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9 03:00:20

SG 디나모 드레스덴


파일:2. 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2025-26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파일:SC 프로이센 뮌스터 로고.svg
파일:VfL 보훔 로고.svg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
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font-size: 0.8em;"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font-size: 0.8em;"
파일:SV 07 엘버스베르크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font-size: 0.8em"
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svg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
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파일:헤르타 BSC 로고.svg
파일: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파일:3. 리가 워드마크.svg
}}}}}}}}} ||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Sportgemeinschaft Dynamo Dresden e. V.
<rowcolor=#fdc300> 프로 (I) · 리저브 (II / U23) · 나흐북스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
SG 디나모 드레스덴
'''
SG Dynamo Dresden
<colbgcolor=#fdc300,#fdc300><colcolor=#000,#000> 정식 명칭 Sportgemeinschaft Dynamo Dresden e. V.[1]
별칭 Dynamo (디나모), SGD
창단 1953년 4월 12일 ([age(1953-04-12)]주년)[2]
소속 리그 3. 리가 (3. Liga)
연고지 작센드레스덴 (Dresden)
홈구장 루돌프 하르비히 슈타디온 (Rudolf-Harbig-Stadion)
(32,085명 수용)
라이벌 1. FC 마그데부르크 - 엘프 클라시코 (Elb-Clásico)[3]
드레스드너 SC - 드레스덴 더비
슬로건 Im Herzen vereint[4], Tradition verpflichtet[5]
회장 파일:독일 국기.svg 홀거 숄체 (Holger Scholze)
부회장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뷔르거 (Michael Bürger)
이사장 파일:독일 국기.svg 옌스 하이니히 (Jens Heinig)
단장 파일:독일 국기.svg 랄프 베커 (Ralf Becker)
감독 파일:독일 국기.svg 토마스 슈탐 (Thomas Stamm)
수석 코치 파일:독일 국기.svg 하이코 숄츠 (Heiko Scholz)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페리둔 잔디 (Ferydoon Zandi)
주장 파일:독일 국기.svg 슈테판 쿠치케 (Stefan Kutschke)
역대 한국인 선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종민 (2021~202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규현 (2022~2024)
공식 웹사이트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지난 시즌 성적
(2024-25 시즌)
2. 분데스리가 2위
우승 기록
3. 리가
(3부)

(2회)
2015-16, 2020-21
오버리가
노르트오스트
쥐트

(5부)

(3회)
2001-02

DDR 오버리가
(1부)

(8회)
1952-53, 1970-71, 1972-73, 1975-76, 1976-77, 1977-78, 1988-89, 1989-90
FDGB-포칼
(7회 / 최다우승)
1951-52, 1970-71, 1976-77, 1981-82, 1983-84, 1984-85, 1989-90
도이칠란트-포칼[6]
(1회 / 최다 우승)
1990
클럽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파일:세네갈 국기.svg 무사 코네 (Moussa Koné)
(2018년, From FC 취리히, 216만 €)
최고 이적료 방출 파일:세네갈 국기.svg 무사 코네 (Moussa Koné)
(2020년, To 님 올랭피크, 350만 €)
최다 출장 파일:독일 국기.svg 토르스텐 귀초 (Torsten Gütschow) - 372경기 (1980-1992 / 1996-1999)
최다 득점 파일:독일 국기.svg 토르스텐 귀초 (Torsten Gütschow) - 169골 (1980-1992 / 1996-1999)
2022-23 시즌 골송
1. 개요2. 역사3. 팬 문화
3.1. 울트라스3.2. 라이벌리3.3. 응원가
3.3.1. Der 12. Mann
4. 스쿼드
4.1. 1군4.2. 유겐트
5. 여담6. 과거 주요 선수7. 역대 유럽대항전 성적8. 같이 보기

1. 개요

파일:Dyamo-Fans_News.jpg
파일:media.media.3db092ce-98a8-4309-91a0-55c9ac081a1d.original1024.jpg
Forza Dynamo
SG 디나모 드레스덴(Sportgemeinschaft Dynamo Dresden e. V.)은 독일 작센주 드레스덴을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2025/26 시즌 현재 2. 분데스리가 소속으로 있다. 홈 경기장은 1923년 완공 후 여러 번의 보수를 거친 유서 깊은 경기장인 루돌프 하르비히 슈타디온.

