가발루스 |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군인 황제 시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공동 즉위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공동 즉위 푸피에누스(막시무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 필리푸스 아라부스 · 필리푸스 2세 | 데키우스 | 공동 통치 데키우스 ·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 공동 즉위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호스틸리아누스 · 볼루시아누스 | 아이밀리아누스 | 공동 즉위 발레리아누스 · 갈리에누스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 퀸틸루스 | 아우렐리아누스 | 타키투스 | 플로리아누스 | 프로부스 | 카루스 | 공동 즉위 누메리아누스 · 카리누스
비정통 스폰시아누스 · 실반나쿠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
- 카리누스 · 디오클레티아누스
서방 동방
양두정치 막시미아누스 양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사두정치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막센티우스 | 2차 재위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누스 1세 사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리키니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공동 즉위 콘스탄티누스 2세 · 콘스탄스
비정통 마그넨티우스 · 율리우스 네포티아누스 · 베트라니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 요비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서방 동방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 그라티아누스 | 발렌티니아누스 2세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스
비정통 프로코피우스
비정통 에우게니우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마그누스 막시무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통일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서방 동방
테오도시우스 왕조 호노리우스 | 콘스탄티우스 3세 | 발렌티니아누스 3세
비정통 히스파니아의 막시무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르카디우스 | 테오도시우스 2세 | 마르키아누스
비정통 콘스탄티누스 3세 · 프리스쿠스 아탈루스 · 요안네스
최후의 순간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아비투스 | 마요리아누스 | 리비우스 세베루스 | 안테미우스 | 올리브리우스 | 글리케리우스 | 율리우스 네포스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레오 왕조 레오 1세 | 레오 2세 | 제노 | 바실리스쿠스 · 마르쿠스 | 2차 재위 제노
동방
레오 왕조 2차 재위 제노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유스티누스 1세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유스티누스 2세 | 티베리우스 2세 | 마우리키우스 · 테오도시우스
- 포카스
이라클리오스 왕조 이라클리오스 | 공동 즉위 콘스탄티노스 3세 · 이라클로나스 · 다비드 티베리오스 | 콘스탄스 2세 · 콘스탄티노스 4세 · 이라클리오스 · 티베리오스 | 유스티니아노스 2세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2차 재위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이사브리아 왕조 레온 3세 | 콘스탄티노스 5세 | 아르타바스도스 · 니키포로스 | 2차 재위 콘스탄티노스 5세 | 레온 4세 | 콘스탄티노스 6세 | 이리니
니키포로스 왕조 니키포로스 1세 | 스타브라키오스 | 미하일 1세 랑가베스 · 테오필락토스 · 스타브라키오스
- 레온 5세 · 콘스탄티노스
아모리아 왕조 미하일 2세 | 테오필로스 | 미하일 3세
마케도니아 왕조 바실리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 레온 6세 | 알렉산드로스 2세 | 콘스탄티노스 7세 | 로마노스 1세 · 흐리스토포로스 레카피노스 · 스테파노스 레카피노스 · 콘스탄티노스 레카피노스 | 로마노스 2세 | 니키포로스 2세 | 요안니스 1세 | 바실리오스 2세 | 콘스탄티노스 8세 | 로마노스 3세 | 미하일 4세 | 미하일 5세 | 공동 즉위 조이 · 테오도라 | 콘스탄티노스 9세 | 2차 재위 테오도라
- 미하일 6세
콤니노스 왕조 이사키오스 1세
두카스 왕조 콘스탄티노스 10세 | 미하일 7세 · 콘스탄티오스 두카스 ·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로마노스 4세 · 레온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3세
콤니노스 왕조 알렉시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요안니스 2세 · 알렉시오스 콤니노스 | 마누일 1세 | 알렉시오스 2세 | 안드로니코스 1세
앙겔로스 왕조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3세 | 2차 재위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4세 | 알렉시오스 5세
니케아
라스카리스 왕조 테오도로스 1세 | 요안니스 3세 | 테오도로스 2세 | 요안니스 4세 | 미하일 8세
비정통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동방
팔레올로고스 왕조 미하일 8세 | 안드로니코스 2세 | 미하일 9세 | 안드로니코스 3세 |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요안니스 6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안드로니코스 4세 · 요안니스 7세 | 3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7세 · 안드로니코스 5세 | 4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 요안니스 8세 | 콘스탄티노스 11세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
게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742em; letter-spacing: -0.35px"
{{{#!wiki style=""<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라틴어 문구 색상 범례
  • ignotus: 불명
황제 겸 집정관 }}}
201년 202년 202년 보결 203년 204년
루키우스 안니우스 파비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페르티낙스 아우구스투스 티투스 무렌니우스 세베루스 가이우스 풀비우스 플라우티아누스 루키우스 파비우스 킬로 셉티미누스 카티니우스 아킬리아누스 레피두스 풀키니아누스
마르쿠스 노니우스 아리우스 무키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카시우스 레갈리아누스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 마르쿠스 안니우스 플라비우스 리보
204년 보결 205년 206년 206년 보결 207년
루키우스 폼포니우스 리베랄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움브리우스 프리무스 세네키오 알비누스 푸블리우스 툴리우스 마르수스 루키우스 안니우스 막시무스
ignotus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 카이사르 루키우스 풀비우스 가비우스 누미시우스 페트로니우스 아이밀리아누스 마르쿠스 카일리우스 파우스티누스 가이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아페르
