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05:01:26

카리누스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원수정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아우구스투스 | 티베리우스 | 가이우스(칼리굴라) | 클라우디우스 | 네로
네 황제의 해 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플라비우스 왕조 베스파시아누스 | 티투스 | 도미티아누스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네르바 | 트라야누스 | 하드리아누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 | 공동 즉위 루키우스 베루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콤모두스
비정통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세베루스 왕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공동 즉위 게타 · 카라칼라
- 마크리누스 · 디아두메니아누스
세베루스 왕조 엘라가발루스 |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군인 황제 시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공동 즉위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공동 즉위 푸피에누스(막시무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 필리푸스 아라부스 · 필리푸스 2세 | 데키우스 | 공동 통치 데키우스 ·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 공동 즉위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호스틸리아누스 · 볼루시아누스 | 아이밀리아누스 | 공동 즉위 발레리아누스 · 갈리에누스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 퀸틸루스 | 아우렐리아누스 | 타키투스 | 플로리아누스 | 프로부스 | 카루스 | 공동 즉위 누메리아누스 · 카리누스
비정통 스폰시아누스 · 실반나쿠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
- 카리누스 · 디오클레티아누스
서방 동방
양두정치 막시미아누스 양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사두정치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막센티우스 | 2차 재위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누스 1세 사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리키니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공동 즉위 콘스탄티누스 2세 · 콘스탄스
비정통 마그넨티우스 · 율리우스 네포티아누스 · 베트라니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 요비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서방 동방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 그라티아누스 | 발렌티니아누스 2세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스
비정통 프로코피우스
비정통 에우게니우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마그누스 막시무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통일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서방 동방
테오도시우스 왕조 호노리우스 | 콘스탄티우스 3세 | 발렌티니아누스 3세
비정통 히스파니아의 막시무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르카디우스 | 테오도시우스 2세 | 마르키아누스
비정통 콘스탄티누스 3세 · 프리스쿠스 아탈루스 · 요안네스
최후의 순간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아비투스 | 마요리아누스 | 리비우스 세베루스 | 안테미우스 | 올리브리우스 | 글리케리우스 | 율리우스 네포스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레오 왕조 레오 1세 | 레오 2세 | 제노 | 바실리스쿠스 · 마르쿠스 | 2차 재위 제노
동방
레오 왕조 2차 재위 제노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유스티누스 1세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유스티누스 2세 | 티베리우스 2세 | 마우리키우스 · 테오도시우스
- 포카스
이라클리오스 왕조 이라클리오스 | 공동 즉위 콘스탄티노스 3세 · 이라클로나스 · 다비드 티베리오스 | 콘스탄스 2세 · 콘스탄티노스 4세 · 이라클리오스 · 티베리오스 | 유스티니아노스 2세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2차 재위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이사브리아 왕조 레온 3세 | 콘스탄티노스 5세 | 아르타바스도스 · 니키포로스 | 2차 재위 콘스탄티노스 5세 | 레온 4세 | 콘스탄티노스 6세 | 이리니
니키포로스 왕조 니키포로스 1세 | 스타브라키오스 | 미하일 1세 랑가베스 · 테오필락토스 · 스타브라키오스
- 레온 5세 · 콘스탄티노스
아모리아 왕조 미하일 2세 | 테오필로스 | 미하일 3세
마케도니아 왕조 바실리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 레온 6세 | 알렉산드로스 2세 | 콘스탄티노스 7세 | 로마노스 1세 · 흐리스토포로스 레카피노스 · 스테파노스 레카피노스 · 콘스탄티노스 레카피노스 | 로마노스 2세 | 니키포로스 2세 | 요안니스 1세 | 바실리오스 2세 | 콘스탄티노스 8세 | 로마노스 3세 | 미하일 4세 | 미하일 5세 | 공동 즉위 조이 · 테오도라 | 콘스탄티노스 9세 | 2차 재위 테오도라
- 미하일 6세
콤니노스 왕조 이사키오스 1세
두카스 왕조 콘스탄티노스 10세 | 미하일 7세 · 콘스탄티오스 두카스 ·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로마노스 4세 · 레온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3세
콤니노스 왕조 알렉시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요안니스 2세 · 알렉시오스 콤니노스 | 마누일 1세 | 알렉시오스 2세 | 안드로니코스 1세
앙겔로스 왕조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3세 | 2차 재위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4세 | 알렉시오스 5세
니케아
라스카리스 왕조 테오도로스 1세 | 요안니스 3세 | 테오도로스 2세 | 요안니스 4세 | 미하일 8세
비정통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동방
팔레올로고스 왕조 미하일 8세 | 안드로니코스 2세 | 미하일 9세 | 안드로니코스 3세 |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요안니스 6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안드로니코스 4세 · 요안니스 7세 | 3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7세 · 안드로니코스 5세 | 4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 요안니스 8세 | 콘스탄티노스 11세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