디나모 드레스덴의 기원은 1873년 드레스덴 잉글리시 풋볼 클럽(Dresden English Football Club. 이하 DEFC)의 창립 이후 25년째 되던 1898년 창설한 舊 드레스드너 SC으로 하지만 기존 드레스드너 SC의 기록은 승계하지 않으며 드레스드너 SC의 해산 이후인 1953년 재창단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SG 디나모 드레스덴의 역사 또는 드레스덴 SC 참고.

작센주의 위치에서 알 수 있듯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창단 이후 동독에서 경기를 하였으며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동독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이고 인기 있는 클럽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고 주로 동독의 최상위 리그인 DDR 오버리가 소속으로 있었다.
그러나 공산주의 국가 특유의 비정상적인 시스템으로 선수단의 유출과 강제 해산이 발생하며 여러 번의 위기를 겪으며 클럽을 존속시켜왔으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또한 1960년대 말부터 동독 DDR-리가 상위권 성적을 바탕으로 유럽대항전에 진출하였으며 유러피언 컵(현재 UEFA 챔피언스 리그)과 UEFA 컵(현재 UEFA 유로파 리그) 및 UEFA 컵위너스컵에 자주 진출하기도 하였다.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1990년 10월 3일의 독일 재통일 이후 통일 독일의 최상위 리그로 올라선 분데스리가로 편입되는 첫 번째 DDR-오버리가 소속 클럽이었으나 이후 분데스리가 강등과 승격을 거듭하였으며 1990년대 말부터 지금까지 이어지는 완만한 하향세에 있다. 이후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레기오날리가와 3. 리가 및 2. 분데스리가에서 경기를 하였다.

SG 디나모 드레스덴은 1920년대 드레스드너 SC 소속으로 클럽의 레전드로 기억되는 헬무트 쇤의 활약으로 첫 번째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며 이후 동독 DDR-오버리가 시절 여러 명의 레전드를 탄생시켰다.

헬무트 쇤 이후 유명한 선수로는 100회나 동독 국가대표로 활약한 한스-위르겐 되르너 한스-위르겐 되르너 위키피디아 참고, 1969/70 시즌 부임하여 1970년대 팀의 전성기를 이끈 발터 프리츠 발터 프리츠 위키피디아 참고 감독, SG 디나모 드레스덴에서 활약 후 독일 재통일 과정에서 VfB 슈투트가르트로 이적한 마티아스 자머, 1989/90 시즌 클럽의 DDR-오버리가 마지막 우승과 FDGB-포칼 우승에 기여하였으며 이후 바이어 04 레버쿠젠으로 이적 후 분데스리가에서 여러 차례 득점왕을 차지한 울프 키르스텐 등이 있다.

여담으로 디나모(Dynamo 또는 Dinamo)는 영어 단어 다이내믹(Dynamic)과 같은 뜻으로 역동적인, 힘 등의 의미가 있으며 비슷한 네이밍을 가진 구단은 FC 디나모 모스크바(러시아), FC 디나모 키예프(우크라이나), BFC 디나모(독일), 휴스턴 다이너모 FC(미국), FC 디나모 트빌리시(조지아) 등이 있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G 디나모 드레스덴/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G 디나모 드레스덴/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G 디나모 드레스덴/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팬 문화

3.1. 울트라스

<nopad> 파일:sg_dynamo_dresden_vs_kieler_sv_holstein_20160409_1987143106.jpg
파일:0b192f12-da0b-4715-80bc-2df8662d1d30.jpg
파일:be4224425b37594f77d734f8c9860c26.jpg
루돌프 하르비히 슈타디온의 K블록 테라스[7]
2019년 10월 31일 베를린의 올림피아슈타디온에서 열린 DFB-포칼 2라운드 vs 헤르타 BSC전 응원[8]
디나모 드레스덴의 팬들은 울트라스 뒤나모 라고 불리는데 과거 동독 최고의 팀이던 시절부터 몰락한 현재까지 1만 5천여명~ 3만여명의 팬들이 경기를 보러 올 정도로 팬들의 열성이 대단하다. 특히 경기장의 K-Block 이라고 불리는 입석 스탠드가 있는데, 열성적인 팬들 사이에서도 가장 열성적인 울트라스들이 모이는 곳이다. 궁금하다면 유튜브에 Dynamo dresden을 검색해보자!

