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8 09:34:48

블랙 아이드 피스

black eyed peas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00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파일:BlackEyedPeas_Logo.png



{{{-2 {{{#!folding [ 전 멤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fffff {{{#!folding [ Discography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BlackEyedPeas_BehindTheFront.png
파일:BlackEyedPeas_BridgingTheGap.jpg
파일:BlackEyedPeas_Elephunk.jpg
파일:BlackEyedPeas_MonkeyBusiness.jpg
Behind the Front
1998. 6. 30
Bridging the Gap
2000.9.26
Elephunk
2003.6.24
Monkey Business
2005.5.25
파일:e413379145bc465c9754b47a34549886.webp
파일:BlackEyedPeas_TheBeginning.jpg
파일:BlackEyedPeas_MastersOfTheSun.jpg
파일:BlackEyedPeas_Translation.jpg
The E.N.D.
2009.6.3
The Beginning
2010.11.26
MASTERS OF THE SUN VOL. 1
2018.10.26
TRANSLATION
2020.6.19
파일:BlackEyedPeas_Elevation.jpg
ELEVATION
2022.11.11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 파일:BlackEyedPeas_Logo.png블랙 아이드 피스
Black Eyed Peas
}}}
파일:BlackEyedPeas2022.jpg
(왼쪽부터) 애플 디 앱, 윌아이엠, 타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다른 사진 보기
파일:external/cdn.idigitaltimes.com/black-eyed-peas.jpg
퍼기가 멤버였을 당시 라인업.
(왼쪽부터) 타부, 윌아이엠, 퍼기, 애플 디 앱
}}}}}} ||
결성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멤버
윌아이엠
애플 디 앱
타부
전 멤버
킴 힐
퍼기
장르 힙합, 댄스 팝, , R&B, 팝 랩, 일렉트로팝
레이블 인터스코프, 윌아이엠, A&M, 에픽
관련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Threads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멤버
3.1. 객원 멤버3.2. 전 멤버
4. 디스코그래피
4.1. 앨범4.2. 싱글
4.2.1. 빌보드 핫 100 1위4.2.2. 빌보드 핫 100 2위4.2.3. 빌보드 핫 100 3위~10위4.2.4. 빌보드 핫 100 11위~20위4.2.5. 그 밖의 싱글
4.3. 피처링
5. 투어6. 수상 경력7. 여담8. 둘러보기

1. 개요

The Black Eyed Peas[1]는 세계적으로 엄청나게 성공한 미국의 3인조 힙합 그룹이다.[2] 3집까지는 힙합이 중심이었으나, 4집부터 일렉트로(단순히 전자음악이란 뜻보다는 드럼머신을 과감히 사용한다는 뜻에서의 힙합비트, 일렉트로 2번째 항목 참조)적 색채가 강해져서 일렉트로 합(Electro-hop) 뮤지션으로 분류하기도 한다.[3]

2. 역사


처음 결성은 1992년도이지만 실제적으로 블랙 아이드 피스란 이름을 달고 활동한 것은 1997년부터이다. 초기 멤버는 윌아이엠애플 디 앱으로, 친구인 단테 산디아고(Dante Sandiago)와 함께 애트번 클랜(Atban Klann)이라는 그룹으로 활동했다. 이후 단테가 탈퇴하고 블랙 아이드 팟(Black Eyed Pods)이라는 이름을 쓰다 최종적으로는 블랙 아이드 피스(Black Eyed Peas)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게 된다. 이때 타부와 킴 힐(Kim Hill)이 멤버로 합류한다. 이때까지만 해도 블랙 아이드 피스는 색다른 스타일의 힙합 그룹 정도로만 주목 받고 있었다.



블랙 아이드 피스가 본격적으로 명성을 얻게 된 것은, 홍일점일 킴 힐이 탈퇴하고 와일드 오키드(Wild Orchid) 출신의 새로운 보컬 퍼기를 영입하여 발표한 3집 Elephunk부터다.[4] <Let's Get It Started>[5], <Where Is The Love?>, <Shut Up>, <Hey Mama> 등 주옥 같은 명곡들을 선보이며 선풍적인 인기를 누리게 된다. 당시 3집 앨범은 47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북미는 물론 유럽 지역을 강타, 이윽고 그래미 시상식에서 힙합 상을 받기에 이른다.


다음 앨범인 Monkey Business에서도 <Don't Phunk with My Heart>, <Don't Lie> <Pump It>[6], <My Humps>[7] 등을 선보이며 전작보다 더 많은 인기를 받게 된다.



하지만 진정한 전성기는 다음 5집 앨범 The E.N.D. 때라 할 수 있다.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를 Boom Boom PowI Gotta Feeling으로 싹 쓸어버린다 <Boom Boom Pow>, <I Gotta Feeling>, <Imma Be>가 연속으로 빌보드 핫 100 1위에 오르며, 세 곡이 총 28주 동안 빌보드 핫 100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해냈기 때문이다.





