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02:18:14

갈증(영화)



나카시마 테츠야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width=200> 파일:Bakayaro! I'm Plenty Mad Logo.png ||<width=200><bgcolor=#f69fc1> 파일:Kamikaze Girls Logo.png ||<width=200><bgcolor=#e1b548> 파일:Memories of Matsuko Logo.png ||
바보 자식! 저 화났습니다 불량공주 모모코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
파일:Paco and the Magical Picture Book Logo.png 파일:Confessions Logo.png 파일:The World of Kanako Logo.png
피코와 마법 동화책 고백 갈증
파일:It Comes Logo.png
온다

상세정보 링크 열기

<colbgcolor=#aec3ce><colcolor=#000000> 갈증 (2014)
渇き。
The World of Kanako
파일:갈증_메인 포스터.jpg
일본 포스터 ▼
파일:갈증_일본 포스터.jpg
장르 범죄, 드라마, 미스터리, 피카레스크
감독 나카시마 테츠야
각본 나카시마 테츠야, 카도마 노부히로, 타다노 미아코
원작 후카마치 아키오의 소설 《갈증》
제작 요다 타츠미, 스즈키 유타카
주연 야쿠쇼 코지, 코마츠 나나
촬영 아토 쇼이치
편집 코이케 요시유키
미술 이소미 토시히로
음악 그랜드 펑크 INC., 카나하시 토요히코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 GAGA
GyaO
Licri
Tsutaya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찬란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GAG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찬란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4년 6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12월 4일
화면비 2.35: 1
상영 시간 118분
상영 타입 2D
제작비 ○○
월드 박스오피스 $6,627,892 (최종 기준)
대한민국 총 관객 수 7,001명 (최종 기준)
스트리밍
[[왓챠|
WATCHA
]]
,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8세이상_초기.svg 청소년 관람불가
공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
5.1. 후지시마 가5.2. 동급생5.3. 기타 인물
6. 줄거리7. 사운드트랙8. 원작과의 차이점9. 평가10. 논란11. 여담12.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후지시마 카나코. 이 지상에서 유일한 아름다운 생명체.

나카시마 테츠야 감독의 2014년작 영화. 원작은 소설가 후카마치 아키오가 쓴 '끝없는 갈증(果てしなき渇き)'이라는 소설로 2004년 제 3회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 대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25만 부 이상이 팔리면서 베스트 셀러가 되었다. 국내에선 오일북스를 통해 '갈증'이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다.

2. 포스터

파일:갈증_티저 포스터.jpg 파일:갈증_메인 포스터.jpg 파일:갈증_실종 포스터.jpg
티저 포스터 메인 포스터 실종 포스터

파일:갈증 특별 포스터.jpg
<rowcolor=#000000> 특별 포스터

3. 예고편

<colbgcolor=#aec3ce>
▲ 예고편
<colbgcolor=#aec3ce>
[kakaotv(63519305)]
▲ 메인 예고편

===# 기타 영상 #===
<colbgcolor=#aec3ce>
[kakaotv(63277797)]
▲ 무빙 포스터
<colbgcolor=#aec3ce>
[kakaotv(64071023)]
▲ 감독 스페셜 인터뷰 영상
<colbgcolor=#aec3ce>
[kakaotv(63918633)]
▲ 캐릭터 영상

4. 시놉시스

실종된 딸 카나코(고마츠 나나)의 행방을 쫓는 전직 형사 출신 아키카주(야쿠쇼 코지).
그는 딸을 찾는 과정에서 상상할 수도 없었던 진실과 마주하며 엄청난 사건에 휘말리게 되는데…

5.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5.1. 후지시마 가

5.2. 동급생

5.3. 기타 인물

6.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7. 사운드트랙

渇き。
by Grand Funk Inc.
파일:갈증 OST 앨범커버.jpg
Original Soundtrack
번호 곡명 아티스트
1 Panis Angelicus St. John’s Choir
2 When I Was An Ape SUBLE
3 Gone Away Dream Barbara Borra
4 Kawaki Main Title Gabriele Roberto
5 Theme of Kanako Yoko Kanno
6 Free Fall (feat. APOGEE) Yoko Kanno
7 Rusalka, Op. 114, Act I O Silver Moon, Song to the Moon Jana Valaskova
8 Winter Wonderland Barbara Borra
9 SpaderS FLA$HBACKS
10 Shining in the Dark Alan Brey
11 Free Fall Reprise (feat. APOGEE) Yoko Kanno
12 でんでんぱっしょん Dempagumi.inc
13 L.S.D. TRIPPPLENIPPPLES
14 Fog DAOKO
15 Her SUBLE
16 Alice Gabriele Roberto
17 House of the Rising Sun Mai Yamane
18 Under the Sky Yasushi Sasamoto
19 Break Up Yasushi Sasamoto
20 YOU BE MINE (feat. YOSHIKA) SUBLE
21 Memory of Kanako Yoko Kanno
22 SWEET MEMORIES Seiko Matsuda
23 Everybody Loves Somebody Dean Martin

8. 원작과의 차이점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큰 줄기가 되는 스토리는 같으나 등장인물의 설정이나 극중 전개 등에서 몇가지 변경점이 있다.

