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T1(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 계열사 | |
<colbgcolor=#f47725> 지주회사 | SK주식회사 | SK주식회사 C&C | |
에너지 · 화학 | 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 E&S (코원에너지서비스 | 부산도시가스 | 충청에너지서비스 | 영남에너지서비스 | 전남도시가스 | 전북에너지서비스 | 강원도시가스 | 부산정관에너지 | 나래에너지서비스 | 파주에너지서비스 | 여주에너지서비스 | 보령LNG터미널주식회사) | SK에너지 | SK지오센트릭 | SK온 (SK온 트레이딩인터내셔널) | SK엔무브 | SK인천석유화학 | SK아이이테크놀로지 | SK어스온) | SKC (SK넥실리스 | SK엔펄스 | SK피아이씨글로벌 | 앱솔릭스) | 대한송유관공사 | SK주식회사 머티리얼즈 (SK스페셜티 | SK레조낙 | SK트리켐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SK머티리얼즈제이엔씨 | SK머티리얼즈그룹14) | SK바이오팜 | SK디스커버리 (SK케미칼 | SK가스 | SK디앤디 | SK플라즈마 | SK바이오사이언스 | SK이터닉스) | SK시그넷 | |
정보통신 · 반도체 · 전자 | SK텔레콤 (SK커뮤니케이션즈 | SK브로드밴드 (홈앤서비스) | 미디어에스 | SK텔링크 | SK스토아 | 원스토어) | SK스퀘어 (SK플래닛 | 드림어스컴퍼니 (FLO) | 11번가 | 티맵모빌리티) | SK하이닉스 (SK키파운드리) | SK실트론 | SK TNS | 에센코어 | |
마케팅 · 서비스 | SK네트웍스 (그랜드 워커힐 서울 | 비스타 워커힐 서울 | 더글라스 하우스 | 다락휴 | SK네트웍스 서비스 | SK매직 | SK스피드메이트 | SK일렉링크 | 민팃 | 엔코아 | 하이코캐피탈 | SK트레이딩 (예정)) | SK에코플랜트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 | SK에코엔지니어링 | SK오션플랜트 | SK리츠 | |
교통 | 서울공항리무진 | |
재단 | 행복나눔재단 | 한국고등교육재단 | SK미소금융재단 | |
스포츠단 | ||
제주 유나이티드 FC | 서울 SK 나이츠 | T1 | SK 호크스 | SK 슈가글라이더즈 | SK렌터카 다이렉트 |
T1 관련 틀 | ||||||||||||||||||||||||||||||||||||||
|
<colbgcolor=#e2012d><colcolor=white> 티원 | |
T1 | |
기업명 | 정식: ㈜에스케이텔레콤씨에스티원[1] |
영문: SK telecom CS T1 Co., Ltd. |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다국적 기업) |
창단일 | 2004년 4월 13일[2] ([age(2004-04-12)]주년) |
모기업 | SK스퀘어 |
대표이사 | 조 마쉬 (Joe Marsh) |
이사회 | |
임원진 | |
종목 | 리그 오브 레전드 |
발로란트 | |
배틀그라운드 | |
철권 8 | |
전략적 팀 전투 | |
웹사이트 | [9][10] [🍚] [12] |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627 (T1 HQ) |
<nopad> |
[clearfix]
1. 개요
T1(에스케이텔레콤씨에스티원 주식회사)은 대한민국 기업 SK텔레콤과 미국 기업 컴캐스트의 합작 회사로 설립된 다국적 e스포츠 기업이다.2. 역사
<colcolor=#000><colbgcolor=#FFF8F8> 2003년 1월 | <colbgcolor=#fff,#191919>임요환과 주훈을 중심으로 스타크래프트 프로 팀을 창설.[13] 동양제과의 네이밍 스폰을 받아 동양 오리온으로 활동하다가, 스폰이 끝난 이후에는 4U[14]로 활동. |
2004년 3월 | SK텔레콤이 스타크래프트 프로 팀 4U를 인수하여, 프로게임단 SK telecom T1을 창단. T1은 Team 1st , The One 또는 Together as 1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음.[15][16][17] |
2012년 12월 |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 팀 SK텔레콤 T1 S와 SK텔레콤 T1 K를 창설. |