208년 209년 210년 211년 212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폼페이아누스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파우스티누스 헤디우스 롤리아누스 테렌티우스 겐티아누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아스페르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 카이사르 퀸투스 헤디우스 롤리아누스 플라우티우스 아비투스 아울루스 트리아리우스 루피누스 폼포니우스 바수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밀리우스 아스페르
212년 보결 213년 214년 215년 216년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세베루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퀸투스 마이키우스 라이투스 푸블리우스 카티우스 사비누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 데키무스 카일리우스 칼비누스 발비누스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아피우스 수에트리우스 사비누스 마르쿠스 무나티우스 술라 케리알리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아눌리누스
217년 218년 218년 보결 219년 220년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프라이센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오펠리우스 세베루스 마크리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티투스 메시우스 엑스트리카투스 마르쿠스 오클라티니우스 아드벤투스 퀸투스 티네이우스 사케르도스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코마존
221년 222년 223년 224년 225년
가이우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사비니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마리우스 막시무스 페르페투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아누스 티베리우스 마닐리우스 푸스쿠스
마르쿠스 플라비우스 비텔리우스 셀레우쿠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알렉산데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로스키우스 아일리아누스 파쿨루스 살비우스 율리아누스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크리스피누스 세르비우스 칼푸르니우스 도미티우스 덱스테르
226년 227년 228년 229년 230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세네키오 알비누스 퀸투스 아이아키우스 모데스투스 크레스켄티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비리우스 아그리콜라
가이우스 아우피디우스 마르켈루스 마르쿠스 라일리우스 풀비우스 막시무스 아이밀리아누스 마르쿠스 폼포니우스 마이키우스 프로부스 카시우스 디오 섹스투스 카티우스 클레멘티누스 프리스킬리아누스
231년 232년 233년 234년 235년
루키우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 루키우스 비리우스 루푸스 율리아누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아킬리우스 프리스킬리아누스 마르쿠스 클로디우스 푸피에누스 막시무스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티투스 플라비우스 살루스티우스 파일리그니아누스 루키우스 마리우스 막시무스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파테르누스 마르쿠스 무나티우스 술라 우르바누스 루키우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퀸티아누스
236년 237년 238년 239년 240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율리우스 베루스 막시미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마리우스 페르페투우스 [루키우스] 풀비우스 피우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고르디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아피우스 수에트리우스 사비누스
마르쿠스 푸피에누스 아프리카누스 막시무스 루키우스 뭄미우스 펠릭스 코르넬리아누스 폰티우스 프로쿨루스 폰티아누스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아비올라 루키우스 라고니우스 베누스투스
241년 242년 243년 244년 245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고르디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아티쿠스 사비니아누스 루키우스 안니우스 아리아누스 티베리우스 폴리에누스 아르메니우스 페레그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클로디우스 폼페이아누스 가이우스 아시니우스 레피두스 프라이텍스타투스 가이우스 케르보니우스 파푸스 풀비우스 아이밀리아누스 가이우스 마이시우스 티티아누스
246년 247년 248년 249년 250년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프라이센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풀비우스 가비우스 누미시우스 아이밀리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메시우스 퀸투스 트라야누스 데키우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알리우스 알비누스 마르쿠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필리푸스 카이사르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나이비우스 아퀼리누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251년 252년 253년 254년 255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메시우스 퀸투스 트라야누스 데키우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비비우스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비비우스 볼루시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퀸투스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메시우스 데키우스 카이사르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비비우스 볼루시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포플리콜라 발비누스 막시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256년 257년 258년 259년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 아킬리우스 프리스킬리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투스쿠스 (눔미우스) 아이밀리아누스 (덱스테르)
마르쿠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뭄미우스 바수스 폼포니우스 바수스
260년 261년 262년 263년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사이쿨라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알비누스
가이우스 유니우스 도나투스 루키우스 페트로니우스 타우루스 볼루시아누스 눔미우스 파우스티아누스 덱스테르 (막시무스)
동방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풀비우스 마크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풀비우스 퀴에투스 아우구스투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호노라티아누스
264년 265년 266년 267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오비니우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아퀼리우스 파테르누스
사투르니누스 루킬루스 사비닐루스 아르케실라우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피아보니우스 빅토리누스
268년 269년 270년 271년
