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23:24:26

FAMAS

파마스에서 넘어옴
FA-MAS
Fusil d'Assaut de la Manufacture d'Armes de Saint-Étienne
생테티엔 조병창제 돌격소총
<nopad> 파일:FAMAS F1 cropped.jpg
전기형 / FAMAS F1
<nopad> 파일:external/www.imfdb.org/400px-FAMAS_F2.jpg
개량형 프로토타입[1] / FAMAS G1
<nopad> 파일:external/tonnel-ufo.ru/famas-9.jpg
후기형 / FAMAS G2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돌격소총
원산지
[[프랑스|]][[틀:국기|]][[틀:국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78년~2016년 (프랑스군 기준)
개발 폴 텔리
생테티엔 조병창
개발년도 1967년~1971년
생산 넥스터
생산년도 1975년~2000년
생산수 400,000정 (F1)
10,000~15,000정 (G2)
단가 1,500유로 (F1)
3,000유로 (G2)
사용국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아르헨티나|]][[틀:국기|]][[틀:국기|]]

[[레바논|]][[틀:국기|]][[틀:국기|]]

[[필리핀|]][[틀:국기|]][[틀:국기|]]

[[튀니지|]][[틀:국기|]][[틀:국기|]]

[[아랍에미리트|]][[틀:국기|]][[틀:국기|]] 등
사용된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걸프 전쟁
보스니아 전쟁
시리아 내전
말리 내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기종
원형 FAMAS Type 62
파생형 FAMAS F1 Valorisé
FAMAS G1
FAMAS G2
FAMAS FÉLIN
제원
탄약 5.56×45mm NATO
급탄 25발들이 박스탄창 (F1)
30발들이 STANAG 탄창 (G2)
작동방식 레버 지연 블로우백 방식
총열길이 488mm
405mm (G2 코만도)
320mm (G2 SMG)
305mm (FÉLIN)
620mm (G2 저격형)
전장 757mm
중량 3.61kg (F1)
3.8kg (G2)
3.68kg (FÉLIN)
발사속도 900~1000RPM (F1)
1,000~1,100RPM (G2)
탄속 960m/s (F1, FELIN)
925m/s (G2)
유효사거리 300m (F1)
450m (G2)
500m (FÉLIN)
최대사거리 3,200m }}}}}}}}}
1. 개요2. 상세
2.1. 역사2.2. 특징
3. 파생형4. 총류탄5. 기타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7. 에어소프트건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Forgotten Weapons의 FAMAS G2 리뷰 영상
생테티엔 조병창제 돌격소총[2](Fusil d' Assaut de la Manufacture d'Armes de Saint-Étienne,[3] Assult Rifle of the Saint-Étienne Factory), 줄여서 FA MAS[4]1978년에 채택된 프랑스군제식 소총이자, 대표적인 불펍돌격소총의 한 종류이다. 생테티엔(Saint-Étienne)은 프랑스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이 곳에 과거 프랑스의 국영 무기공장 및 화기 연구소였던 '생테티엔 조병창(MAS)'이 존재했다.

2. 상세

2.1. 역사

FAMAS의 프로토타입이라고 알려진 사진

1967년 폴 텔리(Paul Tellie)의 주도 하에 생테티엔 조병창에서 만들어진 돌격소총으로, 그 역사는 1946년, 프랑스 내에서 최초로 만들어졌던 AME (Atelier Mécanique de Mulhouse / 뮐루즈 공업소)의 프로토타입 총기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프랑스군은 막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 돌격소총의 개념없이 일단 전군을 빠르게 무장시키는게 중요했기에, 영국의 스텐 기관단총에 맞먹는 급조품인 기관단총MAT-49를 제식병기로 사용하고 있었다.[5] STG45의 개량품인 CEAM M1950부터 MAS51 등 여러 총을 실험/개발했지만, 이후 시간이 지나 미국의 M14 소총이 등장한 이후 NATO군의 표준이 된 7.62mm NATO탄을 사용하는 소총 개발에 착수하였다. 이후 생테티엔 조병창에서 1952년부터 자동소총 개발이 진행되어 1962년에 FAMAS 62식 소총(Type 62)[6]이 최초로 FAMAS라는 이름을 달고 등장했다.[7]
파일:external/www.securityarms.com/1277223434.jpg
Forgotten Weapons의 FAMAS 62식 소총 리뷰 영상
하지만 FAMAS 62식 소총은 M14 소총을 비롯한 다른 전투소총처럼 반동이 강해 자동사격시 총기 제어가 힘들었다. 게다가 구조가 복잡하고 정확도가 떨어져 60정만 생산되고 방치되었다. 결국 경쟁 상대였던 FN FAL을 대신 채용하기로 했는데, 얼마 안 있어 소구경 고속탄인 5.56×45mm NATO 탄을 사용하는 돌격소총M16 소총이 등장하자 자동소총 선정 사업이 취소되었고, 대신 H&K G3H&K HK33을 면허 생산하는 것에 그쳤다. 그 후 5.56mm 탄을 사용하는 돌격소총을 채용하려고 할 때, 적국이었던 독일의 총기인 HK33을 사용하는 것을 못마땅하게 봤고 자국 총기를 사용하기를 원했던 프랑스군 고위층이 입김을 넣어 개발된 것이 오늘날의 FAMAS이다.[8] 1971년에 시제품이 나왔지만, 생산 문제로 인해 SIG SG540을 임시로 채용해 마뉘랭 사에서 면허 생산해 사용했으며[9], 1978년부터 배치가 시작되었다. 참고로 프랑스군에서는 1980년대 초반까지도 기관단총볼트액션 소총[10]으로 무장한 부대가 남아있었다.[11]

2014년 5월부터 프랑스군은 1990년도 후반에 사실상 생산이 끝난 FAMAS를 대체하기 위해 H&K HK416, SIG SG516(AR-15 계열), FN SCAR-L, HS VHS, 베레타 ARX-160 등의 소총들을 지목하여 테스트 및 평가를 했으며, 2016년 8월에 FAMAS를 대체할 차기 제식소총으로 HK416A5의 프랑스군 사양인 HK416F가 최종 경쟁상대였던 FN SCAR를 이기고 선정되었다.#

2.2. 특징

래리 빅커스의 M4 카빈과의 정확도 비교 영상으로 래리 빅커스가 말하길, 근접용으로 쓰기에 적당한 집탄률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한다.[12]

FAMAS는 크게 2가지 버전으로 나뉘는데, 기본 버전인 F1과 NATO 규격에 맞춘 개량형인 G2. 두 버전은 탄창 모양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탄창이 직선형이고 짧으면 F1, 탄창이 곡선형이고 좀 더 길면 G2다.

