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09:45:23

국카스텐



파일:국카스텐 로고.svg
전규호
하현우
이정길
김기범
[[틀:국카스텐|
]]
[ 음반 목록 ]
## Line 1
파일:국카스텐_1집.jpg 파일:국카스텐_1집.jpg 파일:타그트라움.jpg 파일:타애타.jpg
[[Guckkasten (Before Regular Album)|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1px 2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ff; color: #000"
Guckkasten
2009. 02. 04.
]]
[[Guckkasten(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1px 2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ff; color: #000"
Guckkasten
2010. 04. 20.
]]
[[Tagträum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1px 2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ff; color: #49060B"
Tagträume
2010. 12. 07.
]]
[[Time After Time Selectio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1px 2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 #000"
Time After Time Selection
2012. 12. 27.
]]
파일:국카스텐_FRAME.jpg 파일:STRANGER.jp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nopad> 파일:국카스텐로고2.png
[[FRAME(국카스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1px 2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000; color: #fff"
FRAME
2014. 11. 26.
]]
[[STRANGER(국카스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1px 2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ff; color: #171717"
STRANGER
2017. 11. 15.
]]
[[국카스텐/정규 3집|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1px 2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000; color: #fff"
타이틀 미정
2025.
]]
[ 싱글 목록 ]
## Line 1
파일:국카스텐_싱글.jpg 파일:몽타주.jpg 파일:감염.jpg 파일:국카스텐_도둑.jp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ddd; font-size: 0.85em"
Guckkasten
2008. 12. 2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85em"
몽타주
2012. 06. 18.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deee7; font-size: 0.85em"
감염
2014. 09. 15.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85em"
도둑
2015. 11. 20.
파일:Pulse.jpg 파일:국카스텐_사냥.jpg 파일:국카스텐yourname.jpg 파일:국카스텐_사냥.jp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85em"
Pulse
2016. 06. 1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85em"
사냥
2019. 10. 3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85em"
Y( )UR NAME
2019. 11. 2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85em"
사냥
2021. 06. 30.
파일:국카스텐_뱀.jpg 파일:국카스텐_스크래치.jpg 파일:국카스텐yourname.jpg 파일:깃털.jp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B0392E; font-size: 0.85em"

2021. 08. 1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878D24; font-size: 0.85em"
스크래치
2021. 09. 27.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85em"
Y( )UR NAME
2021. 10. 2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154B47; font-size: 0.85em"
깃털
2021. 11. 18.
파일:국카스텐_오이디푸스.jpg 파일:국카스텐_puppet.jpg 파일:국카스텐 OVERMAN.jpg 파일:Theme.2.jp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344C72; font-size: 0.85em"
오이디푸스
2021. 12. 2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aba399; font-size: 0.85em"
PUPPET
2023. 12. 5.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8bacbe; font-size: 0.85em"
Theme. 1
2025. 01. 27.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53f1f; font-size: 0.85em"
Theme. 2
2025. 02. 28.
파일:Theme. 3.jpg <nopad> 파일:국카스텐로고2.pn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85em"
Theme. 3
2025. 03. 24.
[ 참여 음반 ]
## Line 1
파일:external/img.maniadb.com/664122_1_f.jpg 파일:external/img.maniadb.com/678333_1_f.jpg 파일:external/img.maniadb.com/713781_1_f.jpg 파일:external/img.maniadb.com/716960_1_f.jpg
사랑일 뿐이야
2011. 05. 26.
격산타우
2011. 08. 25.
푸에고
2012. 08. 23.
쓸쓸한 계절
2014. 08. 27.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0037073.jpg 파일:external/cmsimg.mnet.com/569388.jpg 파일:YB 말없는 축제.jpg 파일:이지터치.jpg
Challenge
2016. 05. 23.
ULTIMATE
2016. 08. 18.
말 없는 축제
2019. 04. 23.
이지터치
2020. 04. 27.
파일:CRACK_IN_THE_ARK.jpg 파일:국카스텐_IGNITION_.jpg 파일:메이플스토리 OST : NEW AGE Concert Album.jpg <nopad> 파일:국카스텐로고2.png
CRACK IN THE ARK
2022. 01. 17.
IGNITION
2022. 06. 11.
Crack
2023. 06. 12.
[ 관련 문서 ]
||<table 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 역사 ||<width=25%> 디스코그래피 ||<width=25%> 공연 및 행사 ||<width=25%> 활동 ||