9. 평가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68% 관객 점수 61%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0><bgcolor=#000>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2021).svg ||
별점 6.2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파일:야후! 재팬 로고.svg ||
별점 2.6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333><bgcolor=#333> 파일:엠타임 로고.svg ||
평점 6.4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6.6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0 / 5.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
지수 69.57% 별점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126853"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126853;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26853|{{{#!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6.84 / 10
관람객
7.34 / 10
네티즌
6.40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6.84 / 10
관람객
7.34 / 10
네티즌
6.40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2d2f34><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6.0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84C4D><tablebordercolor=#F84C4D><tablebgcolor=#fff,#191919>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
지수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5e2a><tablebordercolor=#ff5e2a><tablebgcolor=#fff,#191919><:> [[MRQE|
MRQE
]] ||
평점 없음 / 100



나카시마 테츠야 감독 작품 중 호불호가 가장 많이 갈린다. 많은 등장인물과 잦은 플래시백으로 감독의 전작인 고백보다 산만하다는 평도 있는 편. 그럼에도 감독의 특기인 미장센과 음악은 여전히 호평을 받고 있다. 또한 출연진들의 연기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호불호가 가장 많이 갈리는 이유는 높은 폭력성과 선정성 때문인데 마약, 강간, 살인 등의 자극적인 요소가 영화에 많이 등장한다.[8]

10. 논란

10.1. 감독의 여자 배우 노출 강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카시마 테츠야 문서
5.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여담

소지섭이 수입한 작품이다.

작품 내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접목시키는 부분이 등장한다. 보쿠가 강간당하기 전에도 앨리스의 드레스를 입고 있었으며, 카나코의 독백에서도 앨리스의 내용을 읊는 장면이 나온다. 영어판 제목도 여기서 따온 모양.

원작 소설의 만화화가 인터넷 연재를 통해 2014년 6월 단행본으로 발매되었으나 원작과는 전개나 등장인물에 차이가 있어서인지 평은 그닥 좋지 못한 듯. 나카시마 감독이 고백 이후 4년만에 복귀하는 작품으로 개봉 전부터 관심을 받았다. 코마츠 나나의 스크린 데뷔작이고 호치 영화상에서 신인상을 받게 한 작품이기도 하다. 부산국제영화제에서 감독이 고마츠 나나의 연기를 호평한 바 있다.

덴파구미.inc의 でんでんぱっしょん가 작중 중요 OST로 등장한다. 예고편에도 쓰였다.#

나카타니 미키[9]는 다시는 나카시마 테츠야 감독의 작품에 안 나온다고 했다가 이번에 나왔다.(...)

2009년의 한국영화 박쥐의 일본개봉명도 같은 渇き인지라 일본내에선 종종 헷갈리는 사람이 있다. 본작의 경우 뒤에 。가 붙는다는 차이가 있다.

12. 외부 링크



[1] 근데 카나코가 저질렀다기보다는 미끼만 던지고 실행은 카나코 주변인물들이 했다. 살해는 야쿠자가 강간은 마츠나가 패거리가 팔아넘겼다. 보쿠가 오가타처럼 될 수 있냐고 카나코에게 묻는 장면이 있는데다가 보쿠가 파티에 가서 카나코에게 말을 걸었을때 아무런 대답도 하지 않는 장면이 있는데 아마 오가타도 이와 비슷한 루트를 타고 자살한 것 같다.[2] 여기서 카나코가 제정신이 아니었던 게 아키를 원조교제에 종사하게 했다는 사실을 아무 죄의식 없이 털어놓는다. 오히려 선생님이 어머니로서 아키에 대해 무엇을 제대로 아는 게 있냐며 조롱하는데 워커홀릭으로 가정에 무관심했던 아버지와 바람을 피던 어머니, 오가타의 자살과 자신의 타락 등으로 인해 인간으로서의 윤리를 완전히 상실한 모습이다.[3] 오가타가 자살하던 때까지만 해도 멀쩡히 야구부에서 활동하고 있었다가 야구 연습시합 중 공을 주워 던져주는 카나코를 보면서 야구에 대해 회의를 가진 것으로 나온다.[4] 이 장면이 엄청 매니악한데,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앨리스 드레스를 강제로 입혀진 후, 입에 재갈을 물리고 손과 발을 수갑으로 묶인 채 당한다.[5] 영화의 주제를 생각해보면 카나코와 대비되는 인물 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을 것 이다[6] 아키히로→아키카즈, 오사나이→아이카와 무나가타→마츠나가.[7] 아무래도 영화내에서 갈증이 의미하는 바를 설명하자면 이 쪽이 좀 더 설득력이 강하기에 이 쪽 으로 컨셉을 잡은 것 같다. 시간대배열로 따지면 오가타가 당하고 난 이후부터 맛이 가기 시작한거라서 오가타의 자살이 원인이 된게 아닐까 싶지만 천성부터 제정신이 아닌 것 같은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하지만 덕분에 이 영화를 저평가하는 관객들은 그냥 2시간내내 약을 빨아 제끼는.... 것 같다는 평을 하고는 한다.[8] 평소 감독 작품에도 종종 등장하던 요소지만 본작에서는 특히 두드러지는 편.[9]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의 주연 배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