2016년 10월 |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가 폐지됨에 따라 게임단의 모체인 스타크래프트 팀이 해체됨. |
2019년 7월 | SK텔레콤과 컴캐스트가 합작하여 e스포츠 전문 기업 SK telecom CS T1을 설립. # ## 최대주주는 지분율 54.95%의 SK텔레콤, 2대 주주는 지분율 34.1%의 컴캐스트 스펙타코어. |
컴캐스트 스펙타코어에서 최고재무책임자를 역임한 조세프 패트릭 마쉬가 SK telecom CS T1의 대표이사로 발탁됨. | |
게임단이 SK텔레콤 산하에서 합작회사 SK telecom CS T1 산하로 편입됨. 이에 게임단명이 SK telecom T1에서 모기업명이 빠지며 T1으로 간소화됨. | |
2021년 11월 | SK텔레콤이 인적분할하여 SK스퀘어가 출범함에 따라, 기존 최대주주 SK텔레콤의 SK telecom CS T1 지분 54.95%를 SK스퀘어로 이전하여 최대주주가 변경됨. |
3. 위상
당장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 e스포츠의 최고 전설들로 불리는 임요환, 최연성, 김택용, 페이커가 모두 T1 출신이다. 게다가 e스포츠에 관심이 없어도 T1만큼은 안다는 사람이 상당수 있다는 점에서, e스포츠계의 뉴욕 양키스, 레알 마드리드[18]라는 표현이 어색하지 않으며, 가히 e스포츠의 제국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
대한민국에서 시대를 상징했던 양대 종목이라 불리는 스타크래프트와 리그 오브 레전드를 석권한 덕분에 한국을 넘어 세계 최고의 명문 e스포츠 팀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그리고 과거 팀리그 2회 우승, 위너스 리그 1회 우승, 경남-STX컵 마스터즈 3회 우승도 기록하였다. 또한 1년 동안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LCK,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을 모두 석권한 유일한 팀이기도 하다.[19] 실제로 2024년 1월 기준 T1의 누적 상금은 세계 15위로 한국 팀으로서는 유일하게 20위권 내에 랭크되어 있다.
특히나 SK텔레콤이 가진 스포츠 팀 브랜드 중에서 글로벌 인지도가 가장 높은데, 오경식 단장의 인터뷰 기사에 따르면 "우리 그룹 수영팀이 프랑스나 터키 시골로 전지훈련을 가곤 한다. 그런데 수영 선수들 유니폼에도 SKT 로고가 새겨져 있지 않나. 선수에게 현지인들이 ‘너 SKT T1 소속이냐, 사인 부탁한다’라고 할 정도다. 유럽 시골에서도 SK텔레콤은 모르는데 SKT T1은 안다는 것이다."라고 언급할 정도.
4. 경영
4.1. 지배 구조
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colbgcolor=#FFF8F8,#000> SK스퀘어 | 55.37% | [20] |
컴캐스트 | 34.33% | [21] |
US Gaming, LLC | 9.75% | [22] |
브라이언 터커 로버츠[23] | 0.55% | [24] |
2023. 11. 23. 기준 |
4.2. 이사회
이사명 | 직위 | 겸직 |
<colbgcolor=#FFF8F8,#000> 조세프 패트릭 마쉬[CS] | 대표이사 | - |
사내이사 | ||
이재신[SK] | 사내이사 | 現 SK텔레콤 AI성장전략담당 임원 |
다니엘 조세프 힐퍼티[CS] | 기타비상무이사 | 現 컴캐스트 스펙타코어 의장 겸 최고경영자 |
구자성[SK] | 기타비상무이사 | 現 SK스퀘어 포트폴리오 전략담당 임원 |
송재승[SK] | 기타비상무이사 | 現 SK스퀘어 CIO 트랜스포메이션 |
오중석[SK] | 감사 | 現 SK스퀘어 재무담당 임원 |
2024. 4. 1. 임원의변동 공시 기준 |
5. 스폰서
LEAD | ||
T 우주 (모기업)[31] | ||
PREMIER | ||
Samsung Odyssey Neo | Red Bull | [[골스튜디오|{{{#fff GOALSTUDIO의류}}}]] |
SOOP | Mercedes-Benz[32] | NIKE |
PARTNER | ||
[[하나은행|{{{#fff 하나은행}}}]] | SteelSeries | Ralph Lauren |
[[에센코어|{{{#fff KLEVV}}}]] | HSBC | Pulsar[33] |
'SUPPORTER | ||
Secretlab[34] | LANEIGE | DORCO |