아스파시우스 파테르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안티오키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에그나티우스 마리니아누스 파테르누스 비리우스 오르피투스 폼포니우스 바수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피아보니우스 빅토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피아보니우스 빅토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아우구스투스
산크투스
272년 273년 274년 275년
티투스 플라비우스 포스투미우스 퀴에투스 아울루스 카이키나 타키투스 또는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타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유니우스 벨둠니아누스 율리우스 플라키디아누스 카피톨리누스 (아우렐리우스) 마르켈리누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아우구스투스
노빌리시무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276년 277년 278년 279년 280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타키투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풀비우스) 아이밀리아누스 (루키우스 율리우스) 비리우스 루푸스 노니우스 파테르누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281년 282년 283년 284년 284년 보결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루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리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유니우스 티베리아누스 빅토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리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누메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카이소니우스 오비니우스 루피누스 마닐리우스 바수스 Ⅱ)
285년 286년 287년 288년
티투스 클라우디우스 아우렐리우스 아리스토불루스 마르쿠스 유니우스 막시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베티우스 아퀼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폼포니우스 야누아리아누스
동방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서방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리누스 아우구스투스
288년 보결 289년 289년 보결 289년 보결
… a 마르쿠스 마그리우스 바수스 마르쿠스 움브리우스 프리무스 케이오니우스 프로쿨루스
… ivianus 루키우스 라고니우스 퀸티아누스 티투스 플라비우스 코엘리아누스 헬비우스 클레멘스
브리타니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마우사이우스 카라우시우스
289년 보결 290년 291년 292년
플라비우스 데키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유니우스 티베리아누스 아프라니우스 한니발리아누스
… ninius 막시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카시우스 디오 율리우스 아스클레피오도투스
브리타니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마우사이우스 카라우시우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마우사이우스 카라우시우스
293년 294년 295년 296년 297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눔미우스 투스쿠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안니우스 아눌리누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카이사르
298년 299년 300년
아니키우스 파우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비리우스 갈루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카이사르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8px; padding: 0 6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30731,#383b40><table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브리튼인의 왕|[[파일:웨일스 국기의 적룡.svg.png|height=45]]]]}}}[br]'''{{{#fff 브리튼인의 왕}}}'''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브루투스 1세
코리네우스
로크리누스
알바나크투스
캄베르
구엔돌로에나
구엔돌로에나 마단
구엔돌로에나
멤프리키우스 에브라우쿠스 브루투스 비리데리쿠툼 레일
루드 후드 후디브라스 블라두드 레이르 코르델리아
마르가누스 1세
쿠네다기우스
쿠네다기우스 리발로 구르구스티우스
시실리우스 1세 야고 키마르쿠스 고르보두크
페르렉스
포르렉스
핀네르
스타테리우스
루다우쿠스
클로텐
둔발로 몰무티우스 브렌니우스
벨리누스
벨리누스 구르구이트 바르브트루크 구이델린 마르키아
시실리우스 2세 키나리우스 다니우스 모르비두스
고르보니아누스 아르크갈로 엘리두루스 아르크갈로
엘리두루스 페레두루스
잉게니우스
페레두루스 엘리두루스
고르보니아누스의 아들 마르가누스 2세 엔니아우누스 이드발로
루노 게렌누스 카텔루스 밀루스
포르렉스 2세 케린 풀게니우스 에다누스
안드라기우스 우리아누스 엘리우드 클레다우쿠스
클로테누스 구르긴티우스 메리아누스 블레두도
카프 오에누스 시실리우스 3세 벨드가브레드
아르크마일 엘돈 레돈 레데키우스
사무일 페네실 피르 카포이르 디구엘리우스
헬리 루드 카시벨라우누스 타스키오바누스 (텐반티우스)
쿠노벨리누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코기두브누스/토고둠누스 (구이데리우스) 카락타쿠스(아르비라르구스) 마리우스
코일루스 루키우스 게타 바시아누스
카라우시우스 알렉투스 율리우스 아스클레피오도투스 콜레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 콘스탄티누스 1세 옥타비우스 트라헤른
옥타비우스 마그누스 막시무스
카라도쿠스, 디오도투스
그라키아누스 무니켑스 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스 2세 보티건 보티머 리오타무스
암브로시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우서 펜드래곤 아서왕 콘스탄티누스 3세
아우렐리우스 코나누스 보르티포리우스 마글로쿠누스(마엘군 귀네드) 케레딕
셀러프 압 커난 케레딕 압 구알록 카드반 압 이아고 카드왈론 압 카드반
이드리스 에우게인 1세 카드왈라드르 게론티우스
로드리 몰루어녹 커난 딘다에수이 메르번 브런흐 로드리 마우르
아나라우드 압 로드리 이두알 포엘 압 아나라우드 허우엘 다 더픈왈 압 오와인
마레디드 압 오와인 허웰린 압 세이설 이아고 압 이두알 그리퍼드 압 허웰린
블레던 압 컨번 러스 압 테우두르 그리퍼드 압 커난 오와인 귀네드
러스 압 그리퍼드 허웰린 바우르 다비드 압 허웰린 허웰린 압 그리퍼드
다비드 압 그리퍼드 마독 압 허웰린 오와인 글린두르 웨일스 공으로 계승
밑줄: 브리타니아 열왕사에 등장하는 전설 속의 왕이나 왕으로 서술된 실존인물
귀네드 국왕·웨일스인 웨일스 공 · 영국 국왕
}}}}}}}}}
<colcolor=#fff> 브리튼 제83대 브리튼인의 왕[1]
로마 제국 제21대 황제
게타
GETA
파일:800px-Publius_Septimius_Geta_Louvre_Ma1076.jpg
<colbgcolor=#9F0807> 이름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
(Publius Septimius Geta)
출생 189년 3월 7일
로마 제국 로마
사망 211년 12월 26일 (향년 22세)
로마 제국 로마
재위 기간 로마 황제
211년 2월 2일 ~ 211년 12월 26일 (326일)
전임자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후임자 카라칼라
부모 아버지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어머니 : 율리아 돔나
종교 로마 다신교
1. 개요2. 생애
2.1. 황제가 되기 전2.2. 아버지의 죽음과 유언2.3. 암살
3. 평가4. 여담