FAMAS의 운반손잡이는 M16 소총과 비슷하게[13] 장전손잡이 보호와 기계식 조준기 역할을 동시에 하는데, 총 길이가 짧은 불펍식 소총의 한계로 인해 가늠쇠와 가늠자 간의 간격(조준반경)이 다른 소총에 비해 짧은지라 명중률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 게다가 악세사리 장착을 고려하지 않은 디자인 때문에 광학 장비를 비롯한 각종 악세사리를 달기도 어려운 편이다.[14] 이 문제를 SA80[15]이나 슈타이어 AUG 같은 다른 불펍 소총에서는 광학 장비를 부착해서 간편하게 해결했으며, 광학 장비가 달리지 않은 불펍 소총들은 광학 장비를 달기 좋은 구조로라도 만들거나, 아예 교리상으로 근거리 전투를 상정한 카빈급으로 취급한다.

불펍 구조가 그렇듯이, 무게중심이 뒤로 쏠려서 휴대하기 불편할 뿐더러 앞이 가벼워서 총구들림이 큰 편이다. 같은 불펍 소총인 SA80은 설계 오류로 인해 앞에 추를 넣었는데, 이로 인해 끔찍할 정도로 무거워졌으며, AUG는 권총손잡이를 중심으로 50:50 무게 균형을 맞추고, 전방손잡이를 장착함으로써 해결했다. 반면 FAMAS는 이러한 명중률과 무게중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각대를 단다는 특이한 발상으로 해결했다. 양각대를 펴고 엎드려 쏘면 그럭저럭 다른 돌격소총들과 비슷하게 쓸 만하다고 한다. 다만 쓸데없이 양각대 무게가 더해지는데다, 양각대 디자인 자체가 길이나 기울어짐 조절 등이 불가능한 단순한 디자인이라 별로 좋지 못하다보니 실용적으로 양각대를 떼는 게 낫다는 의견도 있다.

강화 플라스틱이 상당히 많이 쓰인 편이라 플라스틱을 많이 사용한다는 것 때문에 무게가 가볍다고 생각하기 쉽고, 수많은 FPS 게임에서 FAMAS를 반동이 큰 총으로 묘사하는데, 실제로는 껍데기만 플라스틱인데다 총 무게가 3.6kg을 넘기므로 가벼운 총이 아니다.[16] 게다가 불펍식 소총이라 무게가 뒤에 쏠린다고 앞에 무거운 양각대까지 달았으니... 반동이 큰 것은 높은 연사속도 탓이 더 크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곧이어 F1 탄창과 STANAG 탄창 모두 사용 가능한데다가 총열문제도 해결하고 각종 자잘한 문제점을 일신한 G1 디자인(방아쇠 울이 커다란 것으로 구분가능)이 나왔지만, 컨셉으로만 나왔고 실제로 생산되지는 않았다. 1994년 NATO 표준을 좀 더 준수하고 강선 규격을 9인치당 1회전으로 교체해 NATO 표준 탄약에도 적합하게 개선한 G2 디자인이 나왔는데, 안그래도 비싸다는 FAMAS인데, 개량하면서 가격이 2배나 비싸진 탓에 FAMAS 최대 사용자인 프랑스 육군은 G2를 쓴다 쓴다 하면서도 결국 채용하지 않았으며, 프랑스 해군과 해병대만이 보급을 받았다. 프랑스 육군은 아직까지도 40만 정의 낡아빠진 F1을 쓰고 있다.

비싼 가격과 돈값을 못하는 성능 때문에 수출실적은 안 좋다. 인도네시아지부티, 레바논, UAE 같은 곳에 소량 수출이 이루어지기는 했는데, 수도 적고 평가도 별로 좋지 못한 듯하다.
Forgotten Weapons의 MAS .223 리뷰 영상
1980년대에 미국 시장을 겨냥하고 MAS .223이라는 것을 만든 적이 있는데, 성능은 그냥 FAMAS를 반자동으로 바꾼 것이 전부이다. 이것을 미국으로 수입한 회사가 센추리 암즈라는 회사인데, 수입량이 엄청나게 적었고, 가격도 FAMAS답게 총만 해도 $1,000(약 871.69 유로, 112만 8,400원)나 나갈 정도로 가격이 정신나갈 정도로 높았으며, 예비 부품마저 없어서 고장나면 꽝이었다. 당시 같이 수입된 AUG가 기본 광학 조준경이 붙어있고 탄창도 넉넉하게 끼워줬는데도 $650 정도 밖에 되지 않은 것과 비교해보면 이걸 팔라고 내놓은 것인지 의문이다.[17] 당연히 총 자체의 결함과 낮은 인기의 상승작용으로 판매실적은 영 좋지 못했다. 결국 수출용으로는 생산이 크게 줄었으며, 현재 센추리 암즈에서 수입한 FAMAS는 미국에서 실제사격용이 아니라 콜렉터들의 수집품이 되었고 민간시장에서의 희귀성때문에 $8,000대로 호가되고 있다.

영국의 불펍 소총 L85와 비교하면 당연히 "영국놈들 총보다는 좋다"는 평가를 받는다. 물론 칭찬이 아니다. 탄창 불량과 탄약 문제가 없다면, 총 자체는 시원스럽게 작동하며 걸프전 등의 사막환경을 포함한 몇 번의 해외원정에서 무난하게 작동함에 따라 신뢰성을 인정받았다. 갈퀴와 칙패드 방향을 바꾸기만 하면 탄피 배출 방향을 전환할 수 있고, 장전손잡이나 조정간 위치[18] 등으로 보면 왼손잡이를 충분히 배려한 인체공학적 구조이다. L85가 L85A2로 개량이 된 이후로 그럭저럭 평범한 소총이 되었음에도 왼손잡이를 위한 배려는 아직까지도 FAMAS가 한 수 위다.

