假 거짓 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人,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중학교 | |||||||
仮 | |||||||
일본어 음독 | カ, (ケ) | ||||||
일본어 훈독 | かり | ||||||
- | |||||||
표준 중국어 | jiǎ, jià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假는 '거짓 가'라는 한자로, '거짓' 혹은 '임시로 정해놓은 것' 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거짓 | |
음 | 가 | ||
중국어 | 표준어 | jiǎ | <colbgcolor=#fff,#1f2023>jià |
광동어 | gaa2 | gaa3 | |
객가어 | ká | ka | |
민북어 | gǎ | gǎ | |
민동어 | gā | gá | |
민남어 | ká[文] / ké[白] | kà[文] / kè[白] | |
오어 | jia (T2)[文] / ka (T2)[白] | ka (T2) | |
일본어 | 음독 | カ, (ケ) | |
훈독 | かり, か-す | ||
베트남어 | giả | giá |
뜻을 나타내는 人(사람 인)과 소리를 나타내는 叚(빌릴 가)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5047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ORYE(人口卜水)로 입력한다.
僞(거짓 위)와는 다르게 '속인다'는 의미는 없다.
원래는 '거짓', '빌리다'의 의미일 때는 상성과 거성 모두로 발음할 수 있고, 暇(겨를 가)와 같은 뜻일 때는 거성으로만 발음하는데 현대 중국어에서는 전자는 모두 3성으로만 발음하며, 暇(겨를 가)와 통할 때만 4성으로 발음한다.
동사로 하면 '빌다', '용서하다'의 의미이며, '격'으로 읽을 경우에는 格(격식 격)과 같은 뜻으로 '오다', '이르다'의 의미이다.
'멀다'는 의미로 읽을 때는 遐(멀 하)와 통용되며 '하'로 읽는다.
일본 신자체에서는 仮의 형태로 쓰는데, 본래 反(돌이킬 반)의 이체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가건물(假建物): 임시로 지어진 건물.
- 가건축(假建築)
- 가계약(假契約): 본계약을 맺기 전에 해두는 계약
- 가등기(假登記)
- 가령(假令)
- 가면(假面)
- 가면(假免)
- 가면(假眠)
- 가명(假名): 가짜 이름. 일본에서는 자기네 글자 이름으로 쓰기도 한다.
- 가발(假髮)
- 가분(假扮)
- 가분수(假分數)
- 가상(假想): (사실 여부가 분명하지 않은 것을) 사실이라고 가정하여 생각함
- 가상(假象)
- 가상(假像)
- 가석방(假釋放)
- 가설(假說)
- 가설 검정(假說 檢定)
- 가설법(假說法)
- 가설추리(假說推理)
- 가설판단(假說判斷)
- 결정적 시기 가설(決定的 時期 假說)
- 공가설(空假說)
- 귀무가설(歸無假說)
- 단순가설(單純假說)
- 복합가설(複合假說)
- 성운가설(星雲假說)
- 양자가설(量子假說)
- 연합가설(聯合假說)
- 영가설(零假說)
- 작업가설(作業假說)
- 전자가설(電子假說)
- 정수압가설(靜水壓假說)
- 통계가설(統計假說)
- 가식(假飾)
- 가전(假傳)
- 가정(假定): 어떤 것을 임시로 정함.
- 가차(假借)
- 가처분(假處分): 임시 행정/사법적 처분.
- 가칭(假稱): 어떤 이름을 임시로 정하여 부르는 이름
- 가평균(假平均)
- 공가(空假)
- 만가(滿假)
- 진가(眞假)
3.2. 고사성어/숙어
- 가도멸괵(假途滅虢)
- 가롱성진(假弄成眞)
- 가문(假門)
- 가부자(假夫子)
- 가아연수(假我年數)
- 가장비(假張飛)
- 가호위(假虎威)
- 농가성진(弄假成眞)
- 이가난진(以假亂眞)
- 이력가인(以力假仁)
- 적불가가(敵不可假)
- 진가쟁주(眞假爭主)
- 천가지년(天假之年)
- 호가호위(狐假虎威)
3.3. 지명
3.4. 창작물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婽(고울 가)
- 椵(나무이름 가)
- 溊(물이름 가)
- 猳/豭/貑(수퇘지 가)
- 徦(이를 가, 멀 하)
- 腵(창자에생긴병 가)
- 暇(틈/겨를 가)
- 𩩱[⿰骨叚](허리뼈 가)[7]
- 犌(힘있을 가)
- 鍜(경개 하)
- 煆(데울 하)
- 蝦(두꺼비/새우 하)
- 㗇(목구멍 하)
- 𨉣[⿰身叚](몸굽은모양 하)
- 䠍(발밑 하)
- 赮(붉을 하)
- 鰕(새우 하)
- 碬(숫돌 하)
- 䪗/𩋥[⿰革叚](신뒤축끈 하)
- 縀(신발 하)
- 騢(적부루마 하)
- 睱(천천히볼 하)
- 嘏(클 하)
- 𨺽[⿰⻖叚](티 하)
- 瑕(허물 하)
- 𪖲[⿰鼻叚](콧숨 합)[8]
- 𦣯[⿰臣叚](가)
- 𧪕[⿰言叚](하)
- 𡺁[⿰山叚]
- 𱗙[⿰土叚]
- 𢱈[⿰扌叚]
- 𢝄[⿰忄叚]
- 𤗜[⿰片叚]
- 𦖲[⿰耳叚]
- 𫇝[⿰舟叚]
- 𪕰[⿰鼠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