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0 23:50:29

환각


1. 개요2. 종류3. 관련 문서4. 매체

1. 개요

/ Hallucination

본인만 느낄 수 있는 실재하지 않는 감각이나 대상을 느끼거나 느껴졌다고 생각하는 현상. 기본적으로 조현병 같은 정신질환에서 환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마약을 하거나 을 많이 마시는 등 약물의 영향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그 외에 긴 시간 동안 불면상태가 지속되거나 감각이 장시간 차단당하였을 때 나타날 수도 있다.

파킨슨병이나 치매두부 외상이 심각한 경우나 뇌졸중, 뇌종양, 간질로 인해서 생기기도 한다. 기질적 원인에 인한 환각은 주로 파킨슨병에서 잘 나타난다.

뇌의 위험한 신호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정신과는 물론 신경과에서도 뇌MRI치료를 권장하기도 한다.

'환상(幻像)', '환영(幻影)', '허상(虛像)'이란 말로도 표현된다.

2. 종류

인간에게 존재하는 오감 모두에 환각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심각성의 정도는 다르다.

3. 관련 문서

4. 매체

Illusion Manipulation

판타지SF범죄를 소재로 다루는 계열의 작품에서 마법이나 최면, 마약 성분을 이용한 실전용 환각 기술이 자주 나온다. 대개는 헛것을 보이게 함으로서 공포를 일으키거나 세뇌 등을 목적으로 행한다.

애니메이션 등 창작물에서는 충격적인 환각을 보여줘서 정신공격을 하는 경우로도 종종 나온다. 아니면 환각을 다룰 수 있는 예술가가 환각을 이용한 예술 공연을 하는 장면이 묘사되기도 한다.

반전 요소로 자주 사용되는 장치이기도 하다. '어떤 말도 안 되는 현상이나 사건이 사실은 알고 보니 다 환각이었다' 라는 식. 특정 인물이나 현상이 보이는 환영에 시달리거나, 아예 감각이 왜곡 되어서 모든 게 반대로 보이는 식의 클리셰도 존재한다.

[1] 환상통을 동반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공이 눈 앞으로 다가왔을 때 눈을 본능적으로 감는 것처럼 생각하기도 전에 몸이 먼저 반응한다. 설사 이것이 환각이라는 것을 알더라도 똑같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