업무계약 MOU | ||
OP.GG |
6. 운영 중인 프로게임단
운영 중인 종목 | ||||
T1 T1 Esports Academy | T1 T1 VALORANT Academy | T1 | T1 | T1 |
7. 콘텐츠 크리에이터
'''{{{#!wiki style="margin: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2012d> | T1 콘텐츠 크리에이터 | }}}''' | |
{{{#!wiki style="color: #fff,#000;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
BoxeR HAEDORY Adel Xccurate | ||||
Bunny DOHYEON | ||||
Wolf Untara Flame | ||||
Flights Grim |
8. 해체한 프로게임단
해체한 종목 | |||
SKT T1 | SKT T1 | T1 Korea | T1 |
T1 | T1 | T1 | T1 |
T1 | T1 | T1 | T1 |
T1 서울 인페르날 | T1 | T1 | T1 |
9. 로고 변천사
2004~2005 | 2005~2019 |
동양 오리온, 4U 시절에는 이렇다 할 엠블럼이 없었기 때문에 사실상 공식 엠블럼이 생긴 것은 이때가 처음이다. | 2005년을 기점으로 SK그룹의 CI 변경으로 인해 SK그룹 소속의 팀들의 색상이 파란색에서 빨간색으로 변경되었다.[35] 14년이나 쓰인 탓에 말년에는 너무 촌스럽다는 반응이 많았다. |
2013~2019 | 2019~ |
2013년도에 축약형 로고로 처음 사용되었고, 팀명 변경 이후 현행 로고 도입 전까지 메인으로 쓰였다. | 스포츠에서 유독 반발이 심한 미니멀리즘 스타일 로고인데도 처음부터 반응이 좋았다. 이전 로고가 하도 촌스럽기 그지없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것을 감안해도 평가가 좋은 편이다. 일부 종목은 SK텔레콤의 로고가 하단에 병기되어 있다. |
10. 유니폼
자세한 내용은 T1/유니폼 문서 참고하십시오.11. T1 HQ
자세한 내용은 T1 HQ 문서 참고하십시오.12. 기타
- 스타크래프트 시절 주로 사용했던 마스코트로 벙키가 있다. 또 벙키의 여동생 버전 마스코트 팅키가 있다. 벙키는 임요환의 팬이고, 팅키는 김택용의 팬이다. 참고로 KT에서 이에 대항하듯 내놓은 마스코트가 쇼군과 쇼걸이다.
- 창단 초기, 임요환 등 스타크래프트 선수단이 직접 부른 응원곡이 있다. 곡명은 Fly High T1
- 원더걸스가 서브 스폰서를 맡은 적이 있었다. 기사, gif, 블로그
- 대표적인 유명인 팬으로 가수 박완규가 있다. 정확히는 김택용 전 선수의 팬으로, 스타크래프트 1 프로리그 마지막 시즌의 결승전에서 김택용이 이영호를 잡고 우승을 확정지은 직후 달려 나와 포옹하는 모습이 나오기도 했다. 리그 오브 레전드로 주력 게임이 바뀐 이후로는 방탄소년단, 백현[36], 창모 등과 콜라보를 진행하기도 했으며, 트위치 스트리머들이 많이 응원하는 팀이기도 하다.
- 선수 복지가 좋아 선수들이 가장 선호하는 팀으로 유명하다. 특히 스타크래프트 시절에는 선수들이 T1으로 몰리는 현상을 막기 위해 드래프트를 도입했다는 소문까지 돌았을 정도로 복지가 좋았다. 김택용이나 이영호 같은 리그 대표 선수들이 은퇴 후 개인방송에서 밝힌 바로는 통신사 라이벌 KT와 비교해도 압도적으로 좋았다고 하며, 김성대의 말로는 연습생조차도 1년에 2000만 원은 모을 수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 스타크래프트 2 승부조작 사건[37]을 통틀어 연루자가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38][39]
-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일산신도시 모처에 고급 아파트 2채를 숙소로 사용하고 근처에 연습실을 마련해서 있다가, 2020 시즌부터는 강남구에 신설된 T1 HQ로 이전하였다. 거기에 비시즌마다 워크숍을 제주도, 싱가포르 등 유명 관광지에서 진행하고 있다. 발로란트 팀의 경우 북미 기반이라 로스앤젤레스에 클럽하우스가 있다. 스타크래프트 시절과 마찬가지로 선수 복지 면에서는 T1을 거쳐간 선수들이 모두 칭찬할 정도로 좋은 조건을 제공하고 있다. 또 T1 하스스톤 서렌더 선수도 자신이 몸담았던 모든 팀 중에서 대우가 가장 좋다고 말했다. 특히 본인의 종목이 인기 종목이 딱히 아님에도 사무국에서 신경을 많이 써준다고 한다.