불펍답게 방아쇠 감각은 지독하게 나쁘다. 방아쇠가 무겁고 길어서 AR에 비해 단발 연사 속도가 한참 느려질 정도.

2.2.1. 노리쇠 작동방식

일반적인 5.56mm 소총은 거의 대부분이 가스작동(가스 피스톤식, 가스 직동식)방식이지만, FAMAS는 레버 지연 블로우백 방식이다.[19][20]

파일:lever-delayed-action-animation.gif
레버 지연 블로우백 방식의 원리는 다음과 같은데, 총을 발사했을 때 노리쇠가 잠깐 후퇴하다 총기 내부의 정지턱에 노리쇠와 연결된 레버가 걸려 정지하다가, 압력이 적당한 수준으로 떨어지면 레버가 움직여 노리쇠 뭉치를 밀었을 때 노리쇠가 후퇴했다 전진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같은 제작사에서 개발된 AA-52에도 적용되었다.[21]

하지만 특유의 작동 방식으로 인해 단가가 상승해서 F1 기준으로 1,500유로나 되고, G2는 3,000유로나 된다.(2018년 10월 4일 기준으로 한화로 환산하면 1,500유로는 약 194만 1,840원정도고, 3,000유로는 약 388만 3,170원정도 된다)# 70만원 정도 하는 M4 카빈K2 소총은 말할 것도 없고, 1정당 30만엔(2018년 10월 4일 기준으로 한화로 환산하면 약 296만 2,590원)정도 호가한다는 자위대의 89식 소총의 가격을 아득히 능가했다. 89식 소총의 가격은 일본의 정치적 환경 등의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세상에서 가장 비싼 돌격소총인 셈이다.

지연 블로우백 작동 방식의 특성상 약실이 아직 고압일 때 탄피가 추출되기 때문에, 롤러 지연식 블로우백을 사용하는 H&K G3처럼 FAMAS도 약실 내부에 홈을 파서 총을 발사할 때 가스가 홈으로 들어가 윤활유 역할을 하는 각인 약실(fluted chamber)을 채택해 탄피가 약실에 눌러붙어 탄피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했다. 그런데 각인 약실이 아닌 일반적인 총을 기준으로 만든 탄피벽이 얇은 규격의 황동 탄피 탄약을 사용하면, 탄피를 약실에서 뽑아낼 때 찢어지는 일이 종종 일어났다.[22]

게다가 FAMAS F1은 7인치당 1회전인 강선 규격에 최적화된[23] 5.56×45mm NATO 탄이 NATO 표준규격 돌격소총탄으로 선정되기 이전에 만들어진 물건이라, 강선 규격이 M16A1같이 M193 탄약을 사용하는 총기처럼 12인치당 1회전 강선 규격이어서 5.56mm NATO 탄을 사용하면 탄자를 제대로 안정시키지 못해 명중률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랑스군은 자국산 FAMAS에서는 외국제 탄약의 사용을 금지하고, M193 계열의 구성이고 강철 탄피를 사용한 전용 탄약인 'Type O(Ordinaire)' 보통탄과 'Type T(Traçant) 예광탄'을 사용했다.[24] 이 때문에 FAMAS F1이 특별히 강철 탄피 전용이라는 것으로 와전되기도 했으나, 황동 탄피라도 제대로 만든 것은 상관 없다. 프랑스가 강철 탄피를 쓴 것은 국산 이용 + 강철 탄피가 더 싸니까 라는 이유가 겹쳐 있었다.

그런데 그 국산 탄약 제조사가 문을 닫는 문제가 생기고, 프랑스의 한 저널리스트가 전용탄약이 더 이상 프랑스 내에서 생산되지 않으며 현재는 중국산, 즉 수입품을 쓰고 있다는 내용을 폭로하면서 또 스캔들이 되었다. 탄약이 크게 문제는 없었으나 탄환 기준을 .223 레밍턴이 아닌 5.56mm NATO로 잡은 까닭에 원본보다 더 약실 압력이 강한 고압탄이 되어버리고 말았고, 이로 인해 냉전시대 당시 만든 부품들을 통해 유지보수를 하고 있던 FAMAS의 수명을 끝장내버렸다.

2.2.2. 총검 착검방식

파일:Rifles_FAMAS_bayo.jpg
FAMAS는 현용소총 중에서는 총검을 꽂는 방식이 조금 특이한 소총이기도 하다. 현용소총들은 M16이나 AK의 경우처럼 총검을 꽂기 위한 착검장치가 총열 아래에 있는 경우가 절대다수이지만[25], FAMAS의 경우에는 특이하게도 착검장치가 총열 위에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후에 채용된 HK416F는 착검장치는 일반 소총과 같이 아래에 있지만, 총검의 날이 위를 향한 형태로 결합된다.

이렇게 총열 위에 총검을 부착하는 총기로는 FAMAS 뿐만 아니라 H&K G3/H&K HK33HS VHS, AR-10 등이 있다. AR-15M203 같은 언더배럴형 유탄발사기를 부착할 때 별도의 착검장치를 추가해 위쪽이나 옆쪽에 부착하기도 한다.##

3. 파생형

특유의 캐링핸들이 G36C를 연상시키는 낮은 높이의 피카티니 레일 결합 캐링핸들로 교체되었고, 좁아진 공간 때문에 장전손잡이가 측면으로 튀어나온 구조로 바뀌었다. 강선 비율도 1:9로 바뀌어 SS109계열 탄약도 문제 없이 쓸 수 있다.

4. 총류탄

프랑스군 교리탓에 총류탄도 사용한다. AC 58이라는 RHA 350mm까지 관통하는 대전차 총류탄, APAV 40 이라는 40mm 대인 총류탄을 쓴다. 이래저래 89식 소총이랑 많이 비슷하다.

파일:1024px-APAV_40.svg.png
APAV 40(anti-personnel/anti-véhicule, 40mm) 이중목적고폭탄 총류탄. FAMAS나 NATO 공용 STANAG 총류탄 머즐 디바이스가 있는 소총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대인-대경차량 겸용 40mm 총류탄이다. 살상 반경 12미터, 파편의 위험 반경 100미터. 최적의 각도로 맞았을 시 대차량 장갑관통력은 100mm. 조준의식 조준경의 최대 곡사 사거리는 320미터. F1과 F2 버전이 있으며 F1 버전은 공포탄을 써야하고, F2 버전은 불렛 트랩이 적용되어 실탄으로도 발사할 수 있다.

