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3 18:10:58

고대동물기


파일:네이버 웹툰 로고.svg 네이버 웹툰 연재작
고대동물기
<nopad> 파일:고대동물기_표지.jpg
<colbgcolor=#3d383c,#3d383c><colcolor=#dc8a7c,#dc8a7c> 장르 공룡, 동물, 드라마
작가 고제형
연재처 네이버 웹툰
네이버 시리즈
연재 기간 2025. 02. 22. ~ 연재 중
연재 주기
이용 등급 12세 이용가

1. 개요2. 줄거리3. 등장 인물
3.1. 가지 않은 길
3.1.1. 주역3.1.2. 등장 생물
4. 기타


1. 개요

한국의 공룡 웹툰. 고제형 작가가 이전에 만화경에 연재했던 유니버스(웹툰)의 리메이크 작품이다.

2. 줄거리

모든 생명은 무엇을 위해 살아가고, 무엇을 위해 죽어갈까?
세상으로부터 버려진 채 늙어 죽어가는 티라노사우루스 한 마리. 그런 그에게 죽기 전에 이뤄야 할 꿈이 생겼다.
이 땅에 살고, 이 땅에 죽어간 생명들의 기묘하고도 특별한 이야기

3. 등장 인물

3.1. 가지 않은 길

백악기 마스트리히트절에서 라라미디아 대륙[1]과 근접한 작은 섬[2]에서 표류된 티라노사우루스 두 마리의 이야기가 시작한다.

3.1.1. 주역

3.1.2. 등장 생물


유료분 스포일러 주의 [ 펼치기 · 접기 ] ▼
  • 덴버사우루스
    8화 최후반에 첫 등장, 두 마리가 해초를 뜯다가 모사사우루스에게 쫓겨 망망대해로 무작정 도망치게 되고, 필사적으로 어디에 있는지도 모를 섬을 찾아 헤엄치던 중 한 마리가 모사사우루스한테 잡아먹히고, 남은 한 개체가 노바와 지크가 표류 중인 섬에 도착하게 된다. 이때 노바와 마주친 뒤 상당히 당황한 듯한 반응이 백미.

    지크와 노바가 당장 사냥하기엔 익룡이나 소형 모사사우루스과에 비하면 위험부담이 컸기에 당분간은 내버려두기로 하나,[8] 섬에 하나 뿐인 수원인 호수를 흙탕물로 만들고, 눈을 붙이던 중 지크가 익룡을 사냥하는 소리를 듣고 본인을 기습하는 줄 알고 헐레벌떡 일어나 경계하는 등 좁은 섬에 피식자와 포식자가 한데 모여있다 보니 발생하는 불편한 동거가 이어진다.

    그리고 폭우가 쏟아지던 어느 날, 커다란 파도와 함께 얼핏 보인 목이 상당 부분 뜯겨나간 덴버사우루스의 시체[9]의 실루엣을 보고 패닉에 빠져 지크에게 돌진하는 등 마구잡이로 날뛰다 지크와 같이 거대한 파도에 휩쓸린다. 11화에 해일에 휩쓸려 바다까지 떠내려갔지만 다시 섬으로 돌아가던 중 지크가 사냥하기 위해 접근했지만 동생처럼 모사사우루스의 습격을 받는다.
  • 모사사우루스 호프만니
    8화 최후반부에 도망치는 덴버사우루스 둘 아래에 헤엄치며 등장. 9화에 뒤에 있는 한마리를 잡아먹는다.

    11화에 해일로 인해 바다까지 휩쓸린 지크의 뒤에서 실루엣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지크가 섬으로 다시 올라가자 아직 바다에 있던 덴버사우루스를 공격한다.

4. 기타


[1] 당시 백악기의 해수면은 현재보다 높아 북미 대륙의 중부 지역은 바다 밑에 있었다. 즉 가운데의 서부내륙해 양 옆에 서부의 라라미디아 대륙과 동부의 애팔래치아 대륙으로 구분되었으며, 대중들에게 알려져 있는 대부분의 북미산 백악기 후기 공룡들은 거의 라라미디아 대륙에 서식하고 있던 종들이었다.[2] 3화에서 나온 정보에 의하면 가로 길이 약 600m, 세로 길이 약 1.5km로 밤섬보다 약간 크며, 수원지는 중앙의 작은 호수 하나가 전부다.[3] 작가의 말에 의하면 이름의 모티브는 기수신세기 조이드지크지크 예거라고 한다. #[4] 이전 작에서는 어린 노바를 배려하여 일부러 섬에서 나갈 방법이 있다는 식으로 속였지만, 본 작에서는 섬에서 나갈 방법은 보이지 않아 사실상 갇힌 것이라고 처음부터 솔직하게 말한다.[5] 작가의 말에 의하면 이름의 모티브는 윌슨(캐스트 어웨이)윌슨가의 비밀의 안나 윌슨.#[6] 리메이크 이전에는 케찰코아틀루스였다. 베스트도전 당시에는 테티드라코였다.[7] 베스트도전 연재판에서 지크의 박치기에 의해 잡혔지만, 본작에서는 도약하고 날아갈려고 했으나 지크의 점프력과 속력으로 인해 잡히게 된다.[8] 이때 댓글에는 저것보다 훨씬 거대한 안킬로사우루스나 트리케라톱스도 손쉽게 사냥하던 노바의 아버지에 대한 재평가가 이어졌다.[9] 아마도 섬에 표류해온 개체의 동생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