카리누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742em; letter-spacing: -0.35px"
{{{#!wiki style=""<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라틴어 문구 색상 범례
  • ignotus: 불명
황제 겸 집정관 }}}
201년 202년 202년 보결 203년 204년
루키우스 안니우스 파비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페르티낙스 아우구스투스 티투스 무렌니우스 세베루스 가이우스 풀비우스 플라우티아누스 루키우스 파비우스 킬로 셉티미누스 카티니우스 아킬리아누스 레피두스 풀키니아누스
마르쿠스 노니우스 아리우스 무키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카시우스 레갈리아누스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 마르쿠스 안니우스 플라비우스 리보
204년 보결 205년 206년 206년 보결 207년
루키우스 폼포니우스 리베랄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움브리우스 프리무스 세네키오 알비누스 푸블리우스 툴리우스 마르수스 루키우스 안니우스 막시무스
ignotus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 카이사르 루키우스 풀비우스 가비우스 누미시우스 페트로니우스 아이밀리아누스 마르쿠스 카일리우스 파우스티누스 가이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아페르
208년 209년 210년 211년 212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폼페이아누스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파우스티누스 헤디우스 롤리아누스 테렌티우스 겐티아누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아스페르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 카이사르 퀸투스 헤디우스 롤리아누스 플라우티우스 아비투스 아울루스 트리아리우스 루피누스 폼포니우스 바수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밀리우스 아스페르
212년 보결 213년 214년 215년 216년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세베루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퀸투스 마이키우스 라이투스 푸블리우스 카티우스 사비누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 데키무스 카일리우스 칼비누스 발비누스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아피우스 수에트리우스 사비누스 마르쿠스 무나티우스 술라 케리알리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아눌리누스
217년 218년 218년 보결 219년 220년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프라이센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오펠리우스 세베루스 마크리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티투스 메시우스 엑스트리카투스 마르쿠스 오클라티니우스 아드벤투스 퀸투스 티네이우스 사케르도스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코마존
221년 222년 223년 224년 225년
가이우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사비니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마리우스 막시무스 페르페투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아누스 티베리우스 마닐리우스 푸스쿠스
마르쿠스 플라비우스 비텔리우스 셀레우쿠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알렉산데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로스키우스 아일리아누스 파쿨루스 살비우스 율리아누스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크리스피누스 세르비우스 칼푸르니우스 도미티우스 덱스테르
226년 227년 228년 229년 230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세네키오 알비누스 퀸투스 아이아키우스 모데스투스 크레스켄티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비리우스 아그리콜라
가이우스 아우피디우스 마르켈루스 마르쿠스 라일리우스 풀비우스 막시무스 아이밀리아누스 마르쿠스 폼포니우스 마이키우스 프로부스 카시우스 디오 섹스투스 카티우스 클레멘티누스 프리스킬리아누스
231년 232년 233년 234년 235년
루키우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 루키우스 비리우스 루푸스 율리아누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아킬리우스 프리스킬리아누스 마르쿠스 클로디우스 푸피에누스 막시무스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티투스 플라비우스 살루스티우스 파일리그니아누스 루키우스 마리우스 막시무스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파테르누스 마르쿠스 무나티우스 술라 우르바누스 루키우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퀸티아누스
236년 237년 238년 239년 240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율리우스 베루스 막시미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마리우스 페르페투우스 [루키우스] 풀비우스 피우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고르디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아피우스 수에트리우스 사비누스
마르쿠스 푸피에누스 아프리카누스 막시무스 루키우스 뭄미우스 펠릭스 코르넬리아누스 폰티우스 프로쿨루스 폰티아누스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아비올라 루키우스 라고니우스 베누스투스
241년 242년 243년 244년 245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고르디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아티쿠스 사비니아누스 루키우스 안니우스 아리아누스 티베리우스 폴리에누스 아르메니우스 페레그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클로디우스 폼페이아누스 가이우스 아시니우스 레피두스 프라이텍스타투스 가이우스 케르보니우스 파푸스 풀비우스 아이밀리아누스 가이우스 마이시우스 티티아누스