[clearfix]

1. 개요

로마 제국의 21대 황제이자 세베루스 왕조의 공동 황제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둘째 아들이자 카라칼라의 친동생으로, 형 카라칼라와 공동 황제가 된 인물이다. 아버지 세베루스와 어머니 율리아 돔나의 결정으로 형 카라칼라와 함께 공동 통치 아래 제국을 물려받았으나 공동 즉위하기 이전부터 형 카라칼라와는 사이가 안 좋았으며 즉위 이후에도 형제 관계는 갈수록 악화일로의 길을 걷게 되는데, 형제가 서로 견제하고 파벌을 만들어 권력 투쟁으로 번지게 된 상황 속에서 공존과 제국 분할 모두 실패되면서 결국 211년 12월[2] 어머니 율리아 돔나의 침실에서 형 카라칼라에 의해 어머니 앞에서 살해되는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사후 로마 대학살로 불린 약 2만 명의 로마인들[3]이 카라칼라 손에 살육되는 사건이 벌어졌다.

2. 생애

2.1. 황제가 되기 전

파일:external/www.cachecoins.org/geta.jpg
파일:external/www.wildwinds.com/RIC_0016a-o.jpg

카이사르 시절의 게타가 도안된 로마 시대 주화들

본명은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Publius Septimius Geta)로, 할아버지, 큰아버지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의 풀네임을 그대로 따왔다.

189년 3월 7일생으로 고향은 로마이다. 간혹 메디올라눔 태생이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로마 태생이 맞으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율리아 돔나 사이에서 둘째 아이로 태어났다. 위에는 연년생 형인 카라칼라가 있다. 게타는 형 카라칼라와 고작 11개월 차이였는데, 형제는 세베루스가 제위에 오른 뒤부터 늘 경쟁 관계에 몰렸고, 이것은 연년생 형제가 후일 치명적인 증오 관계되는 배경이 됐다.

태어날 당시, 아버지 세베루스가 콤모두스 아래에서 지방 총독에 부임했다고 하며, 외모는 아버지 세베루스를 붕어빵 수준으로 많이 닮았다고 한다. 게타는 율리아 돔나가 잉태할 때부터 태몽이 좋았고, 별자리 점 역시 완벽했다. 고대기록들은 마법, 주술, 미신, 점궤 등을 신봉한 세베루스 부부가 게타를 특별하게 여긴 배경이 됐다고 한다. 하지만 게타는 일시적으로 어릴 때, 형 카라칼라가 허구적 입양 절차 아래 정치적으로 안토니누스 가문 수장이 되고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이름을 취할 당시, 루키우스 베루스 황제의 이름인 루키우스라는 이름을 잠시 얻을 때를 제외하면, 허구적 입양이나 개명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 그럼에도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는 그를 안토니누스 게타로 표기했고, 콘스탄티누스 왕조 황제들 역시 게타를 이렇게 불렀다.

9세이던 198년, 1살 위의 형 카라칼라가 황제(Augustus)로서 아버지와 공동 황제가 되었을 때 처음으로 카이사르(Caesar) 칭호를 받았다. 이어 이르면 197년, 늦어도 198년 1월 초, 세베루스 황제는 차남 게타에게 카이사르(Caesar)와 프린켑스 유벤투티스(Princeps iuventutis)라는 칭호를 수여했다. 2년 뒤였던 199년 가을, 게타는 어머니, 형과 함께 아버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의 파르티아 원정길에 동행했다. 이 원정길에서 세베루스가 이끈 로마군은 티그리스 강변까지 침공해서 부유한 메소포타미아 지방을 속주화하고 귀환했다. 게타는 어머니, 형과 함께 199년 이집트를 여행했고, 200년까지 머물다가 세베루스와 만났다. 그리고 202년 열린 로마에서의 개선식에서 아버지, 형과 함께 나란히 개선 장군이 타는 마차를 타고 갓 건립한 세베루스 개선문을 지났다.

카라칼라, 게타 형제는 이 시기부터 관계가 악화됐고, 정적 사이였다. 게타가 카이사르 칭호와 프린켑스 유벤투티스 칭호를 동시에 받을 때부터 제위계승권이 생겼던 것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하지만 두 사람 감정이 원수보다 나빠진 원인에는 카라칼라가 분노를 제어하지 못하고, 거칠게 부모에게 반항하거나, 게타에게 폭언을 퍼부을 때마다 게타가 이를 제지하거나 맞불을 놓았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고대 기록들은 형제가 똑같았다며 혀를 찼는데, 제3자들이 볼 때, 형제 중 낫다고 평가받은 쪽은 확실히 동생 게타였다. 왜냐하면 카라칼라가 10대 초반부터 어머니 율리아 돔나가 제어하지 못할 정도였고, 분노 조절 장애 등으로 여러 문제를 유발했을 때, 게타가 맞불을 놓았던 것은 세베루스, 돔나 부부와 원로원 의원들이 볼 때 매우 상식적이었기 때문이다. 게타는 이때 형에게 시비를 걸기 보다는 아버지, 어머니에게 반항하고, 황실 시종들을 패거나 욕설을 내뱉은 형과 맞붙었다. 또 그는 말이 없고 과묵할 뿐 형과 달리 관료, 시종들을 하대하지 않았고, 원로원 의원들에게 언제나 예의바르게 행동했다. 이런 모습에 세베루스, 돔나 부부는 게타가 성숙하게 보인 태도를 흡족했지만, 이는 곧 황제 부부가 두 아들 대립을 알고도 막지 못한 것을 뜻했다.