- 공교롭게도 대한민국의 e스포츠를 주도했던 두 게임인 스타크래프트와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이자 현역, 역대 가리지 않는 올타임 레전드들인 임요환과 이상혁이 소속된 팀이기도 하다.
- 그리고 T1에 소속되어 있던 시절 이 올타임 레전드들은 각자의 게임에서 최고의 자리에 오른 다음 부진을 겪다가 고령의 나이[40]에서 재기하여 다시 활약하다가 결승 문턱에서 계속 미끄러지는 징크스를 공유하고 있었다. 임요환은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2번으로 테란의 황제라는 칭호를 얻고 스타크래프트 선수들 중 그 누구보다도 유명한 선수가 되었으나 이 이후 준우승 2번으로 미끄러지면서 한동안 부진에 빠져버렸다. 겨우 이를 극복하고 삼연벙으로 결승에 올라갔으나 감동의 골마로 끝나버리고, 다음 리그에서도 준우승에 그치는 비극을 겪고 골든 마우스를 얻지 못했으며[41], 이상혁은 월즈 우승 3회, LCK 3연속 우승 등의 진기록을 세워 롤에서 가장 유명한 선수가 되었지만 2019년 1557을 시작으로 2020년부터 롤드컵은커녕 LCK에서도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고 2022년에 LCK 우승으로 살아나나 싶었더니 가장 중요한 월즈 결승전에서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결과로 결국 좌절되어 버렸고 그 이후로도 메이저 대회에서 우승을 하지 못하는 비극을 겪었다.[42] 그러나 이상혁은 2023 롤드컵을 우승하며 기어이 재기에 성공하면서 다른 길을 걷고 있다.
- SK텔레콤이 설립한 게임단이라서 인터넷도 SK브로드밴드를 쓸 것 같지만, T1 선수들도 인터넷은 KT를 쓴다고 한다. 사실 처음에는 SK브로드밴드를 썼는데, 경기 도중 회선에 장애가 발생해 페널티를 받는 일이 생기면서 현재는 KT로 바꿨다.[43] 팀 오너 회사 서비스를 팀이 못 쓰는 이상한 상황. 하지만 2021년 10월 KT 인터넷 장애 사건이 일어날 때 운타라가 스트리밍 룸에서 정상적으로 방송을 한 것을 보면 KT 외 SK브로드밴드, 타 통신사로도 복수 회선을 쓰는 듯하다. 선수들이나 임원 일부도 KT 휴대폰을 쓴다고. 반대로 kt 롤스터에서도 SK텔레콤 휴대폰을 쓰는 사람들도 많다.
- T1으로 운영 주체가 바뀐 2020년과 2021년에는 프로게이머[44]뿐만 아니라 파트너 스트리머도 물의를 일으키는 사건이 이전보다 상당히 증가해 팬들은 이런 스트리머들도 거르지 않고 뽑는 프런트의 정상적이지 못한 운영 때문이 아니냐며 프런트를 비판하고 있었으나, 해당 스트리머가 은퇴한 뒤에는 이렇다 할 사건은 생기지 않는 중이라 팬덤은 프런트보단 사람이 문제였다고 생각하는 중이다.