그렇다고 다른 스탠드의 팬들이 응원이 덜한 것도 아닌게, 2부 리그 시절에도 항상 평균 관중 수가 2만 8000명을 넘겨 대부분의 팀들보다 높았으며 거의 모든 스탠드에서 열성적인 응원이 이어진다.

이를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2015년 10월 31일 3. 리가 1. FC 마그데부르크전 등장한 원정석을 제외한 경기장의 모든 부분을 덮어버리는 플래그였다. 아래의 영상 참고. 참고로 플래그의 크기는 350m × 35m로 유럽에서 가장 큰 플래그였다.
2015년 10월 31일 루돌프 하르비히 슈타디온에서의 플래그 퍼포먼스
디나모 드레스덴은 총 회원수 2024년 1월 기준 27,365명으로 독일 내 모든 스포츠 클럽을 통틀어 23번째로 많은 수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그만큼 울트라스의 악명이 높은 팀이기도 하며 울트라스가 스킨헤드, 네오 나치와 연관된 사건을 일으켜 논란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 방면으로 사고친 횟수는 독일 제일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

이러한 디나모 드레스덴의 울트라스는 지역 라이벌인 벼락부자이자 여러 분데스리가 팬들의 공공의 적인 RB 라이프치히와의 경기에서 경기장에 소 머리를 던지거나 폭동을 일으켜 DFB-포칼의 출전정지를 당하거나 독일 축구 협회로부터 징계를 받아 강제 무관중 경기 또는 앞서 언급한 K 블럭 무관중 경기를 갖는 경우가 많다.

이렇듯 구단 입장에서도 무관중 경기는 클럽의 수입 금액이 줄어드는 결과로 이어지니 반길 수 만은 없는 노릇이기에 구단의 공식적인 입장은 어떤 형태의 차별이나 폭력에도 반대하고 있으며 서포터 단속에도 나서고 있지만 구단 자체의 정치적 성향을 의심하는 사람들도 많고, 이런저런 사고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연고지인 드레스덴 자체가 PEGIDAAfD의 본거지에 극우파의 세가 강한 곳이고 여기에 구단 자체의 역사적 피해 의식이 더해져 이런 결과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

윗글과 아래 라이벌 문단만 봐도 알겠지만 팬들이 굉장히 급진적이고 울트라스들의 응원이 심한 팀이지만 같은 구 동독 지역의 츠비카우를 연고로 하는 FSV 츠비카우 울트라스와는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3.2. 라이벌리

3.2.1. vs BFC 디나모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파일:BFC 디나모 베를린 로고.svg
SG 디나모 드레스덴
SG Dynamo Dresden
BFC 디나모
Berliner FC Dynamo

3.2.2. vs 1. FC 마그데부르크 (엘프 클라시코)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SG 디나모 드레스덴
SG Dynamo Dresden
1. FC 마그데부르크
1. FC Magdeburg

3.2.3. 다른 라이벌리

파일:1. FC 로코모티프 라이프치히 로고.svg 파일:켐니츠 FC 로고.svg 파일:FC 작센 라이프치히 로고.svg 파일: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엠블럼.svg
1. FC 로코모티베 라이프치히
1. FC Lokomotive Leipzig
켐니처 FC
Chemnitzer FC
LFV 작센 라이프치히
LFV Sachsen Leipzig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FC Erzgebirge Aue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파일:Dresdner.png
SG 디나모 드레스덴
SG Dynamo Dresden
드레스드너 SC
Dresdner SC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파일:RB 라이프치히 로고.svg
SG 디나모 드레스덴
SG Dynamo Dresden
RB 라이프치히
RasenBallsport Leipzig e.V.