246년 247년 248년 249년 250년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프라이센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풀비우스 가비우스 누미시우스 아이밀리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메시우스 퀸투스 트라야누스 데키우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알리우스 알비누스 마르쿠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필리푸스 카이사르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나이비우스 아퀼리누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251년 252년 253년 254년 255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메시우스 퀸투스 트라야누스 데키우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비비우스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비비우스 볼루시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퀸투스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메시우스 데키우스 카이사르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비비우스 볼루시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포플리콜라 발비누스 막시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256년 257년 258년 259년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 아킬리우스 프리스킬리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투스쿠스 (눔미우스) 아이밀리아누스 (덱스테르)
마르쿠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뭄미우스 바수스 폼포니우스 바수스
260년 261년 262년 263년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사이쿨라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알비누스
가이우스 유니우스 도나투스 루키우스 페트로니우스 타우루스 볼루시아누스 눔미우스 파우스티아누스 덱스테르 (막시무스)
동방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풀비우스 마크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풀비우스 퀴에투스 아우구스투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호노라티아누스
264년 265년 266년 267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오비니우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아퀼리우스 파테르누스
사투르니누스 루킬루스 사비닐루스 아르케실라우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피아보니우스 빅토리누스
268년 269년 270년 271년
아스파시우스 파테르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안티오키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에그나티우스 마리니아누스 파테르누스 비리우스 오르피투스 폼포니우스 바수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피아보니우스 빅토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피아보니우스 빅토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아우구스투스
산크투스
272년 273년 274년 275년
티투스 플라비우스 포스투미우스 퀴에투스 아울루스 카이키나 타키투스 또는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타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유니우스 벨둠니아누스 율리우스 플라키디아누스 카피톨리누스 (아우렐리우스) 마르켈리누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아우구스투스
노빌리시무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276년 277년 278년 279년 280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타키투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풀비우스) 아이밀리아누스 (루키우스 율리우스) 비리우스 루푸스 노니우스 파테르누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281년 282년 283년 284년 284년 보결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루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리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유니우스 티베리아누스 빅토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리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누메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카이소니우스 오비니우스 루피누스 마닐리우스 바수스 Ⅱ)
285년 286년 287년 288년
티투스 클라우디우스 아우렐리우스 아리스토불루스 마르쿠스 유니우스 막시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베티우스 아퀼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폼포니우스 야누아리아누스
동방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서방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리누스 아우구스투스
288년 보결 289년 289년 보결 289년 보결
… a 마르쿠스 마그리우스 바수스 마르쿠스 움브리우스 프리무스 케이오니우스 프로쿨루스
… ivianus 루키우스 라고니우스 퀸티아누스 티투스 플라비우스 코엘리아누스 헬비우스 클레멘스
브리타니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마우사이우스 카라우시우스
289년 보결 290년 291년 292년
플라비우스 데키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유니우스 티베리아누스 아프라니우스 한니발리아누스
… ninius 막시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카시우스 디오 율리우스 아스클레피오도투스
브리타니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마우사이우스 카라우시우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마우사이우스 카라우시우스
293년 294년 295년 296년 297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눔미우스 투스쿠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안니우스 아눌리누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카이사르
298년 299년 300년
아니키우스 파우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비리우스 갈루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카이사르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8px; padding: 0 6px"
}}}}}}}}}}}}}}}


