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21:21:01

알렉시오스 4세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원수정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아우구스투스 | 티베리우스 | 가이우스(칼리굴라) | 클라우디우스 | 네로
네 황제의 해 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플라비우스 왕조 베스파시아누스 | 티투스 | 도미티아누스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네르바 | 트라야누스 | 하드리아누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 | 공동 즉위 루키우스 베루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콤모두스
비정통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세베루스 왕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공동 즉위 게타 · 카라칼라
- 마크리누스 · 디아두메니아누스
세베루스 왕조 엘라가발루스 |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군인 황제 시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공동 즉위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공동 즉위 푸피에누스(막시무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 필리푸스 아라부스 · 필리푸스 2세 | 데키우스 | 공동 통치 데키우스 ·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 공동 즉위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호스틸리아누스 · 볼루시아누스 | 아이밀리아누스 | 공동 즉위 발레리아누스 · 갈리에누스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 퀸틸루스 | 아우렐리아누스 | 타키투스 | 플로리아누스 | 프로부스 | 카루스 | 공동 즉위 누메리아누스 · 카리누스
비정통 스폰시아누스 · 실반나쿠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
- 카리누스 · 디오클레티아누스
서방 동방
양두정치 막시미아누스 양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사두정치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막센티우스 | 2차 재위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누스 1세 사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리키니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공동 즉위 콘스탄티누스 2세 · 콘스탄스
비정통 마그넨티우스 · 율리우스 네포티아누스 · 베트라니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 요비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서방 동방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 그라티아누스 | 발렌티니아누스 2세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스
비정통 프로코피우스
비정통 에우게니우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마그누스 막시무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통일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서방 동방
테오도시우스 왕조 호노리우스 | 콘스탄티우스 3세 | 발렌티니아누스 3세
비정통 히스파니아의 막시무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르카디우스 | 테오도시우스 2세 | 마르키아누스
비정통 콘스탄티누스 3세 · 프리스쿠스 아탈루스 · 요안네스
최후의 순간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아비투스 | 마요리아누스 | 리비우스 세베루스 | 안테미우스 | 올리브리우스 | 글리케리우스 | 율리우스 네포스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레오 왕조 레오 1세 | 레오 2세 | 제노 | 바실리스쿠스 · 마르쿠스 | 2차 재위 제노
동방
레오 왕조 2차 재위 제노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유스티누스 1세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유스티누스 2세 | 티베리우스 2세 | 마우리키우스 · 테오도시우스
- 포카스
이라클리오스 왕조 이라클리오스 | 공동 즉위 콘스탄티노스 3세 · 이라클로나스 · 다비드 티베리오스 | 콘스탄스 2세 · 콘스탄티노스 4세 · 이라클리오스 · 티베리오스 | 유스티니아노스 2세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2차 재위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이사브리아 왕조 레온 3세 | 콘스탄티노스 5세 | 아르타바스도스 · 니키포로스 | 2차 재위 콘스탄티노스 5세 | 레온 4세 | 콘스탄티노스 6세 | 이리니
니키포로스 왕조 니키포로스 1세 | 스타브라키오스 | 미하일 1세 랑가베스 · 테오필락토스 · 스타브라키오스
- 레온 5세 · 콘스탄티노스
아모리아 왕조 미하일 2세 | 테오필로스 | 미하일 3세
마케도니아 왕조 바실리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 레온 6세 | 알렉산드로스 2세 | 콘스탄티노스 7세 | 로마노스 1세 · 흐리스토포로스 레카피노스 · 스테파노스 레카피노스 · 콘스탄티노스 레카피노스 | 로마노스 2세 | 니키포로스 2세 | 요안니스 1세 | 바실리오스 2세 | 콘스탄티노스 8세 | 로마노스 3세 | 미하일 4세 | 미하일 5세 | 공동 즉위 조이 · 테오도라 | 콘스탄티노스 9세 | 2차 재위 테오도라
- 미하일 6세
콤니노스 왕조 이사키오스 1세
두카스 왕조 콘스탄티노스 10세 | 미하일 7세 · 콘스탄티오스 두카스 ·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로마노스 4세 · 레온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3세
콤니노스 왕조 알렉시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요안니스 2세 · 알렉시오스 콤니노스 | 마누일 1세 | 알렉시오스 2세 | 안드로니코스 1세
앙겔로스 왕조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3세 | 2차 재위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4세 | 알렉시오스 5세
니케아
라스카리스 왕조 테오도로스 1세 | 요안니스 3세 | 테오도로스 2세 | 요안니스 4세 | 미하일 8세
비정통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동방
팔레올로고스 왕조 미하일 8세 | 안드로니코스 2세 | 미하일 9세 | 안드로니코스 3세 |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요안니스 6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안드로니코스 4세 · 요안니스 7세 | 3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7세 · 안드로니코스 5세 | 4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 요안니스 8세 | 콘스탄티노스 11세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
로마 제국 제116대 황제
알렉시오스 4세
Αλέξιος Δ΄
파일:알렉시오스 4세.jpg
<colbgcolor=#9F0807><colcolor=#FCE774,#FCE774> 이름 알렉시오스 앙겔로스
Ἀλέξιος Ἄγγελος
출생 1182년
동로마 제국
사망 1204년 2월 (향년 21세)
동로마 제국 콘스탄티노폴리스
재위 기간 로마 황제
1203년 7월 19일 ~ 1204년 1월 27일 (180일)
전임자 알렉시오스 3세
후임자 알렉시오스 5세
부모 아버지 : 이사키오스 2세
어머니 : 엘레니 팔레올로고스
종교 기독교(정교회)
1. 소개2. 생애
2.1. 즉위 이전의 생애2.2. 빚쟁이 황제2.3. 파멸

