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09:23:28

S7 항공 778편 활주로 이탈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colcolor=#000000,#dcdcdc> 발생일 2006년 7월 9일
유형 조종사 과실, 활주로 이탈
발생 위치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이르쿠츠크 국제공항
기종 A310-324
운영사 S7 항공
기체 등록번호 F-OGYP
출발지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도모데도보 국제공항
도착지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이르쿠츠크 국제공항
탑승인원 승객: 195명
승무원: 8명
사망자 승객: 120명
승무원: 5명
부상자 승객: 60명[1]
승무원: 3명[2]
생존자 승객: 75명
승무원: 3명

1. 개요2. 사고 진행3. 사고 원인4. 유사 사고5. 둘러보기

[clearfix]
파일:679457.png
사고 8일 전, 도모데도보 국제공항에서 촬영된 사진.

1. 개요

이르쿠츠크에 착륙하던 S7항공 소속 A310이 조종사의 과실로 활주로를 이탈한 사고.

2. 사고 진행

도모데도보 국제공항을 이륙해 이르쿠츠크에 접근하며 울란바토르에 있던 사이클론의 영향권에 들어가 약한 비를 만나게 된다. 약한 비바람을 뚫고 활주로에 착륙한 778편은 스포일러가 작동했고 역추진이 작동했다. 그러나 778편은 가속되기 시작했고 기체가 활주로 우측으로 기우려 하자 조종사들은 러더를 움직여 겨우겨우 정렬을 맞추었다. 하지만 778편은 이미 활주로의 끝에 도달해 버렸고 결국 차고지를 덮치고 만다.
파일:s7778.jpg
화염에 휩싸인 778편
활주로를 빠르게 지나가는 778편을 보고 이상하다 생각한 소방차량들은 778편이 활주로를 이탈하기도 전에 따라가기 시작했고 이덕분에 빠르게 구조작업을 시작할 수 있었다.

3. 사고 원인

다수의 언론은 사고 원인을 브레이크 고장으로 보도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 사고기가 300ft에서 오토 파일럿과 스로틀을 끈 상태에서 착륙을 했는데 터치다운 직후, 역추진을 가동시켰다. 2번엔진은 정상적으로 역추진을 가동시켰으나 1번 엔진은 역추진이 가동되지 않았다. 그러나 기장은 이 사실을 모르고 2번 엔진의 역추진 레버와 1번 엔진의 출력 레버를 함께 밀었고 이로인해 기체가 우측으로 기울며 가속되었다.

