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9 15:06:07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항공기 참사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Кастрофа Як-42 под Ярославлем (Рейс 9633 Як Сервис)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발생일 2011년 9월 7일
유형 조종사 과실
발생 위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러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투노슈나 국제공항 근처
탑승인원 승객: 37명
승무원: 8명
사망자 승객 37명 전원 사망
승무원: 7명
생존자 승무원: 1명
기종 Yak-42
항공사 야크 서비스(Yak Service)
기체 등록번호 RA-42434
출발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러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투노슈나 공항
도착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라루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라루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민스크 내셔널 공항

1. 개요2. 사고 진행3. 승객과 생존자4. 사고 원인5. 여파6. 둘러보기

파일:20110907-0-P-3.jpg
사고 15일 전, 리가 국제공항에서 촬영된 사고기.

1. 개요

2011년 9월 7일, 투노슈나 공항의 야크서비스 9633편인 Yak-42D(Як-42Д) 기체가 이륙 과정에서 오버런, 활주로 정면의 비컨 타워 마스트와 충돌 후 발생한 기내화재와 손상으로 2km 밖의 볼가 강 둔치에 추락한 사고이다. 충돌 시각은 모스크바 기준 오후 4시 5분.

2. 사고 진행

사고기의 블랙박스 기록
[ 펼치기 · 접기 ]
220(km/h)
부기장: 기체 안정성이 너무 낮습니다!
기장: 이륙해! 이륙!
기장: 기체 안정성
부기장: 정신 나갔습니까?! 지금 뭐하는 거에요!
기장: 출력!
부기장: 뭐하냐고요!
STALL ALARM
STALL ALARM
STALL ALARM
기장: 빌어먹을!
부기장: 안드류! 안드류!
기장: 이제 끝이야 죽었어!

이날 16시 4분경 Yak-42는 정상적인 기상 조건에서 이륙을 시작했다. 하지만 어떤 문제인지 활주로를 400m 오버런하면서 겨우 이륙했고, 충분한 상승고도를 확보하지 못하고 땅에서 고작 6미터 뜬채 16시 5분경 비컨 타워의 마스트와 충돌했다. 충격으로 기체는 왼쪽으로 기울면서 활주로와 나무에 부딪히며 미끄러졌고, 공항 근방의 투노슈나 강둑을 그대로 들이받은 후 추락했다. 추락의 충격으로 비행기는 화염에 휩싸이며 산산조각 났으며, 비교적 충격을 덜 받은 꼬리날개쪽 부분은 그나마 형태를 유지했지만 그대로 투노슈나 강에 추락했다.

3. 승객과 생존자

이 기체에는 러시아의 프로 아이스하키 클럽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의 1군 로스터 및 감독, 코치 거의 전원이 민스크에서 있을 원정 경기에 참석하기 위해 탑승해 있었으나 팀 전원과 스태프가 모두 사망했다.

추락 직후 탑승객 45명(승무원 8명, 승객 37명) 중 40명이 즉사했다. 뒷좌석에 앉아있던 승객 5명은 추락 직후에는 생존해 있었지만 비행기 잔해와 함께 그대로 강에 빠졌다. 공항 구역의 수역을 관리하는 경찰들이 폭발 소리를 듣고 급히 보트를 타고 추락현장에 도착했고, 강에서 빠져나오려 애쓰는 2명의 남자를 발견해 구출했다. 이 2명만이 사고 현장에서 구출되었고, 나머지 3명은 의식을 되찾지 못하고 그대로 익사했다.

생존자 중 한 명이였던 하키 선수 갈리모프는 사고 직후에는 의식이 있었지만 이미 전신의 90%에 화상을 입은 데다가 호흡기, 폐, 신장이 심각하게 손상된 상황이였고, 결국 5일 후 병원에서 숨을 거두었다.

나머지 생존자인 알렉산드르 시조프(53)는 엔지니어로 안전벨트를 하고 있지 않아 추락과 동시에 그대로 튕겨나가 강에 떨어졌다. 시조프의 상태는 갈리모프보다는 희망적이였지만 전신 15%에 화상을 입고 두개골, 갈비뼈, 양쪽 엉덩이가 골절되어 생명이 위독한 상태인 건 마찬가지였다. 다행히 일주일 후 시조프는 위독 상태에서 벗어났으며, 이후 10월 28일 퇴원해 다시 복직해 엔지니어로 계속 일했다. 시조프는 충격으로 사고가 일어난 순간은 기억하지 못했고 이륙 순간과 강에서 깨어난 순간만 기억에 남아있다고 한다.