AC58(Anti-Char, 58 mm) 58mm 대전차 총류탄. 성형작약탄두로 RHA 350mm까지 관통하고, 직사로 쏴야 해서 조준기 상 최대 사거리는 100미터. 불렛 트랩이 적용되어 실탄으로 쏠 수 있다.

대부분의 총류탄이 그렇듯, 이 프랑스제 총류탄들도 반동이 극심한 편이다.

다만, 일부 특수부대는 따로 유탄발사기를 장착하기도 한다. 핸드가드 아래쪽에 애드온 모듈을 달아서 M203을 쓴다고 한다. #[28]

5. 기타

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AMAS/대중매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에어소프트건

8. 둘러보기

냉전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파일:프랑스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프랑스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Mle 1886, Mle 1934, MAS-36, FR-F1, FR-F2,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리-엔필드
반자동소총 MAS-49, M1 개런드, M1 카빈, G3SG/1
자동소총 FAMAS F1, CETME 모델 B, SG540, M2 카빈, M16A2
기관단총 MAS-38, MAT-49, PM9, M1928A1, M1A1, 스텐 기관단총, MAB 38, MP40, Mini Uzi, MP5A3
산탄총 발트로 PM-5, 레밍턴 M870, 마뉘프랑스 라피드
권총 Mle 1892, MAB Mle D, Mle 1935A, Mle 1935S, Mle 1950, PAP F1, PA-MAS G1, 마뉘랭 MR 73, M686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le 1922, Mle 1926, FM 24/29, M1918 브라우닝, 브렌 경기관총, Minimi
중기관총 Mle 1914, MAC 1934, AAT Mle 52, M1919A4, M1919A6, M2HB
로켓발사기 M1A1, M9A1, M20, PIAT, LRAC F1, RAC-112 APILAS
미사일발사기 SS.10, SS.11, SS.12, MILAN, Eryx, Mistral
무반동총 M18, M40
화염방사기 M2, LFP 54
박격포 브랑 M27/31, 브랑 M1935, M1, M2
유탄 F1 수류탄
취소선 :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파일:프랑스 국기.svg 현대 프랑스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1f2257> 현대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1f2257> 소총
<colbgcolor=#1f2257> 돌격소총 FAMAS F1/G2, G36(E/C/K/V), SG551, M16A2, HK416F, HK416(A5/D14.5RS), SCAR-L, CZ-806 브렌 2, SIG MCX
지정사수소총 G3SG/1, MSG90, HK417, SCAR-H PR
저격소총 FR-F2, PGM 에카트 II, 울티마 라시오, TRG-42, AW, AWSM
기관단총 MAT-49, MP5(A5/F), MP5SD6, UMP9, MP7A1, FN P90
산탄총 베넬리 M3 슈퍼 90, 모스버그 500, 발트로 PM5, FN TPS, Sensied S&F K1, SPAS-12, Kel-Tec KSG, 베넬리 슈퍼노바
권총 MAC 50, PA-MAS G1, MR 73, PAP F1, 글록 17, USP.SD, FN Five-seveN, M686, P11
지원화기
기관총 AA-52, FN MAG, FN 미니미, FN EVOLYS, M2HB, M134
유탄발사기 AG36, M203, APAV 40
대전차화기 APILAS, AT4 CS, MILAN, ERYX, FGM-148 재블린, LRAC F1, 아케론 MP
박격포 LGI Mle F1, LLR 81mm, MO 120 RT
맨패즈 미스트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현대 아르헨티나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373a3c><colbgcolor=#75aadb> 현대의 아르헨티나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colbgcolor=#75aadb> 돌격소총 G3, FAL, FARA 83, M16A1, M16A2, M4A1, AUGA1, 갈릴 ACE
저격소총 M24 SWS, SSG 69, HS.50
기관단총 FMK-3, 스털링 SMG
산탄총 바탄 71, 매버릭 88, SPAS-12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지원화기
기관총 MG3, FN MAG, M240, MG 74, M2 브라우닝, AA-52
유탄발사기 Mk.19, M203
대전차화기 MARA, Mathogo, M72 LAW, AT4, M3, BGM-71
박격포 FM-60, FM-81, FM-120
맨패즈 RBS 70, 블로우파이프
특수전 화기*
돌격소총 FAMAS
저격소총 M95, CZ750 S1 M1
기관단총 콜트 9mm 기관단총, MP5, P90, APC9 PRO
기관총 M249, HK21
*: 아르헨티나 해병 코만도 부대 및 601 코만도 중대에서 사용}}}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현대 아랍에미리트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0000> 현대의 아랍에미리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FF0000> 소총 <colbgcolor=#FF0000> 돌격소총 G3, FAL, M16A4, M727, CAR816, FAMAS, T91
지정사수소총 MSG90
저격소총 로바예프 SVL, M107 LRSR
기관단총 MP5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카라칼 시리즈, P7M13, P228
지원화기 기관총 MG3, HK23E, MG5, AAT-52, FN MAG, FN 미니미, M249, M2HB
유탄발사기 M203
대전차화기 9M113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레바논 국기.svg 현대 레바논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현대의 레바논군 보병장비
<colbgcolor=white,#191919> 개인화기 <colbgcolor=white,#191919> 소총 <colbgcolor=white,#191919> 돌격소총 AKM, M16A1, M16A4, G3, FAMAS, SG540, AKS-74, AKS-74U, AK-74M, M4A1, Mk.18, M21
저격소총 M82, M24, SSG 69
기관단총 MP5, P90
산탄총 SPAS-12, M500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G17, G18, 베레타 92, P-64
지원화기 기관총 FN 미니미, FN MAG, MG3, M60, M249, M240L, Mk.46, M2
유탄발사기 M203, Mk.19
로켓발사기 RPG-7, AT4, M72, M141, Mk.153
미사일발사기 9K32, MILAN, BGM-71, M712
무반동총 M40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차드 국기.svg 현대의 차드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2664> 차드 국가군 (1969~)
Armée nationale tchadienne
الجيش الوطني التشادي
권총 <colbgcolor=#002664> 자동권총 VIS, PP 슈퍼, P1, Mle 1950, 토카집트 58
리볼버 MR 73
기관단총 UZI, MAT-49, M12
소총 볼트액션 소총 MAS-36
자동소총 FAL, G3, M16, AKM, AK-47, 56식, M70, FAMAS, SG542, 갈릴
기관총 경기관총 RPD, RPK, PK, MAG
중기관총 SG-43, DShK, M2 브라우닝
유탄 발사기 AGS-17, M79
대전차 화기 대전차 미사일 ERYX, MILAN