202년부터 203년까지 황실 가족 전체는 세베루스 황제의 고향 렙티스 마그나에서 겨울을 보냈다. 이 시절, 세베루스 황제는 조카 세베루스 아페르 등과 함께 부단히 두 아들 관계를 회복해보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형제는 이미 남보다 못한 사이가 됐고, 세베루스는 아들들 사이의 적대감을 완화하고 이를 대중에게 숨기려고 노력했지만 헛수고였다는 현실에 어쩔 줄 몰라했다.

203년 형의 장인이자 황실 근위대장인 가이우스 풀비우스 플라우티아누스와 14세의 나이에 집정관을 지냈고, 205년 1월 1일에는 16세의 나이에 17세의 친형 카라칼라와 집정관에 취임했다. 하지만 이때부터 형과 사사건건 다투면서 불화가 매우 커져 나중에 가면 형제 간의 불화는 수습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나마 아버지의 명령으로 가까스로 취임했지만 그래도 형과는 여전히 사이가 나빴다.

208년부터 211년까지 브리타니아[4]에서 벌어진 칼레도니아 원정[5]에 아버지와 함께 참전하였다. 전투는 원주민들의 게릴라 전술로 병력 손실이 많았고, 큰 성공을 직접적으로 거두진 못했지만, 브리타니아 속주 방어선과 하드리아누스 성벽은 안정화되었다.

2.2. 아버지의 죽음과 유언

브리타니아 북쪽 병영에 있는 동안, 카라칼라와 게타는 불화가 너무 커서 아버지 세베루스만 아니었다면 어떻게 될 지 모를 극단적인 상황까지 사이가 악화된 상태였다. 둘은 동복친형제임에도 원정길 내내 서로를 견제했고, 그 긴장감은 부모조차 숨길 수 없을 정도였다. 이런 가운데 211년 2월 4일, 아버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에부라쿰[6]에서 세상을 떠났다. 이 때 게타는 론디니움[7]에 있었는데, 평소 효성이 지극하던 그는 아버지의 병세가 위중하다는 소식을 듣자 에부라쿰까지 달려와 며칠 전부터 곁을 지켰다고 한다.

동시대 역사가 디오 카시우스에 의하면 죽기 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두 아들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형제가 서로 아끼면서 사이좋게 제국을 통치해야 한다. 다른 사람들은 다 무시해도 좋다. 그러나 병사들을 우대하고, 그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잊지 마라."[8]

2.3. 암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everan_dynasty_-_tondo.png
카라칼라는 동생을 죽인 뒤, 왼쪽 하단에 그려진 동생의 얼굴을 지우게 했다.

브리타니아에서 세베루스 황제가 사망하기 직전일 당시, 23세의 카라칼라와 22세의 게타는 세베루스의 명에 따라 소집된 회의를 통해, 일찌감치 공동황제가 되었다. 파피니아누스가 대리인 자격으로 전령을 로마에 보냈고, 원로원은 세베루스가 죽기 직전에 이를 승인했다는 것을 알렸다. 이런 가운데 세베루스가 죽었다. 세베루스가 죽자마자, 카라칼라와 게타는 일단 갈등을 멈추자고 했다. 이는 두 사람이 로마에 도착하기 전까지는 마지막 주도권을 어머니 율리아 돔나가 쥐고 있어, 타협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카라칼라는 일단 형제의 이름으로 브리타니아의 칼레도니아인들과 강화조약을 맺었다. 같은 시간, 게타는 교섭 내용을 놓고 행정 절차와 원로원 승인 등을 마무리지었다. 이후 형제는 아버지의 유해를 요크에 있는 로마군 겨울철 숙영기지에서 화장했다. 두 사람은 어머니 율리아 돔나, 근위대장 파피니아누스 중재 아래 세베루스의 유해를 마르스 평원에서 장례절차를 시작해, 수도에 있는 하드리아누스 영묘에 매장하자고 합의했다. 이후, 그들은 로마 귀환을 서둘렀다. 하지만 갈등은 시작됐고, 벌써부터 파벌 다툼은 잡음을 일으켰다.

갈등은 두 사람이 어머니 율리아 돔나, 근위대장이자 외가 오촌 어른 파피니아누스와 함께 하(下) 브리타니아의 론디니움[9]에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유골 항아리가 배에 실릴 때부터 시작됐다. 이때 카라칼라는 동생 게타를 독살하고자 동생의 전속 요리사 등을 매수했고, 게타 역시 사실을 안 뒤부터 형의 측근들을 매수해 맞대응하며, 갈등이 폭발했다.