이로써 총 45명의 탑승자 중 43명이 현장에서 사망하고 1명이 병원에서 사망해 승무원 한 명만 살아남은 항공 참사로 기록되었다.

4. 사고 원인

CVR이 복원되고 이후 연방 항공국은 최종 보고서에서 사고의 주원인을 항공사의 안전교육 부족으로 인한 조종실 승무원들의 Yak-42 숙련도 미숙으로 지목했다.# 승무원 전원은 숙련된 조종사였지만 Yak-42에 대해서는 익숙하지 않았으며 교육시간이 충분히 제공되지 않았던 것이다. 기장과 부기장은 Yak-40에 대한 훈련만 받았으며 Yak-42 훈련 증명서는 위조된 것이였다고 한다.[1] 최후의 순간까지 항공기의 모든 기능은 정상이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은 조종사 중 한 명이 페달에 발을 잘못 올려놓아 앞바퀴를 올리기도 전에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했던 것이라고 한다. 기장과 부기장 중 어느 쪽이 실수를 했는지는 결국 밝히지 못했으나, 이후 조사에서 부기장이 다발신경병증(polyneuropathy)을 앓고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는데, 이 병의 운동신경의 손상과 공간감각 능력 저하 때문에 원래라면 부기장은 비행이 금지되어야 했다. 또한 항경련제지만 조종사에게는 금지된 약물인 페노바르비탈을 몰래 복용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결국 부기장이 지병과 약물 때문에 페달에 발이 닿는 것을 느끼지 못해 실수를 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되었다.

또한 이들은 이륙 도중 이륙에 필요한 지정된 값들을 몰라 쓰러스터를 계속 틀리게 조작했다. 몇 개의 값은 아예 계산 자체가 되지 않았다고 한다.

5. 여파

로코모티프 선수단은 2011-2012시즌 첫 경기에 나서기 위해 비행기에 올랐으나 사고로 필드 구성원 전원이 사망에 이른다.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이 속한 리그인 KHL은 러시아와 동유럽 등 여러 나라의 사랑을 듬뿍 받는 다국적 거대리그였고, 이 팀에는 NHL에서 활약한 스타들이 즐비했던 팀[2]이라 그 파장은 유럽 전역으로 번졌고, 사무국에서는 애도를 표하기 위해 일주일간 리그를 중단하였다.

한 두명의 선수 및 코치로는 남은 시즌을 치를 수 없었으며, 구단 측에서는 임시 드래프트로 결원을 충원하는 대신 2군 멤버들로 1년간 하부 리그를 뛰기로 하였다. 이로써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은 2011-2012시즌을 단 한 경기도 참가하지 못했다.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관계자 중 2명은 운좋게 사고를 피해갈 수 있었다. 주자킨은 원래 부상을 입은 칼리아닌 대신 경기를 뛰기로 했었으나 사고 직전 칼리아닌이 부상을 완전히 회복하면서 사고기에 타지 않았다. 또 코치 중 한명인 발토넨은 청소년 팀의 훈련을 위해 잠깐 남아있어 달라는 부탁을 받았고 사고기에 타지 않았다.