- T1이 트위치와의 독점 스트리밍 계약이 종료되면서 2022년 3월 31일부로 상당수 스트리머들과의 상호 합의 계약 해지가 발표되었다. # 2023년부터는 LCK 중계 시에만 아프리카TV를 사용하고, 이외의 방송은 트위치를 활용하는 형태로 스트리머들이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1] 대외 명칭은 SKT를 떼고 T1으로 변경했으나 법적인 기업명은 여전히 SK텔레콤 T1이다.[2] SK텔레콤이 스타크래프트 프로 팀 4U를 인수하여 프로게임단 SK telecom T1을 창단한 날.[CS] 컴캐스트 측 이사[SK] SK 측 이사[CS] [SK] [SK] [SK] [9] T1 공식 커뮤니티 사이트.[10] T1 공식 멤버십 사이트.[🍚] 점심, 저녁식사가 올라오는 T1밥 공식 계정[12] 글로벌 채널.[13] 게임단이 스타크래프트 팀을 계승하므로 임요환은 이 게임단의 창립자다. 임요환은 한 인터뷰에서 "본인과 함께 시작한 SKT T1이 이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e스포츠 게임단이 되었어요. 어떤 기분이 드시나요?"라는 질문에 "제가 전성기에 쏟아 부은 노력이 이렇게 상한가가 되어 돌아올 줄은 몰랐네요, 와우! 물론 지분은 없지만요. 후배들과 T1이 앞으로도 잘 해준다면 저는 계속 기억되겠죠?(웃음)"라고 답했다.[14] 4Union이란 뜻이지만 스폰서들에게 우리 팀 사유라는 유머섞인 표현으로 지은 이름.[15] 창단 당시는 임요환, 최연성의 영향력이 강했기에 Terran No. 1이라는 우스갯소리도 돌았었다. 게다가 당시 T1의 선수단 연봉 조정은 전적 데이터만으로 인상/동결/감봉 여부를 결정했는데 임요환과 최연성만은 해당되지 않았을 정도. 그만큼 저 둘이 T1에서 차지하는 입지는 거대했다.[16] 당시 스타리그 중계화면에는 선수 이름 옆에 '종족명 영어 이니셜+본진 위치 X시 방향'을 표기했었기 때문에 T1을 '테란한시'라고 부르기도 했다.[17] KTF와 맞붙은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결승전 강민과의 경기를 승리하며 우승을 확정지은 박용욱은 인터뷰에서 팀명을 T1이 아닌 P1으로 바꿨으면 좋겠다고 말한 바 있다. 실제로 T1은 프로토스 라인 또한 테란 못지않게 강력하였으며, 박용욱 역시 임요환, 최연성과 함께 초창기 T1의 대표선수였다. 특히 투싼 팀리그의 경우는 사실상 박용욱과 김성제, 즉 프로토스 두 명이 T1의 승리 대부분을 책임졌다. 게다가 T1은 삼성전자 칸, 웅진 스타즈와 함께 프로토스 우승자만 두 명을 보유한 세 팀 중 하나다.[18] 사실 'e스포츠의 레알 마드리드'는 스타판이 한창일 당시 라이벌 구단이었던 KTF를 부르던 별칭이었다. 당시 영입으로 호화 선수진을 구축한 점이 갈락티코스를 연상시켰다는 이유.[19] 롤드컵을 제외한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LCK 동시 우승은 2014년에 이룬 kt에 이어 두 번째다.[20] • 2019년 10월 11일 공시, 유상증자 결정: SK텔레콤의 지분율 100.0%→54.95%, 컴캐스트와 US Gaming, LLC에 제3자배정 유상증자
• 2021년 11월 5일 공시, 최대주주 등의 주식 보유 변동: SK텔레콤→SK스퀘어, SK텔레콤의 지분 54.95%이 SK스퀘어에 이전
• 2022년 11월 29일 공시, 유상증자 결정: 지분율 54.95%→55.37%, SK스퀘어에 제3자배정 유상증자[21] • 2019년 10월 11일 공시, 유상증자 결정: 지분율 0.0%→34.1%, 컴캐스트에 제3자배정 유상증자