로마 제국 제42대 황제
카리누스
CARINVS
파일:external/farm3.static.flickr.com/3599393271_1ba3838071.jpg
<colbgcolor=#9F0807><colcolor=#FCE774,#FCE774> 이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리누스
Marcus Aurelius Carinus
출생 미상
로마 제국
사망 285년 7월
로마 제국 모에시아
재위 기간 로마 황제
283년 ~ 285년 7월 (2년)
전임자 카루스
후임자 디오클레티아누스
부모 아버지 : 카루스
배우자 마그니아 우르비카
자녀 마크루스 아우렐리우스 니그리니아누스
종교 로마 다신교
1. 개요2. 생애
2.1. 황제가 되기 전까지2.2. 누메리아누스 암살과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2.3. 내전과 암살
3. 성격과 사생활 및 평가

[clearfix]

1. 개요

카리누스는 군인 황제 시대의 로마 제국의 42대 황제이다. 정식 이름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리누스(Marcus Aurelius Carinus. ?~ 285)이며 카루스의 아들로서 형제는 누메리아누스이다. 재위 기간은 283년부터 285년.

2. 생애

2.1. 황제가 되기 전까지

아버지는 프로부스 황제의 근위대장이자 프로부스 사망후 후임황제인 카루스. 태어난 연도는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아버지가 즉위 전까지 원로원 의원인데다 근위대장 신분인 점을 볼 때 카리누스 역시 아버지 카루스처럼 어린 시절부터 로마에서 훌륭한 교육을 받은 것으로 추측된다.

아버지가 판노니아 남부의 시르미움 근처에서 배수로 공사 중, 폭동이 일어나 황제로 선포되고 난 이후에 즉위하면서 282년 카이사르에 임명되었다. 이때 형제인 누메리아누스(Numerianus)도 함께 카이사르의 직위를 받았다. 카루스는 이탈리아와 갈리아 지방의 국방을 장남인 카리누스에게 맡겼고, 카리누스는 라인 주둔 군대로 파견되었다.

283년 여름인 8월, 아버지가 베일에 싸인 사건으로 죽자[1], 카리누스는 로마 서부지역의 황제가, 그의 형제 누메리아누스는 동부지역의 황제가 되었다.

2.2. 누메리아누스 암살과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

로마 제국 서방지역인 게르마니아에 머물고 있던 카리누스는 서방 황제가 된 뒤, 라인 지방에서 콰이족과 전투를 벌인 후 승리했다. 이후 로마로 돌아와 그전 해(283)에 아버지 카루스가 페르시아에서 거둔 승리를 기념해 경기를 벌였다(284. 9).

284년 11월, 동생이자 공동 황제였던 누메리아누스가 메소포타미아 북부로 가던 길에서 암살된 채 발견되었다. 그는 주둔지 도착 이후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고, 그를 찾으러 간 병사들에 의해 가마 안 침상 위에서 칼에 찔려 죽은 채 발견되었다. 이때 유일하게 황제와 알현을 위해 가마 안으로 출입이 가능했던 아페르가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되었고, 그는 황제를 죽인 범인으로 즉시 체포되었다.

정상적으로는 이 상황에서 형이자 공동 황제였던 카리누스가 이어야 했지만, 동방 주둔군과 장교들은 서방 황제로 있던 카리누스가 악습에 중독된 것이 널리 알려져서 전반적으로 멸시하는 분위기였기에 새로운 인물을 뽑기로 결정되게 된다. 군사 회의에서는 동방 주둔군 장교 중 한 명이자 누메리아누스의 호위 장교인 38살의 디오클레스(Diocles)가 새로운 황제로 지명되었다. 디오클레스는 이름을 디오클레티아누스로 바꿔 군대의 선포로 황제가 되었다. 새로운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먼저 아페르에게 자결을 명해 문제를 수습했다.[2] 그리고 동방 주둔군과 새로운 황제는 동방에서 힘을 기르며 준비를 하기 보다는 새로운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를 앞세워 서쪽으로 진격하게 된다.