3.3. 응원가

3.3.1. Der 12. Mann

<nopad>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Der 12. Mann

홈경기 킥오프 전 경기장에 울려퍼지는 응원가다.
Ob um Punkte oder im Pokal
wir Fans sind da in großer Zahl.
Wir verpassen nie ein Spiel
Fußball wird uns nie zuviel.
Schon vor dem Stadiontor
singt unser Riesenchor:

DYNAAAAMO DYNAAA-AAAMO,
wir stehn zu unserer Mannschaft, ist doch klar!
Wir sind der 12. Mann, auf uns kommts heute an
und alle singen mit und schrein
so drücken wir den Ball hinein!

Wenns bei Schwarz-Gelb auch einmal nicht so rollt
wir Fans, wir sind euch treu wie Gold!
Ihr werdet sehen, dass keiner fehlt
weil wieder jede Stimme zählt.
Schon vor dem ersten Tor
singt unser Riesenchor:

DYNAAAAMO DYNAAA-AAAMO,
wir stehn zu unserer Mannschaft, ist doch klar!
Wir sind der 12. Mann, auf uns kommts heute an
und alle singen mit und schrein
so drücken wir den Ball hinein!

리포터:
"Ja, liebe Zuhörer, wir befinden uns genau am Ende
eines dramatischen Spiels, so eben wurde der Ball
von der Mittelline in den gegnerischen Strafraum geflankt
und dort steht eine Mauer, eine Mauer von Verteidigern
die unsere Stürmer nicht vorbei lassen, sie drängen,
sie schieben, sie nehmen alle Karftreserven zusammen
um den Ball ins Tor hinein zu bringen
aber es gelingt ihnen nicht.
Hier müssen die Fans auf den Rängen mithelfen":

Wir sind der 12. Mann, auf uns kommts heute an
und alle singen mit und schrein
so drücken wir den Ball hinein!
Wir sind der 12. Mann, auf uns kommts heute an
und alle singen mit und schreien
so drücken wir den Ball hinein!

4. 스쿼드

4.1. 1군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SG 디나모 드레스덴 1군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SG 디나모 드레스덴 2025-26 시즌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colcolor=#000,#fdc300> 1 파일:독일 국기.svg GK 팀 슈라이버 Tim Schreiber
2 파일:독일 국기.svg DF 콘라트 파버 Konrad Faber [a]
4 파일:독일 국기.svg DF 데니스 두아 Dennis Duah
5 파일:독일 국기.svg MF 빈코 샤피나 Vinko Sapina
6 파일:독일 국기.svg MF 코피 아모아코 Kofi Amoako
8 파일:독일 국기.svg MF 루카 헤어만 Luca Herrmann
10 파일:독일 국기.svg FW 야코프 레머 Jakob Lemmer
11 파일:독일 국기.svg FW 도미니크 코터 Dominik Kother
15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DF 클라우디오 카머크네히트 Claudio Kammerknecht
16 파일:독일 국기.svg MF 닐스 프뢸링 Nils Fröling
17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DF 알리야즈 사자르 Aljaz Casar
19 파일:독일 국기.svg DF 알렉산더 로시팔 Alexander Rossipal
21 파일:독일 국기.svg FW 로빈 마이스너 Robin Meißner
22 파일:독일 국기.svg GK 레나르트 그릴 Lennart Grill
23 파일:독일 국기.svg DF 라르스 뷔닝 Lars Bünning
24 파일:독일 국기.svg DF 토니 멘첼 Tony Menzel
25 파일:독일 국기.svg MF 요나스 외미헨 Jonas Oehmichen
26 파일:독일 국기.svg DF 얀헨드리크 마르크스 Jan-Hendrik Marx
27 파일:독일 국기.svg MF 니클라스 하우프트만 Niklas Hauptmann
28 파일:독일 국기.svg DF 자샤 리슈 Sascha Risch
29 파일:독일 국기.svg DF 루카스 뵈더 Lukas Boeder
30 파일:독일 국기.svg FW 슈테판 쿠치케 Stefan Kutschke
33 파일:독일 국기.svg FW 크리스토프 다페르너 Christoph Daferner
34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W 드미트로 보그다노우 Dmytro Bogdanov
37 파일:독일 국기.svg GK 다니엘 메젠횔러 Daniel Mesenhöler
38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FW 야코프 치클러 Jakob Zickler
39 파일:독일 국기.svg DF 다비트 쿠바타 David Kubatta
구단 정보
회장: 홀거 숄체 / 감독: 토마스 슈탐 / 홈 구장: 루돌프 하르비히 슈타디온
출처: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8월 9일