대전차 로켓 RPG-7
무반동포 M40A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현대의 인도네시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인도네시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colbgcolor=#ff0000> 돌격소총 SS1, SS2, SAR-21, AK-47, 56식 자동소총, Vz.58, AK-101, BM59, M16A1, M16A2, M16A4, M4A1, K2, 갈릴, G36C, FAMAS F1, AUG, SS552, G3, HK416
지정사수소총 갈라츠, MSG90, HK417
저격소총 M24, SPR-1, SPR-2, SPR-3, SSG 69, M93, PGM 헤카테 II, NTW-20, L96A1, AW, AWM, M82A1
특수소총 APS
기관단총 PM1, PM1A1, PM2, K7, 마이크로 우지, Vz.61, P90, MP9, MP5, MP5SD, MP7A1, CZ 스콜피온 EVO 3, K1
산탄총 M3T, SPAS-12
권총 P1, P2, G2, HS2000, Mk.23, M1911A1, P226, 92SB, 92F, Five-seven, G17, G19, K5, PPK
지원화기 <colbgcolor=#ffffff,#191919> 기관총 울티맥스 100, SM2, K3, SPM2, M60, M134D, SMB-QCB, DShKM, M2HB
유탄발사기 SPG3, AG36, M79, M203, SPG1, M32
대전차화기 RPG-7, M2CG, C90-CR (M3), M80 Zolja, NLAW, AT4, FGM-148, AT-13, PF-89, PF-98
박격포 W87, 81 KRH 71 Y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현대 우크라이나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우크라이나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2478ff> 소총 <colbgcolor=#2478ff> 볼트액션 <colbgcolor=#FFFFFF,#191919>모신나강, PTRD-41
반자동소총 SVT-40, M1 개런드, SKS, SUB-2000D, Springfield Saint, NEA-15, POF P415, 루거 AR556, Adams Arms P1D MSR-15, POF 레볼루션, KMR-A, PTRS-41, 루거 SFAR
돌격소총 StG44, AKM, AKMS, AK-63D, 56식 자동소총C, PM md. 63.D, AR-M9D, MPi-KM-72, AK-74*, PM md. 90.D, AKS-74U, Vepr*, AK-74MC, KM-AKC, AK-103C, AK-12C, FNCD, Vz.58D, M70D, M14D, M16A2D/M16A4D, G3D, FN FALD, M4A1D, G36KD, SCAR(L/H)D, F2000D, Wz.88D, C7(A1/A2/NLD)D, MSBS GrotD, SIG516, H&K HK416D, QBZ-97, DDM4, ARX-200, M5 카빈D, MDRX, ACARD, CETME LD, FAMASD, XCR, IWI Zion-15, 부시마스터 XM-15
저격소총 Fort-301*, Z-008, VPR-308*, Z-10, SVD, SVDMC, 85식 저격소총, PSL, M82*, M99, M107A1, ZVI 팔콘D, AW308D, AXD, 레밍턴 M700D, FR-F2D, M98D, SV-98C, T-5000C, OSV-96C, KSVKC, WKW WilkD, HLR 338D, Snipex T-Rex, Snipex Rhino Hunter, Snipex Alligator, Snipex 모노마흐, Snipex M100, Savage 10, Savage 110, M21 SWSD, M24 SWSD, SIG SSG-3000*, SRS-A1, HTI, TAC-50, C14D, LRT-3D, CADEX CDXD, RPR*, RAR*, SIG100*, SIG CROSS, R93*, 부시마스터 BA50, BFG-50, PGM 헤카트 II, FA-50T, TASCO 7ET3, CZ TSR
기관단총 PPSh-41, PPS-43, 톰슨 기관단총, MP40, 칼 구스타프 m/45, Vz.23, MP5*, Vz.61D,KRISS VectorD, UZID, Z-84 Corto, 루거 MP9*, Fort-230, 보르즈 기관단총, PM-63D, SP9, Aselsan SA-9
권총 PM, Makarych*, TT-33,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4, M1911A1, PPK, 발터 P22, P08, VIS Wz.35, PSM*, Fort-12*, Fort-14TP, MP-443C, GSh-18C,CZ75D, CZ P-07D, P-10CD, M9D, R7 MakoD, SFP9D, SIG P320, Canik TP9, PL-15C
지원화기 기관총 DP-27, DP-28, 마드센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SGMT, RPK, RPK-74, 자스타바 M72, PK, PKM, 자스타바 M84D, MG-1MD, Mayak K(T/M/TM), PKPC, KordC, KPVC, DShK, DShKM, NSV, PM M1910, RPD, Vz.59D, MG34, M53D, CETME AmeliD, MG3, MG42/59D, M60, Ksp 58D, C6D, M240D, FN 미니미D, C9D, C9A2D, M2(A1)D, AN/M3D, M249D, M249E3D, W85, UKM-2000PD, AAT-52D, PZD 556D, MG5D, Laska K2, Ares Shrike, M134D, MMG556D
유탄발사기 UAG-40*, 댜코노프 총류탄, AGS-17, AGS-30C, RGM-40, RG-6C, GP-25, GP-34C, Fort-600, GM-94C, Mk.19 Mod.3D, M32D, RGP-40D, AG36D, M320(A1)D, M203D, UGL-40, GMGD, FN40GLD, RDS40D, 팔라트D, M11 RGDD, RG-1
대전차화기 대전차로켓 RPG-7, RPG-7V, RPG-7D, 69식 화전통, ATGL-L, LGL-7D, PSRL-1, PzF 3D, RPG-16, RPG-18, RPG-22, BULSPIKE-AT, DRTG-73D, M80 Zolja, M72A5, NM72F1, M72 ECD, RPG-26, RPG-27, RShG-1, RPG-29, RPG-30C, RPG-32, RPG-76D, SMAWD, M141 BDMD, RGW-90D, APILASD
대전차 미사일 Corsar, 스키프, 쉐르쉔, 아뮬렛, 9K115-2, 9M113, 9K111, 9K135C, NLAW, FGM-148, 밀란 대전차 미사일D, TOWD, RBS 56D, 아케론 MPD
무반동총 SPG-9 "Spis", AT4D, 칼 구스타프 M4D, C90D, Pvpj 1110D, Alcotán-100D, RPO-A, RPV-16, RPG-75(M)D
박격포 82-BM-37, KBA-118, KTH1, LMR-2017D, m/68D, GrW 36, M224 LWCMSD, 63식D, MP-60, M60-16, UB-81, UPIK-82, M60CMAD, KBA-48M, M69A, 20N5D, 2B9, 2B14, M252 MERMD, HM-16, HM-19, M84D, 2B16, Vz.82, М120-15, 2S12, 120-PM-43, MP-120, M74D, 120 KRH 92D, Mod.63D, MO-120-HBD, M120 BMSD, M240
견인포 122mm 2A18 D-30, 85mm D-44, 85mm D-48, BS-3, 100mm 2A19 MT-12, 152mm M1955 D-20, M-46, 150mm 2A65, 152mm 2A36, M2A1D, M101D, {M114}D, M119D, L119D, M777D, FH70D, TRF1D, Mod.56D
대공포 보포스 40mm 포D, 57mm S-60, KS-19, L/70D, ZU-23, 자스타바 M55D, 자스타바 M75D, 72-K, 오리콘 GDF, {MANTIS}
맨패즈 9K310, 9K38, PiorunD, 9K32, 9K34, FIM-92, Starstreak HVM, 미스트랄D, LWM 마틀렛D, SungurD, RBS 70D, Anza 2D
자폭 무인기 스위치블레이드 300/600D, 피닉스 고스트D, UJ-32 Lastivka, 라텔-S