[clearfix]

1. 소개

로마 제국 제116대 황제이자 동로마 제국 앙겔로스 왕조 제3대 황제.

2. 생애

2.1. 즉위 이전의 생애

이사키오스 2세의 셋째이자 장남으로 태어났다. 부황이 황제였던 시절 후계자였으나, 1195년 4월 8일 백부인 알렉시오스 3세가 아버지를 폐위하고 황제의 자리에 오르자 감옥에 갇히게 되었다. 1201년 청년이 된 젊은 알렉시오스는 누이 이리니의 재혼 상대이던 자형 필리프 폰 슈바벤을 찾아가게 된다. 그래서 젊은 알렉시오스는 백부인 알렉시오스 3세의 찬탈복수하고 아버지인 이사키오스 2세를 복위시키며 자신도 황제 자리를 백부로부터 탈환하고 제국을 재건하려는 큰 꿈을 꾸려고 한다.

1203년 7월 17일 알렉시오스는 십자군(4차 십자군)과 베네치아의 연합군을 이끌고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입성하여 백부인 알렉시오스 3세를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 그 다음 날 알렉시오스는 자신의 부황이자 장님이 된 이사키오스 2세를 복위시키고 얼마 안가서 1203년 8월 1일에 자신은 알렉시오스 4세로 즉위를 하게 된다.[1] 여기까지는 괜찮았지만 그 직후 문제가 터지게 되는데...

2.2. 빚쟁이 황제

알렉시오스는 당초 십자군을 찾아가 자신과 아버지 이사키오스를 복위시키는 조건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1. 십자군이 지고 있던 빚 탕감과 이집트 원정을 위한 비용으로 20만 마르크를 지불한다.
2. 이후 성지 수호를 위해 병사 1만과 기사 500여 명을 파견한다.
3. 교황수위권을 인정하고 정교회가톨릭 교회와 통합시킨다.

이제 십자군이 아버지와 자신을 복위시켜줬으니, 그는 마땅히 약속을 지켜야 했다. 문제는 정작 이 세 가지 모두 준수하는 게 불가능하다는 데 있었다. 동로마 제국의 국고는 텅 비어 있어서 20만 마르크를 당장 마련할 길이 없었고 불가리아와의 전쟁과 오랜 내전으로 제국군은 사실상 궤멸되어서 병사 1만 명, 기사 500명을 파견할 여건이 되지 않았다. 또한 당시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 간의 대립은 수백 년간 이어진 해묵은 문제인데 하루아침에 동방 정교회더러 교황의 우위를 인정하고 통합하라는 것은 제국의 정교회 성직자들과 신자들로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다.