6. 둘러보기

역대 러시아의 대형 사고 및 참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ord-break: keep-all; min-width: 100px; min-height:2em"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5px 0"
발생일<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2024년 6월 23일
28 파일:icon_terror.png2024년 다게스탄 테러
2024년 3월 22일
145 파일:icon_terror.png2024년 모스크바 공연장 테러 사건
2023년 8월 14일
37 파일:icon_explosion.png마하치칼라 주유소 폭발 사고
2022년 12월 23일
22 파일:icon_fire.jpg케모로보 요양원 화재
2021년 11월 25일
52 파일:icon_structure.png러시아 리스트배쥬나야 탄광 매몰 사고
2021년 7월 6일
28 파일:icon_plane.jpg캄차카 반도 An-28 추락 사고
}}}}}}}}}
[ 201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2019년 5월 5일
41 파일:icon_plane.jpg아에로플로트 1492편 회항 사고
2018년 12월 31일
39 파일:icon_structure.png마그니토고르스트 아파트 붕괴 사고
2018년 3월 25일
64 파일:icon_fire.jpg케메로보 쇼핑몰 화재
2018년 2월 11일
71 파일:icon_plane.jpg사라토프 항공 703편 추락사고
2016년 3월 19일
62 파일:icon_plane.jpg플라이두바이 981편 추락 사고
2016년 2월 25일 ~ 29일
36 파일:icon_explosion.png세베르나야 광산 폭발 사고
2015년 10월 31일
224 파일:icon_terror.png코갈림아비아 항공 9268편 테러 사건 파일:black_circle.jpg
2015년 7월 23일
24 파일:icon_structure.png옴스크 막사 붕괴 사고
2015년 4월 2일
62 파일:icon_ship.png극동호 침몰사고
2014년 12월 1일
27 파일:icon_ship.png501오룡호 침몰사고
2014년 7월 15일
24 파일:icon_rail.png모스크바 지하철 탈선사고
2013년 12월 29일 ~ 30일
32 파일:icon_terror.png볼로그라드 폭탄테러
2013년 11월 17일
50 파일:icon_plane.jpg타타르스탄 항공 363편 추락 사고
2013년 9월 13일
37 파일:icon_fire.jpg옥소치 신경정신과 기숙학교 화재
2013년 7월 2일
24 파일:icon_plane.jpg폴라 항공 9949편 추락 사고
2013년 4월 26일
38 파일:icon_fire.jpg14번 정신병원 화재
2012년 4월 2일
33 파일:icon_plane.jpg유테이르 항공 120편 추락 사고
2011년 12월 18일
53 파일:icon_ship.png콜스카야호 전복 사고
2011년 9월 7일
44 파일:icon_plane.jpg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항공기 참사
2011년 7월 10일
122 파일:icon_ship.png불가리야호 침몰 사고
2011년 6월 20일
50 파일:icon_plane.jpg루스에어 9605편 추락 사고
2011년 1월 24일
37 파일:icon_terror.png도모데도보 국제공항 폭탄 테러
2010년 5월 8일 ~ 9일
91 파일:icon_explosion.png라스파다스카야 광산 폭발 사고
2010년 4월 10일
99 파일:icon_plane.jpg폴란드 공군 Tu-154 추락 사고
2010년 3월 29일
41 파일:icon_terror.png2010년 모스크바 지하철 폭탄 테러
[ 200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2009년 12월 5일
156 파일:icon_fire.jpg흐로마야 로사지 나이트클럽 화재
2009년 11월 7일
28 파일:icon_terror.png넵스키 열차 폭탄 테러
2009년 8월 17일
75 파일:icon_explosion.png사야노 슈센스카야 수력발전소 사고
2009년 7월 24일
21 파일:icon_car.png로스토프 버스 충돌 사고
2009년 3월 25일
25 파일:icon_car.png블라디미르 버스 충돌 사고
2008년 9월 14일
88 파일:icon_plane.jpg아에로플로트 821편 추락 사고
2007년 3월 20일
63 파일:icon_fire.jpg크라스노다르 요양원 화재
2007년 3월 19일
110 파일:icon_explosion.png울랴아노프스카야 광산 사고
2006년 12월 8일 ~ 9일
46 파일:icon_fire.jpg모스크바 마약 중독자 재활 센터 화재
2006년 8월 22일
170 파일:icon_plane.jpg풀코보 항공 612편 추락 사고
2006년 5월 3일
113 파일:icon_plane.jpg아르마비아 967편 추락 사고