'국카스텐' 관련 둘러보기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인터파크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png


[ 소속 아티스트 ]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D80319> 인터파크 소속 아티스트 ||
<colbgcolor=#801F52>
파일:jaurim.png
<colbgcolor=#000>
파일:국카스텐 로고.svg
<colbgcolor=#585431>
자우림 국카스텐 에피톤 프로젝트


'''
'국카스텐'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KMAlogoblack1.jpg
올해의 신인
로로스
(2009년)
국카스텐
(2010년)
게이트 플라워즈
(2011년)
}}} ||
}}} ||
파일:FO-vUJ8VQAQWgsS.jpg
김기범 · 하현우 · 전규호 · 이정길
<colbgcolor=#000><colcolor=#FFF> {{{#!wiki style="margin: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 파일:국카스텐 로고.svg국카스텐
Guckkasten
}}}
전신 New Unbalance (2001년 ~ 2002년)
The C.O.M (2003년)
결성일 2007년 5월 17일[1]
(결성일로부터 [dday(2007-05-17)]일, [age(2007-05-17)]주년)
데뷔일 2008년 12월 29일[2]
(데뷔일로부터 [dday(2008-12-29)]일, [age(2008-12-29)]주년)
데뷔 음반
{{{#!wiki style="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리더 하현우
소속사 인터파크엔터테인먼트
유통사 지니뮤직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관련 링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커뮤니티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음반
사이트
파일:멜론 아이콘.svg | 파일:지니뮤직 아이콘.svg | 파일:벅스 아이콘.png | 파일:네이버 VIBE 아이콘.svg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뮤직 아이콘.svg | 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플랫폼 현황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Guckkasten Official
구독자: 4.07만 명
조회수: 25,792,864 회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guckkasten_official
팔로워: 2.7만 명
기준: 2025년 03월 15일
}}}}}}}}} ||
}}}}}}}}} ||

1. 개요2. 멤버
2.1. 세션
3. 특징
3.1. 밴드명3.2. 음악 스타일
4. 역사5. 디스코그래피6. 공연7. 활동8. 수상 경력9. 여담10. SNS

1. 개요

유일무이의 압도적인 가창력을 자랑하는 보컬리스트와 몽환적이고 싸이키델릭한 사운드로 중무장한 밴드.

공식 홈페이지

대한민국의 남성 4인조 록 밴드.

2. 멤버

<nopad> 파일:국카스텐 로고.svg
파일:전규호 프로필.jpg 파일:하현우 프로필.jpg 파일:이정길 프로필.jpg 파일:김기범 프로필.jpg
전규호 하현우 이정길 김기범
1979. 10. 08. ([age(1979-10-08)]세)
기타
1981. 11. 25. ([age(1981-11-25)]세)
리더 · 보컬 · 기타
1982. 02. 17. ([age(1982-02-17)]세)
드럼
1985. 03. 22. ([age(1985-03-22)]세)
베이스

파일:국카스텐_싸인.jpg

2.1. 세션

Guckkasten Session
<rowcolor=#FFF> 여령교 인치호 김훈식 AEV
코러스 기타 퍼커션 피아노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Official)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국카스텐의 정식 멤버는 하현우, 전규호, 김기범, 이정길 이렇게 넷이지만, 그 외로 곡을 더 풍성하게 연출하기 위해 국카스텐 멤버들과 자주 함께 무대에 서는 세션들이다.

