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15:08:57

N수생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시험을 오래 준비했는데도 합격하지 못한 사람(장수생)에 대한 내용은 고시 낭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fff,#1c1d1f><table bgcolor=#ffffff,#1c1d1f>
파일: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심볼.svg
}}}
재수 삼수 사수 오수 육수 칠수
반수 군수

1. 개요2. 용어의 쓰임3. 상세
3.1. N수의 원인3.2. 실패 원인과 조언
4. 관련 인물

N修生

1. 개요

자연수 'N'(Number)과 재수생의 합성어로 '(동일 시험에) N번 응시했다'라는 뜻으로 통용된다.

2. 용어의 쓰임

준비 기간을 제외하고, 보통 N≥3이면 N수생이라고 한다. 보통 연차로 따지는 경우가 많지만, 엄연히 언어적 풀이로 따지면 응시 횟수로 따지는 게 옳다. 즉, 고졸 후 군대 갔다 오고 취업해서 일하다 뒤늦게 수능을 본 20대 중후반의 수험생이라도 6수생, 7수생이라고 보는 것은 엄밀히 말하면 틀리다는 뜻. 가령, 한 해에 4번 있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한 해에 4번 보면 4번 치른 것이므로 4수생이 맞지만, 4년 치른 게 아니라 1년이 된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가장 많이 쓰이며, 공무원 시험(9급·7급 채용), 5급 채용 시험에서도 쓰인다. 전문직종 시험에서는 'N시생(N試生)'이라는 표현도 쓰인다.
위에서 말했듯이 단순히 ‘응시 횟수’가 기준일 경우에는 N수생, 응시 횟수와 상관없이 시험을 오래 준비했을 경우엔 장수생이라고 한다. 장수생에 대해서는 장수생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사실 구분이 모호하다. 시험을 오랫동안 준비하면 응시 횟수도 여러 번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N수생은 수능에 많이 사용하고 장수생은 고등고시에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3. 상세

3.1. N수의 원인


보통 재수생과 삼수생이 되는 원인은 '원하는 대학에 떨어져서'가 원인이지만,4수 이상부터는 다른 걸 떠나 투자한 시간이 아까워서라는 이유가 가장 크다. 수능 시험의 경우, 드물게 대학에 가서 1-2년을 다니고도 적성에 별로였을 때 재도전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N수부터는 취업에 대한 나이 제한이라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의치한약수, 교육대학, 사범대학 등 직업보장 학과[1]를 노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3.2. 실패 원인과 조언

의외로 N수생들의 학업 성취도는 대개 높은 편이다.[2] 오랜 기간 공부한 공부량과 문제풀이 노하우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실패의 원인은 오히려 자신의 평소 태도나 습관으로 인한 경우가 다반사다. 더불어 주변에서 주는 압박, 눈치, 비교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기도 하고 부모의 눈치로 인한 자금 문제(학원비), 나이 문제 등을 자꾸 신경써 슬럼프에 빠져버린다. 실로 슬럼프 때문에 1년을 그대로 말아먹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처럼 재수나 삼수 때는 대학 가서 놀고 있는 친구들을 부러워했다면, 4수부터는 불확실한 미래에 관한 걱정이 커져 슬럼프에 자주 빠지게 되는데, 이 슬럼프라는 게 한 번 빠지면 한 달, 길게는 몇 달 이상을 말아먹는다. 따라서 평상시 멘탈 관리를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다. 게다가 남학생의 경우에는 군대 기간까지 신경 써야 한다.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면 시간적 문제도 있지만 공부에 올인하지 못한다는 심리적 부담감이 커질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웬만한 의지력과 멘탈이 아니라면 아르바이트를 병행하지 않는 것이 좋다. 더 자세한 내용은 수험 생활 조언 문서를 참고.

4. 관련 인물


[1] 단, 미래 전망과 상황을 잘 살펴보고 판단해야 한다.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수의대는 졸업 후 국가고시를 통과하면 면허가 발급되므로 직업을 보장한다. 교육대학의 경우 저출산으로 인해 교사 자체를 덜 뽑게 되면서 교대 졸업 후 교사가 되는 비율이 계속 하락하고 있다. 사범대학의 경우 교육대학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다.[2] 애초에 학업 성취도가 낮으면 대개 학업에 대한 열의가 없다는거고 그렇기에 당연히 지옥같은 N수를 고려하지 않고 대부분 점수에 맞춰서 현역, 늦어도 재수 정도까지만 하고 대학을 간다.[3] 11년간 준비한 것은 맞지만, 그 중 시험을 치른 것은 3번이다. (06, 11, 12)[4] 상근 예비역[5] 케인은 현역이였던 2000년도에 수능을 보지 않았다. 서울대가 아니면 대학이 아니라고 생각했지만 6월 모의고사가 만족스럽지 않았고 완벽하기 전까지 수능을 보지 않겠다고 했다. 친형에게 엄청 맞았다고 한다. 자세한건 11수 연대기 참조[6] 광운대학교에 합격을 했으나 등록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