그래서 알렉시오스는 일단 새로 세금을 부과하고 을 징발하여 20만 마르크를 어떻게든 마련해보려 했다. 백성들은 황제가 을 갚으려고 특별세를 거두는 데 불만을 터트렸고 주교들은 그가 성당을 장식하고 있는 금까지 거두어 녹이는 것에 불만을 품었다. 게다가 황제가 자신들을 교황의 산하로 복속시키려는 계획이 있다는 사실이 탄로나자, 정교회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 알렉시오스의 인기는 점점 추락했고 십자군과 콘스탄티노폴리스 시민들 간의 감정 대립은 갈수록 심해졌다.

그러던 어느 날 밤, 십자군 병사들 몇명이 도시를 돌아다니다가 성 이리니 성당 뒤편의 무슬림 지구에 있는 조그만 모스크를 약탈하고 불을 질러 잿더미로 만들어버리는 사건이 일어났다. 그 불길이 걷잡을 수 없이 번져 이후 48시간 동안 콘스탄티노폴리스는 화재에 휩싸였다. 마침 알렉시오스 3세체포하러 출격했다가 실패하고 돌아온 알렉시오스 4세는 폐허로 변한 수도에 경악했다. 백성들은 이젠 황제에게 살의에 가까운 적의를 품었고 상황은 극한에 달해 있었다. 며칠 뒤 십자군 세 명과 베네치아인 세 명으로 구성된 십자군 대표단이 황제에게 와서 약속한 돈을 주지 않는것을 지적하고는 빚진 돈을 즉각 내놓으라고 따졌다.[2] 황제는 속수무책이었고 조금만 기다려 달라며 그들을 달랠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대표단이 황궁에서 떠났을 때 성난 군중으로부터 폭행을 당할 뻔하면서 십자군과 콘스탄티노폴리스 시민들 간의 감정 대립은 폭발 일보직전까지 몰렸다.

2.3. 파멸

1204년 1월 25일, 원로원 의원, 성직자, 일반 백성들이 하기아 소피아에 모여 알렉시오스를 폐위하고 후임자를 선출하는 문제를 논의했다. 그들은 사흘 동안 결론을 내리지 못하다가 니콜라오스 카나보스라는 인물을 선출하려 했지만, 니콜라오스는 고사했다. 이 상황을 지켜본 알렉시오스 두카스[3]는 어느 날 한밤 중에 황제의 침실로 가서 황제를 깨우고 백성들이 반란을 일으켰다고 알렸다. 그리고는 유일한 탈출구라면서 황제의 몸을 긴 외투로 감싼 뒤 옆문으로 황궁을 나와 동료 공모자들이 기다리고 있는 곳으로 데려갔다.

어리석게도 그 말을 믿고 따라갔던 알렉시오스 4세는 붙잡혀서 족쇄로 손발이 묶인 후 지하 감옥에 감금되었다. 그는 거기서 두 차례 독살 시도를 넘겼으나 결국 활줄로 교살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그의 눈먼 아버지 이사키오스 2세도 죽었다. 그 후 알렉시오스 두카스는 알렉시오스 5세로 즉위하지만 십자군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략하면서 폐위되었다.
[1] 이를 조선의 초기로 비유를 한다면 알렉시오스 4세가 부황인 이사키오스 2세를 즉위시키고, 얼마 뒤에는 알렉시오스 4세가 즉위한 뒤 이사키오스 2세를 태상왕으로 옹립했다고 볼 수 있다. 즉 포지션을 본다면 이사키오스 2세를 태상왕, 알렉시오스 4세가 왕으로 비유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사키오스 2세는 장님이라 업무 수행에 제한이 있음으로 알렉시오스 4세가 실질적인 단독 황제라고 볼 수 있다.[2] 당시 알렉시오스 4세는 약속한 돈을 절반밖에 주지 못한 상황이었다. 그래서 십자군 측이 약속한 절반을 달라고 했던 것.[3] 당시 프로토베스타리우스(protovestarius)라는 직책을 맡아서 황제의 처소에 마음대로 출입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