4. 유사 사고

5. 둘러보기

역대 러시아의 대형 사고 및 참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ord-break: keep-all; min-width: 100px; min-height:2em"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5px 0"
발생일<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2024년 6월 23일
28 파일:icon_terror.png2024년 다게스탄 테러
2024년 3월 22일
145 파일:icon_terror.png2024년 모스크바 공연장 테러 사건
2023년 8월 14일
37 파일:icon_explosion.png마하치칼라 주유소 폭발 사고
2022년 12월 23일
22 파일:icon_fire.jpg케모로보 요양원 화재
2021년 11월 25일
52 파일:icon_structure.png러시아 리스트배쥬나야 탄광 매몰 사고
2021년 7월 6일
28 파일:icon_plane.jpg캄차카 반도 An-28 추락 사고
}}}}}}}}}
[ 201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2019년 5월 5일
41 파일:icon_plane.jpg아에로플로트 1492편 회항 사고
2018년 12월 31일
39 파일:icon_structure.png마그니토고르스트 아파트 붕괴 사고
2018년 3월 25일
64 파일:icon_fire.jpg케메로보 쇼핑몰 화재
2018년 2월 11일
71 파일:icon_plane.jpg사라토프 항공 703편 추락사고
2016년 3월 19일
62 파일:icon_plane.jpg플라이두바이 981편 추락 사고
2016년 2월 25일 ~ 29일
36 파일:icon_explosion.png세베르나야 광산 폭발 사고
2015년 10월 31일
224 파일:icon_terror.png코갈림아비아 항공 9268편 테러 사건 파일:black_circle.jpg
2015년 7월 23일
24 파일:icon_structure.png옴스크 막사 붕괴 사고
2015년 4월 2일
62 파일:icon_ship.png극동호 침몰사고
2014년 12월 1일
27 파일:icon_ship.png501오룡호 침몰사고
2014년 7월 15일
24 파일:icon_rail.png모스크바 지하철 탈선사고
2013년 12월 29일 ~ 30일
32 파일:icon_terror.png볼로그라드 폭탄테러
2013년 11월 17일
50 파일:icon_plane.jpg타타르스탄 항공 363편 추락 사고
2013년 9월 13일
37 파일:icon_fire.jpg옥소치 신경정신과 기숙학교 화재
2013년 7월 2일
24 파일:icon_plane.jpg폴라 항공 9949편 추락 사고
2013년 4월 26일
38 파일:icon_fire.jpg14번 정신병원 화재
2012년 4월 2일
33 파일:icon_plane.jpg유테이르 항공 120편 추락 사고
2011년 12월 18일
53 파일:icon_ship.png콜스카야호 전복 사고
2011년 9월 7일
44 파일:icon_plane.jpg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항공기 참사
2011년 7월 10일
122 파일:icon_ship.png불가리야호 침몰 사고
2011년 6월 20일
50 파일:icon_plane.jpg루스에어 9605편 추락 사고
2011년 1월 24일
37 파일:icon_terror.png도모데도보 국제공항 폭탄 테러
2010년 5월 8일 ~ 9일
91 파일:icon_explosion.png라스파다스카야 광산 폭발 사고
2010년 4월 10일
99 파일:icon_plane.jpg폴란드 공군 Tu-154 추락 사고
2010년 3월 29일
41 파일:icon_terror.png2010년 모스크바 지하철 폭탄 테러
[ 200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2009년 12월 5일
156 파일:icon_fire.jpg흐로마야 로사지 나이트클럽 화재
2009년 11월 7일
28 파일:icon_terror.png넵스키 열차 폭탄 테러
2009년 8월 17일
75 파일:icon_explosion.png사야노 슈센스카야 수력발전소 사고
2009년 7월 24일
21 파일:icon_car.png로스토프 버스 충돌 사고
2009년 3월 25일
25 파일:icon_car.png블라디미르 버스 충돌 사고
2008년 9월 14일
88 파일:icon_plane.jpg아에로플로트 821편 추락 사고
2007년 3월 20일
63 파일:icon_fire.jpg크라스노다르 요양원 화재
2007년 3월 19일
110 파일:icon_explosion.png울랴아노프스카야 광산 사고
2006년 12월 8일 ~ 9일
46 파일:icon_fire.jpg모스크바 마약 중독자 재활 센터 화재
2006년 8월 22일
170 파일:icon_plane.jpg풀코보 항공 612편 추락 사고
2006년 5월 3일
113 파일:icon_plane.jpg아르마비아 967편 추락 사고
2006년 2월 23일
68 파일:icon_structure.png바스마니 시장 붕괴 사고
2006년 1월 9일
125 파일:icon_plane.jpgS7 항공 778편 활주로 이탈 사고
2005년 7월 11일
25 파일:icon_fire.jpg패세지 쇼핑센터 화재
2005년 3월 16일
28 파일:icon_plane.jpg브랜디 An-24 추락 사고
2004년 9월 1일 ~ 3일
364 파일:icon_attack.png베슬란 학교 인질사건
2004년 8월 24일
90 파일:icon_terror.png2004년 러시아 여객기 연쇄 테러 사건
2004년 3월 16일
58 파일:icon_explosion.png아르헨겔스크 아파트 폭발 사고
2004년 2월 14일
28 파일:icon_structure.png트란스발 워터파크 붕괴사고
2004년 2월 6일
41 파일:icon_terror.png2004년 모스크바 지하철 폭탄 테러
2003년 12월 5일
46 파일:icon_terror.png스타로폴 열차 폭탄 테러
2003년 11월 24일
44 파일:icon_fire.jpg러시아 민족 우호 대학교 기숙사 화재
2003년 4월 10일
30 파일:icon_fire.jpg마하치칼리 청각장애인 기숙학교 화재
2003년 4월 7일
22 파일:icon_fire.jpg아쿠티아 고등학교 화재
2003년 8월 20일
20 파일:icon_plane.jpg캄차카 Mi-8 추락 사고
2002년 10월 23일 ~ 26일
171 파일:icon_attack.png모스크바 극장 인질극
2002년 5월 9일
44 파일:icon_terror.png2002년 카스피스크 폭탄 테러
2001년 11월 19일
27 파일:icon_plane.jpgIRS 에어로 iL-18 추락 사고
2001년 10월 4일
78 파일:icon_attack.png시베리아 항공 1812편 격추 사건 파일:black_circle.jpg
2001년 7월 4일
145 파일:icon_plane.jpg블라디보스토크 항공 352편 추락 사고
2000년 8월 12일
118 파일:icon_ship.png쿠르스크 함 침몰사건
}}}
[ 199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1999년 9월 13일
119 파일:icon_terror.png카시르스코예 아파트 폭탄 테러
1999년 9월 9일
94 파일:icon_terror.png구리야노바 아파트 폭탄 테러
1999년 9월 4일
64 파일:icon_terror.png부아낙스크 군인 아파트 폭탄 테러
1999년 3월 16일
20 파일:icon_plane.jpg1999년 소보레보 Mi-8T 추락 사고
1998년 6월 25일
23 파일:icon_structure.png유노스트로시 스포츠 경기장 발코니 붕괴 사고
1997년 12월 2일
67 파일:icon_explosion.png지리야노브스카야 광산 사고
1996년 12월 6일
72 파일:icon_plane.jpg이르쿠츠크 An-124 추락 사고
1997년 3월 18일
50 파일:icon_plane.jpg스타브로폴스카야 아크티시오너나야 항공 1023편 추락 사고
1996년 11월 16일
39 파일:icon_terror.png1996년 카스피스크 폭탄 테러
1996년 9월 26일
22 파일:icon_rail.png로스토프 건널목 사고
1995년 12월 7일
98 파일:icon_plane.jpg카바롭스크 유나이티드 그룹 3949편 추락 사고
1995년 6월 14일 ~ 19일
129 파일:icon_attack.png부됴놉스크 병원 인질극
1994년 9월 26일
28 파일:icon_plane.jpg바나바라 Yak-40 추락 사고
1994년 8월 7일
29 파일:icon_structure.png티틀랸스코예 저수지 방류 사고
1994년 8월 5일
47 파일:icon_plane.jpg러시아 공군 An-12 추락 사고
1994년 4월 23일
75 파일:icon_plane.jpg아에로플로트 593편 추락 사고
1994년 1월 3일
125 파일:icon_plane.jpg바이칼 항공 130편 추락 사고
1993년 8월 26일
24 파일:icon_plane.jpg사카-아비아 482편 추락 사고
1992년 12월 1일
25 파일:icon_explosion.pngL.D 셰브야코프 광산 폭발 사고
1992년 11월 11일
33 파일:icon_plane.jpg트레비 An-22 추락 사고
1992년 8월 27일
84 파일:icon_plane.jpg아에로플로트 2808편 추락 사고
1992년 3월 3일
43 파일:icon_rail.png포드소센카 열차 충돌 사고
||





[1] 38명 중상[2] 3명 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