형제 간의 공존은 힘들었고, 그 공존 역시 세베루스 부부의 헛된 꿈에 불과할 정도로 불가능했다. 두 사람은 어린 시절부터 극도로 사이가 나빴는데, 브리타니아 원정을 치르면서 이 관계는 더 악화된 까닭에 놀랍지 않았다. 카라칼라와 게타는 영국에 있는 동안 한 막사 안에서 단 한 번도 함께 있지 않았고, 식사 역시 따로 먹었으며, 병사들이 보는 상황에도 늘 멀찌감치 떨어져 서로를 증오했다가, 아버지 세베루스가 마지막 부탁으로 호소해 함께 식사를 한 번 한 것이 끝일 만큼 파탄난 상태였다. 그러다보니 상황이 언제든지 파국으로 갈 수 있기에 어머니 율리아 돔나는 사촌오빠인 근위대장 파피니아누스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두 아들을 불러 자신에게 결정권이 있다며, 공존을 촉구했다. 동시에 율리아 돔나는 두 아들의 공동 통치를 유지케하고 형제간의 관계를 회복시키려고 자신의 정치적, 사회적 영향력을 총동원해 이 관계가 파국으로 끝나지 않게 노력했다.

그러나 그럼에도 로마 귀환 이후, 공동 황제가 된 카라칼라와 게타는 서로를 의심하고 두려워했다. 둘은 각기 군대를 갈라 나눴고, 내란의 기미가 곳곳에서 감지될 정도로 극도의 불안 상태가 유지되었다. 따라서 원로원 의원들이 마중나온 가운데에서 로마에 도착할 당시 상황은 험악했고, 두 사람이 원로원 앞에서 즉위 연설을 할 때의 분위기는 무척 험악했다고 한다.

211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조치를 취해, 형제의 공동 근위대장이자 법률 대리인으로 임명된 파피니아누스의 중재 아래, 파벌 싸움이 악화됐다. 카라칼라 쪽에는 카라칼라와 어린 시절부터 친구들인 발비누스를 비롯한 이들이 붙고, 게타 쪽에는 율리아 돔나의 친구인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트라세아 프리스쿠스를 필두로 한 인사들이 포진해 세를 불렸다. 형제 중 키가 크고, 잘생기고, 무뚝뚝하지만 인간적인 면이 강한 게타의 지지는 높아졌고, 이는 카라칼라와 그 친구들에게 위기감을 느끼게 했다. 결국 팔라티노 황궁은 두 형제의 명에 따라 두 부분으로 분할됐고, 형제를 따르는 시종, 호위병들에게 둘은 상대방의 공간 자체를 가지 못하게 했다. 이는 원로원과 법정 등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카라칼라는 자신의 법정에서, 게타는 자신의 법정에서 각각 다른 의견의 판결을 내렸다. 따라서 당대 역사가이자 당시 황실 비서관, 관료인 헤로디아누스는 급기야 카라칼라와 게타가 제국을 둘로 나누기로 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 어머니 율리아 돔나의 간곡한 만류와 협박으로 실패했고 이는 형제 중 세 싸움에서 벼랑 끝에 몰린 카라칼라 쪽이 골육상쟁이 불가피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무뚝뚝했지만, 무례하지 않고, 폭력적인 사람이 아닌 게타와 달리, 카라칼라는 동생 게타가 209년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수여받기 전부터 위험인물로 평가받았다. 그는 장인, 장모, 아내, 처남, 그리고 아이에 불과한 처조카까지 살해할 정도로 그 잔인함과 냉혹함이 아버지 세베루스 이상이었다. 카라칼라는 211년 동생과 제국을 분할하기로 했던 협약이 어머니의 반대로 무산되고 자신의 말을 듣지 않는 동생이 위험하다고 생각되자, 게타를 죽이겠다고 결심하고 이를 실행에 옮겼다. 그래서 12월 17일 열린 사투르날리아 축제에서 카라칼라는 게타 암살을 시도했다. 그렇지만 과거 플라우티아누스 일가가 도륙된 과정을 알고 있던 게타의 친구와 지지자들은 게타를 보호했고 이 암살시도는 무산됐다.

이런 가운데 211년 12월 혹은 212년 1월 초, 로마의 황궁 안에서는 대형 참사가 벌어지게 된다. 카라칼라가 동생 게타를 어머니인 율리아 돔나가 머물던 곳으로 유인하였고 근위병들과 함께 경호원들과 황궁으로 들어오던 게타를 공격하면서 게타가 어머니에게 도망갈 때 어머니 앞에서 동생의 복부와 급소를 연달아 공격해, 직접 칼로 찔러 죽인 것이다. 22세의 게타는 어머니를 껴안으며 죽었는데, 카라칼라는 비무장 상태의 동생을 백부장에서 빼앗은 칼로(또는 숨겨둔 단검으로) 동생을 죽였다. 이때 게타는 공격을 피할 수 있었지만, 형 카라칼라가 어머니 율리아 돔나 쪽을 향해 돌진하자, 피하지 않고 복부에 칼이 찔렸다. 그는 복부를 맞고, 이어 급소를 공격받았는데, 형의 칼에 찔려 피를 흘리고 죽으면서 "어머니, 형이 날 이렇게 만들었어요... 절 살려주세요."라고 말했다. 게타를 경호하던 지지자들도 모두 근위병들에게 살해된다.

