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3 15:28:32

콘스탄스 2세(콘스탄티누스 3세의 아들)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원수정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아우구스투스 | 티베리우스 | 가이우스(칼리굴라) | 클라우디우스 | 네로
네 황제의 해 갈바 | 오토 | 비텔리우스
플라비우스 왕조 베스파시아누스 | 티투스 | 도미티아누스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네르바 | 트라야누스 | 하드리아누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 | 공동 즉위 루키우스 베루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콤모두스
비정통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세베루스 왕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공동 즉위 게타 · 카라칼라
- 마크리누스 · 디아두메니아누스
세베루스 왕조 엘라가발루스 |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군인 황제 시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공동 즉위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공동 즉위 푸피에누스(막시무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 필리푸스 아라부스 · 필리푸스 2세 | 데키우스 | 공동 통치 데키우스 ·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 공동 즉위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호스틸리아누스 · 볼루시아누스 | 아이밀리아누스 | 공동 즉위 발레리아누스 · 갈리에누스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 퀸틸루스 | 아우렐리아누스 | 타키투스 | 플로리아누스 | 프로부스 | 카루스 | 공동 즉위 누메리아누스 · 카리누스
비정통 스폰시아누스 · 실반나쿠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
- 카리누스 · 디오클레티아누스
서방 동방
양두정치 막시미아누스 양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사두정치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막센티우스 | 2차 재위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누스 1세 사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리키니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공동 즉위 콘스탄티누스 2세 · 콘스탄스
비정통 마그넨티우스 · 율리우스 네포티아누스 · 베트라니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 요비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서방 동방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 그라티아누스 | 발렌티니아누스 2세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스
비정통 프로코피우스
비정통 에우게니우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마그누스 막시무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통일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서방 동방
테오도시우스 왕조 호노리우스 | 콘스탄티우스 3세 | 발렌티니아누스 3세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르카디우스 | 테오도시우스 2세 | 마르키아누스
비정통 콘스탄티누스 3세 · 콘스탄스 2세 · 프리스쿠스 아탈루스 · 히스파니아의 막시무스 · 요안네스
최후의 순간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아비투스 | 마요리아누스 | 리비우스 세베루스 | 안테미우스 | 올리브리우스 | 글리케리우스 | 율리우스 네포스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레오 왕조 레오 1세 | 레오 2세 | 제노 | 바실리스쿠스 · 마르쿠스 | 2차 재위 제노
동방
레오 왕조 2차 재위 제노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유스티누스 1세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유스티누스 2세 | 티베리우스 2세 | 마우리키우스 · 테오도시우스
- 포카스
이라클리오스 왕조 이라클리오스 | 공동 즉위 콘스탄티노스 3세 · 이라클로나스 · 다비드 티베리오스 | 콘스탄스 2세 · 콘스탄티노스 4세 · 이라클리오스 · 티베리오스 | 유스티니아노스 2세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2차 재위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티베리오스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이사브리아 왕조 레온 3세 | 콘스탄티노스 5세 | 아르타바스도스 · 니키포로스 | 2차 재위 콘스탄티노스 5세 | 레온 4세 | 콘스탄티노스 6세 | 이리니
니키포로스 왕조 니키포로스 1세 | 스타브라키오스 | 미하일 1세 랑가베스 · 테오필락토스 · 스타브라키오스
- 레온 5세 · 콘스탄티노스
아모리아 왕조 미하일 2세 | 테오필로스 · 콘스탄티노스 | 미하일 3세 · 테클라
마케도니아 왕조 바실리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 레온 6세 | 알렉산드로스 2세 | 콘스탄티노스 7세 | 로마노스 1세 · 흐리스토포로스 레카피노스 · 스테파노스 레카피노스 · 콘스탄티노스 레카피노스 | 로마노스 2세 | 니키포로스 2세 | 요안니스 1세 | 바실리오스 2세 | 콘스탄티노스 8세 | 로마노스 3세 | 미하일 4세 | 미하일 5세 | 공동 즉위 조이 · 테오도라 | 콘스탄티노스 9세 | 2차 재위 테오도라
- 미하일 6세
콤니노스 왕조 이사키오스 1세
두카스 왕조 콘스탄티노스 10세 | 미하일 7세 · 콘스탄티오스 두카스 ·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로마노스 4세 · 레온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3세
콤니노스 왕조 알렉시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요안니스 2세 · 알렉시오스 콤니노스 | 마누일 1세 | 알렉시오스 2세 | 안드로니코스 1세 · 요안니스 콤니노스
앙겔로스 왕조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3세 | 2차 재위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4세 | 알렉시오스 5세
니케아
라스카리스 왕조 테오도로스 1세 · 니콜라오스 라스카리스 | 요안니스 3세 | 테오도로스 2세 | 요안니스 4세 | 미하일 8세
비정통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동방
팔레올로고스 왕조 미하일 8세 | 안드로니코스 2세 · 이리니 | 미하일 9세 | 안드로니코스 3세 |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요안니스 6세 · 마테오스 | 2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안나 | 공동 즉위 안드로니코스 4세 · 요안니스 7세 | 3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7세 · 안드로니코스 5세 | 4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 요안니스 8세 | 콘스탄티노스 11세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
파일:Siliqua_Constans_II_Arelate.jpg
이름 콘스탄스 2세
(CONSTANS II)
출생 미상
사망 411년
아버지 콘스탄티누스 3세
직위 수도자
반란 대상 호노리우스
종교 기독교