[ 펼치기 · 접기 ]
* (前) 이청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2012년 12월 30일 ~ 2018년 5월 18일)
1987년 11월 4일생으로 기타 세션 담당이었다. 국카스텐의 기타 세션 오디션을 보기 위해 발표곡부터 미발표곡까지 전부 다 연습해왔다고 한다. 그리고 합격하자마자 2일 후에 타애타 콘서트를 해야만 했다. 하현우: 어 내일모레에 공연 있어 과거엔 주먹을 쓰고 다녔지만, 음악 덕분에 빠져나왔으며, 정말 순수하게 음악을 좋아하는 청년이라고 하현우가 공연 중 밝힌 바 있다.[5] 별명으로 심청이, 청년, 클린샤인 등이 있는데 가장 흔하게 불리는 것은 청년. 2016년 8월 21일에 있던 스콜 앵콜콘서트에서의 하현우의 말로는 국카스텐의 다섯 번째 멤버나 다름없다고 한다.
2018년 5월 18일에 국카스텐 공식 트위터를 통하여 세션을 탈퇴함이 알려졌다.
  • (前) 김진실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2014년 9월 21일 ~ 2018년 4월 7일)
    1991년 5월 15일생으로 코러스 담당이었다. 국카스텐에서 코러스를 구할 때 남자를 코러스로 하기엔 노래들의 음역대가 전반적으로 높고, 여자를 구하자니 맑은 소리가 팀 색깔과 안 어울릴 것 같아서 난항을 겪었다고 한다. 이에 이청희가 지인이었던 허스키한 목소리[6]의 김진실에게 코러스 오디션을 추천했고, 하현우가 한 다섯 번 테스트하다가 바로 통과시켜버렸다고 한다. 별명은 트루킴. 2015년 'UMF' 국카스텐의 공연에서 '매니큐어 (Electronic Ver.)' 곡에 김진실이 코러스 뿐만 아니라 신디사이저를 연주하기도 했다. #.
    2018년 4월 7일 헬로 콘서트에서 공식적으로 탈퇴를 알렸다. 하현우의 말로는 김진실 나름의 삶을 펼쳐나가기 위해 나가게 되었다고. 현재 "True Kim"으로 활동 중.

3. 특징

3.1. 밴드명

밴드명인 '국카스텐(Guckkasten)'은 '중국식 만화경'[7]을 뜻하는 독일어 고어이다. 풀이해보면 'Guck'(보다) + 'kasten'(상자)이며, 직역하면 들여다보는 상자이다. 텔레비전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나무상자 안을 들여다봤을 때 화려한 이미지가 펼쳐지는 만화경처럼 음악을 통해 사이키델릭한 사운드와 이미지를 표현해내겠다는 뜻으로 국카스텐이라는 이름을 택했다고 한다.[8] 밴드 명의 의미에서 알 수 있듯이 사이키델릭 록을 추구하지만 실제로는 장르를 딱 규정하기 힘든, 개성 있고 다양한 스타일의 음악을 들려준다.

3.2. 음악 스타일

누구나 음악을 할 순 있지만, 아무나 독창적인 음악을 만들지는 못한다. 국카스텐은 데뷔부터 이미 그 어려운 과업을 달성하며 등장한 괴물 신인이었다.

여인협

대한민국 밴드 중에서도 음악 스타일이 대단히 개성적이고 독보적이다. 이펙터를 이용한 기괴한 기타 사운드와 카랑카랑한 보컬, 매우 추상적인 가사 등 대놓고 불편한 감성을 추구하지만 불쾌하진 않은 음악이라는 이율배반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 밴드의 가장 큰 장점이자 특징은 파워풀하고 사이키델릭한 멤버들의 연주 + 보컬 하현우의 미친 가창력으로 압축할 수 있다. 피치 사운드를 비롯한 각종 이펙터들을 전면 배치한 상태에서 미친 듯이 펼쳐지는 세션들의 압도적인 속주와 그 세션들의 하드한 사운드를 뚫고 나오는 하현우의 폭발적인 보컬의 시너지가 라이브에서 엄청난 파워를 발휘한다. 특히 보컬 하현우의 경우 최고의 록 보컬리스트 중 한 명이라고 평가받을 정도로 뛰어난 가창력과 라이브 실력을 갖추고 있으며, 밴드 구성원인 기타의 전규호, 베이스의 김기범, 드럼을 맡은 이정길의 경우에도 국내 톱클래스의 연주 실력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된다.[9]

음악적 측면에서는, 현 국내 인디밴드들의 주류 음악이 듣기 편하고 복잡한 테크닉이 필요 하지 않은 모던 록 혹은 어쿠스틱 계통임에도 불구하고 그것과는 정반대인 행보와 스타일로 인해 독보적인 색깔을 지니고 있는 밴드이다. 찢어질 듯이 까랑까랑하게 내뱉는 보컬 하현우의 고음과 미친 듯한 기타 속주는 모던록이 지배적인 한국에서 찾을 수 없는 스타일이다. 본인들의 곡인 '꼬리'와 '붉은 밭'의 어쿠스틱 버전에서는 어쿠스틱 기타로 입이 떡 벌어지는 연주를 보여준다. 덧붙여 기타리스트인 전규호가 이펙터를 직접 만들어 쓴다고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본인이 라디오에서 잘못된 정보라고 밝혔다.[10] 다만 어느 정도 이펙터 개조는 할 수 있다고 한다.