동생을 살해한 카라칼라는 마침내 유일무이한 황제가 됐지만, 사건 직후부터 존속살해 후 극도의 불안함을 느끼면서, 불안감을 표출했다. 그는 게타를 살해한 직후, 밖에서 기다리던 게타의 지지자들을 모두 죽이라고 했다. 이후, 어머니 율리아 돔나, 이모 율리아 마이사 등을 협박한 뒤 이상한 행동을 시작했다. 그는 장인, 처남 등을 살해할 당시에는 어떤 죄책감도 느끼지 못했지만, 동생의 피가 묻은 칼을 들고 겁에 질린 채 황궁을 괴성을 지르며 뛰어다니다가, 횡설수설을 했다. 이 증세는 갈수록 악화됐는데, 당대의 디오, 헤로디아누스 등에 따르면 이후 그는 발기부전이라는 고통과 불면증, 환각환청이라는 저주로 죽을 때까지 고통에 시달렸고, 후계를 얻고자 온갖 노력을 다했음에도 실패해, 순방 기간 내내 카라칼라를 고통에 빠지게 했다.[10]

이후, 자신의 스승이며 아버지, 어머니의 친구이자 최측근인 원로원 의원 루키우스 파비우스 킬로를 체포해 자신 앞으로 데리고 오게 한 뒤, 죽이고, 완전히 이성을 상실했다. 그는 말을 몰고 급히 근위대 병영으로 갔고, 다음날 프라이토리아니를 전부 연병장에 집합시켜, 돈과 보석을 일시급으로 하사하면서 지지를 호소했다. 이후 원로원에 출석해, 동생 게타 파벌의 수장인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트라세아 프리스쿠스를 죽이라고 명한 뒤, 게타를 기록말살형에 처해 달라고 호소하고, 협박해 이를 통과시켰다. 그는 동생을 증오한 나머지, 저주 가득한 비문을 곳곳에 만들어 설치하라고 했다. 이후, 카라칼라는 동생의 초상화를 제거하도록 지시하고, 게타의 지지자들과 친구들, 그리고 저명한 법률가이자 친위대장인 파피니아누스를 무자비하게 제거했다.[11]

그리고 게타 암살에 대해 불만을 토로하며 카라칼라의 행동을 비난하는 군인들[12]을 자기 편으로 만들기 위해 그들의 연봉을 500데나리우스에서 750데나리우스로 인상시켜 주었고 이에 그들은 돈을 받고 카라칼라에게 충성을 맹세한다.[13] 이렇게 카라칼라에 의해서 살해됨으로 인해 게타의 이미지는 순교자의 모습을 띠게 되었다.

3. 평가

고대 기록 등을 통해, 게타는 그동안 순교자 이미지의 불행한 황제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디오 카시우스의 경우에는 게타를 옹호하지도, 미워하지도 않았지만 대개 고대 로마인 사가들은 게타에게 호의적이었다. 이런 이유로, 고대 기록들에서는 스물 둘의 나이에 쓰러진 그의 장점을 부각했고 형 카라칼라의 잔인함과 비열함을 상징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로 서술했다. 그러나 그가 제위를 계속 유지했다면, 게타가 군재 측면에서는 평균 이상의 황제였던 카라칼라보다 더 나은 또는 더 많은 공로를 제국에 안기고, 로마인에게 덕을 지닌 황제가 되었을지는 의문이다.

사실 게타도 형인 카라칼라만큼 성품이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었다는 기록이 상당히 많으며, 그가 받은 제왕교육 역시 형과 똑같았다. 이때 게타는 연설을 잘하고 목소리가 좋았다지만, 업무 면에서는 형 카라칼라처럼 결점이 분명해도 꽤 영리했다는 이야기가 보이지 않는다. 물론 이런 이야기들은 그가 카라칼라에게 살해당하면서, 좋은 면은 모조리 삭제되고, 단점은 과하게 부풀려진 터라, 콘스탄티누스 왕조 황제들이 지적했듯이 짚고 넘어가야 한다.

게타는 분명 형 카라칼라와 비교해 성품이 나았다는 평을 들었다. 고대기록 중 마리우스 막시무스의 것을 차용한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 따르면 어릴 때부터 성대모사를 잘하고, 부모와 집안 어른들에게 언제나 효심이 대단했다고 평가받았고, 이런 모습은 게타 지지자가 211년 12월 26일 사건 직전이었을 때 카라칼라가 위기를 느낀 장점으로 찬사받았다. 하지만 게타는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로마 제국을 이끌 특별한 재능이 있지 않았다. 형의 경우, 단점이 분명했지만, 군재 측면에선 확실한 장점이 있었지만, 게타는 이런 모습이 전혀 없었다. 세베루스 황제가 칼레도니아 원정 당시, 두 아들 중 카라칼라를 콕 집어 야전 지휘를 맡기고 게타를 율리아 돔나와 함께 후방에 남겨 연락책 정도로 남게 했던 것은 게타가 군사적 재능에선 형보다 못했다는 확실한 증거로 제시될 정도다. 따라서 게타의 이미지가 좋아진 것은 분명 211년 형의 손에 암살되고, 형이 이후 단독 통치를 하면서 폭군으로 보여준 행보 속에서 재평가된 이유가 컸다는 말이 많다.