2.3. 내전과 암살

파일:external/finds.org.uk/Carinus.jpg

서방에 머물며 이탈리아 방어임무를 맡고 있던 카리누스는 동방 주둔군이 카루스의 아들이자 누메리아누스의 형제인 자신이 있음에도 디오클레티아누스가 황제가 된 것에 대해 인정하지 않았다. 아울러 그는 지난 1년간 군사적인 부분에서는 인정을 받았으나 크게 인망을 얻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더군다나 285년 봄, 베로나 근방에서는 황제를 참칭한 베네치아의 총독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사비누스 율리아누스로 골머리를 앓았다. 카리누스는 즉시 자신을 황제라고 선포한 아우렐리우스 율리아누스를 격퇴했다.

그 직후, 카리누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이끄는 군대와 전투를 벌이기 위해 정벌 길에 나선다. 두 군대는 마르구스 강 계곡에 위치한 모이시아에서 충돌했다. 거기에서 벌어진 전투[3]에서 전력이 한 수 위였던 카리누스는 여러 인사들의[4] 디오클레티아누스로의 전향에도 불구하고 초반에 선전했지만, 이때 어떤 부하가 갑자기 황제 카리누스를 칼로 찔렀다. 이 사람은 자신이 아내가 카리누스에게 유혹을 당했고 이에 분노해 있는 상황이었다. 부하에게 왼쪽 가슴을 칼로 찔린 카리누스는 심장이 관통당해 그 자리에서 죽었다. 살해자는 아리스토불루스(Aristobulus)로서, 일반 중하급 장교는 절대 아니었고, 오히려 관구 총독직(Praetorian Prefect)[5]과 그해의 집정관직을 겸직하고 있었던 중요인사였는데, 디오클레티아누스로부터 포상으로 그 두 직을 유임할 수 있도록 허락받았다고 한다.[6]

카리누스의 군대는 지도자이자 황제를 잃었기에 더 이상의 전투는 무의미하여 디오클레티아누스를 자기들의 황제로 받아들였다. 카리누스는 기록말살형을 당해 그의 아내 마그니아 우르비카(Magnia Urbica)와 함께 비문에서 이름이 삭제되었다.

3. 성격과 사생활 및 평가

카리누스는 로마 제국의 최악의 황제 중 한 명이라고 불리고 있고, 기록말살형을 당한 로마 제국의 공인된 폭군답게 여러 부분에서 그 평이 최악이다. 일단 지금은 믿을 수 없다는 평을 받는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상의 기록에서 카리누스는 인간말종 수준의 폭군이었고, 사생활은 네로, 콤모두스에 버금가는 사치와 변태스러움을 두루 갖춘 암군 그 자체였다.

먼저 카리누스는 부드러웠지만 잔인했고, 쾌락에 탐닉했지만 품위가 없었다. 허영심은 대단했지만 대중의 시선 따위는 안중에도 없었다. 그는 아홉 명의 아내와 연달아 결혼했다가 이혼했는데, 그 여자들은 대부분 임신한 상태였다. 게다가 수많은 유부녀들과 불륜을 저질러 명예를 더럽혔다. 또한 아버지가 자신을 보좌하라고 배치한 친구들과 고문관을 추방하거나 사형시키고 가수, 춤꾼, 매춘부 등이 황궁에 넘쳐났다. 또한 그는 한 비서에게는 황제의 서명을 대신하게 했고 자신은 연극, 서커스, 반원형 극장 등 각종 오락과 행사를 후원했다.