지뢰 TM-57, TM-62M, PTM-1, PTM-3, MON, OZM-72, AT2D, DM12 PARM-2D, PTKM-1RC, DM-31D, M18A1D, Mini HailstormD, POMZ, PFM-1, HPD-2A2D, M/47D, M/56D, Mi AC AH F1D, FFV-028D, M/52D, PMN, RAAMD, PK-14D, PT Mi-BaD, C-3-BD, M86 PDMD, YaRM, L9A1D, M15D, M21D, MPT-23P2
폭약 M112D, M/97D, KZ-6, C4D, PENOD, M1 관형폭약D, M2A4D, UR-83P, Minröjningsorm 1D, AO-1Sch, UYA-95-1.5
수류탄 F1 수류탄, RG-42, RGD-2, RGD-5, RKG-3, M67, OF 37, DM41D, DM51D, DM61D, M/54D, L109D, RGR, RG-60TB, Sirpalekäsikranaatti M50D, F1D/N, GHO-1D, Mecar M72D, M50 P3D, NR20C1D, PGN-60
비치사성무기 M18D, DG-01, L83A2, L84A3, Zarya-3, UDSh, M4A2
<colbgcolor=#ffe400>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Fort-221, Fort-223, Fort-224*, MCX, ACR, AS Val, ASM ValC, Malyuk, WAC-47, Z-15, Fort-227, Fort-228, Fort-229, CZ 브렌 2D, AUG HBARD, AK-105C, C8D, 헤넬 MK556, CR 308D. DD Mk.18D,SIG716, 콜트 M933, HK433
저격소총 VSS, TRG-22, T3, TS.M.308, TS.M.338, HS.50, M110 SASS, CheyTac Intervention, Horizon's Lord, 베레타 Victrix Corvus*, 바렛 MRAD, SAN 511*, Mk.14 EBRD, HK417D, VSSKC, M1500
특수소총 APS
기관단총 스콜피온 EVO 3, P90, PP-91C, MPX, APC9 PRO*, B&T MP9*
산탄총 Saiga-12*, Fort-500, Fort-500T, Fort-500M*, KS-23, 모스버그 500D, 베넬리 M4D, TOZ-87, BTS12*, RS S1, CZ1012, Target X7, M26 MASS, Sierra 12, KSG, SPAS-15
권총 스테츠킨 APS, SPP-1, Fort-17, Fort-20, Fort-21, PB, 글록 17/19/45D, Fort-15, 나강 M1895, CZ82D
기관총 Fort-401
수류탄 RGO, RGN, Mk.14 Mod 0 ASMD, RGT-27S, RGT-27S2
*: 우크라이나 내무부 예하 및 준군사조직에서 사용
C: 노획 장비
D: 여러 국가들에서 지원물자로 기증
{중괄호}: 도입 예정 장비
N: F1 수류탄과 이름만 같은 현대적인 호주산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현대 베네수엘라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공화국군(1999~)
Ejército Nacional de la República Bolivariana de Venezuela
권총 하이파워, 글록 17
소총 자동소총 AK-103, FNC, FAL, QBZ-95, FAMAS F1, CR-21
저격소총 SVD, M14, M700
기관단총 오리노코 IV, P90, MP5, UZI, CF-05, CS/LS7
<colbgcolor=#cf142b> 기관총 <colbgcolor=#cf142b> 경기관총 미니미, MAG, M60
중기관총 M2 브라우닝
박격포 MO-120 RT
대전차화기 RPG-7, AT4
맨패즈 이글라-S, RBS 70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파일:세네갈 국기.svg 현대 세네갈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0853f> 세네갈군(1962~)
Forces armées du Sénégal
개인화기 <colbgcolor=#00853f> 권총 G1, P220, 모델 1950
기관단총 K1
소총 <colbgcolor=#00853f> 자동소총 FAMAS, CETME 모델 L, T4, CQ 5.56, M4A1 M723, M16A1, M16A2, TAR-21, KNT-76
저격소총 SVD, 갈라츠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249
다목적 기관총 FN MAG, M60
대전차화기 대전차 미사일 MILAN
대전차 로켓 LRAC F1
곡사포 TRF1, 모델 50, M10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파일:지부티 국기.svg 현대 지부티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지부티군 보병장비
<colbgcolor=#fff> 개인화기 권총 베레타 92, 모델 1950
기관단총 MAT-49
소총 돌격소총 FAL, G3, AK-47, AK-63, AKM, AUG, SG540, 56식, M4 카빈, FAMAS, 갈릴
저격소총 SVD, M700
지원화기 <colbgcolor=#12ad2b> 기관총 <colbgcolor=#12ad2b> 다목적 기관총 MAG, AA-52
경기관총 RPD, RPK, PK
중기관총 M2 브라우닝, NSV
맨패즈 FN-6
유탄발사기 Mk.19
대전차 로켓 APILAS, RPG-7V, LRAC F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현대 파푸아 뉴기니 방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ce1126> 파푸아뉴기니 방위군 (1973~)
Papua New Guinea Defence Force
개인화기 <colbgcolor=#000> 소총 <colbgcolor=#000> 자동소총 FAMAS, L1A1, G3, M16A2, HK33, SAR-80, SR-88, L85A1, 갈릴, AUG
반자동소총 XM-15
볼트액션 소총 리-엔필드
기관단총 F1, P90, 스털링
권총 하이파워, M1911
지원화기 다목적기관총 L2A1, 브렌 L4A4, 울티맥스 100, FN MAG
중기관총 M2HB
유탄발사기 M203
대전차화기 RPG-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 뉴기니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현대 코트디부아르 보병장비 둘러보기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현대의 코트디부아르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white,#191919>MAS-36
반자동소총 SVD
자동소총 AK-74, AKM, G3, FAL, 56식 자동소총, 81식 자동소총, FAMAS, TAR-21, Vz.58, M16A1, M16A2, SG540
기관단총 MAT-49, PPS-43, MP5
권총 베레타 92, TT-33
지원화기 기관총 DShK, KPV, AA-52, PKM, 네게브
<colbgcolor=#009E60> 대전차화기 RPG-7
박격포 Mle 35
대공포 ZU-23, ZPU-4
※둘러보기 :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파일:생테티엔 조병창 로고.png 생테티엔 무기 공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c7c7c7,#353535> 생테티엔 무기 공장 생산 총기
권총 <colbgcolor=#c7c7c7,#353535> 리볼버 MAS 1873 · Mle 1892
자동권총 Mle 1935S · Mle 1950 · PAMAS G1
기관단총 MAS-38 · MAS-48 · M12S2
소총 볼트액션 Mle 1866 · Mle 1874 · Mle 1886 · Mle 1890 · Mle 1892 · Mle 1902 · Mle 1907 · Mle 1916 · Mle 1934 · MAS-36 · FR-F1 · FR-F2
반자동 RSC Mle 1917 · Mle 1918 · MAS-40 · MAS-44 · MAS-49
자동 MAS T62 · FAMAS
기관총 Mle 1907 · AAT Mle 1952
대전차 로켓 LRAC F1
}}}}}}}}}}}} ||