2010년에는 6집 The Beginning을 발표하여 <The Time (Dirty Bit)>, <Don't Stop The Party>, <Just Can't Get Enough> 등으로 꾸준히 고퀄의 노래를 히트 치며 팬들의 사랑을 받았다.

지난 2011년 5월 중순 한국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윌아이엠은 음악 불법복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자세를 제시하여 사람들의 시선을 모으기도 했다. (http://m.todayhumor.co.kr/view.php?table=humordata&no=927198)


그러다가 2016년 9월 6일, 새 싱글을 내면서 드디어 화려한 컴백에 시동을 걸었고 2018년 1월 9일 새 싱글을 또 발표했는데 초기의 힙합으로 돌아왔다.

다만 'Street Livin'에선 퍼기의 비중이 전혀 없는데 다가 무대에 설 때 퍼기 대신 CL과 함께 하는 등 퍼기가 탈퇴한 게 아니냐는 얘기가 많았다. 2017년 5-6월에 탈퇴 얘기가 나왔을 때 타부가 퍼기의 소셜 미디어를 언팔 하고 그녀의 합류 이전 앨범 표지를 올리기도 한지라 더욱 힘이 실어지는 씁쓸한 상황이었다. 그러다가 2017년 6월, 리더인 윌아이엠이 공식적으로 퍼기가 블랙 아이드 피스를 떠났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사)

2020년에는 8집 TRANSLATION, 2022년에는 9집 ELEVATION을 냈지만 평가는 말 그대로 최악이다.[8]

3. 멤버

3.1. 객원 멤버

3.2. 전 멤버

4. 디스코그래피

4.1. 앨범

4.2. 싱글

4.2.1. 빌보드 핫 100 1위

4.2.2. 빌보드 핫 100 2위

4.2.3. 빌보드 핫 100 3위~10위

4.2.4. 빌보드 핫 100 11위~20위

4.2.5. 그 밖의 싱글

4.3. 피처링

5. 투어

6. 수상 경력

분류 노래/앨범/뮤직비디오 연도 결과
Record of the Year Where Is The Love? 2004 노미네이트
Best Rap/Sung Collaboration 노미네이트
Record of the Year Let's Get It Started 2005 노미네이트
Best Rap Performance by a Duo or Group 수상
Best Rap Song 노미네이트
Best Rap Performance by a Duo or Group Don't Phunk with My Heart 2006 수상
Best Rap Song 노미네이트
Best Pop Performance by a Duo or Group Don't Lie 노미네이트
Best Pop Collaboration with Vocals Gone Going 노미네이트
Best Pop Performance by a Duo or Group My Humps 2007 수상
Album of the Year The E.N.D. 2010 노미네이트
Best Pop Vocal Album 수상
Record of the Year I Gotta Feeling 노미네이트
Best Pop Performance by a Duo or Group 수상
Best Dance Recording Boom Boom Pow 노미네이트
Best Short Form Music Video 수상

7. 여담

Shut Up 팬택 앤 큐리텔(윤도현 편)
Where Is The Love 네스팟(김래원 편)
Sexy Sky(선명하게 보라 편) , 개그콘서트 왕비호 출연 음악
Hey Mama Apple Ipod(힙합 편)
Let's Get Retarded 스마트 학생복(SE7EN & 보아 편)

8. 둘러보기

블랙 아이드 피스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SB Projects logo.jpg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px -11px"
소속 아티스트
Ashley Graham ASHER ROTH BABY JAKE
Black Eyed Peas Callista Clark Carly Rae Jepsen DAN + SHAY
David Guetta Demi Lovato EDEN GUNNAR GEHL
JENNA RAINE Justin Bieber Kaliii
Kelly Rowland The Knocks Lil Dicky Ozuna
PAUL POGBA PSY PUSH BABY Quavo
Social House THE SPENCER LEE BAND Steve Angello The Kid LAROI
THE SCARLET OPERA TROI KELLY THE WANTED WATT
YG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25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2000년 ~ 2024년을 통틀어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빌보드 핫 100과 빌보드 200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테일러 스위프트 드레이크 리한나 포스트 말론 에미넴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위켄드 비욘세 저스틴 비버 브루노 마스 어셔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마룬 5 아델 모건 월렌 에드 시런 케이티 페리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레이디 가가 P!nk 크리스 브라운 아리아나 그란데 칸예 웨스트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마일리 사이러스 앨리샤 키스 블랙 아이드 피스 저스틴 팀버레이크 넬리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니켈백 켈리 클락슨 머라이어 캐리 JAY-Z 릴 웨인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50 센트 켄드릭 라마 캐리 언더우드 브리트니 스피어스 빌리 아일리시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니키 미나즈 린킨 파크 이매진 드래곤스 루다크리스 루크 콤즈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Destiny's Child 케니 체스니 Future Juice WRLD T.I.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SZA 에이브릴 라빈 래스컬 플래츠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올리비아 로드리고
<rowcolor=#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트래비스 스캇 릴 베이비 콜드플레이 제니퍼 로페즈 배드 버니
<rowcolor=#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플로 라이다 Akon 루크 브라이언 토비 키스 팀 맥그로
<rowcolor=#fff>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제이슨 알딘 메리 제이 블라이즈 해리 스타일스 레이디 에이 도자 캣
<rowcolor=#fff>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Creed 마이클 부블레 두아 리파 샘 스미스 니요
<rowcolor=#fff>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아웃캐스트 케샤 카디 비 R. 켈리 퍼기
<rowcolor=#fff>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3 Doors Down 원디렉션 아샨티 셀레나 고메즈 블레이크 쉘튼
<rowcolor=#fff>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Ja Rule Pitbull Kid Rock 트웬티 원 파일럿츠 제이 콜
<rowcolor=#fff>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플로리다 조지아 라인 칼리드 션 폴 Daughtry *NSYNC
<rowcolor=#fff>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숀 멘데스 키스 어번 제이슨 데룰로 노라 존스 티페인
<rowcolor=#fff>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조쉬 그로반 그웬 스테파니 산타나 앨런 잭슨 Fall Out Boy }}}}}}}}}