당대 기록에 따르면 게타는 아버지와 가장 닮았으나, "어려서부터 얼굴이 잘생겼고 무례하진 않았지만, 무뚝뚝했으며, 여자를 밝혔고 애정을 억제하지 못했다", "비열하고 탐욕스러웠다"는 평가를 받았다고 한다. 또 그는 살아생전 "다양한 향신료를 넣은 음식과 포도주를 좋아했고, 자신의 옷과 보석에 돈을 많이 쓰면서도 다른 어느 누구에게도 선물을 하지 않는다"고 평판을 받았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평가에 관해,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저자 중 콘스탄티누스 왕조 시대의 황실 서기관들은 논평을 굳이 달면서 이 모든 것이 카라칼라가 게타를 죽이고 난 다음 내려진 기록이라고 짚고 있다. 이들에게 보고를 받고, 책을 읽어 본 콘스탄티누스 대제 혹은 콘스탄티우스 2세 역시 게타가 지나칠 정도로 대접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언급할 정도다.

게타는 형보다 군사적 재능에선 부족했지만, 세베루스와 돔나의 평가처럼 군재 측면 외에선 아쉬운 카라칼라의 보완재로는 확실히 좋았던 공동황제였다. 고대기록들이 "과묵했지만, 항상 윗사람과 아랫사람들에게 예의를 갖췄다.", "나이가 어려 종종 연설 중 더듬거렸지만, 목소리가 좋고, 연설 실력이 뛰어났다."고 세베루스 아들 중 좋은 평가를 받았다. 또 그는 커가면서 모후 돔나의 도움 없이도 간접적으로 게타가 카라칼라와 달리 주변 인사들을 적재적소에 활용할 줄 알았다고 평가받았다.

하지만 이런 장점에도 게타를 마냥 무결점이었고 비운의 황제였다고 평가할 수 없다. 먼저 게타는 형과 달리 예의바른 후계자, 공동황제였지만, 분명 무뚝뚝했고, 형 카라칼라와 그 주변에게는 과할 정도로 무례했다. 다음으로 게타는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율리아 돔나 부부의 후계자 교육과 자녀 양육 방법 속에서 카라칼라, 게타 형제의 갈등을 증폭시킨 원인을 꾸준히 제공한 핵심인물이었다. 형제는 디오, 마리우스 막시무스, 헤로디아누스 주장처럼 누가 특별히 낫다고 할 수 없을 정도로 서로 중상모략에도 능했고, 늘 서로를 헐뜯었다. 형제는 힘을 합치지 못했고, 서로가 가진 장점을 의식하면서 경쟁하다못해 증오했다. 따라서 카라칼라와 게타 형제를 평할 때, 대개의 학자들은 한결같이 "세베루스 치세 후기의 변화된 계획으로, 새로운 후계구도에 직면한 형 카라칼라 입장에선 자신과 대립각을 키우고 비열하게 행동한 동생 게타에게 적개심과 분노, 수치심을 느낄만 했다"고 말한다.

다만 게타는 형과 달리 성격이 모나지 않았다. 살아생전 비정함과 짠돌이의 대명사로 대중에게 알려졌던 티베리우스 황제의 경우처럼 단순히 성격에 모가 났다고 좋은 황제가 되진 못했을 거라 단정 짓는 것도 잘못된 것이라는 것과 같은 이치다. 애초에 게타는 22살의 너무 젊은 나이에 죽어 실력을 입증할 기회도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 그의 지지기반이 원로원과 법률가, 프라이토리아니 지휘관 등 세베루스 가의 엘리트 집단인 부분 역시 게타가 형에게 살해되지 않거나, 공존했다면 괜찮지 않겠냐는 이야기를 듣는 이유이다.

4. 여담

아랍인 혼혈이다.

형 카라칼라에게 암살된 이후, 모든 초상화들이 기록말살형에 처해진 것처럼 파괴된 탓에 제위 등극 후 대리석 초상화는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이야기에 따르면, 제위 등극 직전부터 풍성한 수염을 기르기 시작해 형과 달리 젊은 시절의 아버지 외모가 연상됐다고 한다.

영화 글래디에이터 2에서 등장이 확정되었다. 조셉 퀸이 연기. 트레일러에서 형제 카라칼라와 함께 공동 황제로 콜로세움 경기를 보는 장면이 지나간다.


[1] 브리타니아 열왕사를 따른 대수[2] 혹은 212년 1월[3] 게타의 지지자들[4] 지금의 영국이다.[5] 칼레도니아는 오늘날의 스코틀랜드다.[6] 오늘날 영국요크 시.[7] 지금의 런던.[8]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두 아들의 사이가 극도로 벌어져 있던 것을 잘 알고 있었다고 한다. 그렇지만 후대 역사가들은 카라칼라와 게타 간의 대립과 결과를 너무 잘 알았기에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이미 결과를 예측했다고 말한다.[9] 오늘날의 영국 런던.[10] 이때 카라칼라의 스트레스는 극심해, 탈모까지 심해져, 가발을 쓸 정도였다.[11] 자신을 변호해 달라는 카라칼라의 부탁을 거절했다고 한다.[12] 디오에 따르면 군인들은 세베루스 황제와 닮은 게타를 더 좋아했다고 한다. 특히 세베루스 황제가 창설한 제2 파르티카 군단은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시했다.[13] 하지만 당시 로마의 재정상태를 감안하면 무리한 인상이었다. 그 결과, 국고는 고갈되었고, 이는 결국 카라칼라가 화폐 개혁을 하도록 만들었다. 이후 '안토니니아누스'라는 화폐가 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