[1] 실제로는 양산된 적이 없다.[2] 프랑스어 약자로 된 물건들은 대부분이 이런 식인데, 이를테면 한국의 KTX-1으로도 유명한 프랑스 고속열차 TGV는 사실 Train à Grande Vitesse(트레나 그랑드 비테스), 그러니까 '엄청난 속도의 열차'라는 뜻이다.[3] 발음은 퓌지 다쏘 드 라 마뉘팍튀흐 다흐므 드 쌍떼띠엔.[4] 한국에서는 '파마스'라는 영어식 발음으로 자주 부르지만, 프랑스어 단어 어미의 자음은 거의 발음하지 않아서 현지에서는 '파마'라고 불린다. 다만 캐나다(퀘벡)식 프랑스어 같은 경우에는 영어식으로 '파마스'라 부르기도 한다.[5] 하지만 스텐과는 달리 MAT-49는 적어도 쓸 만한 총이었다.[6] MAS T62라고도 한다.[7] 레버 지연 블로우백 방식인 FAMAS와 달리, 가스 작동식이다.[8] 여기에는 재미있는 일화가 있는데, 독불여단 창설 때 독일 총기를 제식으로 쓰기에는 살짝 자존심이 상한 프랑스군 고위층의 압력으로 독불여단에서 공식화기가 FAMAS로 결정되자 이번에는 반대로 구세대 7.62mm G3을 사용하는 독일군의 체면이 구겨졌다. 독일군의 고위층은 급하게 5.56mm 총기를 찾았고, 동독에서 수출용으로 만든 5.56mm 버전의 AK 소총을 사용하기 직전에 이르렀으나 큰 시장을 잃을 것 같았던 H&K에서 급하게 5.56mm 소총을 개발하여 보급하는데 성공했다. 그 소총이 바로 H&K G36. 하지만 이 소총은 나중에 큰 이슈로 불거졌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의 결함 문단 참조.[9] 이것은 스위스의 무기 규제로 인해 자국에서 생산하기가 곤란하다는 것도 한 몫했다.[10] 전후 프랑스에서 개발된 MAS-49/56 반자동소총(실질적인 지급완료는 56년 이후)이 MAS-36 볼트액션 소총을 대체하여 냉전 중기에 25년 넘게 주력 제식소총으로 쓰였고, 비전투/후방부대에서 소수의 MAS-36이 쓰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이미 50년대 후반 세계의 주요 각국에서는 자동사격 기능을 가진 소총(M14 소총, AKM, H&K G3, FN FAL 등)가 많이 출시되어 대량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물론 돌격소총의 개념에 적합한 AKM을 제외한 나머지 전투소총들은 자동사격에 부적합해 퇴출당하고 후방부대로 물러나다가 겨우 20년도 더 지나서야 지정 사수 소총으로 복귀하는 신세가 되었지만 말이다.[11] 제2차 세계 대전이 종결되고 프랑스가 무기 하나 하나 아까워서 Kar98k을 사용하는 등 굉장히 다양한 소총이 프랑스군에 존재하게 되었는데, 헌병대 병기고에는 르벨 M1886조차도 1970년대까지 치장물자로 남아있었다고 한다.(...) 다만 한국군도 80년대까지 치장물자로 아리사카 소총이 남아있었고, 증언에 따라서는 2015년에도 치장물자로 등록되어 있었으며, 심지어 해군 진해 병기창에서는 베르단 소총까지 남아있었다고 한것을 보면 구식 병기가 남아있는거 자체는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다.[12] 동영상에서 빅커스가 M4 카빈과 함께 사격했는데 집탄율은 M4가 더 나았다. 그러나 래리 빅커스 본인이 M4가 가장 익숙한 소총이라고 했기 때문에 그 점도 고려한다면 양자간 집탄율 차이는 크지 않을 것이다.[13] 정확히는 초기형 M16에서 운반손잡이가 장전손잡이 보호를 위한 역할을 했다. 초창기 M16은 장전손잡이가 뒤로 이동한 오늘날의 M16과 다르게 장전 손잡이가 FAMAS처럼 소총 몸체 위에 있기 때문. M16이 개량되면서 장전손잡이가 오늘날처럼 뒤로 이동했음에도 여전히 운반손잡이는 M16에 남아있었고 이는 장전손잡이 보호를 위한 것이기보다는 무거운 총을 편히 들고 다닐 수 있게 그냥 내버려두자는 개발자들의 의도였지만 베트남 전쟁 기록 사진에서 보듯이 대부분 멜빵을 이용하거나 총열과 소총몸체 중간 부분을 잡지 운반손잡이를 잡고 있는 장병들의 사진은 드물다. 또한 FAMAS처럼 운반손잡이의 존재는 조준경같은 것들을 달기 어렵게 하였고(그래도 M16은 길이가 어느 정도 되고 또 반동을 받는 개머리판과 소총이 일직선 상에 있는 현대적인 디자인 덕에 FAMAS처럼 운반손잡이가 명중률에 안좋은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결국 후기형 M16과 M4A1은 운반손잡이가 분리된다. 