1. 개요2. 생애3. 영국 전설

1. 개요

브리타니아에서 황제를 참칭하고 갈리아와 히스파니아에 영향력을 행사한 군주 콘스탄티누스 3세의 아들. 408년 아버지에 의해 카이사르로 선임되었고, 나중에 아우구스투스를 칭했지만, 게르만 장군 게론티우스에게 살해되었다.

2. 생애

407년경 서로마 제국 황제 호노리우스를 상대로 반기를 든 브리타니아 속주 주둔 로마군에 의해 황제가 된 콘스탄티누스 3세의 아들이다. 파울루스 오로시우스에 따르면, 그는 아버지가 제위에 오르기 전에 수도자였다고 한다. 408년 아버지에 의해 카이사르로 선임된 뒤, 게론티우스 장군과 함께 히스파니아로 파견되어 히스파니아의 호노리우스 사촌들을 물리치는 임무를 맡았다. 호노리우스의 사촌들은 별다른 저항을 못하고 게론티우스와 콘스탄스에게 패배했다. 디디무스와 베레니아누스는 생포된 뒤 콘스탄티누스 3세에게 보내진 후 처형되었고, 테오도시우스와 라고디우스는 이탈리아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도주했다. 그 후 콘스탄스는 카이사아우구스타에 있는 본부에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아내를 두고 아를로 돌아갔다.

409년경 아버지 콘스탄티누스 3세에 의해 아우구스투스로 승격되었으며,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플라비우스 콘스탄스 아우구스투스"라는 군주명을 얻었다. 그러나 이 무렵에 히스파니아에 남아있던 게론티우스가 반기를 들었다. 이에 콘스탄티누스 3세는 아들 콘스탄스에게 군대를 맡겨 히스파니아로 파견했다. 게론티우스는 호노리우스에게 지원을 요청했지만, 410년 여름까지 별다른 지원을 얻지 못하자 히스파니아의 막시무스를 황제로 옹립하고 콘스탄스에 맞서 싸웠다. 콘스탄스는 유스투스 장군과 함께 게론티우스와 대적했지만 패배했고, 남은 병력과 함께 북쪽으로 후퇴했지만 411년 초 비엔에서 게론티우스에게 또다시 패배하고 생포된 뒤 곧 처형되었다. 아버지 콘스탄티누스 3세 역시 호노리우스에 의해 공동 황제로 옹립된 콘스탄티우스 3세에게 붙잡힌 뒤 411년 9월 18일 참수되었다.

3. 영국 전설

몬머스의 제프리는 저서 <브리타니아 열왕사>에서 콘스탄스 2세와 아서왕의 아버지 우서 펜드래곤이 형제였다고 기술했다. 그가 전하는 전설에 따르면, 콘스탄티누스 3세가 살해된 뒤, 보티건이라는 켈트족 귀족이 콘스탄스에게 수도원을 떠나도록 설득한 뒤 왕위에 앉혔다. 중세 잉글랜드 시인 라야먼(Layamon)은 콘스탄스가 변장하여 수도원을 탈출한 뒤 왕위에 오르는 이야기를 시로 묘사했다. 그러나 보티건은 권력을 움켜쥔 뒤 나중에 콘스탄스 2세를 암살하고 왕위를 찬탈했다고 한다. 제프리는 콘스탄스를 보티건이 살해한 무고한 희생자라고 동정적으로 묘사했지만, 라야먼은 "시작도 추했고 끝도 추했다"라며 그가 수도원을 떠난 것을 비난했다. 위 실제 역사상의 행적과 비교하면 거의 동명이인급으로 행적이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