2006년 2월 23일
68 파일:icon_structure.png바스마니 시장 붕괴 사고
2006년 1월 9일
125 파일:icon_plane.jpgS7 항공 778편 활주로 이탈 사고
2005년 7월 11일
25 파일:icon_fire.jpg패세지 쇼핑센터 화재
2005년 3월 16일
28 파일:icon_plane.jpg브랜디 An-24 추락 사고
2004년 9월 1일 ~ 3일
364 파일:icon_attack.png베슬란 학교 인질사건
2004년 8월 24일
90 파일:icon_terror.png2004년 러시아 여객기 연쇄 테러 사건
2004년 3월 16일
58 파일:icon_explosion.png아르헨겔스크 아파트 폭발 사고
2004년 2월 14일
28 파일:icon_structure.png트란스발 워터파크 붕괴사고
2004년 2월 6일
41 파일:icon_terror.png2004년 모스크바 지하철 폭탄 테러
2003년 12월 5일
46 파일:icon_terror.png스타로폴 열차 폭탄 테러
2003년 11월 24일
44 파일:icon_fire.jpg러시아 민족 우호 대학교 기숙사 화재
2003년 4월 10일
30 파일:icon_fire.jpg마하치칼리 청각장애인 기숙학교 화재
2003년 4월 7일
22 파일:icon_fire.jpg아쿠티아 고등학교 화재
2003년 8월 20일
20 파일:icon_plane.jpg캄차카 Mi-8 추락 사고
2002년 10월 23일 ~ 26일
171 파일:icon_attack.png모스크바 극장 인질극
2002년 5월 9일
44 파일:icon_terror.png2002년 카스피스크 폭탄 테러
2001년 11월 19일
27 파일:icon_plane.jpgIRS 에어로 iL-18 추락 사고
2001년 10월 4일
78 파일:icon_attack.png시베리아 항공 1812편 격추 사건 파일:black_circle.jpg
2001년 7월 4일
145 파일:icon_plane.jpg블라디보스토크 항공 352편 추락 사고
2000년 8월 12일
118 파일:icon_ship.png쿠르스크 함 침몰사건
}}}
[ 199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1999년 9월 13일
119 파일:icon_terror.png카시르스코예 아파트 폭탄 테러
1999년 9월 9일
94 파일:icon_terror.png구리야노바 아파트 폭탄 테러
1999년 9월 4일
64 파일:icon_terror.png부아낙스크 군인 아파트 폭탄 테러
1999년 3월 16일
20 파일:icon_plane.jpg1999년 소보레보 Mi-8T 추락 사고
1998년 6월 25일
23 파일:icon_structure.png유노스트로시 스포츠 경기장 발코니 붕괴 사고
1997년 12월 2일
67 파일:icon_explosion.png지리야노브스카야 광산 사고
1996년 12월 6일
72 파일:icon_plane.jpg이르쿠츠크 An-124 추락 사고
1997년 3월 18일
50 파일:icon_plane.jpg스타브로폴스카야 아크티시오너나야 항공 1023편 추락 사고
1996년 11월 16일
39 파일:icon_terror.png1996년 카스피스크 폭탄 테러
1996년 9월 26일
22 파일:icon_rail.png로스토프 건널목 사고
1995년 12월 7일
98 파일:icon_plane.jpg카바롭스크 유나이티드 그룹 3949편 추락 사고
1995년 6월 14일 ~ 19일
129 파일:icon_attack.png부됴놉스크 병원 인질극
1994년 9월 26일
28 파일:icon_plane.jpg바나바라 항공기 참사
1994년 8월 7일
29 파일:icon_structure.png티틀랸스코예 저수지 방류 사고
1994년 8월 5일
47 파일:icon_plane.jpg러시아 공군 An-12 추락 사고
1994년 4월 23일
75 파일:icon_plane.jpg아에로플로트 593편 추락 사고
1994년 1월 3일
125 파일:icon_plane.jpg바이칼 항공 130편 추락 사고
1993년 8월 26일
24 파일:icon_plane.jpg사카-아비아 482편 추락 사고
1992년 12월 1일
25 파일:icon_explosion.pngL.D 셰브야코프 광산 폭발 사고
1992년 11월 11일
33 파일:icon_plane.jpg트레비 An-22 추락 사고
1992년 8월 27일
84 파일:icon_plane.jpg아에로플로트 2808편 추락 사고
1992년 3월 3일
43 파일:icon_rail.png포드소센카 열차 충돌 사고
||



[1] 원래 Yak-42 훈련 프로그램을 받고는 있었으나 어떤 이유에선지 무기한 중단되었다고 한다.[2] 대표적으로 세인트루이스 블루스에서 올스타에 4번 선발된 센터 파볼 데미트라(슬로바키아), 내슈빌 프레더터스의 수비수 카를리스 스크라스틴슈(라트비아), 오타와 세네터스의 수비수 카렐 라후네크(체코), 애너하임 덕스, 콜로라도 애벌랜치 등에서 뛴 수비수 루슬란 살레이(벨라루스), 캐롤라이나 허리케인스에서 활약한 센터 요세프 바시체크(체코) 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