지향하는 음악은 사이키델릭 록을 지향한다고 밝히고 있는데, 사실 앨범을 들어보면 정통 사이키델릭 록이라기보다는 사이키델릭 록 + 헤비메탈 + 얼터너티브 록 혹은 프로그레시브 록[11]에 가깝다. 기본적으로는 하드 록이나 헤비메탈의 폭발적인 구조를 깔고 거기에 이펙터와 테크니컬 한 속주를 이용해 사이키델릭한 사운드를 더하는 식의 곡들이 많은데, 어떨 땐 사악하고 주술적인 느낌을 주면서도 또 어떨 땐 묘하게 뽕끼 스타일스러운 느낌을 주는 등 굉장히 이질적이면서 독특한, 그러면서 다채로운 음악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거울'[12]이나 '변신'의 경우엔 트로트 느낌이 난다고 평하는 사람도 간혹 있다.

국카스텐 음악의 또 다른 트레이드 마크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이 바로 가사. 물론 밴드치고 난해한 가사의 노래가 없는 밴드를 찾는 것이 힘든 편이긴 하지만, 이 밴드의 경우 앨범 수록곡 전체의 가사가 무지막지하게 난해하다. 거의 무슨 시조나 혼잣말하는 것에 가까울 정도로 몽환적이고 개연성 없는 가사투성이인데, 이게 밴드 특유의 주술적이면서 파워풀한 사운드와 맞물려 대단히 묘한 시너지를 이루고 있다. 가사는 거의 다 보컬인 하현우가 작사하는데, 이로 인해 하현우가 이래저래 약장수 이미지를 얻게 되어 곤욕을 겪은 적이 많은 듯하다. 하지만 진정한 문제는 가사가 난해한 것보다는 가사의 개연성이 이어지지 않는 점에 있다. 난해한 가사야 솔직히 밴드의 스타일을 고려하면 별다른 문제는 안 된다. 문제는 문장과 문장과의 개연성이 다른 난해한 가사를 쓰는 밴드들에 비하면 꽤 아쉬운 것 역시 부정하기는 힘들다. 이에 대해 하현우가 말하기를, 자신이 꿈을 꾸거나 책을 읽고 마음에 든 문장을 쓰다 보니 그런 점이 있다고 말하였다.

이 때문에 흔히 말하는 히트곡이 딱히 없다. 팬들이 꼽는 명곡은 꽤 있는 편이지만 국카스텐으로서 내세울 만한 대표곡이 부족하다는 평이 있다. 워낙 독창적인 데다 개성이 강해 흔히 말하는 부르기 좋은, 듣기 좋은 부류의 대중성 강한 노래가 딱히 없다. 이제 데뷔한 지 13년 차에 이른 중견 밴드가 대표곡으로 내세울 곡이 매우 적은 것은 아쉽다. 하현우의 압도적 보컬과 멤버들의 우수한 연주 실력에도 불구하고 자주 저평가받는 중요 이유다.[13] 그렇기에 국카스텐의 진가는 라이브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무대를 종횡무진으로 움직이면서 기타 속주까지 하는 와중에 3옥타브대의 초고음을 가지고 노는 하현우의 가히 무시무시한 라이브와 액션이 엄청난 반응을 끌어낸다. 복면가왕에서 하현우를 소개할 때 김성주가 괜히 "라이브 괴물 밴드 국카스텐"이라 한 게 아니다. 공연에 실제로 가 보면 가히 약 먹은 게 아닌가 의심이 될 정도의 모습에 감탄하는 관객들을 자주 볼 수 있다. 중간 간주 부분에서 관객들로부터 등을 돌린 채 기타를 치며 날뛰는 하현우의 모습은 국카스텐의 트레이드 마크 중 하나다. 물론 노래할 때의 카리스마가 그렇다는 것이지 멘트할 때는 정상으로 돌아온다. 2008년 EBS 스페이스 공감의 신인 발굴 프로그램인 헬로루키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음악 애호가들 사이에서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게 된다. 그리고 이즈음 멤버가 안정돼서 현재 라인업을 갖추게 됐다. 또한 2010년 3월의 한국대중음악상에서 아폴로 18과 <올해의 신인상>을 공동 수상하고, M.net 레전드 100 포스트 레전드(2003년 이후 데뷔 아티스트) 8팀에 선정되기도 했다.\