역대 빌보드 뮤직 어워드
파일:빌보드 뮤직 어워드 로고.svg
톱 듀오/그룹상
<rowcolor=#000> 2010년 2011년 2012년
중단 블랙 아이드 피스 LMFAO

}}} ||
[1] 블랙 아이드 피는 한국에서는 동부콩, 광저기의 일종으로 검색되는데, 일반적인 콩 모양에 검은색의 반점이 있기 때문에 블랙 아이드 피라고 부른다. 미국에서 새해 첫날에 행운을 가져온다고 믿고 호핑 존이라는 볶음 요리로 먹는다. 호핑존 소개, 프라이드 치킨과 함께 블랙 아이드 피가 들어가는 요리는 흑인 요리(소울푸드)중 하나로, The BEP(Black Eyed Peas) 자신들도 Soul 음악을 추구한다는 뜻에서 붙인 그룹명이다.[2] 3인조로 데뷔 후, Elephpunk부터 The Beginning 까지 Fergie와 함께 4인조로 활동했다. 2016년부터 아리아나 그란데, CL, J. 레이 소울 등의 아티스트가 객원 멤버로 참여해 퍼기의 빈자리를 채우거나 3인조로서 활동하고 있다.[3] 아예 그래서 일렉트로팝의 대표적인 가수로 보기도 한다.[4] 여담이지만 호주에서 힙합 매거진에 글을 기고할 정도로 골수의 힙합 매니아로도 알려진 샘 해밍턴은 이런 변화가 있기 전의 블랙 아이드 피스의 음악을 좋아한다고 한다.[5] 3집에는 <Let's Get Retarded>라는 제목으로 수록됐고, 2004년 6월 동명의 제목으로 발표한 싱글에서 지금의 제목으로 바뀌게 됐다.[6] 딕 데일의 <Misirlou>를 샘플링한 곡이다.[7] 퍼기의 엉덩이를 자랑하는 노래. 퍼기는 솔로 활동 때인 2007년에도 자신의 엉덩이가 맛있지 않냐는 노래 "Fergalious"를 내놓았는데 핫 100 2위를 하는 등 큰 인기를 끌었다.[8] 어느 정도 나면 ELEVATION 앨범 중 두번째로 많은 좋아요를 받은 평가가 “조까고 은퇴나 해”이다.[9] I Gotta Feeling이 1위에 등극했을 때 1위에서 밀려난 곡이 바로 위의 Boom Boom Pow이다. 합쳐서 26주 연속 1위인데 1년의 반을 블랙 아이드 피스가 1위를 한 셈이다. 이것은 2018년 드레이크의 29주, 2004년 어셔의 28주에 이은 기록이기도 하다.[10] 원곡은 영화 더티 댄싱 OST (I've Had) The Time of My Life다.[11] 슈퍼볼은 스포츠&미국 내에 거의 암시적인 국경일로 여겨질 만큼 최대의 미식 스포츠 경기 중 하나이다. 그에 걸맞게 광고비도 정말 말 그대로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시청자들을 하프타임대에 붙잡아둘 수 있게 세계 최고의 스타들이 공연하는 것이 특징이다. 슈퍼볼은 미국 국민들 거의 모두가 시청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며, 미국 역대 시청률 기록 탑 10 중 9개는 수퍼볼이다. 나머지 하나는 70~80년대 큰 인기를 끌었던 TV 쇼 M*A*S*H.[12] 공동 헤드라이너라는 말도 있다. 공연 시간도 동일했고 무엇보다 정자체로 기록된 타 팀과 달리 맨 위에 로고가 박힌 채로 라인업에 있다. 참고로 이날 헤드라이너는 플라시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