[a] FC 장크트갈렌에서 임대

}}}}}}}}} ||

4.2. 유겐트

5. 여담

6. 과거 주요 선수

7. 역대 유럽대항전 성적

SG 디나모 드레스덴의 유럽대항전 결과
시즌 대회 진출 경과 상대 클럽 소속 국가 상대 클럽 경기 결과
1967/68 시즌 인터-시티 페어스컵 1R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레인저스 FC 1-1(H), 1-2(A)
1970/71 시즌 인터-시티 페어스컵 1R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FK 파르티잔 0-0(A), 6-0(H)
2R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즈 유나이티드 0-1(A), 2-1(H)
1971/72 시즌 유러피언컵 1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FC 아약스[10] 0-2(A), 0-0(H)
1972/73 시즌 UEFA 컵 1R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VÖEST 린츠 2-0(H), 2-2(A)
2R 파일:폴란드 국기.svg 루흐 호주프 1-0(A), 3-0(H)
16강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C 포르투 2-1(A), 1-0(H)
8강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11] 0-2(A), 0-1(H)
1973/74 시즌 유러피언컵 1R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2-0(H), 2-3(A)
16강 파일:독일 정부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3-4(A), 3-3(H)
1974/75 시즌 UEFA 컵 1R 파일:덴마크 국기.svg 라네르스 프레야 1-1(A), 0-0(H)
2R 파일:소련 국기.svg FC 디나모 모스크바 1-0(H), 0-1(A)
(승부차기 4-3)
16강 파일:독일 정부기.svg 함부르크 SV 1-4(A), 2-2(H)
1975/76 시즌 UEFA 컵 1R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타르구 무네쉬 2-2(A), 4-1(H)
2R 파일:헝가리 국기.svg 부다페스트 혼베드 FC 2-2(A), 3-0(H)
16강 파일:소련 국기.svg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3-0(H), 1-3(A)
8강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12] 0-0(H), 1-2(A)
1976/77 시즌 유러피언컵 1R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SL 벤피카 2-0(H), 0-0(A)
16강 파일:헝가리 국기.svg 페렌츠바로시 TC 0-1(A), 4-0(H)
8강 파일:스위스 국기.svg FC 취리히 1-2(A), 3-2(H)
1977/78 시즌 유러피언컵 1R 파일:스웨덴 국기.svg 할름스타드 BK 2-0(H), 1-2(A)
16강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13] 1-5(A), 2-1(H)
1978/79 시즌 유러피언컵 1R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FK 파르티잔 0-2(A), 2-0(H)
(승부차기 5-4)
16강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보헤미안 FC 0-0(A), 6-0(H)
8강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FK 아우스트리아 빈 1-3(A), 1-0(H)
1979/80 시즌 UEFA 컵 1R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1(H), 3-0(A)
2R 파일:독일 정부기.svg VfB 슈투트가르트 1-1(H), 0-0(A)
1980/81 시즌 UEFA 컵 1R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나프레다크 크루셰바츠 1-0(H), 1-0(A)
2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FC 트벤터 1-1(A), 0-0(H)
16강 파일:벨기에 국기.svg 스탕다르 리에주 1-1(A), 1-4(H)
1981/82 시즌 UEFA 컵 1R 파일:소련 국기.svg Z 상트페테르부르크 2-1(A), 4-1(H)
2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1-2(A), 1-1(H)
1982/83 시즌 UEFA 컵위너스컵 1R 파일:덴마크 국기.svg B93 쾨벤하운 3-2(H), 1-2(A)
1984/85 시즌 UEFA 컵위너스컵 1R 파일:스웨덴 국기.svg 말뫼 FF 0-2(A), 4-1(H)
16강 파일:프랑스 국기.svg FC 메스 3-1(H), 0-0(A)
8강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SK 라피트 빈 3-0(H), 0-5(A)
1985/86 시즌 UEFA 컵위너스컵 1R 파일:벨기에 국기.svg 세르클러 브뤼허 KSV 2-3(A), 2-1(H)
16강 파일:핀란드 국기.svg HJK 헬싱키 0-1(A), 7-2(H)
8강 파일:독일 정부기.svg 바이어 우어딩엔 2-0(H), 3-7(A)
1987/88 시즌 UEFA 컵 1R 파일:소련 국기.svg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0-3(A), 1-0(H)
1988/89 시즌 UEFA 컵 1R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애버딘 0-0(A), 2-0(H)
2R 파일:벨기에 국기.svg KSV 바레험 4-1(H), 1-2(A)
16강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S 로마 2-0(H), 2-0(A)
8강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빅토리아 부쿠레슈티 1-1(A), 4-0(H)
준결승 파일:독일 정부기.svg VfB 슈투트가르트 0-1(A), 1-1(H)
1989/90 시즌 유러피언컵 1R 파일:그리스 국기.svg AEK 아테네 FC 1-0(H), 3-5(A)
1990/91 시즌 유러피언컵 1R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라싱 위니옹 룩셈부르크 3-1(A), 3-0(H)
16강 파일:스웨덴 국기.svg 말뫼 FF 1-1(H), 1-1(A)
(승부차기 5-4)
8강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츠르베나 즈베즈다[14] 0-3(A), 0-3(H)[15]