4.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카스텐/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카스텐/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카스텐/역사#|]][[국카스텐/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국카스텐 결성 이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국카스텐 결성 이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00년 보컬 하현우와 드럼 이정길이 만난 것을 시작으로, 기타 전규호가 합류한 후 국카스텐의 전신격 밴드 '뉴 언발란스', '더 컴'을 거쳐 2007년에 '국카스텐'이 결성되었다.[14] 이후 2008년 베이스 김기범이 마지막으로 합류하면서 현재의 라인업을 갖추게 되었다. 공식적으로 알려진 데뷔일은 2008년 12월 29일로 김기범 합류 후 발매한 국카스텐의 첫 싱글 'Guckkasten'을 기준으로 한다.
2013년 말 소속사와의 갈등으로 가지게 된 1년 길이의 휴식기와 코로나19로 인해 공연계가 마비되면서 잠깐 활동이 주춤했던 것 외에는 2007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방송 출연보다는 각종 페스티벌, 행사, 콘서트 등 공연 위주의 활동을 한다. 2010년 정규 1집 'Guckkasten'을 발매했고, 2014년 정규 2집 'FRAME'을 발매했다. 싱글과 EP도 간간이 발매하며 정규 3집 준비에 많은 시간을 쏟고 있다.

5. 디스코그래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카스텐/디스코그래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카스텐/디스코그래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카스텐/디스코그래피#|]][[국카스텐/디스코그래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공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카스텐/공연 및 행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카스텐/공연 및 행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카스텐/공연 및 행사#|]][[국카스텐/공연 및 행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활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카스텐/활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카스텐/활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카스텐/활동#|]][[국카스텐/활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수상 경력

연도 시상식 시상 부문
2008년 인디뮤직 페스타 헬로루키 OF THE YEAR 대상
2010년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신인
최우수 록 노래부문
'거울'
2012년 MBC 방송연예대상 가수부문 인기상
2016년 제12회 골든티켓어워즈 국내콘서트 뮤지션상
2018년 대중문화예술상 문화체육부 장관 표창
2020년 브랜드 고객충성도 대상 락밴드 부문