• 2022년 11월 29일 공시, 유상증자 결정: 지분율 34.1%→34.33%, 컴캐스트에 제3자배정 유상증자[22] • 2019년 10월 11일 공시, 유상증자 결정: 지분율 0.0%→10.95%, US Gaming, LLC에 제3자배정 유상증자
• 2021년 5월 7일 공시, 유상증자 결정: 지분율 10.95%→10.37%, US Gaming, LLC의 실권주 발생
• 2022년 11월 29일 공시, 유상증자 결정: 지분율 10.37%→9.75%, SK스퀘어와 컴캐스트에 제3자배정 유상증자[23] 브라이언 L. 로버츠 컴캐스트 최고경영자의 아들이며, 현재 컴캐스트 스펙타코어 게이밍의 대표를 맡고 있다.[24] • 2021년 6월 7일 공시, 유상증자 결정: 지분율 0.0%→0.58%, US Gaming, LLC의 실권주를 제3자배정
• 2022년 11월 29일 공시, 유상증자 결정: 지분율 0.58%→0.55%, SK스퀘어와 컴캐스트에 제3자배정 유상증자[CS] [SK] [CS] [SK] [SK] [SK] [31] SK텔레콤의 구독 서비스.[32] 본사가 아니라 한국 지사인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에서 후원한다.[33] 발로란트팀 후원[34] 게이밍 체어를 전문으로 하는 싱가포르의 의자 제조사.[35] 다만 SKT 하면 빨간색의 이미지가 강하긴 한데, 2017년부터 검은색 계열의 유니폼도 상당히 선호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고, 2019년도에 컴캐스트와 합작한 후에는 오히려 빨강의 이미지를 탈피하려는지는 몰라도 계속해서 검은색 유니폼을 선호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자세한 것은 T1/유니폼 문서 참조.[36] 그러나 백현은 배틀그라운드는 T1이 아닌 젠지 팬이다.[37] 스타 2로 넘어가면서 대우가 대부분 열악해졌다는데 T1은 그런 게 없었다고.[38] 애초에 T1은 타팀 선수들과는 연습 경기도 가지지 않았다고 할 정도로 폐쇄적인 기조를 보였는데, 이는 임요환이 그렇게 했기 때문에 팀 전체가 그렇게 정착한 것이라고 한다. 그로 인해 아예 외부에서 승부조작 제의조차도 들어오지 않았다고. T1 이외에 스1/스2 조작범이 나오지 않은 팀은 웅진과 삼성뿐이다.[39] 다만 이중 김택용은 2021년 코인게이트의 주범 중 한 명으로 밝혀지며 팬들 사이에서 금지어가 되었다. 물론 공식리그는 진작에 종료되었고 스타판이 아프리카로 넘어간지 오래인만큼 T1의 책임은 없지만, 이후 2024년 창단 20주년 다큐멘터리를 만들었을 때도 김택용의 커리어는 일절 언급하지 않는 등 T1 역시 그를 흑역사 취급하는 모양새다. 단순히 김택용이 이적생 출신이라서 팀 연혁에서 빼지 않았겠느냐고 반문할 수도 없는 것이 마찬가지로 이적생 출신인 정윤종과 이신형의 스타2 대회 우승 기록은 그대로 나온다. 즉 코인게이트 때문에 흑역사 취급하는 것이 맞다고 봐야 한다.[40] 임요환 26세, 이상혁 27세.[41] 게다가 이 골든 마우스는 팀 전체를 통틀어도 수상자가 없다. 이 팀을 거친 선수가 따기는 했으나 다른 팀으로 이적한 뒤인데다가 하필 결승전 상대가 T1 선수인지라... 그나마 옆 동네 금배지는 한 명을 배출하였다.[42] 공교롭게도 임요환과 이상혁 둘 다 해당 경기에서 2:3으로 패배하였다. 차이가 있다면 임요환은 같은 SKT T1 소속이자 자신의 제자인 최연성에게 패배했으나, 이상혁의 상대 팀 DRX의 선수들은 T1 소속이었던 선수가 없다.[43] 하필이면 그날 비가 왔다고 한다.[44] 칸, 클리드, 서렌더가 개인방송으로 각각 프로게이머와 스트리머를 조리돌림하여 물의를 일으켰다.