이러한 그의 행실에 대한 당대의 기록은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치세 때 왜곡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동생인 누메리아누스가 암살된 뒤 병사들이 그를 제쳐두고 디오클레티아누스를 추대한 것을 봤을 때, 확실히 악습에 중독되고 인망이 부족했던 것은 사실이었던 것 같다. 당장 카리누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와 전투에서 승기를 잡고 이겨가던 와중 세르비아의 모라바 강에서 아내를 능욕당한 부하 손에 심장이 관통해 죽은 것은 사실이기 때문. 여기에 더해 카리누스는 반대파들에게는 죽일 놈 소리를 들었던 이전의 로마 황제들(티베리우스, 칼리굴라, 카라칼라 등)과 달리, 아버지 카루스가 즉위하기 전부터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 동료 원로원 의원들에게 인망도 없어 즉위 직후부터 욕을 먹었다고 한 말도 일관된 의견인 터라 쉴드의 여지가 없다는 평이다. 즉, 설령 왜곡되어 최악의 폭군이자 암군으로 욕먹고 있다고 해도, 일말의 쉴드조차 못 받을 정도로 진짜 행실에 문제 있던 황제는 분명했다.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왜곡한 게 맞는다면 카리누스에 대해 별다른 감정이 없는 콘스탄티누스가 기록을 바꾸기라도 했을텐데, 그러지도 않았다는 주장이다. 그런데 사실 카리누스는 콘스탄티누스 입장에선 부친과 자신, 나아가 자신의 아들들의 권위와 정통성을 위해 카리누스의 악평을 바꿀 이유가 전혀 없었다. 당장 카루스와 누메리아누스 사후,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옹립되었을 때 카리누스에 반기를 든 여러 장군 중 한명이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였고 대제로서는 카리누스의 왜곡을 막아보겠다는 것은 원로원과 디오클레티아누스 쪽까지 제대로 한방 먹이는 악수인 터에 바꿀 수 없는 상황이었다.

여담으로 정교회의 성 코즈마스와 성 다미아노스 성인전에 따르면, 그리스도교 세례를 받은 적이 있다고 한다. 이 두 성인은 유명한 이교도 의학자에게 가서 의술을 배우고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수많은 난치병 환자들을 치료했는데, 그러자 수많은 이교도들이 그들을 모함하기 시작했고, 카리누스 황제에게 이들을 고발하기에 이르렀다. 그러자 카리누스는 두 성인들을 소환해 심문했는데, 이때 하느님의 기적이 일어나 카리누스의 온몸이 마비되는 일이 일어났고, 이에 회개해서 세례를 받았다는 기록이다. 한편 이 두 성인들은 계속해서 환자들을 치료하며 그리스도교를 전했는데 이에 시기심을 품은 두 성인의 선생인 이교도 의학자는 약초가 자라나는 계절에 함께 약초를 수확하자고 꼬드겨 자신만이 아는 산속 깊숙히 데려갔고, 둘을 돌로 쳐 죽였다고 한다. 이후 사람들이 두 성인의 유해를 수습했는데, 이들의 유해를 보거나 만진 사람들에게도 계속해서 치유의 기적이 일어나 오늘날에도 기념되고 있다고... 다만, 카리누스의 세례유무에 대해서는 알 길이 없다. 기록말살까지 당한 양반이니 기록이 있을 리가...

[1] 사료들에 의하면 그가 머물던 막사에 번개가 떨어져 그곳에 머물던 카루스가 벼락에 맞아 죽었다고 한다. 하지만 친위대장이자 사돈인 아리우스 아페르(Arius Aper)의 손에 의해 죽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2] 혹은 직접 누메리아누스 황제 암살범인 그를 직접 칼로 죽였다고 한다.[3] 영어 위키백과: Battle of the Margus[4] 달마티아 속주 장관이었던 플라비우스 콘스탄티우스가 이때 전향했고, 결과적으로는 현명한 선택이었다. 그 외에도 원로원에서도 카리누스를 싫어했다고 한다.[5] 일반적인 속주(트라키아, 모이시아,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등)의 상급 행정단위였다. 즉 일반 총독들의 위에 있어, 총독들의 총독이었다.[6] 연산군이 몰락한 가장 큰 이유도 신하의 아내를 마구 건드리는 엄청난 짓을 했고, 피해 여성의 남편들이 사회적으로 매장당하느니 차라리 왕이고 뭐고 싸우다 죽겠다며 죽을 각오로 들고 일어났기 때문이라는 걸 생각하면 화를 자초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