9. 여담

10. SNS

국카스텐 공식 계정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멤버 개인 계정
전규호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하현우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이정길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김기범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기타 계정
하현우 솔로 활동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공식]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공식]
608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공식]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이정길 반려동물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국카스텐 공식 스케쥴 안내는 주로 국카스텐 공식 인스타그램트위터를 통해 진행되며, 팬들과의 소통은 주로 국카스텐 공식 유튜브하현우 개인 인스타그램을 통해 이뤄진다.
[1] 사실 결성일이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고 국카스텐의 이름으로 무대에 오른 첫번째 날을 팬들끼리 기념하는 것이라고 한다.[2] 정식 음원 발매 기준. 밴드 활동으로 치면 국카스텐의 전신 격 밴드인 뉴 언발란스가 결성되어 활동한 2001년까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다만 김기범은 국카스텐이 결성된 이후인 2008년부터 합류했다.[3] 정확히는 노라조가 제대로 락 음악을 하고 싶어서 만든 밴드 "에볼루션 No.7".[4] 국카스텐 공연에서는 피아노 사운드만 사용한다.[5] 덧붙여서 우스갯소리로 시비가 붙는 등 뭔가 위험한 일이 생기면 항상 이 친구를 앞에 세운다고.[6] 2014년 하현우가 '유희열의 스케치북'에 출연했을 때, 버르장머리 없는 목소리를 가진 사람이라고 소개해줬다.[7] 요지경과는 다르다.[8] 이 이름은 하현우가 군 생활 중에 진중권의 책 '미학 오디세이'를 읽다가 책에 나온 말이 마음에 들어 정했다고 한다. 이를 두고 진중권은 본인의 트위터에서 "국카스텐이란 말은 '미학 오디세이'가 아니라 본인의 다른 저서인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에 나오는 말이지만 어쨌든 본인 책을 읽어줘서 고맙다."라고 밝히기도 했는데, 그의 언급과 달리 실제로는 '미학 오디세이'에 실려있다. 진중권도 저서가 한두 권이 아니니 착각한 듯 하다.[9] 전규호는 스페이스 공감 G3 무대에 올랐을 정도고, 김기범 역시 뛰어난 베이스라인을 연주하며, 이정길 역시도 '몽타주'의 라이브를 보면 알겠지만 보통 실력이 아니다.[10] 루비살롱 레코드 소속 당시 이규영 대표가 인터뷰에서 전규호를 언급하면서 "걔는 장난이 아니야, 차도 자기가 다 고쳐, 이펙터도 자기가 만들어 쓴다니까? 완전 맥가이버야."라고 말한 적이 있는데 이걸 말하는 듯하다.[11] 2집 'FRAME'에서 훨씬 더 프로그레시브 록에 가까운 성향을 보여줬다.[12] 하현우와 전규호가 TV에서 나오는 엔카를 들으면서 만든 곡이다.[13] 물론 음악성으로는 매우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전문가들에게도 고평가받는다. 음악인의 기준으로 보았을 때 훌륭한 밴드인 것은 틀림없으나 국카스텐을 떠올렸을 때 명확하게 나오는 곡이 없기에 내세울 것이 없지 않냐는 일부 평가들에 대한 얘기다.[14] 공식적인 국카스텐의 결성일은 2007년 5월 17일이다. 국카스텐의 이름으로 처음 공연한 날짜이다.[15] 거씽꼬로 부르기도 한다.[16] 2018년도까지 단골 앵콜곡[17] 참고로 당시 이에 대해서 논란이 있었는데, 그에 대해 하현우는 이렇게 대답했다.[18]예당컴퍼니[19] 하현우가 당시에 연 수입이 500만 원이라고 자랑 아닌 자랑을 했을 정도였다.[20] 여담으로 이때 어떻게 먼저 연락을 주셨냐는 하현우의 질문에 '스토커니까'로 답했다고 한다.[21] 2016년부터는 제주 뮤직 페스티벌로 명칭 변경.[22] Q. 예전에 앨범 '정글 스토리' 속지에서 신해철이 '크게 될 도현이'라고 적은 것이 기억이 난다. 실제로 윤도현은 YB를 통해 넥스트 이후 대중적으로 가장 성공한 록 스타가 됐다. 하지만 이후 대중을 아우를만한 록 스타가 등장하지 않고 있다.
신해철: 한때는 콘텐츠의 문제였다.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아이돌이 중심이 된 주류를 제외한 음악, 댄스뮤직들이 인디로 규정되고, 인디 신이 본래 의미와 달리 다양한 음악의 도피처가 된 역사가 10년을 넘어서면서 인디 신의 수준이 꾸준히 높아졌다. 하지만 아무리 병사가 많아도 장수 한 명이 구멍을 하나 뚫어줘야 전쟁에서 이기듯이 여기서도 스타가 나와 줘야 한다. 솔직히 말해서 지금 이 시점에서 넥스트가 상업적으로 엄청나게 부활하는 것이 후배들에게 구멍을 뚫어주지는 못 한다. 넥스트가 아닌, 지금 시대에 맞는 새로운 스타가 나와서 구멍을 뚫어주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 즉, 국카스텐과 같은 친구들이 쭉쭉 뻗어가야 한다. 그러니까 국카스텐 이 새끼들아! 빨리 앨범 내라. 너희가 멈춰있으면 결국 너희 후배들이 기회를 잃는다.
[23] 참고로 이정길은 국카스텐 멤버들 중에서도 제일 안 씻고 더러운 멤버로 꼽힌다.[공식] [공식] [공식]