최근엔 아예 운반 손잡이를 레일에서 빼내고 플립업 사이트를 활용하여 광학조준경이 고장나거나 쓰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다.[14] 이 때문에 개량형인 G2와 일부 F1 스포츠 버전은 총열덮개에 악세사리 레일을 달 수 있게 개량했다.[15] 신뢰성이 낮기로 유명했지만 현재는 개량을 마쳐 평범한 수준의 소총이 되었고, 4배율 광학 조준경을 쓰기 때문에 명중률만 따지면 오히려 좋은 편에 속한다.[16] 이와 유사하게 총몸을 플라스틱으로 만든 슈타이어 AUG도 기본형 기준으로 3.6kg으로 비슷하다.[17] 참고로 1000달러면 AR-15 1정과 레플리카 조준경, 탄창도 나름 넉넉히 살 수 있고, 동구권에서 흘러온 소총을 산다면 아예 총을 풀튜닝해도 될 정도의 값이다.[18] 특히 조정간 같은 경우 2000년대 이전에 설계된 대부분 불펍 총기들은 조정간이 총몸 쪽에 탑재되어 있어 조정간의 변경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FAMAS처럼 조정간이 방아쇠 쪽에 탑재되어 있는 총기로는 86S식 자동소총이 있다. 덤으로 AUG와 P90같은 경우에는 방아쇠의 압력을 제어해서 발사방식을 조절하는 방식에 가깝다.[19] 그러나 후술하다시피 이 작동방식때문에 결과적으로 몰락했다는 의견이 있다.[20] 반대로 같은 지연 블로우백 방식인 G3같은 경우 원본 총기가 내구성에 영향이 적은 7.62mm NATO인데다 9mm와 5.56mm NATO를 호환하는 수많은 파생형을 제작해서 지금도 민수시장 등에서 간간이 등장하고 있다.[21] 이것은 롤러 지연 블로우백을 사용하는 StG45(H&K G3)와 롤러 잠금 노리쇠 및 단주퇴 반동 이용식을 사용하는 MG42(MG3)의 관계와 유사하다.[22] FAMAS처럼 (롤러) 지연 블로우백 방식으로 작동하는 H&K HK33에서도 같은 일이 일어난다.[23] 5.56×45mm NATO 탄 자체는 9인치당 1회전인 강선 규격에 최적화되었지만, 예광탄이 보통탄보다 길어서 예광탄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회전을 늘려야 했다. 5.56×45mm를 사용하는 총기 중 일부는 강선 규격이 9인치당 1회전인 경우가 있다.[24] NATO 회원국간 규격호환 문제는 총기를 포함해서 여러 분야나 장비에서 발생하고 있다. 프랑스만 유독 그런 것은 아니다. 이탈리아와 영국의 경우에도 자국군이 채용한 돌격소총이 NATO 표준탄약을 장전하고 발사했을 때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문제로 인해 NATO에서 직접 서면통보를 했다.[25] 대부분의 소총총열 위에 총검을 착검하게 되면 가늠자와 가늠쇠가 총검에 가려지기 때문이다. FAMAS의 경우에는 길쭉하고 높은 캐링핸들 위에 가늠자와 가늠쇠가 모두 몰려 있기에 상관없는 듯 싶지만 말이다.[26] 발로리제. 개선형이란 뜻.[27] 펠롱[28] M203은 방아쇠울만 있고 따로 손잡이가 없다. 일반적인 AR-15 스타일의 소총들은 자연스럽게 탄창이 그 역할을 하기 때문인데, FAMAS는 F1 모델 한정으로 탄창이 뒤쪽에 있으므로 권총손잡이를 감싸는 듯한 커다란 핸드가드 비스무리한 것을 달게 된다. 구글 등지에 FAMAS M203이라고 검색하면 사진이 몇 개 뜨는데, 꽤나 어색해보인다. 다만 G2 모델은 방아쇠울이 크게 확장되어 슈타이어 AUGTAR-21처럼 방아쇠울이 권총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 보통 불펍식에 언더배럴식으로 쓰기에는 별도의 권총손잡이가 있는 H&K M320 계열이 더 낫다. 아니면 Mk.13 EGLM을 부착하거나 GL-1, QLG-10A처럼 맞춤형으로 설계한 유탄발사기를 부착하는 방법도 있다.[29] 단, 출시 후에는 오프매장에서 전동 버전은 5만원대 초중반에 판매되고 있다. 온라인 샵 기준 가격으로는 4만원대 중후반이면 구매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