• 2021년 11월 5일 공시, 최대주주 등의 주식 보유 변동: SK텔레콤→SK스퀘어, SK텔레콤의 지분 54.95%이 SK스퀘어에 이전
• 2022년 11월 29일 공시, 유상증자 결정: 지분율 54.95%→55.37%, SK스퀘어에 제3자배정 유상증자[21] • 2019년 10월 11일 공시, 유상증자 결정: 지분율 0.0%→34.1%, 컴캐스트에 제3자배정 유상증자
• 2022년 11월 29일 공시, 유상증자 결정: 지분율 34.1%→34.33%, 컴캐스트에 제3자배정 유상증자[22] • 2019년 10월 11일 공시, 유상증자 결정: 지분율 0.0%→10.95%, US Gaming, LLC에 제3자배정 유상증자
• 2021년 5월 7일 공시, 유상증자 결정: 지분율 10.95%→10.37%, US Gaming, LLC의 실권주 발생
• 2022년 11월 29일 공시, 유상증자 결정: 지분율 10.37%→9.75%, SK스퀘어와 컴캐스트에 제3자배정 유상증자[23] 브라이언 L. 로버츠 컴캐스트 최고경영자의 아들이며, 현재 컴캐스트 스펙타코어 게이밍의 대표를 맡고 있다.[24] • 2021년 6월 7일 공시, 유상증자 결정: 지분율 0.0%→0.58%, US Gaming, LLC의 실권주를 제3자배정
• 2022년 11월 29일 공시, 유상증자 결정: 지분율 0.58%→0.55%, SK스퀘어와 컴캐스트에 제3자배정 유상증자[CS] [SK] [CS] [SK] [SK] [SK] [31] SK텔레콤의 구독 서비스.[32] 본사가 아니라 한국 지사인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에서 후원한다.[33] 발로란트팀 후원[34] 게이밍 체어를 전문으로 하는 싱가포르의 의자 제조사.[35] 다만 SKT 하면 빨간색의 이미지가 강하긴 한데, 2017년부터 검은색 계열의 유니폼도 상당히 선호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고, 2019년도에 컴캐스트와 합작한 후에는 오히려 빨강의 이미지를 탈피하려는지는 몰라도 계속해서 검은색 유니폼을 선호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자세한 것은 T1/유니폼 문서 참조.[36] 그러나 백현은 배틀그라운드는 T1이 아닌 젠지 팬이다.[37] 스타 2로 넘어가면서 대우가 대부분 열악해졌다는데 T1은 그런 게 없었다고.[38] 애초에 T1은 타팀 선수들과는 연습 경기도 가지지 않았다고 할 정도로 폐쇄적인 기조를 보였는데, 이는 임요환이 그렇게 했기 때문에 팀 전체가 그렇게 정착한 것이라고 한다. 그로 인해 아예 외부에서 승부조작 제의조차도 들어오지 않았다고. T1 이외에 스1/스2 조작범이 나오지 않은 팀은 웅진과 삼성뿐이다.[39] 다만 이중 김택용은 2021년 코인게이트의 주범 중 한 명으로 밝혀지며 팬들 사이에서 금지어가 되었다. 물론 공식리그는 진작에 종료되었고 스타판이 아프리카로 넘어간지 오래인만큼 T1의 책임은 없지만, 이후 2024년 창단 20주년 다큐멘터리를 만들었을 때도 김택용의 커리어는 일절 언급하지 않는 등 T1 역시 그를 흑역사 취급하는 모양새다. 단순히 김택용이 이적생 출신이라서 팀 연혁에서 빼지 않았겠느냐고 반문할 수도 없는 것이 마찬가지로 이적생 출신인 정윤종과 이신형의 스타2 대회 우승 기록은 그대로 나온다. 즉 코인게이트 때문에 흑역사 취급하는 것이 맞다고 봐야 한다.[40] 임요환 26세, 이상혁 27세.[41] 게다가 이 골든 마우스는 팀 전체를 통틀어도 수상자가 없다. 이 팀을 거친 선수가 따기는 했으나 다른 팀으로 이적한 뒤인데다가 하필 결승전 상대가 T1 선수인지라... 그나마 옆 동네 금배지는 한 명을 배출하였다.[42] 공교롭게도 임요환과 이상혁 둘 다 해당 경기에서 2:3으로 패배하였다. 차이가 있다면 임요환은 같은 SKT T1 소속이자 자신의 제자인 최연성에게 패배했으나, 이상혁의 상대 팀 DRX의 선수들은 T1 소속이었던 선수가 없다.[43] 하필이면 그날 비가 왔다고 한다.[44] 칸, 클리드, 서렌더가 개인방송으로 각각 프로게이머와 스트리머를 조리돌림하여 물의를 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