8. 같이 보기

파일:동독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1990-91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파일:1. FC 로코모티프 라이프치히 로고.svg
파일:FC 로트바이스 에어푸르트 로고.svg
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파일:fcberlin.png
파일:FC Stahl Brandenburg.png
파일:프랑크푸르터 FC 빅토리아 로고.svg
파일:454px-Eisenhüttenstadt_BSG_Stahl.svg.png
파일:FC 에네르기 코트부스 로고.svg
파일:FC 작센 라이프치히 로고.svg
파일:켐니츠 FC 로고.svg
파일:FC 카를 차이스 예나 로고.svg
파일:FC 한자 로스토크 로고.svg
파일:Chemie Halle.png
}}}}}}}}} ||

[1] 뒤에 붙는 e.V.는 eingetragener Verein을 줄인 말로, "등록 클럽"이란 뜻이다.[2] #[3] 마그데부르크와 드레스덴이 엘베강을 끼고 있기 때문에 엘베 + 엘 클라시코한 이름이다.[4] 해석하면 United in the heart.[5] 해석하면 Committed to tradition(전통에 전념하자) .[6] 1990년 독일 통일 기념으로 1회만 실시한 대회이며 결승전에서 FC 바이에른 뮌헨에 승리하며 우승하였다.[7] RB 라이프치히를 비난하는 내용이 많다. 이는 클럽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부분이며 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내용을 참고하거나 RB 라이프치히의 역사 및 SG 디나모 드레스덴의 역사 참고.[8] DFB-포칼은 주로 독일 현지 시각 수요일이나 목요일에 펼쳐지며 해당 경기는 현지 시각 목요일에 열렸다. 평일 원정 경기에서 드레스덴에서 베를린까지 응원온 것. 참고로 베를린과 드레스덴의 거리는 약 160km 정도 떨어져있다.[9] 경기는 2:2의 동점으로 끝났으며 승부차기까지 진행된 접전이었다. 결국 디나모 드레스덴이 승부차기 끝에 승리하고 2라운드 진출하였다.[10] 해당시즌 우승팀이었다.[11] 해당시즌 우승팀이었다.[12] 해당시즌 우승팀이었다.[13] 해당시즌 우승팀이었다.[14] 해당시즌 우승팀이다.[15] 관중 난동으로 몰수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